KIEAE Journal
[ Research Article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 Vol. 21, No. 6, pp.95-100
ISSN: 2288-968X (Print) 2288-969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1
Received 08 Nov 2021 Revised 07 Dec 2021 Accepted 10 Dec 2021
DOI: https://doi.org/10.12813/kieae.2021.21.6.095

도서관 전이공간의 공간 특성 및 기능

윤희진*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ransitional Space in the Library
Hee-Jin Yun*
*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Dept. of Architecture, Kyonggi Univ., South Korea hjyun@kgu.ac.kr


ⓒ 2021. KIEAE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Purpose:

The modern library is transforming from a national public institution to a regional space due to the expansion of local self-government, and accordingly, there is a trend of diversification such as a small library and a library as a place for information exchange.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transitional space concept of a modern library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in a changing environment, categoriz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 methods, and present functions and compositional effects thereby.

Metho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oretical analysis, the concept of transitional space of a modern library is derived, its characteristics are classified, and the transition in the formation of its spatial order is considered. The concept of transitional space, spatial configuration, and function are analyzed through the case of a representative library in a local large city in Korea, and based on this, types for universal application in library space arrangement are included.

Results:

First, when the entry space of the library is analyzed as a transitional space, its spatial characteristics can be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a new space, a dichotomized space, and an intermediate space by the program of its interior space connected to the transitional space. Second, there are four functions of the transitional space of the library, which can be analyzed in terms of connectivity with the city, affordability of interior space, affordability of exterior space, and physico-psychological accessibility.

Keywords:

Library, Transitional Space, Space Characteristics, Space Functions

키워드:

도서관, 전이공간, 공간특성, 공간기능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현대의 도서관은 지방자치제의 확대로 인하여 국가적인 공공기관에서 지역적 공간으로의 변모를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작은 단위의 도서관 및 정보교류 장소로서의 도서관 등 다양화의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즉, 21세기의 도서관은 정보통신의 발달로 책의 수장 개념으로부터 새로운 개념의 공간으로 변모가 요구 되며, 자료의 열람 및 대출, 문화강좌, 평생교육, 전시, 여가활동 공간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은 국내 공공도서관의 패러다임이 21세기 초 디지털자료의 보급에 맞춘 ‘정보화’시대를 넘어 현재 공공도서관의 역할이 ‘도시의 거실(the Livingroom of the City)’로 발전하여 모두를 위한 공공성의 공간으로 변화하는 흐름을 보인다[1]. 이러한 다양한 공간의 기능과 연결로 인한 도서관 공간은 획일적 공간이 아닌 잠재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전이 공간으로써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통계적으로도 국내 공공도서관은 비약적인 양적 성장이 이뤄졌다. 국내 공공도서관의 수는 2010년 말 759개관에서 2019년 기준 1,134개관으로 한 해 평균 약 41개관이 개관했다. 이는 전국 평균 1관 당 인구수가 2009년 70,801명에 서 최근 45,723명으로 감소시키는 데 일조했다[2]. 따라서 도서관은 이제 학습공간위주가 아닌 공간의 복합화로 인한 사용자 중심의 머무르고 싶은 공간과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공간으로 전환이 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 본 연구는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현대 도서관의 공간구성 및 전이 공간 개념을 이해하고, 공간적 특성과 구성방법을 분류하며, 이에 따른 기능 및 구성효과를 제시함과 동시에 단순한 공간과 공간을 연결시켜주는 전이공간이 아닌 현대건축에 있어서 전이공간의 공간적 의미 또한 변화하여 다원화된 현대 건축 공간구성의 도서관 진입공간에 대한 자세한 기능을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본 연구의 내용은 도서관 공간의 성격 변화 및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고, 전이공간의 개념과 이론적 고찰, 전이공간의 물리적 형태와 기능,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사례 분석, 현대 도서관의 공간구성과 기능적 구조 제안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 고찰과 이론적 분석을 통한 현대 도서관의 전이공간 개념 도출 및 특성을 분류하며, 도서관 공간 질서 형성에 있어서의 전이성을 고찰한다. 국내 지방 대도시 대표 도서관의 사례를 통하여 전이공간에 대한 개념과 공간구성 및 기능을 분석하며, 이를 토대로 도서관 공간 배치에 있어서의 보편적 적용을 위한 유형 도출을 포함한다.


2. 문헌고찰

2.1. 도서관 공간의 시대적, 사회적 역할 변화

1950년대 시행된 도서관법에서는 도서관이란 ‘도서, 기록 기타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고, 보존하여 공중의 이용을 도모하고 교양, 조사연구, 레크리에이션 등에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공공도서관이라 함은 공중의 정보이용·문화 활동 및 평생교육을 증진함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도서관을 말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3]. 역사적으로 공공도서관이 가지는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시대적으로 분류하여 본다면 4개의 시대로 나누어 조사할 수 있다.

첫째는 고대시대로 주로 왕이나 권력층을 중앙 집권 하에서 권력층을 위한 독점화된 도서관으로 지식의 독점이 이루어지면서 도서관은 역사관계 자료나 지리적 자료, 상거래와 관련된 책이나 문서 또는 계약서와 신화나 전설, 점성술이나 생물학, 수학, 천문학 등에 관련된 서적을 보관하는 기능을 담당하였다.

둘째로는 중세시대로 중세 초기에는 유일한 지식계급인 교회 중심의 그리스도교 성직자들이 소규모의 학교에 의해 교육이 시작되었으며 성직자들에 의한 지식의 독점화가 이루어졌다. 서적이나 자료는 수도원을 중심으로 연구 및 교육, 문화 전승의 역할을 하였고 수도원의 도서관은 종교적인 문헌뿐만 아니라 고전, 교육을 위한 저작이 장서의 주를 이루었다. 수도원 도서관의 쇠퇴는 새로운 고등교육 기관인 대학의 등장으로 인해 이루어지는데 중세 대학 도서관은 도서의 저장만이 아닌 도서의 이용을 위한 장소였기 때문에 근대적 도서관의 시초라고 불리었고 이 시기로부터 도서관은 지식의 독점화가 마무리 되면서 공공성을 가지게 되었다.

셋째는 르네상스 시대에 이르러서 인쇄술의 발달로 인한 새로운 도서관의 전개를 가지고 오게 되었다. 인쇄술의 발달은 도서의 대량화를 가능하게 하였고 이로 인한 지식의 공유화와 대중화가 이루어졌으며, 또한 개인의 문고화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도서관의 기능인 도서의 수집 및 보관에서 일반적인 대중이 도서를 접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모하게 되었는데 특히 대학의 도서관이 그러한 기능을 더욱 발전시키면서 수도원의 도서관은 쇠퇴 되었고 근대 도서관의 기능인 일반인으로 하여금 지식을 공유하도록 하는 것이 중심이 되었는데 대학과 인쇄술의 발전에 의한 빠른 도서관의 확장이 이루어졌다.

넷째, 근대의 도서관은 절대왕권을 배경으로 몇몇의 학술 도서관과 국립도서관이 등장하게 되고, 대학도서관도 더욱 발전된 형태를 취하게 되었고 인쇄도서에 의해 도서관 장서가 확충되고, 사서들에 의해 자료의 체계적인 조직화를 위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현대 도서관의 개념을 정립하였고 계몽사상으로 독서층이 여자와 서민에게까지 확대해 나갔으며, 독서의 장을 찾는 요구가 높아졌기 때문에, 도서관과 열람시설을 제공하려는 움직임도 다양한 형태를 취하게 된다.

마지막 시대인 현대에는 도서관은 인터넷, 문화의 공유로 인한 도서관의 기능인 도서의 보관 및 수집에서 지식을 공유하고 사람들이 학습을 위한 공간으로 변모하게 된다. 즉 이전의 도서관은 도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고 하면 현재는 도서보다는 공간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도서의 열람도 각자의 전자기기에 의한 열람과 학습을 위한 공간, 이 밖의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공간에 대한 고려가 중요한 요소로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도서관의 기능을 정리하면 [Table 1.]과 같다.

The functions of libraries by generation

2.2 전이공간의 개념 및 고찰

전이(轉移)란 변화와 이동이라는 의미를 내포하는 개념으로 1) 하나의 현상과 장소로부터 다른 현상과 장소 로 경과 및 이동, 2) 하나의 단계, 형태, 양식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다른 단계, 형태, 양식으로의 발전 및 움직임, 3) 연결성을 갖고 변화하는 중간으로 두 가지 이상의 요소를 매개시키는 과정으로 정의되고 있다[4]. 즉, 사전적 의미로서의 전이는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현상이 연속되거나 상태가 전환되는 것에 의한 상호작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연속된 지각의 변화이다.

전이의 의미를 공간에 적용하는 전이공간은 건축적인 의미에서 볼 때 공간에 있어서 두 가지 혹은 그 이상의 공간이 접목 되었을 때 이 공간에 대한 이질감의 완화, 갑작스러운 상황의 조절, 완충 및 매개라는 기능의 공간이라 할 수 있다[5].

도서관 내의 전이공간은 공용공간을 기준으로 진입공간, 통로공간, 도서관 실 공간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이 중 본 연구에서는 주된 전이가 일어나는 진입공간을 중심으로 전이 공간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도록 하며, 진입공간의 경우 도서관에 있어서 주요 공용공간으로서의 중요성을 가지는 공간이므로 하나의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움직이는 환경 속에 있는 전이공간은 움직이는 인간 행위에 의해 공간의 변화와 그 확장성을 찾아볼 수 있다.

2.3 전이공간의 물리적 기능

앞서 조사한 것 같이 전이란 하나의 공간이 아닌 여러 공간이 만나 다양한 특성을 가지게 된다. 이 공간의 다양한 특성은 전이에 의해 발생되는데 전이란 변화와 이동을 내포하는 개념으로 하나의 현상과 다른 현상과 장소로 경과 및 이동한다.

전이라는 개념을 공간에 대입하면 ① 공간의 상호 연관관계에 따라 형성되며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사이에 성립되는 고유공간으로 그 자체만으로 가능한 하나의 특성을 가지는 공간이다. ② 매개성 있는 공간은 반복되는 양극현상이 다시 이원화 현상으로 될 수 있는 공공의 장을 제공하는 공간이다. ③ 공동의 공간을 제공하는 중간영역으로서 역할을 한다[6]. 즉 전이성 있는 공간은 두 공간사이의 모든 상호 연관관계를 통한 다른 성격을 가진 공간이며, 이 공간은 다시 각기의 공간으로 이원화 될 수도 있고, 중간영역이 형성된다.[Fig. 1.]

Fig. 1.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space

도서관의 진입공간은 다른 공간으로 작용하기 위한 전이를 가진다. 이 전이공간은 어떠한 한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이동할 때 공간이 바뀌는 영역을 말하며, 목적을 위한 과정적 공간이다. 이는 도서관의 공용공간 중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고 다양한 인간의 행태가 나타나는 진입공간과 같은 곳을 지칭한다. 이러한 전이 공간은 다른 두 가지 이상의 이질적인 공간을 완화하고 공간의 흐름에서 서로 다른 기능이나 성격을 중간에서 양편을 관계 맺어주는 역할을 하는 중간영역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외부공간에서의 전이 공간은 내부의 사적인 공간과 외부의 공적인 공간이 만나는 중간영역의 준 공적 공간으로 볼 수 있다. 이 공간은 두개의 다른 영역사이에 완충을 하는 공간으로 준 사적 공간, 준 공적 공간이 되어야 한다. 도서관의 진입공간은 도시 외부공간의 공적인 공간과 도서관 내의 사적공간인 건축물의 열람실, 서고, 학습공간, 커뮤니티 공간 등의 단위공간 사이에서 준 사적공간으로 두 영역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Fig. 2.]

Fig. 2.

Publicity in terms of territory

2.4 소결

도서관의 시대적 기능, 전이공간의 개념, 전이공간의 기능을 연구한 결과 현대의 도서관은 도서의 보관 및 열람에서 다양한 커뮤니티가 일어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환이 되고 있으며 전이공간의 개념은 다른 성격을 가진 두 개 이상의 공간을 완충 및 조절, 매개하는 공간으로 볼 수 있다. 도서관의 공용공간 중 진입공간을 중심으로 공적 공간, 사적 공간의 준 공적, 준 사적 공간으로 성격을 가지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가진 공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것으로 한다.


3. 사례조사

현재 도서관은 국가적인 위상의 국립도서관에서부터 지자체의 도나 시 도서관, 더 나아가 구립 및 동 단위의 도서관 등이 활발히 지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사례는 국가 단위의 도서관은 비교 대상이 없고 구립 단위 이하 도서관은 단위가 적어 거의 같은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어 시 단위의 도서관 3곳을 비교 하며 기존의 시립도서관 중 새로이 설계된 대표도서관1)을 중심으로 전이 공간의 기능과 특성을 분석하도록 한다.

Prior research on publicity in architectural urban spaces

3.1 경기도 대표 도서관

경기도 대표 도서관의 형태는 나선형 외부데크 공간을 기본으로 하나의 매스로 형성 되어진 형태를 가진 도서관이다. ‘정보를 바탕으로 사람들 간의 지적인 교류가 일어나는 곳’, ‘자기개발을 도와주는 지혜의 놀이터’, ‘편안하게 이웃과 마주하는 대화의 시장’이라는 새로운 정의는 이 시대의 대표적 공공장소로서의 도서관을 표현하는 것이다. 가장 큰 개념은 공공도서관의 영역을 나선형 슬래브로 연결하여, 층 간 구분이 없는 연속적인 공간으로 계획하였으며, 내부의 나선형 흐름이 외장으로 이어져 도서관을 감싸고도는 녹지와 보행의 흐름과 함께 옥상의 하늘도서관으로 연결된다[7].

Fig. 3.

Space Concept

3.2. 대구 대표 도서관

대구대표도서관은 대구광역시 남구에 주둔하는 미군캠프 워커 부지를 대구시로 반환하여 시민들의 공간으로 도서관 60여 년간 지역과 단절되어 있던 공간적 역사성과 함께 대구시를 대표하는 도서관으로서의 정체성의 구축이라는 복합적인 이슈를 가지고 있다. 기능적으로는 기존의 전통적 도서관 기능을 넘어선 신개념 복합문화공간으로써, 도서관이라는 공간을 통하여 단순하게 책을 보고 읽고 찾는 공간의 개념에서 조금 더 확장한 개념을 도입하였고 열린 도서관은 사람과 사람이 만나고 소통할 수 있는 개방적이고 자유로움이 넘치는 일상의 공간을 포함한다[8].

Fig. 4.

Space Concept

3.3 광주 대표 도서관

광주대표도서관은 상무소각장 부지에 조성될 것으로, 혐오시설에서 문화시설로 바꾸는 프로젝트로 부지 전체를 가로지르며 소각장까지 연결되는 거대한 ‘브리지형 도서관’을 주개념으로 제안하였다.

Fig. 5.

Space Concept

도서관의 확장과 연속성을 가지고 홀 (고도 0.00)에서 시작하여 첫 번째 단계의 녹색 나무 꼭대기를 통과 한 다음 두 번째 단계 내 소각로 건물의 양을 거쳐 마지막으로 가장 높은 계단식 고원까지 올라간다. 두 번째 단계의 녹색 나무 꼭대기에 '플로팅 발코 니'로 끝나며 첫 번째 단계는 8개의 기능적 계단식 고원으로 구성되며 각각 492㎡이다. 계단식 고원 사이의 고도 차이는 1.68m이다. 홀의 초기 '제로 고원'은 도서관 광장의 액세스 평면의 분절이다. 첫 번째 단계의 마지막 여덟 번째 계단식 고원은 11.76m 높이의 나무 꼭대기에 뜬다. 도서관 산책로의 북쪽 정면을 따라 경사로시스템 –경사로를 통과하고 반대편에는 남쪽 정면을 따라 기술 서적 운송 시스템을 운영한다.

두 번째 단계는 네 개의 계단식 고원으로 구성되며 기존 소각로 건물의 슬래브와 연결할 수 있다. 소각로의 서쪽 정면을 따라 있는 2개의 수직 통신 코어(승강기 및 계단)는 도서관 보도와 주 산책로를 연결한다. 두 번째 단계의 첫 번째 계단식 고원은 수직 통신 코어 (대 통로의 왼쪽과 오른쪽)에 모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벤트 영역'이 있는 홀을 제공한다[9].


4. 도서관 전이 공간의 유형 및 특성 도출

사례 3개의 도서관에서 각각의 다른 개념은 도서관에 대한 다양한 디자인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에 전이공간의 유형 및 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각 사례의 진입공간을 분석하기로 한다. 전이공간을 분석하기 전에 도서관의 공간구성을 분석 하면 다음과 [Table 3.] 같다.

Space composition of public libraries

Entrance Space function of public libraries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전이공간의 기능은 두 공간을 연결하는 고유의 공간 기능, 이원화의 기능, 중간적 기능의 3가지 요소가 있으나 이 뿐만이 아니고 본 연구에서 보는 전이공간이 진입공간이므로 진입공간에서의 기능은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 있다.

진입공간이 도시와 직접 연결되어 있어 다른 공간과의 연결이 거의 없는 공간인 도시와의 연결성, 주차장, 외부 마당, 조경 등 외부공간과의 연계성이 매우 높아 외부 공간과 연계성이 큰 외부공간의 지원성, 진입 공간이 외부 공간과의 연결이 거의 없고 다양한 내부 공간 구성과 높은 연결을 갖는 공간으로 내부공간의 지원성, 도시 외부공간과 연결되나 진입공간은 폐쇄되어 있고 다른 공간과는 연결되지 않고 시각적으로만 연결되는 공간인 물리적·심리적 접근성으로 기능을 나누어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전이공간에서의 기능에 대한 분류와 분석의 기준 및 근거는 삽입공간과 상호 관입의 중첩형, 인접공간의 결합형, 중간공간의 매개형 등으로 분석하는 경우도 있지만 본 연구는 이러한 전이공간의 일반적인 분석이 아닌 본 연구만의 분석 요소로 도서관의 전이 공간을 연구하였다.

4.1 경기도 대표도서관 전이공간 분석

전이공간인 진입공간을 분석한 결과 경기도 대표도서관은 지하1층에서 5층까지 도서관을 아우르는 중심공간인 아트리움을 중심으로 동선이 연결되고 있으며 연결된 공간은 자료이용부분(자유열람실, 미디어 열람실)을 단위공간으로 공용부분(코어와 외부공간)을 통과하여 후면의 자료이용부분(어린이 자료실)과 연계되어진다. 즉 전이 공간은 자료이용부분을 주위에 연결하여 공용부분을 중심으로 연결되어 전이공간의 특성은 내부공간의 자료이용부분과 공용부분 사이에 위치하여 두 공간을 분리하는 방식의 전이공간의 형태를 가지며 기능적으로는 자료이용부분과 연계성이 매우 크고 공용부분에 연결도 되어져 내부공간 지원성을 가지고 있는 공간으로 분석할 수 있다.

Fig. 6.

Space analysis

Fig. 7.

Space analysis

4.2 대구 대표도서관 전이공간 분석

대구대표도서관은 전이공간인 진입공간을 분석한 결과 연결된 공간은 문화교육부분(전시실, 북카페)이 연결되어 있으며 공용부분(코어)을 통과하여 후면의 자료이용부분(어린이 자료실)과 연계되어진다. 즉 전이 공간은 문화교육부분과 연결하여 공용부분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데 공용부분을 지나 도서관의 주요 공간 구성부분인 자료이용부분과 연결되어 3개의 부분의 연결로 진입공간은 중간영역공간으로 형태를 가지며 기능적으로는 내부공간의 공간들과 연계성이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가지는 내부공간 지원성의 공간으로 분석되었다.

4.3 광주 대표도서관 전이공간 분석

광주 대표도서관의 전이공간인 진입공간은 다른 도서관과 달리 대지의 고도차에 의한 진입공간이 2곳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도차뿐만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긴 브리지 형태 진입공간 및 코어 공간의 필요에 의해 계획 되었다. 2곳의 진입공간은 자료이용부분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따로 공용부분이 있지 않고 진입공간과 같이 공용부분이 배치되어 있다. 자료이용부분은 어린이자료실, 미디어 자료실, 일반자료실로 구성되고 진입공간 연결 후 일반 도서관으로 연결되어 진입공간은 모두 자료이용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이공간의 특성은 다른 공간을 이원화 또는 중간적 영역이 아닌 코어를 포함한 새로운 공간의 특성을 가지며 기능적으로는 진입공간이 중심에 위치하는 것이 아닌 건축물의 끝에 위치하여 외부공간의 지원성을 가지는 공간으로 분석되었다.

Fig. 8.

Space analysis

4.4 소결

우리나라의 대표도서관 3개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전이 공간의 공간 특성과 기능을 분석하면 다음 [Table 5.]와 같다.

Spati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ransition space


5. 결론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교육에 대한 투자 및 열정이 높은 나라이다. 도서관에 대한 수요가 다른 나라와 달리 매우 높으며 이러한 수요에 대한 것으로 각 시도는 대표 도서관 건립에 매우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시도를 대표하는 도서관의 위상을 위해 도서관 설계에 있어서도 타 도서관과 달리 좋은 디자인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나라의 대표도서관 중 3개의 도서관을 중심으로 모든 도서관 공간 분석을 하는 것이 아닌 대표적인 전이공간인 진입공간에 관한 공간특성 및 공간 기능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의 공간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공간인 진입공간을 전이공간의 개념으로 분석하면 공간 특성은 전이공간과 연결되는 내부 공간의 프로그램에 의한 새로운 공간, 이원화 되는 공간, 중간 영역의 공간으로 나누어 분석이 가능하다.

둘째, 도서관의 전이공간의 기능은 4가지로 도시와의 연계성, 내부 공간의 지원성, 외부공간의 지원성, 물리적 심리적 접근성으로 분석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3개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경기도대표도서관에서의 공간특성은 이원화 공간이며, 기능은 내부공간 지원성이며, 대구대표도서관 공간특성은 중간 영역 공간, 기능은 내부공간 지원성이며, 광주대표도서관 공간특성은 새로운 공간이며, 기능은 외부 공간 지원성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전이공간은 내부공간과 내부공간 사이의 존재, 외부공간과 외부공간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으로서 공간의 연속과 분리, 질서 등을 부여하는 건축물의 사이공간이다. 서로 다른 공간 사이에 형성되는 전이공간은 두 영역의 경계에서 상호간에 소유하지 못하는 고유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진입 공간 특성을 제공함으로써 도서관의 진입공간은 다중적인 공간의 의미와 기능을 가지며, 추후 상세한 연구를 통해 도서관뿐만이 아닌 여러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1학년도 경기대학교 연구년 수혜로 연구되었음.

Notes

1) 지역대표도서관은 2006년에 개정된 '도서관법'에 따라 광역지방자치단체의 도서관 시책을 수립하고 체계적인 도서관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설치·운영하고 있다. 2007년 대전광역시 한밭도서관을 시작으로 2020년 1월 현재 16개 시도에 지역대표도서관을 설립 또는 지정했다.(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00131077900005)

References

  • 김현오, 강민우, 김용승, 최근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 특성 및 변화 고찰,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38권 제2호, 2018.10, pp.86-89.
    H.O. Kim, M.W. Kang, Y.S. Kim, A Review on the space organization of public libraries in the past decad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8(2), 2018.10, pp.86-89.
  • 문화체육관광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www.libsta.go.kr, , 2021.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National Library Statistical System, www.libsta.go.kr, , 2021.
  • 현규섭, 유네스코 공공도서관선언의 개정과 의의, 도서관문화, 제37권 제2호, 1996.3, pp.4-10.
    G.S. Hyun, The significance of the revision and significance of the UNESCO Declaration of Public Library, Library culture, 37(2), 1996.3, pp.4-10.
  • 우리말 큰사전, https://stdict.korean.go.kr, , 2021.
    Big dictionary in Korean dictionary, https://stdict.korean.go.kr, , 2021.
  • 박시환, 건축공간의 투과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도시문제연구소논문집, 제8권 제1호, 1999.12, pp.73-82.
    S.H. Park, A Study on the Permeability of Architectural Space, Basan University, Journal of Urban Studies, 8(1), 1999.12, pp.73-82.
  • 민철기, 이영수, 매개공간 개념을 통한 인프라스트럭처의 재해석에 따른 공공 공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계획계, 제29권 제1호, 2009.10, pp.297-301.
    C.G. Min, Y.S. Lee, A Study on the public space with the re Definition of the infrastructure base on the concept of intermediate Spac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9(1), 2009.10, pp.297-301.
  • 월간 CONCEPT, 현대건축사, 제258호, 2020.9, pp.42-49.
    CONCEPT, Modern Architectue, No.258, 2020.9, pp.42-49.
  • 이용호, 대구대표도서관 건립사업, 대한건축학회, 제62권 제4호, 2018.3, pp.53-57.
    Y.H. Lee, The Representative Library of Daegu,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62(4), 2018.3, pp.53-57.
  • 월간 CONCEPT, 현대건축사, 제252호, 2020.3, pp.92-99.
    CONCEPT, Modern Architectue, No.252, 2020.3, pp.92-99.

Fig. 1.

Fig. 1.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space

Fig. 2.

Fig. 2.
Publicity in terms of territory

Fig. 3.

Fig. 3.
Space Concept

Fig. 4.

Fig. 4.
Space Concept

Fig. 5.

Fig. 5.
Space Concept

Fig. 6.

Fig. 6.
Space analysis

Fig. 7.

Fig. 7.
Space analysis

Fig. 8.

Fig. 8.
Space analysis

Table 1.

The functions of libraries by generation

Library of ancient times Medieval library Library in the modern era Library in the contemporary era
- Accumulation, organization, and collection of data
- Only open to a limited number of people
(royals, nobles, monks, etc.)
- Libraries of a religious nature (Christianity)
- Monastery library
- The property of royalty, nobility, wealthy and religious leaders
- With the development of paper making and printing technology, reading became popular and socialized.
- Knowledge community for all
- Increasing the intellectual role of the library with the development of universities and schools
- Sharing of reading space and learning space
- Transformation from a macro-concept to a micro-concept
- Various spaces appear around the community
Role as a symbol of authority and respect Role change from storage to use with the advent of university libraries Libraries become central to intellectual activity The library's community
becomes a central role

Table 2.

Prior research on publicity in architectural urban spaces

Title Gyeonggi-do
Main Library
Daegu
Main Library
Gwangju
Main Library
Image
Aechitect Haeahn Architecture Haenglim ARCVS
Plottage 6,824㎡ 9,649㎡ 10,157㎡
Building area 4,054.511㎡ 3,619.36㎡ 4,130㎡
Gross area 30,990.39㎡ 4,955.95㎡ 11,512㎡
Structure SRC RC SRC
Scale B4~5F B1~4F B1~4F

Table 3.

Space composition of public libraries

Division Component
Data usage part General archives, youth archives, continuous publications, reference archives, ancient archives, local archives, Data room for each subject, data room for each subject.
Children's archives, Infant's archives, and story rooms.
Digital archives.
Culture education part Exhibition room, multi-purpose room.
Culture Education Room, Audiovisual Room, Seminar Room.
Study room, lab.
Business management part Preservation library, precious preservation library, mobile library support office.
The director's room, office, conference room, lounge, preparation room, night-duty room., etc.
Computer room, control room, storage room.
Common part Entrance, stairs, escalator, elevator, restaurant, lounge, etc.
Other parts Machine room, electric room, warehouse, parking lot, etc.

Table 4.

Entrance Space function of public libraries

Division Component
Connectivity to the city A space with little connection to other spaces as the entry spac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ity.
Supportability of external space As the connection to external spaces such as parking lots, external yards, and landscaping is very high, the character of the entry space is an exterior-oriented space.
Supportability of internal space A space where the entry space has very little connection to the external space and has a high connection with the various internal spatial configurations.
Physical psychological accessibility A space that is connected to the outside space of the city, but the entry space is closed and not connected to other spaces and is only visually connected.

Table 5.

Spati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ransition space

Title Gyeonggi-do Main Library Daegu Main Library Gwangju Main Library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space
Binary space Middle space Another space
Entrance Space function Supportability of internal space Supportability of internal space Supportability of external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