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AE Journal
[ Research Article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 Vol. 20, No. 3, pp.65-71
ISSN: 2288-968X (Print) 2288-969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0
Received 27 Apr 2020 Revised 22 May 2020 Accepted 27 May 2020
DOI: https://doi.org/10.12813/kieae.2020.20.3.065

르 코르뷔제의 주택 작품에 나타난 건축적 산책 분석

김창성*
The Analysis of Architectural Promenade to be Showed in the House Works of Le Corbusier
Chang Sung Kim*
*Corresponding author, Dept. of Architecture, Hyupsung Univ., South Korea cskim815@daum.net


ⓒ 2020 KIEAE Journal

Abstract

Purpose:

Le Corbusier addressed the dom-ino system that was the fabulous structural system in those days and the five principles of architecture such as pilotis, free plan, ribbon window, free facade and roof garden from his position of functionalism. He also suggested ‘The Architectural Promende’ in pursuit of the pure geometrical formation and his own original architectural aesthetic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the first step of theoretical reviews about the meaning of the architectural promenade, and the second step of analysis about two houses - Villa la Loche and Villa Savoye - that the concept of the architectural promenade applied, the third step of comparative analysis about the architectural components applied to two cases in order to achieve the architectural promenade.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oncept of the architectural promenade as one of important principles in his architectural works interconnects spaces by predicting human movements over tim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It presents a completed static space, inducing the human movements to the intended spaces by natural light.

Keywords:

Le Corbusier, Five Principles of Architecture, Architectural Promenade

키워드:

르 코르뷔제, 건축의 5원칙, 건축적 산책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르 코르뷔제는 기능주의 건축의 입장에서 필로티에 의한 지상 공간의 개방, 자유로운 평면, 수평창, 자유로운 파사드, 옥상정원의 활용과 같은 ‘건축의 5원칙’을 주장하였다. 또한, 르 코르뷔제는 순수 기하학적 조형과 자신 만의 독창적인 건축 미학을 추구하면서 ‘건축적 산책’ (Architectural Promenade)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르 코르뷔제의 건축 개념은 건축을 하나의 시스템에서 만들어 주고, 시⋅공간의 변화를 건축에 도입하면서 건축을 다른 예술과 구별되게 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고, 앙리 시리아니, 로랑 보두앵, 안도 다다오 등 후대의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가들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발전되었다[1].

르 코르뷔제는 유도된 동선에 의해 건축공간을 이동하면서 지각하게 되는 인간의 완결된 공간인식으로서 ‘건축적 산책’의 개념을 정의하였다[2]. 이러한 르 코르뷔제의 ‘건축적 산책’의 개념은 모더니즘 예술의 다시점과 연속적 공간을 연구했던 장소의 추상화 개념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으며[3], 인간의 공간적 이동과 시각적 지각이라는 측면에서 르 코르뷔제의 건축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르 코르뷔제 건축의 중추적 역할을 한 ‘건축적 산책’의 개념과 이를 적용한 작품의 분석을 통해 그의 건축에서 나타나는 공간 연출과 건축 디자인의 원리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1.2. 연구의 방법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문으로 진행되었다. ‘건축적 산책’ 개념의 이론적 고찰과 이의 개념이 적용된 주택 작품의 분석이다. 이러한 두 부문에 대한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건축적 산책’의 도입 배경과 의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르 코르뷔제가 추구하였던 시점 이동에 의한 공간의 지각과정을 분석하였다.

둘째, 르 코르뷔제의 대표적 주택 작품으로서 ‘빌라 라로쉬’와 ‘빌라 사보에’에 적용된 공간구성 요소들을 분석하고, 두 작품에 적용된 ‘건축적 산책’의 개념을 파악한다.

셋째, 분석 사례에 적용된 ‘건축적 산책’의 구성 요소들을 비교함으로서 르 코르뷔제가 의도한 디자인 요소의 역할과 특성을 분석한다.


2. 르 코르뷔제의 건축적 산책

2.1. 건축적 산책의 배경

근대 건축의 거장으로 현대 건축의 흐름에 많은 영향을 준 르 코르뷔제는 한정된 대지와 기능의 복합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도시 건축의 문제점 해결하기 위해 ‘건축적 산책’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일반적으로, 건축 형태의 변화는 쉽고 빠르게 인지되지만 공간의 변화와 오브제의 인식 과정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건축적 산책’은 사람 동선의 이동을 통해 만들어지는 운동이라는 측면에서 빈약한 외부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내부공간과의 연결을 통해 인식의 문제를 해결한다[4].

공간의 구성에 있어서 건축 요소들은 공간의 본질에 관여하면서 실제 공간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관찰을 통해 공간에 대한 시⋅지각적 느낌을 제공하며, 이용자는 이를 통해 현재 자신이 위치한 공간과 주변 공간에 대한 상호작용으로 건축공간을 이해하게 된다[5]. 르 코르뷔제는 1911년 아테네 여행을 통해 아크로폴리스의 공간 전개방식에 감동을 느끼고 이들의 동선 체계를 분석하여 공간의 변화와 인간의 지각 과정에 대한 개념을 수립하였다[6](Fig. 1., 2.).

Fig. 1.

View of Acropolis in Athens

Fig. 2.

Sketches of Acropolis drawn by Le Corbusier

2.2 건축적 산책의 의미

‘건축적 산책’은 건축공간에서 일어날 인간의 운동을 예측하고 그 효과를 계산하는 수법이라 할 수 있다. 건축은 오직 이동하는 사람에 의해서 공간 상호간의의 규칙성을 만들어 내며[7], 이동을 한다는 것은 공간에 시간의 개념을 유입하여 공간에 의미를 부여하고, 시간과 공간을 융합한다[8].

르 코르뷔제는 “건축적 작업은 건물을 통해 거닐게 하는 경로가 있는지에 따라 죽은 것과 산 것으로 나뉘는 것이 진실이다”라고 단언했다[9]. ‘건축적 산책’의 과정은 사람의 움직임과 시선의 변화에 따르는 장면의 변화를 가져오며, 이러한 연속적 지각을 통해 시각을 자극하고 공간을 경험함으로 건물을 이해하는 과정을 담는다[1].

르 코르뷔제에 있어서 ‘건축적’이란 근대 건축을 가능하게 하는 질서와 기하학을 의미하며, ‘산책로’란 시각적 축에 의해 조절되는 픽처레스크한 미학적 풍경을 의미한다[5]. 이러한 르 코르뷔제의 생각은 아테네 여행에서 외부와 건물과의 관계를 연구한 스케치에서 단서를 찾을 수 있다(Fig. 2.).

이와 같이 르 코르뷔제는 건축의 목적을 사람에게 감동을 주는데 있다고 믿고 연속되어 전개된 공간 마다 크기와 형태, 개방과 폐쇄, 자연 요소를 유입함으로 건축적 미학을 발산하여 감동을 전달하려 하였다.

사람은 이동을 통해서 공간을 정의하고 의미를 부여한다. 이러한 공간 지각은 감각을 통해 영향을 주는 공간 인식 과정을 포함한다. 이는 근대건축의 공간에 대한 개념인 ‘사건의 동시성(Simultaneity of Event)’과 비슷한 개념으로, 단일한 시점을 배제하고 관찰자의 시점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보이는 형상을 한 화면에 공존(coexistence) 시킴으로서 공간에 시간성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11] (Fig. 3.).

Fig. 3.

Simultaneity of Event

이러한 측면에서 ‘건축적 산책’은 외부에서부터 실내까지 시간에 따른 사람의 움직임과 동선의 예측을 통해 자연과 공간을 일체화 하여 공간 상호간을 연결하고, 자연의 빛에 의해 내부 공간의 동선을 유도하면서 완료된 정적 공간을 제시한다. 이는 르 코르뷔제의 건축에서 다시점과 연속적 공간을 연구했던 ‘장소의 추상화’ 개념이라 할 수 있으며, 빛의 강약에 의한 동선의 리듬과 공간의 투명성 연출은 ‘건축적 산책’의 절대적 위치를 차지한다[11](Fig. 4.).

Fig. 4.

Exhibition Room of The National Museum of Western Art


3. 르 코르뷔제의 건축의 5원칙과 건축적 산책

르 코르뷔제의 건축 이론들은 ‘건축적 산책’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근대 이전 내력벽에 의해 공간을 구성한 것과 달리 기둥에 의해 구조체 하중을 지탱하는 ‘도미노(Dom-Ino) 시스템’의 제안은 ‘건축의 5원칙’을 실현 가능하게 했으며, 이 두 가지 이론은 르 코르뷔제가 ‘건축적 산책’의 개념을 완성할 수 있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한다.

3.1. 필로티

필로티는 건물을 지면의 상층부로 띄워 지형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건물의 앞⋅뒤를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필로티 구조는 공간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면서 ‘건축적 산책’의 도입부 역할을 하며, 비워진 공간에 설정된 여러 장치들로 인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이미지와 경험을 일으킨다[12].

‘빌라 사보아’(Fig. 5.)는 접근 방향의 반대편에 주 출입구를 계획하여 건물을 반 바퀴 돌아야 실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필로티로 계획되었다. ‘빌라 라로쉬’(Fig. 6.)는 장방형의 주거공간과 곡선 매스로 디자인된 갤러리 공간이 중첩되어 있는데, 곡선의 갤러리 매스로 사람의 시선을 끌고, 하부를 필로티로 오픈하여 건물 입구까지 진입하는 사람의 동선을 유도한다[4].

Fig. 5.

Villa Savoye

Fig. 6.

Villa La Roche

3.2. 자유로운 평면

‘건축적 산책’은 축선상의 움직임이 아니라 넓게 열려있는 공간에서 거기에 놓여있는 오브제 사이를 자유롭게 산책하는 것이다[13]. 건물의 하중을 내력벽이 아닌 기둥이 감당하면서 칸막이를 사용하여 평면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Fig. 7.).

Fig. 7.

Interior Space of Villa Savoye

르 코르뷔제는 3개의 수평 슬래브와 6개의 기둥 및 계단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구조체인 ‘도미노 시스템’(Fig. 8.)을 제안하였다. 벽체를 구조로부터 분리함으로서, 건물의 내부와 칸막이는 건물의 구조 형식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이용 목적에 따라 공간을 자유롭게 계획할 수 있게 되었다(Fig. 9.).

Fig 8.

Dom-Ino System

Fig 9.

Weissenhof Housing

르 코르뷔제 건축에서 홀과 보이드는 ‘건축적 산책’을 진행시키는 중요한 요소로서, 공간의 시각적 연계를 통한 공간 상호간의 확장과 이동을 유도한다. ‘빌라 라로쉬’의 전면 홀(Fig. 10.)은 지상 3층까지 오픈되어 불안정감을 주면서 사람의 이동을 유도하였고[4], ‘빌라 사보아’(Fig. 11.)에서는 평면 중앙의 보이드에 경사로를 배치하여 각 층으로 접근하도록 하면서 층마다 한차례씩 방향을 틀어 점진적인 시점의 변화와 전환을 가져왔다.

Fig. 10.

Hall of Villa La Roche

Fig. 11.

Ramp of Villa Savoye

3.3. 수평창

‘도미노 시스템’의 적용으로 기둥이 건물의 하중을 지탱함으로서 벽면 디자인은 더욱 자유로워졌고, 창을 수평으로 길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폭이 좁아 외부의 대상을 제한적으로 보여주는 수직창과 달리 수평창은 태양광을 더욱 많이 유입하며, 넓은 시야에서 자연을 감상할 수 있게 한다. 수평창을 통해 들어오는 빛은 이용자의 호기심을 유발시키고, 창으로 보이는 외부의 풍경은 ‘건축적 산책’을 자연스럽게 진행시킨다.

‘빌라 사보아’(Fig. 12.) 입구에 들어서면, 정면 경사로 벽면에 설치된 수평창은 자연의 빛을 실내로 유입함으로서 보행자의 시각적 자극을 유발하여 보행자의 동선을 적극적으로 유도한다. 또한, 수평창은 이를 통해 외부의 테라스 공간을 점진적으로 보여주어 보행자의 시선과 호기심을 유발하고 자연과 건물을 일체화 한다. 이에 반해, 3면이 주택들로 막혀있는 ‘빌라 라로쉬’는 외부의 경관을 가져오기 어려운 조건에 있다. 따라서 르 코르뷔제는 수평창을 통해 전시관 볼륨의 외관과 내부 동선을 연결하고 실내 공간을 정의하려 하였다(Fig.13).

Fig. 12.

Villa Savoye

Fig. 13.

Villa La Roche

3.4 자유로운 파사드

‘도미노 시스템’이 수평창 디자인을 가능하게 한 것과 같이 벽면의 디자인 또한 자유롭게 하였다. 따라서 내부의 기능적인 면과 대응하는 외부의 미적인 필요를 강조하였고, 벽면의 원하는 곳에 창과 문을 디자인하여 파사드를 자유롭게 완성하였다. 1935년 르 코르뷔제가 제시한 건축의 4가지 구성[13]에 대한 스케치는 르 코르뷔제가 1920년대에 설계한 주택의 공간구성 유형과 파사드에 대한 고민을 찾아 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14](Fig. 14-a.).

Fig. 14.

Four Composions in Architecture

르 코르뷔제는 빌라 라로쉬를 예로 든 ‘제 1구성’에 대해 “필요에 따라 공간들을 수평적으로 덧붙여 가는 방법으로서, 각 공간이 유기적 이유에 따라 퍼져나가 다양한 형태를 만드는 구성하기가 쉽고 미리 정해진 질서를 따르지 않는 방법으로 회화적인 자유분방한 파사드가 만들어 진다” 하였다(Fig. 14.-b).

그에 반해, ‘제 4구성’에 대해서는 “엄격한 기하학적 틀 속에서 내부의 기능에 따른 매스의 형태를 디자인함으로서 추상적인 입방체 속에서 풍부한 내부공간을 지닌다.” 라고 하였고, 빌라 사보아를 ‘제 4 구성’의 건축물이라 하였다(Fig. 14.-c).

3.5. 옥상 정원

르 코르뷔제는 건물이 대지의 자연을 차지함에 따른 보상을 위해 ‘건축적 산책’의 마지막 목적지로서 옥상에 정원을 설치하였다. ‘빌라 라로쉬’(Fig. 15.)는 협소한 대지에 건축되었고 여기에서 옥상정원은 자연과 호흡할 수 있는 필수적인 디자인 요소로 적용 됐다.

Fig. 15.

Villa La Roche

반면에, 빌라 사보아(Fig. 16.)의 옥상정원은 램프의 투시선과 그 앞의 수평 띠로 보이는 프레임으로 인해 하늘과 테라스로 둘러싸인 이미지가 점점 확대되어 램프의 도착선에서 모든 것이 정지되고 프레임 너머로 시선이 무한히 확장되는 시각적 절정감을 느끼게 한다[15].

Fig. 16.

Villa Savoye


4. 빌라 라로쉬와 빌라 사보아의 건축적 산책

르 코르뷔제는 ‘건축적 산책’의 개념을 실제 건물에 적용하여 설계하였다. ‘빌라 라로쉬’는 ‘건축적 산책’의 개념 적용에 소극적 경향을 보이며, ‘빌라 사보아’에서 완성된 정점에 도달했다 할 수 있다. 이 두 주택 작품에 나타난 ‘건축적 산책’의 개념과 특징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4.1. 빌라 라로쉬의 건축적 산책

에펠탑에서 3km 정도 떨어진 파리의 고급 주택지에 건축(1925)된 빌라 라로쉬는 르 코르뷔제가 자신의 건축에 있어서 중요한 열쇠가 된다고 말한 작품으로 ‘건축적 산책’의 개념을 분석하기에 중요한 단서가 되는 작품이다. 르 코르뷔제가 설계한 대다수의 주택은 주거 기능으로만 설계되어 있으나 ‘빌라 라로쉬’는 주거기능 외에 갤러리 기능이 추가되어 있다.

대지의 주 진입로를 향하여 정면성를 가지는 라로쉬 저택은 전면에서 보이는 갤러리 메스를 곡선으로 디자인하여 방문객을 유도하는 초점의 역할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곡선의 갤러리 매스와 하층부에 오픈된 필로티 공간은 방문객의 시선을 건물로 향하게 하며, 작게 디자인된 건물 입구로 방문객의 동선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면서 ‘건축적 산책’을 시작한다(Fig. 17.). 이러한 동선의 유도는 아크로폴리스에서의 투시적이고 중첩적인 공간 흐름을 적용한 르 코르뷔제의 공간전개 기법이라 할 수 있다[4].

Fig. 17.

Access View of Villa La Roche

‘빌라 라로쉬’의 평면 구성은 홀을 기점으로 세 가지의 동선으로 구분할 수 있다[15]. 첫 번째는 라로쉬 저택의 특별 공간인 갤러리를 통과하여 도서관에 이르는 동선, 두번째는 브릿지를 이용하여 식당으로 가는 동선, 마지막으로 홀에서 계단을 이용해 수직으로 옥상 정원에 이르는 동선이다. 이러한 동선의 구분은 수평적인 변화 뿐 아니라 수직적인 변화를 통해 자연스런 공간의 변화를 전개한다(Fig. 18.).

Fig. 18.

Floor Plan of Villa La Roche

필로티와 연결된 작은 입구를 통해 저택 내부로 들어온 이용자들은 홀을 기점으로 하여 새로운 산책로가 시작되고, 사람들은 갈림길 중에서 하나를 택하여 선택을 하게 된다. 3층까지 오픈된 홀은 폭에 비하여 높게 되어 있어 안정감을 주지 못하고 다른 곳으로의 이동을 강요하면서 공적 공간인 갤러리와 사적 영역인 주거 공간으로 이용자의 동선은 유도된다(Fig. 19.).

Fig. 19.

Hall of Villa La Roche

이용자들은 홀에서 상층부로 올라와서 브릿지를 건너 식당으로 이동하던지 갤러리로 들어올 수 있다. 주거공간인 식당과 연결해주는 브릿지와 갤러리 상층의 도서관 공간과 연결하는 경사로는 ‘빌라 라로쉬’에서 ‘건축적 산책’을 구성하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작용한다. 브릿지와 경사로의 좁은 공간에 머물고 있는 이용자는 산책로의 여정을 통해 공간의 확장과 축소를 경험하게 되며,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창으로부터 유입되는 자연의 빛은 이용자의 시선을 유도하여 ‘건축적 산책’을 경험하게 한다(Fig. 20.).

Fig. 20.

Bridge and Ramp in Villa La Roche

르 코르뷔제는 ‘건축적 산책’의 마지막 목적지로서 옥상 정원을 설치하였다. ‘건축적 산책’은 외부 진입로로 부터 옥상테라스에서 끝날 때 까지 사람의 동선과 시선의 이동을 제공하며, 이용자가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 안정감을 주는 중요한 요소로서 필로티 공간과 함께 외부공간을 산책로에 끌어들었다(Fig. 21.).

Fig. 21.

Pilotis and Roof Terrace in Villa La Roche

4.2. 빌라 사보아의 건축적 산책

주말 주택으로 계획된 ‘빌라 사보아’는 파리 북서쪽으로 약 24km 떨어진 푸아시(Poissy) 지역에 건축된 주택(1931)으로 르 코르뷔제의 ‘건축적 산책’의 개념과 ‘도미노 시스템’ 이 구체적으로 결합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사보아 저택은 내력벽 구조에서 탈피하여 기둥이 건물의 하중을 지탱하게 함으로서 ‘자유로운 평면과 파사드’를 구성하였다.

‘자유로운 평면’의 구상은 2차원의 평면에서 3차원 보이드로 확대되어, 그의 ‘건축적 산책’의 공간구성 확립에 큰 역할을 한다(Fig. 22.).

Fig. 22.

Floor Plan and Access View of Villa Savoye

푸아시 역에서 좁은 돌담길을 지나면 탁 트인 잔디 위에 놓여있는 ‘빌라 사보아’를 만날 수 있다. 대지로 들어오는 좁은 공간에서 넓은 공간으로 확장되면서 사람들의 산책은 이미 시작되었다. 대지의 중앙을 기준으로 남동쪽으로 매스가 위치하고, 조망이 유리한 북서쪽에 정면성을 부여하였다. 빌라 사보아는 대지의 남동쪽에서 저택으로의 접근이 이루어지며, 필로티를 통해 건물을 선회하여 돌아나가는 동선을 가지고 있다.

1층 필로티 지나 주 출입구로 들어가기까지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필로티 기둥 사이를 지나면서 건물로 들어서게 된다. 이러한 흐름은 건물 주 출입구 까지 자연스럽게 유도되어, ‘건축적 산책’의 도입부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사보아 저택의 필로티는 2층에 설치된 수평창과 함께 지면으로부터 매스의 부유성을 표현하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라 할 수 있다(Fig. 23.).

Fig. 23.

Pilotis in Villa Savoye

사보아 저택의 1층은 필로티로 공중으로 띄어져 차로와 주차장으로 활용되고, 실내공간은 주차장, 창고, 가사도우미 공간으로 계획되었다. 거실, 침실 등 대부분의 주거 공간은 2층에 배치되었고, 3층은 옥상 정원을 설치하였다. 1층 주 출입구를 통해 내부로 들어오면 경사로에 의하여 좌측과 우측으로 차고와 부속공간으로 나뉘고, 2층은 1층의 흐름을 이어받아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으로 나뉘게 된다[16].

이처럼 경사로는 ‘빌라 사보아’의 가장 매력적인 건축적 요소로서 공간의 흐름과 영역을 구분하며, 사람들의 이동을 해결하는 중요한 건축적 요소라 할 수 있다. 주거 공간 내부에 경사로를 도입한 것은 르 코르뷔제의 창조적 도전의 결과로서 외부와 내부를 절묘하게 결합하고, 사람의 동선을 옥상까지 자연스럽게 유도한다[17](Fig. 24.).

Fig. 24.

Ramp in Villa Savoye

르 코르뷔제는 ‘빌라 사보아’에서 ‘건축적 산책’을 구성하기 위한 오브제로서 경사로와 계단을 설치하였고, 이들에 여러 형태의 창을 디자인하였다. 창으로부터 유입되는 자연의 빛은 공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압축 · 확대되고, 사람들은 자신의 다음 이동 동선을 빛에 의해 유도되어 ‘건축적 산책’을 경험한다. ‘건축적 산책’의 마지막 여정으로 도착한 옥상정원은 수평 프레임과 테라스로 둘러싸인 하늘이 점점 확대되어 프레임 너머로 무한히 확장되는 시각적 절정감을 느끼게 한다(Fig. 25.).

Fig. 25.

Objet and Light for Architectural Promenade

4.3. 빌라 라로쉬와 빌라 사보아의 건축적 산책 비교

위에서 분석한 두개의 작품 ‘빌라 라로쉬’와 ‘빌라 사보아’는 1920년대 르 코르뷔제가 ‘건축적 산책’의 개념을 적용해 설계한 대표적인 주택 작품으로서 각 각의 특징적 차이를 가지고 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able 1.).

Design Elements for Architectural Promenade in Two Cases

첫째, 공간을 이어주는 동선의 구성방식이다. 산책로를 제공하는 건축적 오브제로서 경사로, 브릿지, 계단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빌라 라로쉬’의 경사로와 브리지는 공간을 이동시키거나 다음 공간의 도입부까지의 안내를 주로 했다면, ‘빌라 사보아’는 경사로와 계단을 이용하여 2차원적인 공간에서 3차원적인 공간으로 확장하고, 공간 상호간을 보다 적극적으로 연결하였다.

둘째, 빛을 이용한 공간 유도 방식이다. 르 코르뷔제는 자연요소로 빛에 의한 공간의 연속성과 방향 제시를 중요한 건축적 요소로서 사용했다. ‘빌라 라로쉬’ 에서의 빛은 공간을 꾸며주고 이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머무는 공간의 인지와 안정감을 주는 요소로서 작용하였다면, ‘빌라 사보아’의 빛은 이용자의 동선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현재의 공간에서 다음으로 가야할 산책로가 어디인지 인지할 수 있는 강한 이정표 역할을 한다.

셋째, 이와 같이 ‘빌라 라로쉬’에서 나타나는 ‘건축적 산책’의 개념이 소극적이고 공간의 안정감을 주는 역할이였다면, ‘빌라 사보아’ 에서의 ‘건축적 산책’의 개념은 보다 확고하고 완성감 있게 적용되어 공간을 입체적으로 연결한다.


5. 결론

르 코르뷔제는 사람이 공간을 이동하면서 작용하는 시지각적 영향을 ‘건축적 산책’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였고 실제 작품에 적용하여 설계하였다. 이러한 ‘건축적 산책’의 개념은 르 코르뷔제가 주장한 ‘건축의 5원칙’이론과 함께 작품에 적용되어 그 만의 독창적 작품을 완성하였다. ‘건축적 산책’의 개념과 이를 적용한 작품 분석을 통해 진행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1) ‘건축적 산책’이란 사람이 건축공간을 이동하면서 느끼는 시⋅지각적 감각에 의해 목적된 공간으로 도달하는 과정 속에서 시간에 따른 사람의 움직임과 동선의 예측을 통해 공간을 연결하는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 (2) 르 코르뷔제의 ‘건축적 산책’의 개념은 그가 주장한 ‘건축의 5원칙’ 이론과 함께 설계 작품에 적용되었다. 필로티에 의한 지상공간의 개방, 자유로운 평면, 자유로운 파사드, 수평창에 의한 공간의 연결과 확장을 경험하게 하고, 산책의 종착점으로서 옥상정원을 제공함으로서 자연과 일체감을 느끼게 한다.
  • (3) 본 연구에서 분석한 ‘빌라 라로쉬’와 ‘빌라 사보아’에 구현된 ‘건축적 산책’의 개념은 공간 상호간을 이어주는 동선의 구성방식과 빛의 이용방식에 있어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빌라 라로쉬’는 경사로와 브리지를 이용하여 다음 공간의 도입부까지 안내를 했다면, ‘빌라 사보아’는 경사로와 계단을 이용하여 공간을 확장하고 입체적으로 연결하였다.
  • (4) 또한, 이용자의 동선 유도를 위한 빛의 이용에 있어 ‘빌라 라로쉬’의 빛은 공간을 꾸며주고 공간의 인지와 안정감을 주는 요소로서 작용하였다면, ‘빌라 사보아’의 빛은 이용자의 동선을 유도하고 산책의 방향을 적극적으로 유도하였다.
  • (5) 따라서, 위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빌라 라로쉬’에서 나타나는 ‘건축적 산책’의 개념이 공간에 안정감을 주는 소극적 개념이었다면, ‘빌라 사보아’ 에서는 공간 상호간을 입체적으로 연결함으로서 ‘건축적 산책’의 개념을 완성하는 보다 적극적으로 적용되었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2020년도 협성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과제번호 2020-0011).

References

  • 김창성, 네오코르뷔지안 건축의 공간 특성과 빛의 역할, KIEAE Journal, 2015.06.
    Kim, Chang Su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he Role of Light in the Works of Neo-Corbusian Architects, KIEAE Journal, 2015.06. [ https://doi.org/10.12813/kieae.2015.15.3.075 ]
  • 김광현, 르 꼬르뷔지에의 건축적 산책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93.01.
    Kim, Kwang Hyun, A Study on Le Corbusier’s Promenade Architecturale, The Journal of AIK, 1993.01.
  • 백승만, 르 꼬르뷔제와 미스 반 데로의 건축적 추상과 자연의 이중적인 경향에 대한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8.10.
    Back, Seung Man, Analysis of Architectureal Abstraraction and Nature in the Works of Le Corrbusier and Mies van der Rore, The Journal of AIK, 2008. 10.
  • 백종현, 조창한, 빌라 라로쉬-잔네르에서 나타나는‘건축적산책’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98.10.
    Back, Jong Hyun, Zoh, Chang Han,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romenade in the Villa La Roche-Jeanneret, Journal of AIK, 1998.10.
  • 문형승, 이영수, 건축체계와 운동개념에 의한 건축적 산책로의 디자인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1996.10.
    Moon Hyung Seung, Lee, Young Soo, A Study on the Design Effect of Architectural Promenade by the Architectural System and Concept of Movement, Proceedings of AIK, 1996.10.
  • 최정수, 르 코르뷔제의 동방여행, 안그라픽스, 2010, 06
    Choi, Jung Soo, le corbusier le voyage d’orient, An Graphics, 2010. 06
  • Thomas A. Reiner, The place of the Ideal community in Urban Planing,1963, p.4. [https://doi.org/10.9783/9781512806106]
  • 이관석, 르코르뷔제의 정의, 동녘, 2011.05, p.114.
    Lee, Kwan Seok, Meaning of Le Corbusier, Dong Nyuk, 2011.05, p.114.
  • Le Corbusier, Le Corbusier and Pierre Jeanneret, ouvre complete volume 2, 1929-1934,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37, p.24.
  • 조희철(역), 근대건축의 근원, 태창출판사, 1991.02.
    Christian Norberg-Schulz, translated by Jo Hee Chul, Root in Modern Architecture, Tae Chang Press, 1991.02.
  • 김창성, 르 꼬르뷔제 건축에 나타난 빛의 건축적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2012.08
    Kim, Chang Sung,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Expression of the Light Appeared in the Works of Le Corbusier, KIEAE Journal, 2012.08.
  • 견진현, 렘 쿨하스의 건축에 나타나는 르 꼬르뷔제의 건축적 산책로의 응용적 특성에 관한 고찰,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3, pp.43-66.
    Kyonne, Jin Hyun, Etude sur les caractéristiques d’application de la Promenade architecturale de Le Corbusier dans l’architecture de Rem Koolhaas, ACFCO, 2013, pp.43-66. [ https://doi.org/10.18022/acfco.2013..27.002 ]
  • 김현철, 동경국립서양미술관 공간구성 분석을 통해 본 르꼬르뷔지에의 생애건축 전략에 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2015.08.
    Kim, Hyun Cheol, Study on Le Corbusier’s lifetime architectural design stratege through the spatial organization analysis of National Museum of Western Art in Tokyo, Journal of KICA, 2015.08.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52518&cid=42658&categoryId=42658, .
  • 전인목, 건축적 산책에서 바라본 라 로슈 저택의 공간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7.07.
    Jun, In Mok, Spatial Analysis of Villala Roche in view of the Architectural Promenade, Journal of AIK, 2007. 07.
  • 권혁대, 한조동, 이강훈, 르 꼬르뷔제의 빌라 사보아와 빌라 쇼단의 동선 체계,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2000.10
    Kwon, Hyeog Dae, Han, Jo Dong, Rhee, Kang Hoon,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in Circulation Systems of Two Houses by Le Corbusier; Villa Savoye and Villa Shodhan, Proceedings of KIA, 2000.10.
  • https://blog.naver.com/davidchhwang/221874124668, .

Fig. 1.

Fig. 1.
View of Acropolis in Athens

Fig. 2.

Fig. 2.
Sketches of Acropolis drawn by Le Corbusier

Fig. 3.

Fig. 3.
Simultaneity of Event

Fig. 4.

Fig. 4.
Exhibition Room of The National Museum of Western Art

Fig. 5.

Fig. 5.
Villa Savoye

Fig. 6.

Fig. 6.
Villa La Roche

Fig. 7.

Fig. 7.
Interior Space of Villa Savoye

Fig 8.

Fig 8.
Dom-Ino System

Fig 9.

Fig 9.
Weissenhof Housing

Fig. 10.

Fig. 10.
Hall of Villa La Roche

Fig. 11.

Fig. 11.
Ramp of Villa Savoye

Fig. 12.

Fig. 12.
Villa Savoye

Fig. 13.

Fig. 13.
Villa La Roche

Fig. 14.

Fig. 14.
Four Composions in Architecture

Fig. 15.

Fig. 15.
Villa La Roche

Fig. 16.

Fig. 16.
Villa Savoye

Fig. 17.

Fig. 17.
Access View of Villa La Roche

Fig. 18.

Fig. 18.
Floor Plan of Villa La Roche

Fig. 19.

Fig. 19.
Hall of Villa La Roche

Fig. 20.

Fig. 20.
Bridge and Ramp in Villa La Roche

Fig. 21.

Fig. 21.
Pilotis and Roof Terrace in Villa La Roche

Fig. 22.

Fig. 22.
Floor Plan and Access View of Villa Savoye

Fig. 23.

Fig. 23.
Pilotis in Villa Savoye

Fig. 24.

Fig. 24.
Ramp in Villa Savoye

Fig. 25.

Fig. 25.
Objet and Light for Architectural Promenade

Table 1.

Design Elements for Architectural Promenade in Two Cases

The Composition Method
to Connect Human Movements to Intended Spaces
Light for Architectural Promenade
Villa La Roche Bridge ⋅The bridge connects with the dining room, which is a residential space, and the ramp connects with the library at the top of the gallery, which is public space.

⋅The bridge and ramp play a very important role as an architectural object that provides architectural promenade.

⋅The bridge and the lamp interconnect spaces and guide human to the beginning area of the next space.
Windows ⋅The natural light in the house decorates the spaces and serves as a factor that give users spatial recognition and stability they stay in.

⋅The light used in the Villa La Roche is a passive light that gives a sense of stability in space rather than an active role to embody the concept of architectural promenade.
Lamp
Villa Savoye Stair ⋅The ramp and stair extend spaces and interconnect them in three dimensions by connecting space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he ramp play a fabulous role as an architectural object that provides architectural promenade to visitors from the first floor to the roof terrace.

⋅Using ramp and stair, the space was expanded from two-dimensional space to three- dimensional space, and more actively interconnected
Windows ⋅The natural light was used more actively as an important architectural element for the continuity and direction of space.

⋅The light in the Villa saboye is used as an active light that embodies a more solid and complete concept of architectural promenade and connects spaces in a more three- dimensional manner.
La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