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 공간 활성화를 위한 가로 테마 설정에 의한 디자인 제안 : 신탄진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중심으로
ⓒ 2020 KIEAE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talize urban regeneration of Sintanjin-dong for the population inflow of diverse classes prepared for the reduction, finally to make suggestions for revitalizing Sintanjin Station Street, the central space of Sintanjin-dong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The theme and detailed elements of the Urban street are derived from the analysis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spac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focused urban street space based on the development plan applied to the site with the basic ideas analyz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is 141-28 (181,754㎡) of Sintanjin-dong, Daedeok-gu, Daejeon, And in the second half of 2019 during the project implementation period from 2018 to 2022 in the review of time-based scope.
The spatial idea was systematically classified into eat-road, art-road, and market road, so businesses fitted to each spatial factors were allocated And various factors were suggested as themes for these streets. The space types for vehicle and people are needed to analyzed based on various characteristics and widths of the street.
Keywords:
Street, Design Applicability, Sintanjin, New Deal Project for Urban Regeneration키워드:
가로, 디자인 적용, 신탄진, 도시재생뉴딜사업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문재인 정부의 주요 국정 과제 중 하나로, 전국의 낙후 지역 500곳에 매년 재정 2조 원ㆍ주택도시기금 5조 원ㆍ공기업 사업비 3조 원 등 5년간 총 50조 원을 투입하는 도시 재생사업이다. 이 도시 재생사업은 면적 규모에 따라 우리 동네 살리기, 주거정비지원형, 일반근린형, 중심시가 지형, 경제기반형 등 다섯 가지 유형으로 추진된다[1]. 이와 같은 도시 재생사업의 하나로 도시 재생 뉴딜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현재 문제인 저출산ㆍ고령화ㆍ저성장과 기존 중심시가지 쇠퇴, 건축물의 물리적 노후화 등 도시 활력의 감소와 전국 80% 읍ㆍ면ㆍ동의 인구감소, 지방 중소도시 소멸위기, 일자리 감소의 도시소멸 위기가 대두되었다[2]. 이러한 도시적 문제의 해결을 위해 정부에서는 도시 재생 뉴딜 사업을 통해 주거복지 삶의 질 향상, 도시 활력 회복, 일자리 창출, 공동체 회복 및 사회통합을 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신탄진 도시 재생사업은 2017년 도시 재생 뉴딜 사업 중심 시가지형 공모선정이 된 사업이다. 과거부터 신탄진 생활권의 중심상권을 수행하였으나 노후, 유흥상권 이미지 고착화 및 가로환경 불량, 주차 부족으로 방문하기 불편한 상권으로 전략하였고 개발 가용지 부족으로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광역 교통망 개선, 신규 주거지 조성으로 젊은 가족 등 인구유입이 전망되었다. 또한 콘텐츠, 이벤트, 쉼터 등 체류요소 부족과 상권 타겟이 중장년, 노년층으로 한정 돼 새로운 거리 활성화가 필요하다. 인근 금강 여가 관광 인프라 우수하나 상권과 금강 연계성이 부족하여 이를 반영한 거리의 테마화가 시급하다.
또한 도시재생관련 성과의 부재는 중앙정부와 지 자체 성과관리시스템의 연계가 부족하다는 점 성과관리가 단기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점 치적쌓기나 성과중심주의에 몰두해 실적중, 심의 정량적 지표설정이 진행되고 있는 점 지역 및 사업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지표설정이 진행되고 있는 점 세심한 가이드라인이 없는 상황에서 자체적으로 성과측정이 이루어지는 상황 등이 성과관리에 대한 어려움을 유발한 것으로 개선안 마련이 요구되는 상황이다[3].
기존, 신규 공동체 활동 활발하게 이루어지나 자생적으로 지속 가능한 공동체 부족과 이를 연결해주는 프로그램 및 공간이 필요성이 대두되어 이러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사업을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재생 뉴딜 사업의 가로 거리 활성화를 위한 거리 테마 설정과 그 안에 다양한 요소를 분석하고 가로 디자인 전, 후를 비교하여 도시 재생 뉴딜 사업 중심시가지형의 도시 가로 공간에 대한 적절한 계획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연구의 방법은 첫째, 문헌조사로 가로 공가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 및 인구 조사하고 대상지인 신탄진의 현장조사를 통한 공간분석을 한다. 둘째, 조사 및 분석을 통한 현황분석 이후 개발여건분석, 기본구상을 통해 전체적인 가로 공간을 제시한다. 셋째, 분석한 기본구상을 대상지의 적용한 개발 계획을 토대로 가로 공간의 테마화와 세부 요소를 도출하여 현재 가로와 분석한 내용을 적용한 가로 디자인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범위 중 공간적 범위는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동 141-28번지 일원 (181,754㎡)으로 시간적 범위로는 현재 2018~2022년으로 사업 시행기간 중 2019년 중반기에 현황 및 연구를 진행하여 추후 사업에 시행시 참고 자료의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의 가치는 도시 재생 뉴딜 사업과 관련한 많은 중심시가지형의 가로 공간에 대한 신탄진 사업을 예시로 하여 가로 테마화와 더불어 그 안에 다양한 요소를 제시하여 외부공간에 대한 적절한 계획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으며 앞으로 사업에 있어 기초적인 자료로 쓰이는 것이다.
2. 문헌조사
2.1. 선행연구 분석
본 연구에 앞서 중심시가지는 상업지역으로 상업지역 가로에 대한 선행 연구를 비교하여 보행, 가로 경관 및 그 외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선행 연구의 대상과 방법을 비교 해보면 최강림(2008)은 문헌조사, 현장조사(실측조사, 현장조사, 사진 촬영 및 분석 등)를 통해 물리적 환경 정비, 제도 및 행정, 주민 참여 및 이용자 의식관점에서 제시하였다. 이재원(2006)은 가로공간의 인자분류, 시설물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통해 활성화 요인 제시하고 한일간 비교를 하였다.
이상규 외(2001)는 다중 회귀분석, 만족도 분석을 통해 만족도 요인 8개를 도출하고 중요도 및 만족도를 검토하였다. 정순원 외(2009)는 문헌조사(CABE 보고서, 매뉴얼 등), 현장조사를 통해 5가지의 계획범주 구분 후 사례지별 디자인 코드 환산 하여 방사형 그래프로 비교 분석 하였다.
Mehta(2007)의 경우는 기존 문헌의 검토, 관찰조사, 활성화 지수 산출로 환경요인의 계량적인 제시 및 측량을 분석하였다. bitgood (2006)은 사례조사 및 관찰조사, 상업시설의 보행 형태의 원리 도출하여 보행자들의 보행원리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와 같이 연구의 방법은 문헌고찰, 통계사용, 현장조사 및 분석, 이용자 설문을 통해 진행하나 연구의 결과는 가로 공간의 전 후의 디자인을 제시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디자인이 도출되어 기존의 연구와는 차별을 가진다.
2.2. 인구 구조
본 연구의 대상지인 신탄진의 가로 공간에 대한 공간 구성을 위해 현재의 신탄진의 인구에 대한 조사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필요한 공간에 대한 고려가 가능하다.
신탄진동은 유년 인구의 비율이 낮고 65세 이상의 노년 인구의 비율이 높은 전형적인 농촌 지역의 인구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신탄진은 타지역에 비해 0~14세의 유년 인구와 15~64세의 생산가능인구의 비율이 높고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의 비율이 18.5%로 전국과 대덕구와 비교하여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대덕구의 인구이동을 살펴보면 총 전입 19,153명에서 총전출 24,156에서 5,003이 감소하였다.
신탄진동은 유년 인구의 비율이 낮고 65세 이상의 노년 인구의 비율이 높은 전형적인 농촌 지역의 인구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신탄진동은 연령별 인구는 유년 인구인 0∼14세가 9.1%를 차지하고 있으며, 생산가능인구인 15∼64세는 72.4%, 65세 이상 노령인구는 18.5%를 차지하고 있다. 신탄진동은 총 전입보다 총 전출이 많아 인구이동이 많이 일어나고 있으며 다른 구와 비교해도 가장 많은 인구이동이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조사로 대덕구내의 인구 유입을 할 수 있는 요소가 있어야 하며 대덕구의 중심지인 신탄진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2.3. 신탄진 중심기능 및 거점분석
신탄지 소재지의 거점시설 기능을 대분류 항목으로 복지, 교육, 문화, 의료, 상업시설로 구분하고 계량평가를 위해 거점시설 위주로 분석하였다.1) 또한 거점 시설별 기능분석을 각 기능 항목의 분야별 거점시설을 설정하여 계량평가를 위한 기준을 수립하였다.
각 거점시설 별로 평가 기준에 따라 높음-중간-낮음-없음으로 평가하고 10점 배점 요인은 각각 높음 10점, 중간 7점, 낮음 4점, 없음 1점을 부여하여 평가한다.
거점 시설별 평가분석 결과 50점~40점은 매우 우수, 40점~30점은 우수, 30점~20점은 보통, 20점-10점은 미흡, 10점 이하는 열악으로 구분하여 평가한다.
분석결과, 신탄진 중심지의 거점시설은 61점으로 매우 우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교육, 의료, 문화 등의 거점시설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거점시설 평가 기준에 따른 거점시설 기능분석에서 신탄진동은 61점으로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거점 시설 평가는 신탄진동의 전체적인 범위에서 분석한 결과이며 신탄진동의 연구 대상지는 기본적인 공공서비스 제공기능을 상실하여 복지, 상업 시장 역할에 한계 노출과 함께 민간영역(교역)의 퇴조는 지역 활성화에 심각한 장애가 되고 있다. 또한 인구의 지속적인 감소와 광역교통의 발달로 인해 상권위축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청장년층, 부녀자층, 노인층 등 다양한 계층의 문화ㆍ복지 욕구를 수용할 수 있는 문화복지 공간, 다목적광장 및 공원 등의 시설 부족으로 지역주민 정주여건이 열악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2.4. 개발수요조사 및 분석
개발 수요조사 개요는 주민의 설문조사로 4차 현장조사의 인터뷰와 3차 주민공청회를 통해 주민들이 건의해준 내용과 현장조사를 통해 생긴 문제점에 대한 부분을 파악하고 이후 디자인 안에 반영하기 위해 조사하였다. 조사내용은 연령, 종사업종, 지역 생활 만족도, 지역발전을 위해 우선시 되어야 할 사업, 거점시설 이용현황 등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현황은 조사대상자의 연령과 연령별 분포는 60세 이상이 50%로 가장 많았고 50-59세 25%, 30-39세 15%, 40-49세 10% 순으로 나타났고 조사대상자의 성별은 남성 75%(15명), 여성 25%(5명)의 비율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지역 생활 만족도, 지역발전을 위해 우선시 되어야 할 사업, 거점시설 이용현황을 분석 한 결과 지역 생활 만족도는 78%로 높게 나왔고 지역 발전 사업으로는 도시 재생 뉴딜 사업 중 거리 활성화가 가장 높은 43%, 다음으로 주차공간 확보 34%, 노후 유흥상권 이미지 개선 12%, 금강 연계 8%, 청년창업 3%로 나타났다. 거점시설 이용현황에서는 상점 이용과 거리 및 주차공간의 이용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상업 시설 밀집지역으로서의 거리 활성화가 시급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
3. 대상지 공간구상 및 계획
3.1 신탄진 개발체계
신탄진은 일반국도 17호선(신탄진로)과 지방도 32호선(대청로) 외 다른 2도로가 만나는 결절 지점으로 대덕시 북부에 위치하고 있다. 접근성이 매우 좋은 지역이므로 신탄진의 주 진입로인 17호선을 중심으로 진ㆍ출입을 고려하여 접근성, 인접성, 교통량 등이 매우 장점으로 나타나는 지역이다.
3.2. 연구 대상지 개발체계
신탄진은 중심지의 기존 주요 시설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전략사업의 위치를 구상하고 접근성, 가용지 등 지리적 공간구조를 지역자원 분석, 주민 의견 수렴을 통하여 전략사업 및 연계사업간 연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고려한 계획을 한다.
지역 간의 활발한 교류증진이 가능토록 하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지역주민의 정주여건 개선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공간 계획을 수립한다.
신탄진 중심지에 대한 공간적 요소를 Eat Road(먹거리), Art Road(볼거리), Market Road(살거리)로 체계적으로 분류, 공간적인 요소에 맞는 사업을 배분하여 계획하도록 하였다.
3.3. 신탄진 도시 재생 뉴딜 사업(중심시가지)의 일반적인 개요
본 연구와 관련한 신탄진 도시 재생 뉴딜 사업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대전광역시 도시 재생 뉴딜 사업 중 중심시가지 사업으로 2017년 선정된 “지역 활성화의 새 여울을 여는 신탄진 상권 활력 UP 프로젝트”는 181,754㎡의 면적에 도시 재생 어울림 플랫폼 조성을 중심으로 8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4. 신탄진 도시 재생 뉴딜 사업 대상지 디자인 제안
4.1. 디자인 제안을 위한 분석
① 사업의 위치
본 연구의 사업지는 신탄진 역 맞은 편의 위치한 중심상업지이며 대전광역시 상권의 활성화의 힘찬 재도약을 위한 대덕구 신탄진지역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 수립을 위한 신탄진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노후한 상권의 물리적 개선과 함께 변화하는 주변 여건ㆍ타겟층에 맞춘 새로운 콘텐츠 도입을 하여 중심상권으로 활성화가 필요하고 판단된 지역이다.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동 141-28번지 일원으로 주거밀집지역과 같이 있지만 상업중심지역만 선정하고 있다.
② 대상의 문제점
신탄진은 신탄진역의 수혜지역으로 발전했으나 이후 광역철도와 세종시 발전 등으로 지역발전에 소외된 지역적 특성으로 가로환경이 전반적으로 열악한 수준이고 새 시장 상가 등 다양한 랜드마크적 건축물이 있으나 노후도가 높은 건축물, 미정비된 보행로, 가로등 부재로 야간 보행 및 차량 통행에 따른 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현장 조사에서 나타났다.
중심지 내 상업지역은 낙후된 골목길과 노후도가 높은 숙박시설, 상업건축물, 담장 등이 경관적 위해요소로 작용하고 있어 낙후된 도시의 풍경을 연출하고 있다. 23번 도로는 보행로가 좁고 사람들이 많이 이용되고 있는 곳으나, 보행자와 차량이 동일 노면을 공유하여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보차 분리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4.2. 디자인 제안(먹거리-Eat Road)
신탄진 7번 도로와 23번 도로는 다른 도로와 달리 음식점의 비율이 높아 유동인구가 많이 점심 및 저녁 시간에 찾는 거리이며 7번 도로는 보차분리가 확실하지 않고 갓길 주차된 차량이 많아 보행환경에 부정적인 가로이다. 23번 도로는 보차분리가 되어있으나 보행로의 폭이 좁고 차도의 폭도 다양하여 많은 계획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중심지의 밀집된 상업지역 인구보다 야외 여가활동 공간이 부족한 실정으로 유동인구가 높은 가로변에 주민들의 공동체 형성을 위한 쉼터를 마련 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입시설
먹거리(EAT ROAD)조성은 도로의 보행 중심의 공간 구성과 다양한 도로폭에 맞는 보차 분리 및 보행 안정성을 확보한다.
쉼터는 각 가로의 연결되는 공터와 넓은 보행로에 다양한 공간을 형성한다.
기본방향
사람과 차량이 공존하는 보행자 중심의 경관개선으로 보행환경 만족도 상승, 교통사고 감소 등으로 지역주민 정주만족도 및 방문객 이용 편의를 도모하며 모든 사람이 보행자라는 권리를 바탕으로 사회적 활동(거점시설 및 장터 이용 등) 활성화를 계획한다.
7번 도로
신탄진 중심 상업지의 접근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보행로 가치를 고려하여 교통약자를 포함한 모든 보행자의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노후화된 가로정비 시행을 실행한다.
810번 도로
다양한 폭과 상업지역, 숙박시설이 밀집된 전면가로(L=504m)에 대해 보차분리를 위한 인도 측에 스트리트 퍼니쳐 설치 및 보행로의 확장, 건물과 건물 사이 공중 공간에 다양한 설치물을 제안하였다.
쉼터
23도로 중간에 있는 공터는 지역주민 또는 방문객들의 편의를 위한 휴게공간으로 조성하며, 불량경관 요소인 쓰레기가 적재된 대상지에 새로운 먹거리 이용한 공간 내 조성하여 경관적 향상을 도모하고 벽면 녹화, 건물과 건물 사이 공중 공간에 다양한 설치물, 푸드트럭과 플리마켓 및 휴게공간으로 만든다.
4.3. 디자인 제안(볼거리-Art Road)
810번 도로는 건물의 밀집도가 낮고 공지가 많이 있으며, 주변에 술집이 많아 저녁 시간에 유동인구가 증가하는 지역이다. 23번 도로는 보차분리가 되어 있으나 보행로의 폭이 좁고 차도의 폭도 다양하여 많은 계획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두 도로 모두 보차분리가 확실하지 않고 갓길 주차된 차량들이 많아 보행환경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도입시설
볼거리(ART ROAD) 조성은 신탄진역에서 바라볼 때 맞다은 도로 인지도 높은 도로와 다양한 도로폭에 맞는 보차 분리 및 보행 안정성을 확보한다.
쉼터는 각 가로의 연결되는 공터를 임대하여 다양한 전시공간 및 휴게 공간으로 계획한다.
기본방향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공간으로 가로에 있어 많은 볼거리를 확보하여 지역민과 시민에게 다른 거리와의 차별성을 줄 수 있는 거리로서의 사회적 활동(커뮤니티 확보) 활성화를 계획한다.
810번 도로
810번 도로의 초반부의 시카고 호텔 부분에 넓은 보행로가 있다. 이 공간은 볼거리의 시작으로 다양한 전시공간을 제시하여 사람의 이동이 많은 곳으로 호텔 면에 전시패널 설치와 보행로에 전시를 위한 전시 매쉬월 설치하여 보행자에게 볼거리와 보행 안전성 확보로 지역주민 정주만족도 향상을 계획한다.
23번 도로
신탄진 중심 상업지의 내부 도로 중 가장 메인이 되고 도로폭도 큰 도로로 접근로로서 매우 큰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보행로로 가치를 고려히여 모든 보행자의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노후화된 가로 정비 시행한다. 도시 재생 뉴딜 사업과 연계하여 가로의 노후도를 낮추고, 신탄진만의 특색 있는 중심가로 형성하여, 중심지 활성화 사업의 메인 보행로로 조성한다.
쉼터
23도로 중간에 있는 공터는 지역주민 또는 방문객들의 편의를 위한 휴게공간으로 조성하며, 사유지로 되어있는 공간을 임대하여 볼거리의 휴식공간으로 다양한 전시를 위한 파빌리온, 그늘막 설치, 바닥에 아트 페이빙 등으로 시민들에게 볼거리와 휴식공간으로 개방한다.
4.4. 디자인 제안(살거리-Market Road)
살거리에 위치한 796번 도로는 교회의 주차장과 새시장 상가 건물이 인접 위치한다.
796번 도로는 근처의 교회가 있어 주말 예배시간에 유동인구가 증가하나 평일은 갓길에 차를 주차하여 보행에 있어 좋지 않은 공간이다.
새시장 상가의 경우 오래전부터 사용하지 않은 건축물로 새로운 리노베이션을 통해 신탄진의 활성화에 중심적인 공간이나 겉만 리노베이션 되어 방치되고 있다.
도입시설
살 거리(Market Road) 조성은 폭이 좁은 골목으로 유동인구가 적어 유동인구유입 확보가 필요하며 새시장 상가는 신탄진의 랜드마크 지역으로 활성화 필요하다.
기본방향
새시장 상가를 중심으로 좁은 길과 연계하여 빈 공간을 이용하여 플리마켓이나 다양한 포켓 상점을 두어 사람들로 하여금 경제적 활동 및 보행위주의 걷고 싶은 거리 조성을 통해 사회적 활동(장터나 시장) 활성화를 계획한다.
796번 도로
신탄진 중심 상업지의 내부 도로 중 가장 작은 도로 폭을 가지고 있으나 대상지내 모든 도로와 연결되는 보행로 가치를 고려하여 모든 보행자의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노후화된 가로정비 시행을 실행한다. 도시 재생 뉴딜 사업과 연계하여 가로의 노후도를 낮추고, 신탄진만의 특색 있는 중심가로 형성한다.
새시장 상가
신탄진 지역의 가장 중요한 건축물로 현재 사용되지 않고 있어 새시장 상가의 활성화가 중요한 부분으로 분석되어 새시장 상가 뒷부분에 공터 지역을 플리마켓 또는 포켓 상점들을 설치하여 많은 유동인구가 올 수 있는 명소화 한다.
6. 결론
우리나라의 도시 1970년 이후 도시를 재편하면서 인간 보행위주 도시에서 자동차 위주의 도시로 변화 하였다. 또한 강남의 개발로 인해 토지 구획정리 사업을 통해 50m 이상의 광로가 생겨났다[4]. 도시의 새로운 개편으로 인해 이전의 도시의 규모에서 대형 슈퍼블록이 생겨나 계속적으로 자동차의 중심 공간으로 변화 하였다. 그러나 요즘의 추세는 이러한 문제점에 반성으로 주요 지자체는 ‘사람 중심 도시’, ‘보행 친화 도시’를 만드는 것을 주요 사업으로 추진하고 도시 재생 뉴딜 사업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 재생 뉴딜 사업의 대상지를 정하여 실제 가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공간과 요소를 제안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볼 수 있다.
첫째, 가로 공간 활성화를 위한 공간구상은 먹거리(Eat Road), 볼거리(Art Road), 살거리(Market Road)로 체계적으로 분류, 공간적인 요소에 맞게 계획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거리의 테마로 다양한 요소를 제안하였다.
둘째, 테마를 적용하여 기성의 같은 길에 대한 다양한 건축 요소를 기본으로 공중, 벽, 바닥의 디자인을 제안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성 시가지 정비 시 가로 특성과 성격을 규명하여 가로 특성을 고려한 테마 거리 계획을 하고 가로를 중심으로 다양한 성격과 폭에 따른 보차분리의 공간에 대한 유형을 분석해야 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동아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Notes
References
-
[네이버 지식백과] 도시재생 뉴딜사업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Naver Knowledge Encyclopedia]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 (Pre-Casualization, Pmg Knowledge Engine Laboratory), 2020. -
강문수, 이순태, 정명운, “인구저성장사회에 대비한 도시기능의 적정화 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8.
Kang, Mun-Soo, Yi, Sun-Tae, Jung, Myeong-Un, “Urban Features Management Policy in the Age of Low Population Growth”, Korea Legislation Rearch Institute, 2008. -
진은애, 이우종, “도시재생사업 유형별 성과지표 중요도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Vol.18, No.6 2018.
Jin, Eun-Ae, Lee, Woo-Jong, “Criticality Analysis of Performance Indicators by Urban Regeneration Project Type”, KIEAE Journal, Vol. 18, No. 6, 2018. [ https://doi.org/10.12813/kieae.2018.18.6.029 ] -
임유경, 성은영, 임강륜,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연구”, AURI-기본-2015.
Lim, Yookyoung, Seong, Eunyoung, Lim, Kang Ryoon, “Making streets for people : urban design issues”, AURI-Standard-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