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AE Journal
[ Research Articles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 Vol. 19, No. 4, pp.25-34
ISSN: 2288-968X (Print) 2288-969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Aug 2019
Received 07 Aug 2019 Revised 26 Aug 2019 Accepted 28 Aug 2019
DOI: https://doi.org/10.12813/kieae.2019.19.4.025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 유형과 공간구성 특성

김영훈* ; 조은길**
The Complexity Types and Spatial Composi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Young-Hoon Kim* ; Eun-Kil Cho**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Daejin Univ., South Korea kymyh@daejin.ac.kr
**Corresponding author,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Daejin Univ., South Korea groad@daejin.ac.kr


ⓒ 2019 KIEAE Journal

Abstract

Purpose:

In addition to the recent complexities between social welfare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mposition of various types of complex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social welfare complex plan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complex tendency of facilities with various uses along with the complexity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Method:

First, the concep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was examined and trend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policies, and related laws and systems on complexation. Second, field surveys for 10 case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were conducted in June - July 2019, and the characteristics such as size and spatial components were derived for each case.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complex composition method 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hared spaces according to the layout type of the building and identified the complex type and spati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Result:

This study investigates cases by type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trend of complexa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it is meaningful to use them as basic data in recent complex planning.

Keywords:

Social Welfare Facility, Mixed-use, Analysis of Example, Composition of Space

키워드:

사회복지시설, 복합화, 사례분석, 공간구성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복지시설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다양한 복지욕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양적인 공급 증가와 더불어 노인·장애인·아동 등 이용대상자별로 세분화되었다. 이로 인해 복지서비스의 전문성은 확보하였으나 수요자의 복지욕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채 공급의 불균형 문제와 사업지침에 따라 제한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한계가 드러났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정부에서는 2010~2011년에 지역맞춤형 기능조정 방안으로 특성화 및 다기능화 시범사업을 추진하여 복합화를 시도한 바 있으며[1], 최근에는 복지기능 간의 복합화와 더불어 다른 용도의 시설인 공공청사·문화시설 등과의 복합화가 시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는 구축비를 절감하는 경제적 효과와 더불어 이용대상자 간의 교류를 증대시키는 기회를 제공하여 지역사회에서 자생적 역할을 도모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2]. 따라서 최근 사회복지시설 간의 복합화와 더불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복합화 유형에 대한 공간구성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 계획 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 방안과 특정 이용대상자 간의 복합화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졌으나, 다양한 복합화 경향을 체계적으로 종합한 유형분류 및 공간특성을 분석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 경향에 따른 사례를 조사하여 복합화 유형과 공간구성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 계획 시 참고자료로 활용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 목적이다.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에 대한 경향을 파악하고 사례조사를 통하여 복합화 유형별 특성과 공간구성을 분석하는 연구로써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고 복합화에 대한 선행연구와 정책 및 관련 법·제도를 분석하여 경향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 유형별 사례에 대한 현장조사를 2019년 6월~7월에 실시하고, 각 사례에 대한 공간구성요소와 방식 등의 유형별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건물의 배치유형에 따른 복합구성 방식과 공유공간의 종류와 특성을 분석하여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 유형과 공간구성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 계획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Fig. 1.).

Fig. 1.

Research flow diagram

조사대상의 범위는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 개념이 대두되어 복합노인복지시설 시범사업이 실시된 2005년 이후에 준공된 10개의 복합 사회복지시설이다. 기존의 사회복지시설에 프로그램 상으로만 다기능화를 시도하는 사례는 제외하고 복합화를 위하여 신축하거나 리모델링한 사례로 한정하였다.

1.3. 선행연구 고찰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복합화 추진을 위한 정책수립 등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와 특정 시설을 대상으로 하는 복합화 관련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먼저 복합화 추진을 위한 방안과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김선웅 외(1999)는 서울 지역의 공공문화복지시설의 복합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으며[3], 권현진 외(2009)는 인천 지역의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국내외 사례조사와 지역의 현황을 분석하였다[2]. 또한 조미형 외(2015)는 농촌지역의 다기능복합화를 추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으며[4], 김경혜 외(2013)는 서울 지역 복지시설 운영의 유연화 방안의 하나로 복합화를 제안하였다[5].

특정 이용대상자 시설의 복합화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이용광(2006)은 독일의 복합 노인복지시설의 건축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6], 박성준 외(2012)는 복합노인복지시설에 대하여 서비스 실태와 시설에 관하여 분석하였고[7], 박혜선 외(2007, 2009)는 일본의 노인과 아동의 복합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여 복합유형과 교류공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8][9].

이와 같이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를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나 국내외의 특정 이용대상자로 한정된 특정 이용대상자(특히 노인)의 복합화에 관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는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에 대한 경향을 파악하고 복합구성방식에 대하여 분석하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2.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 경향 및 유형

2.1. 사회복지시설의 개념

사회복지시설은 “사회복지사업을 행할 목적으로 설치된 시설로써, 노인복지법·아동복지법·한부모가족지원법 등 각 개별 법률에 따라 설치된 시설”로 「사회복지사업법」제2조에서 정의함에 따라 법률상으로는 사회적 약자의 복지를 지원하기 위한 사업을 행할 목적으로 설치된 시설의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최근에는 사회복지의 글로벌 정의(Global Definition of Social Work, 2014)와 범부처 사회서비스 종합대책(2018) 등을 살펴보면 국내·외의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개념이 보편적 사회복지를 지향하는 추세로 변모하고 있다[10].

현재 국내의 사회복지시설은 약 100여 가지 종류의 시설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용대상자에 따라 보건복지부와 여성가족부가 소관하고 있다. 사회복지시설의 이용자는 노인, 아동·영유아, 장애인·정신질환자, 노숙인, 여성, 가족·다문화, 청소년, 일반·저소득층이 해당된다. 다양하게 분화된 사회복지시설을 주요기능에 따른 유형별로 살펴보면 보호형 생활시설, 의료형 생활시설, 여가형 이용시설, 교육형 이용시설, 근로형 이용시설, 의료형 이용시설, 서비스형 이용시설, 이용형 복합시설, 종합형 복합시설로 구분된다[11].

2.2.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 경향

건축물의 복합화는 이용자 측면에서 단일기능의 시설보다 하나의 장소에서 다양한 시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복합화는 첫째, 토지와 공간의 효율적 활용하여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둘째, 지역주민에게 다양한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상호 교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지역공동체 형성에 기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2].

이와 같은 건축분야의 복합화 경향은 사회복지시설에서도 복지욕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필요하게 되었다. 사회복지시설은 관리적 측면과 전문성 확보를 목적으로 공급에 치중하여 약 100여종의 시설로 세분화되었다. 이로 인해 지역별 공급의 불균형 문제와 더불어 이용자 간의 교류가 단절되고 복지의 사각지대가 발생되는 등의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대도시는 사회복지시설이 밀집해 있지만 지역사회의 욕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중소도시 및 농어촌지역은 사회복지시설의 공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서비스 기능도 제한적인 한계가 드러났다[4]. 따라서 최근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개념이 보편적 사회복지를 지향하고 있으며 지역사회의 다양한 복지욕구를 반영하고 다양한 계층 간의 교류를 활성화시키는 동시에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부 지자체에서는 지역사회 요구에 따라 복합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설립을 추진하였으나, 관련법 등의 미비로 인하여 지자체의 자체 예산으로 추진한 사례가 나타나기도 했다[5]. 이와 같은 복합화에 대한 복지욕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2005년에는 복합노인복지시설 시범사업, 2010년과 2011년에는 복지시설의 특성화·다기능화 시범사업 등의 정책을 추진하여 복합화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1]. 이와 같은 정책과 시범사업 추진결과 등을 바탕으로 2011년에 사회복지사업법의 개정과 2012년에 시행규칙을 제정하여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를 규정하였다. 「사회복지사업법」제34조의 2에서 “시설을 통합하여 하나의 시설로 설치·운영하거나 하나의 시설에서 둘 이상의 사회복지사업을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고 복합화를 허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외의 자는 통합하여 설치·운영하려는 각각의 시설이나 사회복지사업에 관하여 해당 관련 법령에 따라 신고하거나 허가 등을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여 각 기관이 개별적으로 행정처리 및 평가 등의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여 복합화된 사회복지시설의 총괄적인 운영을 통한 적극적인 업무에는 다소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사회복지사업법」에서 위임한 개별법인 「노인복지법」, 「아동복지법」, 「농어촌 주민의 보건복지 증진을 위한 특별법」상에만 복합화와 관련된 조항과 설치·인력기준 등을 마련하고 있어, 다른 개별법에서도 복합화와 관련된 조항과 세부기준 등의 제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와 관련된 최근 정부에서 추진 중인 정책 동향을 살펴보면 포용적 국가를 선언하며 누구나 차별받지 않고 복지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범부처 사회서비스 종합대책, 생활SOC복합화지원사업1) 등의 정책을 통하여 문화·체육·복지의 기능을 통합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를 우리나라보다 먼저 실시한 일본의 사례를 연구한 박혜선(2007, 2009)의 복합화 경향을 살펴보면 주로 고령화에 따른 노인복지시설 간의 복합화와 노인과 아동 간의 복합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이용시설 간의 복합화뿐만 아니라 보육원이나 양로시설과 같은 생활시설과 이용시설 간의 복합화도 시도되었다[8,9]. 이러한 일본의 노인복지시설의 복합화는 경제적 요인으로 시작되었지만 노인과 지역사회와의 교류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노인복지시설과 보육시설, 학교 등과의 복합화 사례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2].

2.3.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 유형

사회복지시설의 유형분석을 토대로 복합화 모델을 제안한 김영훈 외(2019)는 사회복지시설의 세부유형인 생활시설, 이용시설, 기관시설 간의 5가지 복합화 모델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복합화 모델과 특성을 정리하면 Table 1.과 같다.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Model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또한 일반인과 이용대상자간의 교류 증대와 설치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복합화 모델에 공공청사, 문화시설, 상업시설, 교육시설 등과 복합하는 모델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지역사회 인식의 변화와 사회적 약자가 더 이상 사회와 격리되지 않고 자생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11].

본 연구에서는 김영훈 외(2019)의 연구에서 제시한 사회복지시설 간 복합화 모델과 최근 나타나고 있는 타용도 시설과 복합화에 대한 유형별로 사례를 조사하고 공간구성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3.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 유형별 사례분석

3.1. 사례분석 개요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 유형을 사회복지시설 간 복합화와 타용도 시설과 복합화로 나누어, 사회복지시설 간 복합화는 4군데, 타용도 시설과 복합화 사례는 6군데로 Table 2.와 같이 총 10가지 사례를 조사하였다. 사회복지시설 간 복합화 유형 중 생활이용형, 이용기관형, 생활기관형은 다기능화·특성화 시범사업 등을 통해 복합화가 시도되었으나 기존의 공간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고 서비스에 대한 기능만을 조정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은 사례는 공간구성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의 목적인 공간구성특성을 분석함에 있어서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어 조사범위에서 제외하였다. 사례분석은 복합화 유형별로 건축물의 개요를 조사하고 주이용자와 배치유형 및 공간구성요소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복합화의 장점인 공간의 효율성 확보와 이용자 간의 상호교류를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계획된 공유공간의 종류와 구성방식 및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Survey subject social welfare facilities by type of complexity

3.2. 사회복지시설 간 복합화 사례분석

사회복지시설 간 복합화는 종합형 복합시설, 이용형 복합시설, 생활이용형 복합시설, 생활기관형 복합시설, 이용기관형 복합시설로 나누어볼 수 있다. 생활이용형, 생활기관형, 이용기관형 복합시설은 일본의 경우에는 다수의 사례가 있는 것으로 선행연구2)를 통해 파악되었으나, 앞서 3.1.절에서 밝힌 바와 같이 국내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므로 종합형 복합시설과 이용형 복합시설 각 2곳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1) 종합형 복합시설 사례분석

종합형 복지시설은 생활시설과 이용시설, 그리고 기관시설이 종합적으로 구성된 복합화 모델로써, 법률상「농어촌주민의 보건복지증진을 위한 특별법」에 따른 복합노인복지시설이 해당한다.

DY는 이용시설인 노인복지관, 생활시설인 노인요양원, 기관시설인 재가노인복지시설이 복합되어 있으며, 2개동을 연결통로를 활용하여 연계를 시도하였다. 1층은 사무실, 상담실, 강당 등으로, 2층은 체육시설, 취미교실, 물리치료실, 주간보호센터, 식당 등의 이용시설로, 3층은 노인요양원으로 구성되어 층별로 생활시설과 이용시설 간의 기능을 분리하였다. 2층과 3층은 연결통로를 통하여 동간 연계가 이루어져 있으나, 층별로 기능이 분리되어 있는 특성으로 인하여 연결통로의 기능 간 연계 역할은 다소 약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3층의 요양시설은 보안과 사생활침해 등을 이유로 일반인의 접근을 통제하고 있으나, 이용시설과 동일한 수직이동통로를 공유하게 되어 있어서 완벽한 통제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생활시설과 이용시설을 층간으로 구분할 경우에는 수직이동 동선을 분리하고, 공유공간으로의 진출입 시 별도의 보안장치 등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SC는 2005년도에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농어촌복합노인복지단지 조성 시범사업에 의하여 조성된 시설로써, 이용시설인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 장애인공동작업장과 생활시설인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병원, 노인복지주택, 기타 부대시설인 게이트볼, 골프 등의 체육시설, 찜질방, 야외공연장 등 총 6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합노인복지시설이지만 타시설과는 다르게 장애인복지시설을 함께 운영하는 특성이 있으며, 넓은 대지 특성을 활용하여 복지시설의 유형별로 분리하여 배치되어 있다. 사회복지시설 간의 공유가 가능한 식당, 체육시설 등의 공간은 공유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공간 활용성과 상호 교류의 측면에서는 다소 미흡하지만, 부가시설인 야외 체육시설과 공연장, 찜질방, 공동작업장 등을 활용하여 노인과 장애인이 상호 교류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형 복합시설 유형은 생활시설과 이용시설이 복합된 특성을 가지므로, 생활시설 거주자의 사생활보호와 보안 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특히 생활시설 거주자들이 이용시설의 공유공간으로 접근하는 방식은 건물 유형에 따라 수직이동이나 외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수직이동 시 동선의 분리나 보안장치의 마련과 외부 이동 시 접근성 확보와 이동편의를 위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Example of complexity between social welfare facilities

2) 이용형 복합시설 사례분석

이용형 복합시설은 이용시설의 세부유형인 여가형, 교육형, 근로형, 의료형 간의 복합화 모델로써 종합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 등이 해당된다.

NR은 국내 최초의 복합복지타운으로 2008년 5월 복지관 통합건립을 위한 조례를 제정하고 이를 근거로 설치된 시설로써, 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 청소년문화의 집의 복지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복지시설로는 종합사회복지관, 장애인주간보호센터, 아동·청소년지원센터, 발달지원센터, 어린이집, 공동작업장 등이 있으며, 체육시설인 게이트볼, 에어로빅, 당구장, 탁구장 등과 부대시설인 목욕탕, 노래방, 카페, 미용실 등의 여가시설, 그리고 도서관, 장난감도서관, 서예교실, 요리교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일건물이지만 기능상 재활동과 문화동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각 동의 층별로 이용대상자를 구분하여 기능별 시설을 배치하였다. 또한 교육실은 이용시간대별로 다양한 이용대상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구성되어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있었다. 또한 기존의 종합사회복지관의 복지시설의 기능과 더불어 다양한 문화, 체육, 교육, 상업시설들을 함께 설치하여 지역주민들의 편의성 증진과 더불어 사회복지시설의 인식을 전환시키고 있다.

JS는 동일대지 내에 노인복지관과 장애인복지관이 설치되어 있다. 노인복지관은 식당, 프로그램실, 건강증진실, 교육실, 강당이 설치되어 있으며, 장애인복지관은 식당, 프로그램실, 재활운동실, 강당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시설 간 공유가 가능한 강당, 식당 등의 시설이 중복으로 설치되어 있어 공간의 활용성 측면에서 다소 미흡한 실정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별관에 체육시설과 장애인주간보호센터를 설치하여 상호 교류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노인과 장애인복지관은 별동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다만 각 동간의 연결통로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이동에 다소 제약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형 복합시설은 종합적인 복지를 수행하는 복지관 기능과 더불어 문화여가시설, 체육시설, 보건시설, 상업시설 등과의 복합화를 통하여 일반인들의 이용도를 높여 지역사회구성원인 일반인을 비롯한 아동·영유아, 노인, 장애인, 다문화가족 등과의 자연스러운 교류가 발생하도록 기여하고 있다.

3.3. 타용도 시설과 복합화 사례분석

사회복지시설과 타용도 시설과의 복합화는 공공행정, 문화체육, 교육, 주거 등이 주 용도인 시설과 사회복지시설의 기능이 결합한 복합화 유형으로, 공공행정과 문화체육 복합시설은 각 2곳, 교육과 문화 복합시설은 국내 사례의 부족으로 각 1곳의 현장을 방문하였으며 조사 결과는 Table 4.와 같다.

Example of Complexity with Other Use Facilities

1) 공공행정 복합시설 사례분석

공공행정시설과의 복합화는 노후화된 청사를 재건축하거나 새로운 부지에 건립하는 경우에 건축비용의 절감과 주민의 이용도를 높이기 위한 모델이다. 공공행정 중심의 복합시설은 행정중심복합도시 복지시설 설치계획과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노후공공청사 복합개발사업4) 등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설치될 예정이다.

SG는 대도시 중 상대적으로 낙후된 구도심지에 위치하여 노인의 인구비율이 높은 지역인 특성을 가진다. 행정복지센터의 기능을 중심으로 층별로 이용대상자 간 기능을 분리하여 지하2층에는 체육시설과 목욕탕, 식당이 있으며, 지하1층에는 어린이집과 어린이놀이터, 공부방이 있고, 1층은 행정복지센터, 2층과 3층은 노인복지센터와 데이케어센터가 설치되어 있다. 노인복지센터의 프로그램실은 공간의 활용도에 따라 큰 강당으로 사용하거나 가변형벽체로 공간을 분리하여 각각의 프로그램실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SD5)는 NR과 유사하게 단일건물이지만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한 동은 주민센터, 문화의 집, 체육시설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른 동은 어린이집, 육아시설, 노인문화센터, 도서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개의 동이 중앙의 원형 마당을 중심으로 2층은 내부에서 연결되고 1, 3층은 외부정원을 통하여 연결되며, 4~5층은 강당 체육관과 도서관이 분리되어 있다. 복지시설로는 어린이집, 지역아동센터, 공동육아나눔터가 있으며, 문화시설은 노인문화센터, 도서관, 전시실이 있고, 기타 부대시설로는 상업시설인 카페가 있다. 공공행정 기능을 중심으로 편익 증진과 지역커뮤니티 증대를 위하여 복지의 기능보다는 문화여가에 대한 시설의 복합이 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인 SD를 비롯한 유사 사례6)도 복지의 기능보다는 문화여가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보다 다양한 계층의 이용과 지역주민 상호 간의 교류를 증대하기 위한 장애인, 노인 등의 복지시설과의 복합화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상기의 사례를 종합해보면 공공행정 복합시설에서 복지기능은 노인과 영유아 대상의 복지시설과의 복합화는 이루어졌으나, 향후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계층인 장애인, 여성, 가족 등의 사용자를 위한 복합화가 시도될 필요성이 있다.

2) 문화체육 복합시설 사례분석

문화체육시설과의 복합화는 최근 사회복지의 패러다임이 포용적 개념으로 전환함에 따라 지역주민들에게 복지와 문화 욕구를 해소할 수 있는 시설이다.

YJ는 수영장, 헬스장, 다목적체육관 등의 체육시설을 중심으로 복지시설인 노인복지관, 육아지원센터, 치매안심센터, 건강지원센터, 문화시설로 청소년 공부방과 VR테마파크가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체육시설은 1, 6, 7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노인을 위한 복지관과 치매안심센터는 4~5층에 있고, 청소년공부방과 VR테마파크는 2층에, 그리고 육아종합지원센터는 3층에 위치하여 각 층별로 기능을 분리하였다. 특히 체육센터의 전문성과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여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복지기능을 중점으로 운영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또한 보호자가 체육시설을 활용하는 동안 육아종합지원센터 등을 이용하여 시설의 이용도를 높이고 있었다.

GS는 1998년부터 설립 계획을 수립하면서 복합화에 대한 인식부족과 관련법의 미비로 예산확보와 지역주민 설득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꾸준한 추진 의지로 전국 최초의 문화복지체육센터를 2006년에 준공하였다. 각 시설의 성격과 관련된 7개의 중앙부처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독립된 건물을 짓고 연결통로를 통하여 시설의 통합을 추구하여 중복기능을 예방한 사례로 인정받고 있으며, 국내 사회복지시설 복합화의 벤치마킹 사례와 관련법 개정의 교두보가 되었다. 복지시설은 청소년, 장애인, 노인, 여성복지시설이 있으며, 문화시설인 체육시설, 도서관, 공연장, 전시관, 박물관 등이 있고, 기타 보건소와 공공행정기관이 설치되어 있다. 이용대상자별 복지시설은 별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복지시설 건물과 문화원은 2, 3층의 연결통로를 통하여 서로 연계되어 있다. 다만 각 복지시설 건물의 규모가 협소하여 교육실 등 소규모의 실들로 구성되어 있어 종합적인 복지기능을 수행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다양한 이용자 간의 공유가 발생할 수 있는 교육실, 강당, 식당 등의 공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문화체육 복합시설은 다른 복합시설의 유형보다 다양한 공간의 종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사회복지의 패러다임이 포용적 개념으로 전환함에 따라 지역주민들에게 복지와 문화 욕구를 해소하기 위하여 복지시설의 단편적 기능에서 벗어나 이용자의 접근성과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편으로 복합화가 시도된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해당 지역에서 필요한 시설에 대한 파악을 바탕으로 주요 기능과 이와 연계되는 기능을 접목한 사회복지시설의 배치를 통하여 공간의 활용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3) 교육 복합시설 사례분석

고령화·저출산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학령인구의 감소로 인하여 발생하는 학교 내 유휴공간의 활용방안 중 하나로 사회복지시설과 복합화하는 방안이 있다. 국내에서는 현재 아동복지시설인 지역아동센터와 초등학교를 복합화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DC는 지자체의 자체예산으로 시도된 전국 최초의 초등학교와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가 이루어진 사례로써, 학교 내 유휴교실 2개를 리모델링하여 지역아동센터를 개소하였다. 지역아동센터의 공간구성요소인 프로그램실, 화장실, 식당, 침실, 사무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역아동센터의 주출입구는 학교의 출입구와 분리되어 있으나, 학교 내부 복도에 설치된 별도의 출입구를 통하여 방과 후에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들이 진입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현재 국내에서 실시된 교육시설과 사회복지시설 간의 복합화는 아직은 초기 단계로 아동복지시설과의 복합화와 같은 제한적 역할에 머물러 있다. 학교 내 유휴공간은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므로 일본의 사례와 같이 지역사회의 요구를 반영하여 노인복지시설, 청소년복지시설 등과의 복합화를 시도할 필요성이 있다.

4) 주거 복합시설 사례분석

주거시설과의 복합화는 주로 임대주택과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가 이루어진 시설로써, 현재 고령자복지주택사업과 노후 경로당 행복주택복합화사업 등을 추진 중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최초로 시도된 HT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지자체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임대주택과 사회복지시설, 그리고 공공행정이 복합된 시설로써, 주택건설비용은 한국토지주택공사가, 복합청사는 지자체가 부담하였다. 부대복리시설 건물의 지하2층(진입층)은 지역자활센터, 지하1층은 건강가정·다문화지원센터, 1~2층은 행정복지센터, 주민자치센터로 층별로 분리되어 있으며, 임대주택은 3층에서 11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산업단지와 인접하고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의 임대주택 거주자 특성을 고려하여 저소득층의 경제활동을 지원하는 지역자활센터와 다문화가정을 위한 다문화지원센터 및 공동육아나눔터를 운영하여 활용성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공동주택과 사회복지시설 간을 연계하는 동선이 복잡하여 상호 접근성에 다소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주거 복합시설은 기존 공동주택의 구성과 동일하게 주거동과 복리시설동이 구성되어 공간의 유기적 연계에 대한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디자인적 측면과 체계적인 동선계획을 통한 공간의 유기적 연계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4. 복합화 공간구성 특성

4.1. 건물 배치유형에 따른 복합구성 방식

본 연구에서 조사한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 사례에 대하여 건물의 배치유형을 파악하여 복합화 구성방식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건물의 배치에 따른 복합구성 방식과 이에 따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北村 安樹子(2003)[12]과 장우석 외(2011)[13]의 연구에서 제안한 복합화 구성방식을 참조하여 본 연구의 사례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내용은 Table 5.와 같다.

Complex composition method according to building layout

건물배치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 공간의 성격(기능)이나 이용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적층배치, 병렬배치, 혼합배치의 사례가 나타났으며 주로 도심지에 위치한 특정 목적 중심인 NR, SG, YJ, HT, SD, DC가 해당된다. ‘적층배치’는 상하로 분리되어 각 층별 공간의 성격을 명확하게 규정하는 데 효율적이나 상대적으로 다른 구성방식에 비하여 교류기회가 작다. 이러한 방식은 이용대상자나 공간의 성격을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유용할 수 있으며, SG 지하의 부대시설과 같은 공유공간의 필요 시 별도의 층에 통합하는 방안의 모색이 가능하다. ‘병렬배치’는 벽체나 전이공간을 활용하여 좌우로 다른 성격의 공간을 배치하는 구성방식으로 전이공간이나 복도공간에서 자연스러운 교류의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 NR은 재활과 문화의 기능에 따라 공간을 좌우로 분리하고 있으며, 이용대상자에 따라 층별로 구분하였다. 이와 같이 병렬배치로 복합구성을 할 경우 이용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층별로 분리하고 기능을 좌우로 분리하는 것을 통하여 기능 간의 연계성을 높이고 교류를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혼합배치’는 동일층에 다른 성격의 공간이나 이용대상자를 위한 공간을 배치하는 방식으로 다른 구성방식보다 세심한 동선계획과 배치가 요구된다. 특히 공간이 혼재되어 있을 경우 사회복지시설의 유형에 따라 지원기관이 다르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조사대상 사례 중 신축된 시설에서는 해당 구성방식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DC와 같이 기존 건물의 유휴공간에 설치되는 경우에 나타났다.

건물배치가 분리형으로 되어 있을 경우는 각 건물이 이용대상자별로 나누어져 있거나 공간의 기능에 따라 분리되어 있다. 각 건물은 ‘연결통로’로 연계되어 있거나 ‘단절’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리적 특징으로는 주로 농어촌 지역에서 나타났다. ‘연결통로’로 복합 구성된 경우는 상호 독립성을 확보하면서 연결통로를 설치하여 이용자 간 교류를 통하여 통합성을 추구하였다. 다만 일부 시설의 경우에는 공간의 기능적 필요성보다는 건물의 디자인적 특성을 부각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용대상자의 특성과 공간의 기능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토대로 연결통로를 계획하여야 한다. 반면에 개별동이 ‘단절’된 경우에는 농어촌 지역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대지를 확보한 경우에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시설 간의 복합화 유형의 시설이 해당되었다. 특히 이용대상자 간 상호교류가 적극적으로 필요하지 않거나 시설의 독립성 확보가 필요한 경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구성방식의 경우에는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이용대상자 간의 교류에는 제한적이다. 교류에 제한적인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별동에 체육시설, 부대시설, 공동작업장 등의 공유공간을 설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 공유공간과 독립공간의 종류와 배치 특성

복합화 사례에서 나타난 공유공간의 종류를 기능별로 분류하고 각 공유공간의 종류별 현황을 정리하면 Table 6.과 같다. 공유공간의 분류는 도서관, 교육실 등의 문화여가공간, 수영장, 헬스장 등의 체육공간, 물리치료실, 보건소 등의 보건공간, 카페 등의 상업공간으로 설정하였다.

Types of Shared Spaces by Complexity Cases

문화여가공간 중 도서관은 주 이용자가 일반인을 포함한 사례인 NR, SG, SD, GS에 설치되었다. 교육실은 모든 사례에서 나타났으나 4개의 사례에서만 시간대와 프로그램에 따라 공유하고 있으며 나머지 사례에서는 공유하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식당은 이용대상자의 교류를 증대시키고 공간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공유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판단되나 NR을 제외한 다른 사례에서는 공유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노래방, 미용실, 목욕탕, 찜질방, 공연장, 전시관 등의 공유공간을 계획하여 이용자 간의 교류 증대와 공간의 활용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체육공간은 헬스장, 당구장, 탁구장, 게이트볼, 골프, 수영장, 강당이 존재하였으며, 특히 다목적으로 활용되는 강당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사례에서 공유공간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SC와 JS는 이용대상자가 전용으로 사용하도록 각 개별 건물에 설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SC와 JS는 건축물의 배치가 ‘분리형 단절’로써 한 건물에 특정 이용대상자를 위한 시설이 개별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분리형 단절’의 배치 계획 시 공유가 가능한 대규모 공간인 강당이나 식당 등을 독립 건물로 계획하되 복지시설과의 접근성 및 이동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보건공간은 물리치료, 재활치료 등을 위한 치료공간과 보건소, 그리고 치매안심센터 등의 건강지원센터가 해당된다. 치료공간은 DY에서만 공유공간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동일한 이용대상자인 노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치료시설의 경우에는 장애인, 노인 등 특정 이용대상자를 위한 설비 등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생활시설과 이용시설 간의 복합화 모델에서 동일 이용대상자 간의 공유공간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상업공간으로는 카페공간만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장애인이나 지역자활센터에서 운영하여 사회복지시설의 자생적 역할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다른 이용자들의 접근을 제한하고 있는 독립공간의 종류와 사례별 현황은 Table 7.과 같다. 이러한 독립공간의 종류는 종합형 복합시설 내의 생활시설인 요양시설, 요양병원. 임대주택과 주거 복합시설의 임대주택, 그리고 이용형 복합시설, 공공행정 복합시설에 설치된 어린이집이 해당되었다. 이러한 독립공간은 보안상의 이유로 별도의 출입구를 가지는 특성이 있으며, 같은 건물 내에 위치하더라도 공간과 동선을 완전히 분리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하지만 DY는 생활시설인 요양시설의 동선이 분리되지 않고 관리자가 통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운영상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ypes of Independent Spaces by Complexity Cases

공유공간과 독립공간에 대한 종류를 토대로 해당 공간의 배치와 접근방식을 살펴보았다. 공유공간의 구성은 동일 층 내의 일부 구역을 할애하여 배치하거나, 별도 층으로 구분하여 배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독립공간은 별도의 출입구를 통하여 접근하는 방식이 주로 나타났으며 일부는 수직이동통로로 접근하는 방식도 나타났다. 이에 대한 내용은 Table 8.과 같다.

Classification according to layout and approach of shared and independent space

4.3. 소결

건물 배치유형에 따른 복합구성 방식을 하나의 건물로 구성된 ‘일체형’과 둘 이상의 건물로 구성된 ‘분리형’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공간의 기능과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일체형’은 적층배치·병렬배치·혼합배치의 유형을, ‘분리형’은 연결통로·단절의 유형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공간의 효율성 확보와 교류를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계획된 공유공간의 종류와 구성방식 및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분류한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 유형별 건축물의 배치 특성을 종합해보면 Table 9.와 같다.

The Layout Characteristics of the Mixed-use Building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사회복지시설 간 복합화가 이루어진 유형은 대부분 분리형 배치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배치특성이 나타난 것은 생활시설의 독립성 확보를 위한 목적과 관리적 효율성 측면에서 이용대상자를 분리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NR은 일체형 배치이지만 실질적으로 건물을 재활동과 문화동으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기능상으로는 분리형 배치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타용도 시설과 복합화는 주로 일체형 배치가 나타났다. 이는 공공행정과 문화 등의 용도와 사회복지의 기능을 통합하기 위하여 일체형 배치를 시도한 것으로 판단된다. 사회복지시설 간 복합화 유형의 시설보다는 일반인을 포함한 다양한 이용자들에 대한 개방적인 특성이 강하고 상호 교류를 증대시키는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GS를 제외한 다른 시설은 도심지에 위치하여 대지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목적도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공유공간을 도서관, 교육실 등의 문화여가공간, 수영장, 헬스장 등의 체육공간, 물리치료실, 보건소 등의 보건공간, 카페 등의 상업공간으로, 독립공간은 요양시설, 요양병원, 임대주택, 어린이집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토대로 공유공간과 독립공간의 배치와 접근방식을 분석하였다.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 유형에 따른 공유공간의 구성방식에 대한 특성을 도출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음으로 인하여 건물의 배치유형과 공유공간의 종류에 따라서 공유공간의 구성방식 특성을 도출하였다. 공유공간은 건물내부 같은 층의 다른 이용자가 접근하도록 일부에 구획에 배치하거나, 별도 층을 공유공간으로 배치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특성이 나타났다. 그리고 독립공간은 별도의 출입구를 통하여 접근하는 방식으로 주로 계획되었으며 일부는 수직이동통로로 접근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공간특성을 밝혔다. ‘일체형 적층배치’는 독립공간은 확보하면서 층별로 이용자나 기능을 분리하여 전문성 확보에 유리하다. ‘일체형 병렬배치’는 기능연계에 중점을 둔 유형으로 복잡한 동선을 해결하기 위한 색채계획 등의 부가적인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일체형 혼합배치’는 기존 건물에 부속으로 계획된 유형으로 건물 내부에 독립된 공간으로 연계하는 통로의 확보가 필요하다. ‘분리형 연결통로’는 건물 간 기능을 연계하고 층으로 분리하는 특성이 있으며, 건물의 일부나 전체를 공유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리형 단절’은 이용자 및 기능적으로 독립성 확보가 주목적일 경우에 유용하며 공유공간으로 접근성 확보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유형별 사례에 대한 복합화 구성방식과 공유공간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를 종합하면 Table 10.과 같다.

Complex construction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shared space according to building layout type


5. 결론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간의 복합화와 더불어 다양한 용도의 시설과의 복합화 경향에 대한 유형별 특성과 공간구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복합화 유형별로 총 10군데 사례에 대하여 복합화 유형별 특성과 건물배치에 따른 공간구성 방식 및 공유공간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는 ‘사회복지시설 간 복합화’ 유형과 공공행정·문화체육·교육·주거 중심의 기능과 사회복지가 복합된 ‘타용도 시설과의 복합화’ 유형으로 나타나는 경향을 파악하였다. 하지만 생활이용형, 이용기관형, 생활기관형 복합시설 사례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향후 지역사회의 교류 활성화를 위하여 다양한 유형의 복합화 시도가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시설 간 복합화 중 ‘종합형 복합시설’은 생활시설과 이용시설 및 기관시설이 복합된 특성을 가지므로, 생활시설 거주자의 사생활보호와 보안 등을 확보하기 위한 체계적인 동선계획이 요구된다. ‘이용형 복합시설’은 종합적인 복지를 수행하는 복지관 기능과 더불어 문화여가·체육·보건·상업 기능 등을 복합하여 일반인들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지역사회의 다양한 구성원과의 교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유용한 모델로 판단된다. 타용도 시설과의 복합화 중 ‘공공행정 복합시설’은 특정 이용자가 대상인 사회복지시설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향후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계층의 사용자를 위한 복합화가 시도될 필요성이 있다. ‘문화체육 복합시설’은 최근 포용적 개념의 사회복지로 전환됨에 따라 일반인과 노인, 장애인, 다문화가정 등 다양한 계층이 교류할 수 있으므로, 지역사회에서 요구되는 기능에 대한 면밀한 조사를 바탕으로 공간을 구성하여야 한다. ‘교육 복합시설’은 학교 내 유휴공간의 활용방안 중 하나로써 국내에는 지역아동센터와 초등학교의 복합화에 머물러 있으므로, 청소년·노인 등과 다양한 유형의 복합화 시도가 요구된다. ‘주거 복합시설’은 기존의 공동주택의 구성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향후 디자인적 측면과 주거동과 복지시설 간의 유기적 연계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셋째, 복합화 구성방식은 건물의 배치특성에 따라 일체형과 분리형의 방식으로 파악되었으며, 건물배치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을 경우 적층배치, 병렬배치, 혼합배치로, 건물배치가 분리형으로 되어 있을 경우 연결통로로 연계하는 형태와 단절의 유형을 제안하였다. 또한 공유공간은 내부의 동일층·별도층·외부에 배치되고, 독립공간은 별도출입구와 수직이동으로 접근하는 공간특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건축물의 배치유형에 따른 복합구성 방식 및 공유공간에 대한 특성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 계획 시 시설의 종류와 기능을 고려하여 적합한 유형을 선정하고 필요사항 등을 설계 시 반영하여 지역사회의 교류의 장이 되길 기대한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 경향에 따른 유형별 사례를 조사하고 공간구성에 대한 특성을 분석한 것으로 최근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복합화 건축계획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국내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 사례가 아직까지 다양하지 않아서 조사대상이 제한적인 아쉬움이 있으므로 향후 국외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복합화 방안과 공간구성 특성에 대한 제안이 필요하며, 향후 사용성 평가 등을 실시하여 보다 활용성이 높은 계획이 가능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계획된 복합 사회복지시설이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자생적 역할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도시건축연구사업의 연구비지원(19AUDP-B128638-02)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Notes

1) 지방자치단체가 체육관과 도서관, 어린이집, 주차장 등을 하나에 모은 생활밀착형 SOC 복합시설을 지을 경우 국고보조율을 10%포인트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정책(기획재정부, 2020년도 기금운용계획안)
2) 플라자아카사카난데모, 카마타, 코토인 등의 사례가 해당되며 자세한 내용은 박혜선(2009)의 연구내용 참조
3) 건축물의 배치유형과 공유공간의 구성 등 복합화 특성을 참조할 수 있는부분의 평면도를 수록함
4) ‘노후공공청사 복합개발사업’은 공공청사, 임대주택, 복지시설, 문화시설, 수익시설 등을 복합화하는 것으로, 2017년 사업대상지를 공모하여 전국의 42곳 6,300호를 사업대상지로 선정하고 추진 중으로 2022년까지 1만호 준공과 1만호 추가 후보지 발굴을 목표로 하고 있음
5)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의 일환으로 행정, 문화, 복지, 체육시설 등 공공편익시설들을 복합화하여 주민 편익 증진과 주민커뮤니티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설치된 시설로 총 22개소의 복합커뮤니티센터가 조성될 예정임
6) 공공청사 복합화 사업이 추진된 서울시 강동구, 성동구, 영등포구, 세종시 소재 복합커뮤니티센터, 청송군, 고령군 등의 공공복합청사 사례를 살펴보면 ‘복지’의 문구는 포함되어 있으나, 사회복지시설의 기능이 아닌 문화, 여가, 체육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

References

  • 최균, 외 7인, 사회복지시설 특성화·다기능화 시범사업 결과 보고서, 한국, 보건복지부, (2011, Dec).
    Choi, Gyun, et al., Social welfare facility specialization·multi functionality pilot project result report,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Dec).
  • 권현진, 외,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 방안, 한국, 인천발전연구원, (2009, Jul).
    Kwon, Hyun-Jin, et al., Plans for the mixed-use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Korea, The Inchoen Institute, (2009, Jul).
  • 김선웅, 외, 공공문화복지시설의 복합화 방안 연구, 한국,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9, Dec).
    Kim, Sun-Woong, et al., A Study on New Policy Directions for Mixed Use of Community-Based Public Facilities, Korea, Seoul Development Institute, (1999, Dec).
  • 조미형, 권인혜, 농촌지역 사회복지서비스기관의 다기능복합화 추진방안, 한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Aug).
    Cho, Mi-Hyung, Kwon, In-hye, Plans for multifunctional social welfare service institutions in rural areas, Kore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5, Aug).
  • 김경혜, 외, 복지시설 운영의 유연화 방안, 한국, 서울연구원, (2013).
    Kim, Kyung-Hye, et al., Recommendations to Active Flexible Practice of Welfare, Korea, The Seoul Institute, (2013).
  • 이용광, 독일의 복합적인 형태의 노인복지시설과 대규모 노인복지시설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12(3), (2006, Oct), p7-14.
    Lee, Yong-Kwang,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Large and Multipurpose Elderly Welfare Facility in Germany, Korea: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12(3), (2006, Oct), p7-14.
  • 박성준, 이현수, 베이비붐 세대를 고려한 복합노인복지시설의 주요 서비스 및 시설에 관한 연구, 한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8(7), (2012, Jul), p61-69.
    Park, Sung-Joon, Lee, Hyun-Soo, A Study on Main Service and Facility of Mixed Elderly Welfare Facility for Baby-boomer Generation, Kore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8(7), (2012, Jul), p61-69.
  • 박혜선, 오은진, 일본 고령자복합시설과 데이서비스센터의 복합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6(4), (2007, Aug), p62-71.
    Park, Hae-Sun, Oh, Eun-Jin, A Study on Types of Multi-Functional Welfare Facilities and Day Service Centers for the Elderly in Japa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6(4), (2007, Aug), p62-71.
  • 박혜선, 일본 노유복합시설의 세대간 교류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15(3), (2009, Aug), p51-59.
    Park, Hae-Sun, A Study on the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 Space Planning of Age-integrated Facilities in Japan, Korea,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15(3), (2009, Aug), p51-59.
  • 조은길, 전명훈, 박준영, 신한옥형 사회복지시설 활용성 증대 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38(1), (2018, May), p133-134, (재인용).
    Cho, Eun-kil, et al., Method for Improving Utilization of New-Hanok Style Social Welfare Faciliti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spring conference, 38(1), (2018, May), p133-134, (Recite).
  • 김영훈, 박준영, 조은길, 사회복지시설의 이용대상자별 유형분석 및 복합화 모델 연구, 한국, KIEAE Journal, 19(3), (2019, Jun), p43-52.
    Kim, The Type Analysis and Mixed-use Model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Users, Korea, KIEAE Journal, 19(3), (2019, Jun), p43-52.
  • 北村 安樹子, 幼老複合施設における異世代交流の取り組み-福祉社会における幼老共生ケアの可能性, Japan, Life design report(153), (2003), p4-15.
  • 장우석, 손광호, 복합화에 의한 공공도서관의 경향과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1), (2011, Feb), p199-207.
    Jang, Woo-Seok, Son, Kwang-Ho, A Study on the Trend and Spatial Composition of Public Library by the Mixed,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0(1), (2011, Feb), p199-207.

Fig. 1.

Fig. 1.
Research flow diagram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Model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Model Characteristic
※ Note: Created based on the contents of Kim, Young-Hoon et al.(2019), p.51
Living-Using
Complex
A model of using idle resources (human and physical) of living facilities to combine them with facilities with relatively limited expertise or space size
Using-Agency
Complex
As a model of an indirect service facility applied to a large-scale or Mix-used Using facility, idle space of the facility is used as an office space for research and support
Living-Agency
Complex
A model that is suitable for multifunctional rather than complexities of spatial components
Contribute to providing local services to local communities by combining welfare facilities with living facilities
Comprehensive
Complex
A model that combines all types of living, using, and agency facilities
Mixed-use Mixed-use models of leisure, education, working and medical types of facilities

Table 2.

Survey subject social welfare facilities by type of complexity

Segment Complexity Type Subject Mark Location Opening
Complex between
social welfare facilities
Complex DY Complex Elderly Welfare Town DY Joennam
Damyang
2010.05.
SC Welfare Town SC Chungnam
Seocheon
2008.11.
Using NR Social Welfare Center NR Gyeonggi
Hwaseong
2011.04.
JS Elderly and Disabilities Welfare Center JS Joenbuk
Jangsu
2014.03
Living-Using Except - - -
Using-Agency Except - - -
Living-Agency Except - - -
Complex with
other use facilities
Public administration SG Public Complex Office SG Seoul
Seongdong
2018.07.
SD Composite Community Center SD Sejong
2018.07
Cultural Sports YJ Sports Welfare Center YJ Gyeonggi Yangju 2019.05.
GS Darakwon GS Chungnam
Geumsan
2006.04.
Educational DC Regional Children's Center DC Gyeonggi
Seongnam
2018.01.
Housing HT Town HT Ulsan
Namgu
2019.06.

Table 3.

Example of complexity between social welfare facilities

Complex Type Comprehensive Complex Facilities Mixed-use Facilities
Name DY SC NR JS
Picture
Scale(Gross Floor Area) B1, F3(3,692㎡) 6Buildings B1, F1~F6(19,294㎡) B2, F4(18,384㎡) 3Buildings B2, F4(3,068㎡)
Main User Elderly Elderly, Disabled Public, Child, Youth, Disabled Elderly, Disabled
Building Layout Separate-Connecting passage Separate-Disconnection Integral-Parallel Separate-Disconnection
Floor plan3) / Diagram
Space Composition Welfare Living · Elderly care center · Sanatorium for the aged
· Medical treatment and communal living home for the aged
· Welfare house for the aged
- -
Using · Senior welfare center · Senior welfare center
· Disabled welfare center
·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 Social welfare center
· Community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 Child and Youth Support Center
· Day care center
· Senior welfare center
· Senior welfare center
· Community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gency · Commuting system welfare facility for the aged · Commuting system welfare facility for the aged - -
Add–on - · Culture-Leisure(Jjimjilbang, Open-air theatre)
· Sports(Gate ball, Golf)
· Commercial(Cafe)
· Culture-Leisure(Library, Classroom, Spa, Exhibition, Karaoke, Beauty Salon)
· Sports(Fitness, Billiard, Table tennis, Multipurpose Hall)
· Commercial(Cafe)
· Sports(Fitness, Billiard, Table tennis)
Shared Space kind Classroom, Multipurpose Hall Gate ball, Golf, Jjimjilbang, Open-air theatre, Cafe Library, Classroom, Spa, Exhibition, Karaoke, Beauty Salon, Fitness, Billiard, Table tennis, Multipurpose Hall, Restaurant, Cafe Fitness, Billiard, Table tennis
Layout
Characteristic Sharing the inner space of the elderly welfare center and accessing the vertical movement path Sharing the space inside the welfare facility and sharing the external independent facilities Shared the internal spaces necessary for the function among the welfare facilities and additional facilities, and the day care center is a separate entrance Do not share the internal space of welfare facilities, but share the sports facilities of external buildings

Table 4.

Example of Complexity with Other Use Facilities

Complex Type Public Administration Complex Cultural and Sports Complex Educational Complex Housing Complex
Name SG SD YJ GS DC HT
Picture
Scale(Gross Floor Area) B2, F3(3,701㎡) B1, F5(14,213㎡) B2, F7(11,018㎡) 16Buildings(21,203㎡) F1(262㎡) B2, F11(8,982㎡)
Main User Public, Child, Elderly Public, Child, Elderly Public, Child, Elderly, Youth Public, Elderly, Youth, Disabled, Female Child Public, Multi-cultural Family, low-income bracket
Building Layout Integral-Layered Integral-Parallel Integral-Layered Separate-Connecting passage Integral-Mixed Integral-Layered
Floor plan / Diagram
Space Composition Major Function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Sports(Swimming pool, Fitness, Multipurpose Hall) Culture(Library, Female,
Exhibition, Concert hall)
Elementary school Rental housing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Social Welfare · Senior welfare center
· Day care center for the aged
· Day care center
· Day care center
· Cooperative child-care place
· Regional children's center
· Child Care Comprehensive Support Center
· Senior welfare center
· Health support center
· Center for Alzheimer's disease
· Disabled welfare center
· Youth welfare center
· Senior welfare center
· Regional children's center · Regional self-sufficiency centers
· Healthy famil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dd-on · Culture-Leisure(Library, Spa)
· Sports(Fitness)
· Culture-Leisure(Senior cultural center, Library, Exhibition) · Culture-Leisure(Study room, VR theme park) · Sports(Swimming pool, Fitness)
· Health(Health center)
· Public agency(CCTV)
· Etc(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 -
Shared Space Space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Library, Spa, Classroom, Multipurpose hall, Fitness)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Library, Classroom, Concert hall, Fitness, Multipurpose hall, Cafe) Fitness, Swimming pool, Multipurpose hall Library, Concert hall, Exhibition, Fitness, Swimming pool, Cafe, Multipurpose hall, Health center) - Multipurpose hall, Cafe,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Layout
Characteristic Do not share welfare facilities but share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s and additional facilities internally, and daycare center is independent with separate entrance Do not share welfare facilities but share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s and additional facilities internally, and daycare center is independent with separate entrance Welfare facilities are not shared, but the internal space of the sports facilities is shared and the vertical movement path is approached. Do not share the internal space of welfare facilities, but share the additional space of separate buildings There is no separate shared space but there is a moving path Some of the floors share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floor.

Table 5.

Complex composition method according to building layout

Layout Complex
Type
Image Case Explanation
Integral Layered
type
SG
YJ
HT
The space is divided up and down by the floor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space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Parallel
type
NR
SD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space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of the space
Mixed
type
DC Mixed form of spaces of different functions
Separate Connecting passage
type
DY
GS
Connect functions through connecting passages as needed for separate buildings
Disconnection type SC
JS
Separate buildings are not connected and disconnected

Table 6.

Types of Shared Spaces by Complexity Cases

Category DY SC NR JS SG SD YJ GS DC HT
※ Note: ●: Shared ○: Do not share -: None
Culture
·
Leisure
Library - - - - - -
Classroom -
Restaurant - - -
karaoke - - - - - - - - -
Beauty salon - - - - - - - - -
Spa - - - - - - - -
Jjimjilbang - - - - - - - - -
Concert hall - - - - - - -
Exhibition - - - - - - -
Sports Fitness - - - -
Billiard - - - - - -
Table tennis - - - - - -
Gate ball - - - - - - - - -
Golf - - - - - - - - -
Swimming pool - - - - - - - -
Multipurpose hall -
Health Therapy room - -
Health center - - - - - - - - -
Health support center - - - - - - -
Commercial Cafe - - - - -

Table 7.

Types of Independent Spaces by Complexity Cases

Category DY SC NR JS SG SD YJ GS DC HT
※ Note: ●: Exists -: None
Nursing home - - - - - - - -
Nursing Hospital - - - - - - - - -
Rental Housing - - - - - - - -
Day care center - - - - - - -

Table 8.

Classification according to layout and approach of shared and independent space

Sort Method Image Space Characteristic
Share Inside
same floor
· Culture-Leisure
(Cafe, Classroom, Restaurant, Exhibition...)
· Sports(Small size multipurpose hall...)
· A lot of opportunities for users to interact with each other
· Relatively small space
Inside
separate floor
· Culture-Leisure (Classroom, Spa, Library...)
· Sports(Swimming pool, Large scale multipurpose hall, Swimming pool...)
· Selective exchange opportunities
· Compose a relatively large space or a set of spaces with the same function
External · Collaborative workshop
· Culture-Leisure (Concert hall, Library...)
· Sports(Fitness, Billiard, Table tennis)
· Health(Health center)
· Selective exchange while maintaining the function of the facility by installing it in a separate building
· Install spaces of the same function in one building
Independent Separate entrance · Day care center
· Nursing home,
· Nursing hospital
· Separated doorway and separate space with unique functions
· Limited mutual interaction for security reasons
Vertical movement · Nursing home
· Rental housing
· Independent space and shared space have one doorway and access by vertical movement path
· Interaction is limited, but there are more exchange opportunities than separate entrance type

Table 9.

The Layout Characteristics of the Mixed-use Building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Building
Layout
Type
Comprehensive Complex Mixed-use Public Administration Cultural and Sports Educational Housing
DY SC NR JS SG SD YJ GS DC HT
Integral-Layered
Integral-Parallel
Integral-Mixed
Separate-
Connecting passage
Separate-
Disconnection

Table 10.

Complex construction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shared space according to building layout type

Building
Layout
Case Space Layout Characteristic
Integral-
Layered

SG
HT
· Share(Inside separate floor)
· Independent (Separate entrance)
· Securing expertise by separating functions by floor while securing independent space
· In case of complex with residential facilities that are independent spaces, it is necessary to secure shared spaces and connecting lines of welfare facilities
YJ · Share(Inside separate floor)
· A method for organizing a shared space on a separate floor by user and function. The swimming pool and multipurpose hall, which are large shared spaces, can be used for planning
· Lack of connectivity between functions but it is advantageous to secure professionalism
Integral-
Parallel

NR · Share(Inside same floor)
· Independent (Separate entrance)
· Separate functions from the left and right of the space, and users a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to focus on function connection
· Separate exit plan required when installing independent space
· Necessity of color planning suitable for users and functions to solve complex movements, etc.
SD · Share(Inside same floor)
· Independent (Separate entrance)
· It is planned to use child houses and living facilities that are advantageous for securing independence of space and need active access restriction.
· Necessity of providing indirect exchange with independent space users by planning yard
Integral-
Mixed

DC · Independent (Separate entrance)
· It is planned to be attached to an existing building and has a separate main entrance.
· It is necessary to secure a linkage passage that can be entered into an independent space inside an existing building.
Separate-
Connecting passage

DY · Share(Inside separate floor)
· Independent (Vertical movement)
· The left and right functions of the space are similar, and when functions are separated by floors, especially when planning independent spaces as separate floors
· Need for systematic copper line planning, such as separation of copper lines between independent and shared spaces
GS · Share(Inside same floor+External)
· It is advantageous to secure the independence of the space and secure the connection of the shared space.
·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the appropriate space size according to the user and the space function, and utilize the individual space as a shared space.
Separate-
Disconnection

SC
JS
· Share(External)
· Independent (Separate entrance)
· Utilize when independence is needed due to user and spatial function
· Need to secure accessibility and mobility with shared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