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노동자신촌(工人新村)주택의 공간특징과 변화요인 : 1951-1961년 상하이 지역을 중심으로
ⓒ Copyright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Abstract
Based on changes in residential space, Research on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Change in residential space, hope to provide an effective reference meaning for the current residential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Find the typical residential flat space built in different periods, and use the method of inductive summary to analyze and find out the spati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of "workers' villages" in different periods. Then mak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various inducing factors caused by the change of the space composition and the unit space, and explore the evolution law of the living space in different periods. Last on the basis of these relative space variation and the current researching of the relative elements which influence Chinese residential variation, it explores the relative elements of the work new village changing through the researching method of deductive reference.
From the five aspects of the implementation of national policies, economic conditions, climate environment, life style, cultural customs to have a comprehensive summary for the effects of evolution of residential space. It is concluded that the causes of the spatial variation of Shanghai Workers' Village from 1951 to 1961 include four aspects: national policy, economic conditions, climate environment, and lifestyle, which are not affected by cultural customs.
Keywords:
China, Worker new Village, Residential space characteristics, Spatial change factor키워드:
중국, 노동자 신촌, 주택 공간특징, 공간 변화 요인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949년 사회주의 세력을 중심으로 중화 인민 공화국(이하 중국으로 약칭)이 건립 되었고, 노동자 계급이 역사의 무대에 올랐다. 국가가 건립된 이후, 새로 건설된 대부분의 주택은 신촌주택이 있으며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노동자신촌주택이다. 중국의 노동자신촌은 1951년 상하이에 처음 등장한 이후부터 1978년 개혁개방 전까지 도시 주택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져 왔다. 이러한 노동자신촌주택은 중국의 주택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했지만, 중국의 주택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1].
한편 도시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에 있어서 주택 유형의 끊임없는 발전과 변화는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2]. 다양한 요인들이 주거 공간의 변화를 일으키며, 하나하나의 개별적인 요인이 주택 공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주거공간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주택설계 및 미래도시 건설에 대한 역사적 가치와 학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과 사상을 바탕으로 건국 초기 상하이(上海) 지역의 노동자신촌(工人新村)주택의 공간특성과 시대별 변화요인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중국의 노동자신촌주택 건설과 분배의 경험은 현재 중국의 주택 발전과 건설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노동자신촌주택은 중국 사회주의 정치 체제 확립 후 출현한 현대화된 도시 주거 형태의 시작점이며, 그 발생과 발전 과정은 중국 현대 주거 단지의 가장 원시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 1951년 경제회복기부터 시작하여 1961년 대약진(大跃进)기로 끝난 10년 동안 노동자신촌의 건설은 꾸준한 해외 경험의 축적과 함께 사회·경제·정치적 영향을 받으며 중국 특유의 노동자신촌을 형성하는 시기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택이 도시주거로 발전해 나가는 과정에서 보이는 공간의 특성을 파악하고 시기별 변화의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상의 범위를 중국 상해지역의 노동자신촌으로 한정하였으며, 시기는 상하이의 노동자신촌을 시작으로 전국적으로 노동자신촌이 건설되기 시작한 1951년부터 1961년까지로 한정하였다. 이 시기는 아래와 같이 세분화 된다.
- ① 경제회복기 (1951년-1952년)
- ② 일오기 (1953년-1957년)
- ③ 대약진기 (1958년- 1961년)
연구의 방법은 첫째, 문헌 자료 분석으로 인터넷을 통한 상하이 노동자신촌, 중국의 주택 공간형태 변화에 대해 연구한 문헌 자료를 폭넓게 수집하여 분석 정리한다. 중국 대학의 다양한 분야의 노동자신촌 연구에 대한 학술 및 학위 논문 수집과 중국, 한국 및 기타 국가의 중국 주택 관련 연구 문헌에 대한 수집에 중점을 둔다.
둘째, 조사 연구 방법으로 시기별로 가장 많이 건설된 대표적인 주택의 평면을 분석하고, 귀납법을 활용하여 시기별 노동자신촌주택의 유형별 건축배경, 주동그룹 조합방식, 주택평면 및 주호 연결방식을 분석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공간의 구조와 특징을 바탕으로 연역 추론의 방법을 사용하여 각기 다른 기간에 발생하는 주택 변화의 여러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2. 개념의 정의 및 이론적 고찰
2.1. 노동자신촌의 개념
중국에서 ‘공인(工人)’은 개인이 생산 수단을 점유하지 않고 임금에 의존해 살아가는 공업 노동자 및 수공 근로자를 가리킨다. 한편 한국에서의 노동자는 ‘노동력을 제공하고 얻은 임금으로 생활을 유지하는 사람. 법 형식상으로는 자본가와 대등한 입장에서 노동 계약을 맺으며, 경제적으로는 생산 수단을 일절 가지는 일 없이 자기의 노동력을 상품으로 삼는다.’ 라고 정의되어 있다. 즉, 중국의 공인(工人)과 한국의 노동자는 모두 노동을 함으로써 임금을 받는 사람을 일컫는 단어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인(工人)을 ‘노동자’로 정의하였다.
‘신촌’은 처음 일본인 무샤노코지 사내아쓰(Mushanokoji Saneatsu)에 의해 제안되었다. 그는 ‘사람들은 필요한 노동 의무를 다하고 나면, 나머지 시간은 인생에 필요한 개인의 일을 더 잘할 것이다.'라고 ‘인간의 삶'을 강조하였다. 또한, 새로운 마을을 세워 사람들이 평등하고 인간적인 삶을 살아가고, 품앗이를 통하여 완벽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노력함으로써 사람들의 생활을 윤택하게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3].
‘신촌주의’는 본질적으로 유토피아 사회주의 사상의 산물로서 마르크스주의와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두 가지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첫째는 “협력과 자유, 공조와 독립을 삶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으며, 둘째는 “개인은 인생에서 필요한 노동의 의무를 우선적으로 완수해야 하며, 나머지 시간에 개인의 일을 한다.”는 것이다. 즉, 상부상조를 기반으로 하는 공동생활을 강조함과 동시에 개인의 자유로운 발전도 함께 추구하는 것이다.
오사운동(五四运动, 1919년5월4일 제국주의와 봉건주의에 반대하는 애국운동)기간(1917-1927)에 우쭤인(周作人)이 ‘신촌주의’사상을 중국에 도입했다. 오사운동 이후 사회주의와 각종 사조가 전파를 타기 시작하자 ‘신촌주의'는 많은 이들로부터 호응을 얻었다. ‘신촌주의’와 ‘신촌운동’은 중국에서 사회주의 사상의 일종으로 확산 되었으며, 공산주의자들이 이 사상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신촌주의'는 20세기 초반 중국 민족의 위기라 할 수 있는 봉건사회의 부패와 낙후된 경제상황에서 구국의 길을 모색하고자 하는 시도였으며, 신문화 운동으로 중국의 근대화에 기여했다 [4].
‘노동자신촌’은 중국만의 독특한 산물이며, 다른 나라에는 이러한 특징을 지닌 주택이 존재하지 않는다 [5].
'노동자신촌'은 공업시설의 생산력향상을 위한 일종의 복지시설로서, 새로운 공업도시와 구시가지 외곽의 신흥 공업지역에 집중적으로 건설 되었다. 즉, '노동자신촌'의 건설은 노동자의 출퇴근 거리를 줄이고 도시기반시설을 활용하기 위해 새로운 노동자 주거 지역을 활용한 것이다. 노동자신촌의 주택들은 건국부터 개혁개방 이전까지 신 중국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며, 도시 주택발전의 주요 경로가 되었다.
‘노동자신촌’은 분배제도에 따라 균일하게 분배하여 노동자의 주거문제를 해결하고자 공공주택 위주로 만들어진 집중주거단지이다. 노동자신촌의 주택생산량, 기준, 소비, 배분 등 모든 기준은 정부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경제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조정될 수 있었다.
공공소유에 기반을 둔 계획경제 운영방식(단일의 국가계획의 작성과 그 수행이라는 형태로 경제발전이 행하여지며 재화의 생산, 유통, 분배가 인간의 의식적 관리 아래 이루어지는 국민경제를 말한다.)에서는 생산이 생활조건의 개선보다 선행된다. 정부는 거주민의 생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수당(津贴, 정상적인 근무 외의 작업에 대하여 근무의욕을 북돋우기 위해 지급하는 것)을 주된 수단으로 하는 복지제도를 채택했는데 주택배분도 이 정책에 포함된다. 이것이 바로 "복지 주거" 시스템이 형성된 배경이다.
2.2. 선행연구 분석
장굉(张闳)은 <상하이: 기억과 환상의 도시(上海:记忆与幻想之都), 2005>에서 상하이의 노동자신촌을 상하이 시민의 추억의 단편으로써 탐구했다. 상하이 노동자신촌의 일련의 문화적 상징을 기술 및 분석하고 상하이 노동자신촌이 상하이 시민의 기억 속에 항상 존재해 왔다는 사실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논하고 있다.
정귀걸(丁桂杰)은 <노동자 신촌:'영원히 행복한 삶—상하이의1950-60년대 노동자 신촌'(工人新村:“永远的幸福生活—解读上海20世纪50,60年代的工人新村”), 2007>에서 행복한 생활을 중심으로 1950에서 60년대까지 상하이 노동자신촌의 사회⋅정치⋅경제와 문화적 배경을 종합적으로 다루었다.
양연풍(梁燕枫)은 <도시 발전 과정 중 '노동자 신촌'의 갱신 및 보호 전략 — 상하이와 선양 비교 연구 (城市发展进程中“工人新村”的更新和保护策略—以沪,沈两地为例的对比研究), 2005>에서 상하이(上海)와 선양(沈阳)의 노동자신촌의 대조 연구를 통해 역사적인 가치를 증명했으며, 사회적 가치 및 도시적 가치, 경제적 가치를 확정함과 동시에 노동자신촌의 발전과 보호전략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부천(傅晨)은 <상하이 조양신촌 조사 연구 및 문화 인류학 사고(上海曹杨新村调查研究以及文化人类学思考), 2004>에서 조양신촌의 역사적인 조사를 통해 문화 인류학적 관점과 방법에 대해 건축⋅문화적의의 측면에서 탐구하였다. 그리고 중국 건국 초기의 역사가 현대 중국의 도시건설 및 도시거주 문화에 끼친 영향을 요약하였다.
지금까지의 노동자신촌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 사회학분야에서만 연구되어왔다. 즉, 노동자신촌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의미와 가치에 대한 연구는 많지만, 노동자신촌 주택의 공간에 대한 연구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중국 청화대학교(清华大学)의 여준화(吕俊华), 장걸(张杰)교수와 미국 하버드대학교(Harvard University)의 피터 로(Peter Ro)교수가 도시 주택 발전에 대한 연구의 결과를 공동 저술한 <1840 - 2000년 중국 현대 도시주택(中国现代城市住宅), 2005>에서 세 교수는 160년간 중국의 주택 발전 과정을 자세히 기록하고 있으며 정치, 경제, 사회, 인문 등의 측면에서 주택 유형의 특징과 변화를 설명하고 있다
어일범(于一凡)은 <도시 거주 형태학(城市居住形态学), 2010>에서 도시의 거주 형태를 일상생활, 사회, 경제와 문화 형태로 나누어 그 특징과 변화를 기술하였다.
부강(付强)은 <건국 후 정주시(郑州) 도시 집합 주택 연구(建国后郑州市城市集合住宅研究), 2006>에서 사회학 연구 범주의 '사회의 변천'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즉, 사회의 변화와 주택발전을 결합하여 정주시의 집합주택발전에 대해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치천(郗茜)은 <시안 지역 도시 주민 생활 방식과 주택 공간 형태 변화 연구(西安地区城市居民生活方式与住宅空间形态演变研究), 2013>에서 시안(西安)의 도시민 생활방식이 주택의 공간형태와 결합하여 시안시 주택공간이 점진적으로 진화한 과정을 종합적으로 연구했다.
박비양(潘飞扬)은 <중국의 농촌 주택공간과 생활 방식 변화의 관계에 관한 연구, 2014>에서 중국의 정책, 기후조건, 경제조건 및 문화풍속과 같은 외부요인이 농촌주택의 유형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고 주장하였다.
중국 주택의 공간변화에 관한 선행연구의 현황을 분석해 보면, 중국 주택의 공간이 변화하는 주요 요인으로 ①국가정책, ②경제적 조건, ③생활방식, ④기후환경, ⑤문화풍습 등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 다섯 가지 측면을 위주로 노동자신촌 주택의 공간특징과 시대별 변화요인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3. 노동자신촌주택의 유형 및 공간적 특성
노동자신촌주택은 건축물 중앙에 공용 복도가 위치하고 있으며, 주택이 복도의 양 측으로 배치되어 있는 형식으로 구성된 내랑주택이며, 시기에 따라서 초기 내랑주택, 소련식 내랑주택, 표준 내랑주택으로 분류할 수 있다.
3.1. 초기 내랑(内廊)주택
초기 내랑주택은 경제회복기(1951-1952)에 건설된 노동자신촌주택의 대표유형으로서, 상하이에 건설된 최초의 노동자신촌-조양신촌(曹阳新村)은 초기 내랑주택의 평면양식이 적용되었다.
중국에서는 이전까지 이러한 건축물이 대량으로 지어진 사례가 없었기에 [6] 관련지침과 정책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였으며, 표준설계라는 개념도 존재하지 않았다. 당시에는 소련으로부터의 영향력이 약하였기에 대부분의 건축가는 유럽과 미국에서 귀국한 건축가였다. 이들은 서구의 주택설계 개념을 차용하여 노동자신촌과 초기 내랑주택을 기획 및 설계했으며, 이것은 시급한 노동자들의 주거문제 해결을 위해 빠른 속도로 조양신촌에 적용되어 건설되기 시작하였다.
주택수요가 많았기 때문에 건설비가 저렴하고 시공이 간단한 행렬식구조로 이루어진 주동의 배치는 반드시 필요한 선택이었다.
초기 내랑주택은 일반적으로 2-3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개 층에는 4개의 방이 있고 3세대가 거주하였다. 각 세대 당 평균 건축 면적은 24㎡이며, 한 개의 주방 공간과 세면실, 샤워실, 화장실 두개를 공용으로 사용한다. 내랑의 끝에 위치한 세대에는 두 개의 방이 있고, 하나의 화장실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는 두 세대가 공동으로 사용하였다.
평면을 살펴보면 중간의 'L' 자형 내랑은 공간을 두 가지 성격으로 분리하고 있다. 주방, 화장실과 같은 공용 공간이 북쪽에 배치되어 있어 집중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침실과 같은 사적 공간은 남쪽에 주로 배치하여 남향의 조건을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프라이버시 또한 보장되도록 하여 거주자들이 서로에게 주는 영향을 최소화 되도록 계획되어 있다.
이러한 주택은 건설 당시 노동자 거주 환경에 있어 굉장히 높은 기준을 충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3.2. 소련식 내랑주택
중국은 소련의 영향을 받아 1953년 대규모 사회주의 계획경제 건설에 착수하였으며, '제1차 5개년 경제계획‘으로 국가의 중대한 건설 프로젝트, 생산력 분포, 국민 경제의 중요한 비율 관계 등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국민 경제 발전의 비전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것이 일오기(1953-1957)이다. 이시기의 중국은 소련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소련의 표준설계를 광범위하게 학습, 모방하였다. 즉, 주택계획에 있어 독자적인 변화를 주지 않고 소련의 양식을 그대로 노동자신촌에 적용시켰으며, 소련식 주택의 주요 특징인 대칭양식이 강조된 소련식 내랑주택이 등장하게 되었다.
당시, 소련의 도시계획은 주로 거리 혹은 정원 주변을 따라 건축물을 배치하는 주호배치 형식인 주변식 주호배치(perimetric pattern)를 채택하고 있었다. 중국도 마찬가지로 주택의 배치계획(소련식 내랑주택의 배치)에서 소련의 주변식 배치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주택에 둘러 싸여 폐쇄적인 내원공간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내원공간은 실외 공용의 활동장소 또는 소형공용녹지 등으로 이용되었다.
아래의 평면은 일오기의 노동자신촌에서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두 종류의 소련식 내랑주택의 평면이다. 일반적으로 소련식 내랑주택은 보통 3-4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층별로 한 세대가 한 개의 방을 사용하도록 계획되어있다. 즉, 1개 층에 총 6세대가 나누어 사용하며, 2개의 주방과 2개의 화장실을 공동으로 사용하도록 계획되어있다.
소련식 내랑주택 평면1:중앙부분에 내랑과 계단(내랑의 남쪽)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를 중심으로 좌우가 대칭하는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양측에 각각 총 3개의 방(3세대가 각자 거주하는 공간)이 계획되어있으며, R1과 R2(R4와 R5)는 직접적으로 내랑과 연결되며, R3(R6)은 방을 통하여 진입이 가능한 구조이다. 공용공간으로는 북쪽에 내랑과 연결된 주방 1실과 화장실 1실이 위치하고 있다. 남쪽 외측에 위치한 방(R2와 R5)과 북측의 부엌에는 각각 발코니가 계획되어있다.
소련식 내랑주택 평면2:중앙부분의 내랑과 계단(내랑의 북쪽)을 중심으로 좌우가 대칭하는 구조이다. 내랑을 기점으로 북쪽에는 공용공간인 주방과 화장실 그리고 발코니가 위치하고 있으며 남쪽에는 사적공간인 4개의 방(R1,R2와 R4,R5)과 북쪽에 2개의 방(R3,R6)으로 계획되어 있다. 남면한 R1과 R2(R4와 R5)는 직접적으로 내랑과 연결되며, R3(R6)은 방을 통하여 진입이 가능한 구조이다.
소련식 내랑주택의 두 가지 평면유형을 분석한 결과 두 평면 모두 내랑과 계단을 중앙에 설치하고 있으며 좌우대칭으로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공간의 영역은 서로 상이한 부분(평면1은 사적공간-분산배치, 공용공간-집중배치, 평면2는 반대로 사적공간-집중배치, 공용공간-분산배치) 이 보이나, 내랑을 기점으로 사적공간과 공용공간의 영역이 남북으로 명확하게 나누어져 있다. 한편, 사적공간은 거의 변화가 없으나 공용공간은 주방과 화장실을 하나의 세트로 하는 공간 분할방식이 나타났다. 즉, 평면1의 좌우 대칭의 공용공간이 초기 모델로 제시 되었으나, 일부는 평면2와 같이 세대별로 나누어 사용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내랑이 중심에 위치하여 완전한 대칭을 이루는 소련식 내랑주택의 공간구조의 특성은 초기 내랑주택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제적이고, 더 많은 세대를 수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로 인해 남북 방향이 충분히 뚫려 있지 않아 중간에 위치한 내랑이 햇빛을 받지 못하여 어둡고 습한 단점이 있다.
3.3. 표준 내랑주택
중국은 ‘제2차 5개년 경제계획‘이 시작된1958년 마오쩌둥[毛澤東]에 의하여 제기된 ‘사회주의 건설의 총노선’ 주도하에 경제의 대약진과 인민공사(人民公社)를 설립하는 전국적인 대중운동을 전개하였으며, 이 시기를 대약진기라 한다.
대약진기(1958-1960)의 노동자신촌 건설은 소련의 주택양식을 그대로 모방하는 방식에 회의를 느끼기 시작하였고, 서서히 주택형식의 다양화를 추구하게 되었다. 표준 내랑주택은 소련식 내랑주택을 바탕으로 개선이 이루어진 주택 형식으로서, 주택 형식 및 계획에 있어서 많은 변화를 통해 다양화를 이루었다.
이 시기의 주택들은 많은 설계회사와 건설사들이 다양한 변화를 시도함으로써 자유로운 발전과정을 거쳤으며, 중국 각지의 노동자신촌 또한 마찬가지였다. 단 모든 설계가 건설로 이어진 것은 아니었으며, 평면구조 또한 과도하게 복잡한 경향을 띠었다.
표준 내랑주택에 적용된 혼합조직형 배열은 하나의 건축물에 2-3가지 주택유형을 혼합하여 형성되었으며, 풍부한 건축 공간 의 조성과 외관의 변형을 시도하였다.
상하이 지역의 노동자신촌에 적용된 주택유형 9종 중 가장 대표적인 주택유형은 3, 5, 6, 7형 주택이다. 이 주택들은 가장 합리적인 설계 형태를 띠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3형과 7형의 주택 형태가 가장 많이 채택되었다.
표준 내랑주택은 대부분 5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하이 지역 노동자신촌의 표준 내랑주택 중 3, 5형 주택의 평면은 초기에는 두 세대 당 하나의 계단을 설치하는 표준설계를 채택했지만, 실제로는 1세대가 3세대로 분할되어 결과적으로는 한 층에 6세대로 계획되었다. 각 층에는 두 개의 공용 화장실과 두 개의 공용 주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7형 주택의 평면도 계획 당시는 한 세대 당 하나의 계단을 설치하는 표준설계를 채택했지만, 실제로는 3-4세대로 분할되어 계획되었다. 각 층에는 한 개의 공용 화장실과 한 개의 공용 주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용 과청(过厅, 앞뒤에 문이 있어 통할 수 있는 대청)공간은 평면의 중앙에 위치하여 남북대칭을 이루어 사적공간과 공용공간을 하나의 영역으로 강화시켰다. 공용공간은 특정세대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내랑으로 이어져있어 서로 다른 영역의 거주자들이 내랑에서 마주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표준 내랑주택은 많은 발전과 변화를 거쳐 더 이상 직사각형 양식에 국한되지 않게 되었으며, 채광 및 통풍 측면에서 일정수준의 개선을 이루었다. 하지만 한 방에서 공동으로 장시간 거주하여 발생되는 문제나 공용 주방 및 공용 화장실 이용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 할 수 없었다.
4. 노동자신촌주택의 공간변화 요인에 관한 분석
초기 내랑주택은 노동자신촌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설계 및 건설된 것이다. 따라서 당시의 주거환경의 비해 굉장히 높은 기준을 충족하였으며, 공동생활이 이상적인 상태에 도달하게 해 주었다. 다만 당시 중국은 전쟁 직후였기에 주택부족문제가 심각한 상태였으며, 이를 해결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였으나 주택의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당시의 정세에는 초기 내랑주택의 거주환경은 적합하지 않았다.
소련식 내랑주택은 각 세대마다 하나의 방을 사용한다. 방과 방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많아서 세대간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였으며, 주택배분에 있어서도 단일화된 주택구조에 각기 다른 가족구성을 가진 가족들을 동일하게 배분하는 불공평한 상황이 나타났다.
상하이에 건설된 노동자신촌 주택은 현지의 기후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거주자의 주거만족도는 낮은 편이었다. 또한, 노동자신촌에 단체식당과 단체욕실을 건설하는 것은 노동자들의 생활방식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4.1. 국가정책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에서는 확대 재생산 과정에서 '가장 빠르게 증가 하는 것은 생산 수단을 제조하는 생산재의 생산이다. 그 다음은 소비재를 제조하는 생산재의 생산이다. 가장 느린 것은 소비재의 생산이다 [7].'라고 하였다.
1953년 일오계획 경제 시기에는 중공업이 우선적으로 발전의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정부는 중공업을 신속하게 육성하기 위해 ‘우선 생산하고, 후에 생활 한다.'는 구호를 내세우며 고도로 집중된 경제관리체계 및 행정체계를 바탕으로 사회⋅경제적 자원을 집중하여 국민 경제 전반을 움직였으며, 국민 소득의 대부분을 공업시설의 확대에 사용하였다.
신 중국 경제 발전 전략에서 도시⋅주택건설은 소비재 생산으로 정의되었다. 따라서 주택은 비생산적인 건물로써 국민경제 중에 부차적인 지위에 속하게 되었고, 이는 노동자신촌의 수준을 낮추고, 기준 또한 낮아지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주택수준의 하락은 주택부문의 투자축소, 건축자재의 간소화, 주택 면적에 치중해 주거환경을 등한시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일오계획 경제 시기의 중국은 사회주의 진영의 일원이었다. 자본주의 진영은 사회주의 진영인 중국에 정치적 고립, 경제적 제제와 군사적 봉쇄조치를 가하여, 중국이 자본주의 진영의 풍족한 자본과 선진기술을 활용한 발전을 이루지 못하게 하였다. 그러나 같은 사회주의 진영인 소련은 자본과 기술지원 등의 방식으로 중국의 경제건설을 적극적으로 도우면서, 중국의 공업화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당시의 중국은 모든 방면에서 소련의 도움이 절실했기 때문에, 먼저 서양의 디자인을 본떠 계획, 설계한 노동자 신촌을 자본주의의 산물로 규정하여 비판하였다. 이후 중국은 전면적으로 소련을 모방하는 정책을 시행하여 소련의 주택 공업화 개념을 국내에 도입하였고, 소련식 내랑주택을 전면적으로 건설하기 시작하였다.
중국의 발전은 소련을 맹목적으로 모방하면서 매우 수동적인 양상을 보였다. 이로 인한 폐해가 곳곳에서 나타남에 따라, 중국은 발전방식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되었다.
마우쩌동(毛泽东) 주석은 중앙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문예 분야에서는 백화제방(百花齐放), 학술 분야에서는 백가쟁명(百家争鸣)하는 것이 우리의 정책방향이 되어야 한다.” 고 말했다. 마오쩌동 주석이 이때 처음으로 ‘백화제방, 백가쟁명’정책(1956년 중국 공산당이 예술 발전・과학 진보와 사회주의 문화 번영의 촉진을 위해 실시한 정책)을 언급함으로서, 중국이 소련을 그대로 모방하는 단조로운 정책에서 벗어나, 중국으로 하여금 자유롭고 다양한 형태의 발전을 추구하도록 하였다.
노동자신촌 건설 측면에서도 중국은 소련의 주거형식에 대한 맹목적인 추종에서 벗어나, 중국의 정세에 부합하는 주택구역을 조성하고자 새로운 건축이론을 모색함으로써 다양한 건축이론이 발전하게 되었고, 정부에서는 ‘적합하고, 경제적이고, 아름다운’이라는 건축 지침을 제시하였다. 그리하여 주거 형식이 자유롭게 발전하는 시기를 맞이하게 됨으로써 소련식 내랑주택에서 표준 내랑주택으로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4.2. 경제적 조건
소련의 주택 규정은 9㎡/인 이었으며, 반면 중국의 주택 규정은 4㎡/인 이었다. 이 차이는 극명하지만, 생산력의 증가에 따라 주택 수준이 높아지면 상승할 여지가 있었다. 당시 소련식 내랑주택은 1세대 1실 기준으로 설계된 것이 아니었으나, 중국은 1세대 1실 배분정책을 전면적으로 시행하여 4㎡/인의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하나의 주택을 여러 세대가 함께 사용했다.
이러한 배분 정책의 영향으로 다양한 문제점들이 나타났으나 중국국민은 이러한 상황이 사회주의 건설과 함께 빠르게 바뀔 것이고, 결국에 모든 이가 높은 수준의 주택에서 살 수 있을 것이라고 믿으면서 합리적인 디자인, 불합리 사용(合理设计,不合理使用)'이라는 기조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각 세대가 사용하는 방과 방이 서로 연결되어 세대 간의 사생활 문제 등이 부각되어 일상생활에서의 큰 불편을 느끼기 시작하였다. 중국은 분배정책을 그대로 유지하며 나라의 형편에 맞게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각 실들이 직접 연결되는 형식을 최대한 배제하며, 방과 내랑이 연결되게 하여 주민들 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
4.3. 기후환경
소련식 내랑주택은 대부분 장방형의 형태로 구성된 평면으로, 대칭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평면 구조는 남쪽과 북쪽이 서로 뚫려있지 않아 중앙부분에 위치한 내랑 또한 일 년 내내 햇빛을 받지 못하는 그리고 환기에 부적합한 계획이었다. 즉, 소련의 한랭 기후에 적합한 주거 양식이었으며, 상하이의 고온 다습한 기후 환경에는 결코 적합하지 않았다.
소련식 내랑주택을 개선함에 있어 최우선적으로 지역이 가지고 있는 환경적 조건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의 개선이 필요하였다. 먼저, 전체 평면을 보면, 남쪽에 과청이 생겨나게 되었고, 이를 북쪽의 계단과 연결되게 함으로써 환기가 잘되도록 개선이 이루어졌다. 또한, 내랑과 연결된 공용발코니를 설치함으로 인해 내장형이었던 발코니를 외장형으로 개조하여 환기에 용의 하도록 계획되었다.
4.4. 생활방식
노동자신촌의 생활주체는 노동자들이다. 노동자들은 일반적으로 주변 농촌에서 상하이로 이주하였는데, 인구구조는 핵가족이 확대가족보다 훨씬 많았다. 이는 노동자신촌의 공용제와 복지제의 존재가 중국의 세대구조의 변화를 초래한 주된 원인이었기 때문이다. 단위(單位, 중국의 도시지역 주민들이 소속된 개별 직장)는 소속된 내부 노동자에게만 주택을 배분하면 되었다. 즉, 국가는 직원 가족의 다른 구성원을 위해 주택을 공급할 의무가 없었기 때문에 노동자 신촌의 소규모 주택에 적합한 규모로 핵가족화가 진행되었다.
이런 세대구조의 변화는 노동자신촌 건설초기에 이미 나타났지만, 당시에는 우선적으로 서양의 설계이념을 받아들여 초기 내랑주택을 건설하였고, 다음에는 소련식 내랑주택을 그대로 모방하였기 때문에 당시의 국가형편과 세대 구조의 변화를 고려하지 못하였다. 이후 주거형태가 자유롭게 발전되는 시기에 와서야, 중국은 국가형편과 세대구조의 변화를 고려하여 방의 크기를 계획할 수 있게 되었다.
인민공사는 단체생활을 중요시하여 노동자신촌 내부에 공용식당과 공용목욕탕을 건설하였다. 공용식당이 생기면서 이전에 건설한 주택에서 절반가량의 주방이 유휴 상태가 되었다. 화장실의 경우, 공용목욕탕의 건설로 인해 샤워 및 목욕 기능이 분리되면서 가구 별 화장실 면적이 축소되었다.
초기 내랑주택과 소련식 내랑주택은 모두 내랑주택의 형식이었으나, 소련식 내랑주택은 초기 내랑주택 양식을 개량한 것이 아닌, 완전히 다른 양식으로서 상당히 큰 차이가 있다. 중국은 초기 내랑주택 양식을 거부한 후 새로운 소련식 주택을 건설하였다. 다시 말해, 초기 내랑주택양식에서 소련식 내랑주택양식으로의 변천과정은 정치와 경제의 이중영향 아래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소련식 내랑주택이 표준 내랑주택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소련식 내랑주택이 현지 기후환경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백화제방, 백가쟁명’ 국가정책의 출현으로 인해 주택의 개선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국정에 맞는 ‘적합하고, 경제적인’ 건설지침아래 주택의 개선이 진행되었으며 사람들의 공간에 대한 수요와 가정구조의 변화 등 생활방식과 관련된 문제들이 고려되었다.
이로 인해 표준 내랑주택의 건설은 기후환경, 국가정책, 경제조건과 생활방식이라는 4가지 측면에서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5. 결론
본 논문에서는 노동자신촌주택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 그 변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1951-1961년 중국의 상하이 노동자신촌주택의 주요 변화 요인은 1.국가정책, 2.경제적 조건, 3.생활방식, 4.기후환경, 5.문화풍습으로 정리된다.
다음으로 상하이 지역의 노동자신촌주택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기별로 구분하여 각기 다른 유형의 주택공간의 특성에 대해 체계적인 분석을 토대로 정리 작업을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하이 지역의 노동자신촌은 각 세대가 사용하는 독립된 방과 주방, 화장실을 공용으로 사용하는 주택 모델을 확립했다. 이러한 공용주택 모델은 노동자신촌의 주요 특징이 되었다.
노동자신촌주택의 유형은 시기에 따라 초기 내랑주택, 소련식 내랑주택 그리고 표준 내랑주택으로 변화하여 왔다.
초기 내랑주택의 공용공간의 영역은 통합된 하나의 영역으로 모든 세대가 함께 사용하였다. 소련식 내랑주택에서도 공용공간의 영역을 모든 세대가 함께 사용하였으나, 공용공간의 영역을 분할하여 일부 세대별로 나누어 사용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후 표준 내랑주택에서는 공용공간의 영역이 특정되어 각 세대가 속한 영역의 공용공간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의 노동자신촌주택의 공간적 특성을 기반으로 변화요인을 분석한 결과 국가정책, 경제적 조건, 기후환경 그리고 생활 방식으로 정리된다.
첫째, 무산계급 독재정치 시대의 노동자신촌은 일시적으로 자유로운 발전을 할 수 없었고 반드시 국가의 정책적인 지도하에 진행되어야 했다. 이 10년 동안 정치와 경제는 뗄 수 없는 관계에 놓여 있었으며 상호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초기 내랑주택의 결함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것은 노동자신촌주택의 변천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였다. 소련식 내랑주택의 건설은 상하이의 기후환경과 맞지 않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개선 작업을 통하여 상하이 지역에 적합한 표준 내랑주택을 형성하였다.
셋째, 노동자신촌의 건설은 공장 노동자를 위한 복지주택에서 비롯되었다. 공업화는 노동자 가족 구조를 변화하게 하였고, 가족 구조는 노동자신촌주택의 면적 변화에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주택의 발전과 생활방식의 변화 또한 상호관련이 있는데 이는 사람들의 가족구조적인 면의 변화에서 잘 드러난다.
노동자신촌주택은 당시 중국의 사회주의를 대표하는 요소 중 하나였으며, 이러한 연구는 앞으로 중국의 복지주택 연구에 유익한 참고가 되길 바란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2017년도 광운대학교 교내연구비의 지원으로 이루어졌습니다.
References
- Xiang, Xuan, The research of workers community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outdoor environment in Jiangsu, Zhejiang, and Shanghai from 1949 to 1978, (2011, Mar), p1.
- Xiong, Yan, Study on the Typology of Urban Aggregates in China (1949 ~ 2008) - A Case Study of Urban Aggregation in Beijing [D], Huazh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0), p4.
- Guo, Shaoyu, New Village Research, "trendy" two volumes one, p1.
- Zhao, Hong, The spread of villageism in China and its influence [J] , Guizhou Teachers College, (1992), p3.
- Xiang, Xuan, The research of workers community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outdoor environment in Jiangsu, Zhejiang, and Shanghai from 1949 to 1978-research based on spatial form and form characteristics, (2011, Mar), p3.
- 丁, 桂杰, 工人新村:“永远的幸福生活——解读上海20世纪50,60年代的工人新村, 박사 학위 논문, p108.
- Marx, theory of prioritize growth of means of production
-
Pan, Feiyang, “중국의 농촌 주택공간과 생활방식 변화의 관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하교, 석사 학위논문, (2014, Feb).
Pan, Feiya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 of Space and Lifestyle in Rural Residences in China, Central University, Master Thesis, (2014, Feb). -
Xiong, Yan, “중국 도시별 주택 유형 분류 연구”, 화중과기대학교, 박사 학위논문(熊燕,中国城市集合住宅类型学研究,华中科技大学,博士学位论文).
Xiong, Yan, The Research on the Typology of Chinese Urban Collective Houses, (2010, May). -
Xi, Xi, “시안 지역 도시 주민 생활 방식과 주택 공간 형태 변화 연구”, 장안 대학교, (2013, Jun), (郗茜,西安地区城市居民生活方式与住宅空间形态演变研究,长安大学,硕士学位论文, 2013.6).
Xi, Xi, Evolution and research of urban residents life style and residential space form in Xi' an, (2013, Jun). -
Chen, zhihua, 건축과 사회생활-<북창집(北窗集)>, 북경, 중국 건축 출판사, (1986).
Chen, zhihua, Architecture and social life《North window set》, Beijing, Chinese architecture press, (1986). -
Li, Yun, 노동자 신촌과 사회주의 도시 상상- <상하이의 아침> 부터도시 경관 이야기, 북경 대학원 학회, (2006), (李芸, 工人新村与社会主义城市想象-从《上海的早晨》中的城市景观谈起,北京大学研究生学志,2006).
Li, Yun, Workers 'Village and Imagination of Socialist City -Talk about the urban landscape in 《Shanghai Morning》, Beijing University Postgraduate Study magazine, (2006). - John M Levi, THE PLANNING OF THE MODERN CITY, China Renmin University Press, (2003).
-
Wang, Dingzeng, 상하이시 주택 계획과 설계의 품질 표준에 관한 문제를 토론, 건축 학보, (1959), (汪定曾,关于上海市住宅区规划设计和住宅设计质量标准问题的探讨,建筑学报,1959).
Wang, Dingzeng, Discussion on the Planning Design and Residential Design Quality Standard of Residential District in Shanghai, Architecture Journal, (1959). - Lu, junhua, Peter G Rowe, Zhang jie, Modern Urban Housing in CHINA,(1840-2000), (2005).
- 장굉 (张闳), 상하이: 기억과 환상의 도시(上海:记忆与幻想之都), 중국 동제 대학교, (2005).
-
중국 기상 정보망 (中国气象数据网) // China Meteorological Data Network, 2017
China Meteorological Data Network, (2017). -
Ding, Guijie, 노동자신촌: '영원히 행복한 삶', 동제 대학, (2007), (丁桂杰,工人新村:“永远的幸福生活”,同济大学,2007).
Ding, Guijie, The New estate for workers: "always happy life", Tongji University, (2007). -
상하이 주택 건설지(上海住宅建设志) // Shanghai residential construction Chi, 2017
Shanghai residential construction Chi, (2017). -
Li, xiaoyu, 주거학 이론에 근거한 도시 주택형 설계 및 진화 연구, 하북공업대학교, (2012), (李晓宇,基于住居学理论的城市住宅户型设计与演进研究,河北工业大学,2012).
Li, xiaoyu, Study on Design and Evolution of Urban Residential Units Based on Residence Theory, Hebei University of Technology, (2012). - 부천 (傅晨), 사하이 조양 신촌 조사 연구 및 문화 인류학 사고(上海曹杨新村调查研究以及文化人类学思考), 중국 동제 대학교, (2004).
- 어일범(于一凡), 도시 거주 형태학(城市居住形态学), 중국 동제 대학교, (2010).
- 부강(付强), 건국 후 정주시(郑州) 도시 집합 주택 연구(建国后郑州市城市集合住宅研究), 중국 정주 대학교(郑州大学),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