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Responses of New Han-ok Inhabitants through Questionnaire
Recently, New Han-ok is in prevail because it has many good qualities as a dwelling. But the New Han-ok dwellers' needs and satisfaction ratio on their houses are not investigated yet. So, surveys on satisfaction ratio for New Han-ok were carried out to know New Han-ok's existing conditions and inhabitant's responses on New Han-ok dwellings. Followings are results.
1) Dwellers response that it is cool in summer and it is cold in winter. So,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 against cold is needed for New Han-ok.
2) Window is the most picking element of New Han-ok for house improvement.
3) Window opening is main control method for cooling in summer. Warming sources in winter are various such as electricity, gas, oil, wood, etc.
4) PVC window structure and glasses were used for New Han-ok's window system as well as wooden window structure and Han-gi.
5) Interviewee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New Han-ok's exterior view and inner spaces. Almost no humidifier is used.
These results could be used for improvement of Han-ok and basic material for New Han-ok design
Keywords:
New Han-ok, Window system, Improvement of window system, Cooling and Heating, Cold, 신한옥, 창호, 창호시스템 개선, 난방, 냉방, 추위1. 서 론
콘크리트 건물에서 발생하는 새집증후군 및 기타 건강상 부작용에 대한 반작용 등으로 친환경적이고 건강상 장점이 다양한 한옥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대되고 있다. 한옥은 우리나라 고유의 주거형태로서 자연조건에 순응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져 건강상, 친환경상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으며 그 내용은 많은 연구를 통해 밝혀져 왔다.
한옥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좀더 값싸고 대중적으로 보급할 수 있는 한옥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한옥을 전통한옥과 구별하여 신한옥이라 부르고 있다. 신한옥은 건축비를 낮추어 대중화 보급화를 꾀하기 위해 표준화 모듈화를 하고 현대적 설비와 기술을 전통한옥 양식에 접목시켜 조성한 건축물로 정의할 수 있겠다. 신한옥은 유리창호 및 벽돌 등의 현대적 부재를 전통한옥 양식에 적용하고 건축비가 전통한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함은 물론 유지보수상, 생활상 편리함 등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신한옥에 대한 건축수요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각 지자체에서는 신한옥 활성화를 위해 신한옥 건축지원금을 지원하는 등 여러 가지 방안으로 독려를 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특히 전라남도에서는 이러한 신한옥의 보급이 매우 활성화 되어 이미 700여채가 조성되었으며 근간에 시공되고 있는 것을 포함하면 조만간 1,500채 이상이 조성될 계획이다.
그런데 이와같이 신한옥이 활발하게 각 지자체별로 조성되고 있으나 신한옥 거주자 만족도 조사는 아직 미비하다. 신한옥 거주자 만족도 조사는 앞으로 계속될 신한옥 조성에 있어 개선점 파악 등에 대한 근거자료 확보라는 측면에서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연구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한옥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통해 현재 조성된 신한옥의 개선점과 미비점 등을 실제 거주민의 반응을 통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이 결과는 차후 계획 및 시공되는 신한옥 개선의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등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연구의 범위는 신한옥 주거가 활성화된 전라남도 행복마을 중 영암, 담양, 곡성의 세 군데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방법은 주거만족도를 묻는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신한옥 주거전반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앞서도 밝혔듯이, 차후 계획 및 건설되는 신한옥 주거 조성에 있어 구성부재별 개선요구와 구성요소의 요구성능 및 기준 등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2. 조사 내용
조사는 전라남도 소재 행복마을인 영암군 군서면 일대행복마을, 담양군 무월행복마을, 곡성군 금의행복마을 세곳을 대상으로 하였다. 개요는 아래와 같다.
1) 조사대상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일대
: 전라남도 담양군 무월마을
: 전라남도 곡성군 금의마을
2) 설문조사 기간 : 2012. 10.27(영암), 2012. 12.8(담양),
2013. 1. 12(곡성)
3) 설문조사 방법 : 신한옥 방문조사. 1:1 면담조사
4) 설문 세대수 : 영암-20세대, 담양-15세대, 곡성-12세대
다만, 지역간 조사시기의 불일치로 인해 동절기 난방 여부에 따른 거주자 응답에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영암군 군서면 행복마을은 평지에 조성되어 있으며 시골지역이어서 마을 통과 교통량은 많지 않았다. “ㅡ자형” 가 옥이 대부분이었으며 외벽은 회벽마감이 주종을 이루고 있었다.
조사지역 신한옥의 정면과 평면도를 사진과 도면으로 첨부하였다. 조사대상 가호별로 평면과 입면은 획일화되어 있지 않고 거주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가호별로 그 형태가 다양하였다. 본 논문에 기재된 사진과 도면은 신한옥으로 조성된 가옥의 입면과 평면의 예시이다.
담양 무월마을은 비탈진 산사면을 절개하여 조성되어 70% 이상이 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을은 교통 통과량이 많지 않은 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건축물은 “ㄱ자형”이 많았으며 마루가 노출되어 있는 가옥이 많았으며. 외벽체는 회벽마감이 많았다.
곡성 금의마을은 평지에 조성되어 있으며 “ㅡ자형” 평면이 많았고 외벽은 거의 대부분 황토벽돌 마감으로 되어 있었다 방범상의 문제 등으로 마루는 대부분 노출되지 않은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응답자 및 벽체, 창호 등에 대한 조사대상 신한옥의 일반특성은 <표 1>과 같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은 응답자의 나이, 성별 등을 묻는 “1. 일반사항”과 내외부 환경요소에 대한 반응정도를 물어보는 “2. 내외부 환경요소에 대한 반응 실태조사”, 여름 및 겨울철 신한옥의 냉난방 방법과 비용 등에 관한 “3. 냉난방요소 실태조사”, 신한옥의 각 부재에 대한 만족 및 개선 요구에 관한 물음을 하는 “4. 신한옥 부재요소에 대한 반응실태조사”와 신한옥 전반에 대한 문제사항 및 개선사항을 묻는 “5. 신한옥 전반에 대한 개선의사 조사”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신한옥의 내외부 환경요소, 냉난방요소, 부재요소의 결정에 대한 과정과 절차 및 방법에 관한 사항은 본 조사연구에서는 실시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3. 조사결과 및 분석
3.1 응답자 및 신한옥 특성
<표 1>은 응답자의 일반속성 및 조사대상 신한옥의 특성을 정리한 것이다.
조사대상 주민의 연령층을 살펴보면 담양, 영암 지역의 경우 50대~60대가 많고 영암의 경우 70대 이상이 50%정도로 나타났다. 반면에 곡성지역은 상대적으로 젊은 40대~50대가 많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신한옥 거주민의 거주기간은 2년 이상 4년 이내가 가장 많고 신한옥의 형태로는 남부지방이기 때문에 “-자형”과 “ㄱ 자형” 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신한옥 평형별 구성비를 살펴보면, 담양의 경우는 20평형 후반대가 많은데 이는 담양 신한옥 조성단지가 산비탈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평지에 조성된 다른 행복마을에 비해상대적으로 그 평형이 작게 조성된 것으로 짐작된다. 평지에 조성된 영암과 곡성의 경우에는 30평형 초중반대가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난방 열원을 살펴보면 영암의 경우는 전기난방이 60%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담양의 경우는 기름이 46%정도로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목재도 13%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곡성의 경우는 목재가 거의 60%에 육박하고 연탄 등 복합적인 방법으로 난방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마을별로 난방열원에 다소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있다.
신한옥 내외창 창틀의 구성재별 구성비를 보면, 외부 PVC창 내부 목재창 혹은 외부 목재창 내부 PVC창호의 구성이 많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가공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한 PVC창틀을 채용하고 한옥의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목재창을 조합한 결과로서 이와같은 조합이 대표적인 창틀의 조합으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개폐방법은 미서기+미서기, 여닫이+미서기의 구성이 거의 반반이었으며 내 외창 구성재는 유리+유리, 유리+창호지, 창호지+유리, 창호지+창호지 등이 지역별로 거주자의 선호에 따라 구성되어져 있다. 여기에서도 현대적 재료인 유리에 전통적 요소를 가지고 있는 창호지를 채용한 경우가 많았으며 유지보수가 편리한 유리만을 채용한 경우와 창호지만을 채용한 경우도 있어 역시 거주자의 선호에 따라 채택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3.2 내외부 환경요소에 대한 반응조사 분석
내 외부 환경요소에 대한 반응조사는 신한옥 내외부 음환경과 내외부 열환경에 대한 거주민의 반응을 파악하고자 조사하였다.
외부소음에 대한 거주민 반응은 <그림 1>과 같다. “조용하다”와 “매우 조용하다”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외부 소음에 대한 거주민의 반응은 조용한 편으로 거주민 모두가 만족하는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행복마을의 입지 자체가 도로교통 소음이 거의 없었으며 배경소음 레벨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
<그림 2>는 내부 발생소음에 대한 거주민 반응 즉 실 내부 각 실간의 소음정도 조사한 것으로 “조용하다”가 가장많아 조사대상이 거의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한옥이 대부분 단일가구로서, 공동주택에서의 이웃집이나 타인이 내는 소리에 대한 민감함 보다는 단독주택에서 가족중심의 구성원들이 내는 소음이기에 어느 정도의 소음은 서로 이해하는 정도가 크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그림 3>은 여름철 외부날씨에 대한 반응을 조사한 내용으로서 “더운편이다” 가 가장 많아 세지역 모두 여름철은 덥게 느끼고 있으며 <그림 4>는 겨울철 외부날씨에 대한 반응으로 “매우 추운편이다” 와 “추운편이다”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겨울철에는 거주민이 대부분 춥다고 느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 기후 특성인 여름철 고온다습과 겨울철 저온건조의 양상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림 5>는 여름철 내부 환경에 대한 거주민의 반응으로 3지역 모두 “선선하다” 응답한 자가 가장 많아 여름철에는 신한옥 주거가 선선함을 알 수 있다.
이는 한옥의 특성인 지붕과 처마 그리고 흙벽 및 통풍 등으로 여름철에 신한옥에서는 상대적으로 시원한 느낌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6>은 겨울철에 실 내부에서의 열환경에 대한 반응이다. 담양과 영암에서는 “춥다”라고 응답한 거주민이 많아 대부분이 겨울철 실내가 춥다라고 느끼고 있는데 반하여 곡성에서는“ 따뜻하다”고 느끼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한옥 및 기존 신한옥의 큰 단점은 겨울추위로 알려져 있는데 곡성의 경우는 따뜻하게 느끼는 비율이 매우높게 나타남은 주목할 만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곡성의 경우 벽체 구성이 “황토벽돌+단열재+황토벽돌”로서 다른 지역과 상이하고 난방열원이 목재보일러 및 연탄 등의 복합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벽체 단열성의 측면과 난방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목재연료를 사용하기에 보일러 가동시간이 늘어 다른 지역에 비해 더 따뜻한 것으로 거주민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짐작된다. 이에 대한 사항은 좀더 심도있는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3 신한옥 냉난방 요소 실태조사 분석
본 조사는 신한옥의 냉난방 요소 실태 조사 분석으로서 냉난방 방법과 그 비용정도 그리고 기타 전기장판류와 가습기의 사용여부 조사를 통해 신한옥 거주민의 열환경 조절수법 및 비용부담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림 7>은 여름철 냉방방법이다. 창문개방으로 대부분 냉방을 하고 있으며 에어컨과 선풍기의 사용 비율은 매우미미하다고 할 수 있다. 여름철 선선하게 느끼고 있는 것과 상응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림 8>은 여름철 냉방비용에 대한 비용 부담 정도를 조사한 내용으로 “전혀 부담되지 않는다” “그다지 부담되지 않는다”가 가장 높게 나타나, 여름철 냉방비용은 거의부담이 안 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선풍기 및 에어컨의 사용빈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비용적 부담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9>는 겨울철 난방 방법을 조사한 결과 각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다. 영암의 경우 전기사용 난방방법이 가장 많고 담양의 경우 기름보일러 사용이 많으며, 곡성의 경우 목재사용이 60% 이상 사용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곡성에서는 거주민이 직접 조달이 가능한 목재를 사용하는 것이 타 지역보다 특이한 점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난방비에 대한 부담이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10>은 겨울철 난방 빈도수를 조사한 자료로 “자주”이 가장 많고 지역별로 큰 차이가 없어 난방 가동을 자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11>은 겨울철 난방비용에 대한 부담 금액을 조사한 결과이다. 영암과 담양의 경우 20만~30만원 정도가 소요되며, 곡성의 경우 15만원~20만원으로 상대적으로 난방비용이 적게 부담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곡성의 거주민들은 기름이나 심야전기보다는 저렴한 목재연료 및 연탄 등의 복합적인 난방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난방비가 적게 들기 때문에 난방의 강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겨울철 추위에 대한 호소도 적었다.
<그림 12>는 “겨울철 난방비용의 부담정도”를 조사한 것으로 영암의 경우 “많이 부담된다”가 60%로 높게 조사되었다. 그 이유는 영암의 경우 조사대상 연령층이 높기 때문에 소득정도가 낮아 연료를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반면 곡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부담되지 않는다”가 높게 나타나는 이유는 연료비용이 저렴한 목재연료를 사용하고 거주민의 연령이 40~50대로서 소득 수준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높을 개연성이 크기 때문에 연료비 부담이 적게 드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13>은 “겨울철 전기매트류 사용여부”의 조사결과이다. 전기매트류는 추위대비 및 난방비가 부담이 되는 경우에 사용하기 때문에 난방비가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한 곡성의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높고 난방비가 부담이 되었던 영암은 사용하는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림 14>는 가습기 사용여부를 조사한 결과이다. 가습기는 겨울철 습도조절을 위해 사용하는데, 행복마을 세곳 모두 대부분 “사용하지 않는다”라고 답하였다. 이는 신한옥의 실내가 조습작용이 양호하기 때문이다.
3.4 신한옥 부재요소에 대한 반응조사 분석
신한옥 부재요소에 대한 반응조사 분석은 신한옥 외관이나 공간 중에서 “마음에 드는 부위”와 “마음에 안 드는 부위”를 파악하여 차후 설계 등의 기초자료로 삼기위해 조사하였으며, 신한옥 거주에 있어서 “편리한 점”과 “불편한 점” 신한옥의 여름철 및 겨울철에 “개선을 위한 고려요소”는 신한옥의 개선사항 도출을 위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림 15>는 신한옥 외관 구성요소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부위를 “지붕”으로 답한 응답자가 가장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거주민들이 한옥 특유의 지붕양식 곡선미를 좋아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16>은 신한옥 외관 중 마음에 안 드는 부위를 조사한 자료로, 마음에 안 드는 부위가 “없다”라고 답한 응답자가 대부분이며 신 한옥의 외관에 대부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17>은 신한옥의 공간요소 중에서 마음에 드는 부위를 설문조사한 결과 “거실”과 “마당”으로 응답한 비율이많았다.
<그림 18>은 신한옥 공간 중 가장 마음에 들지 않는 부위로는 기타 혹은 없음이 차지하여 신한옥 공간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그림 19>, <그림 20>에서, 신한옥 거주에 있어 가장 편리한 점으로 “여름에 시원하다”가 평균 95%이며 불편한 점은 “겨울에 춥다”가 가장 높은 비율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신한옥에서는 추위에 대한 대책을 세우는 것이 급선무라고 할 수 있다. 추위가 해결된 이후에는 방범 및 안전에 관한 사항이 가장 불편한 것으로 조사되어 이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하는 것도 필요하다 하겠다.
<그림 21>, <그림 22>에서 여름철과 겨울철에 신한옥의 구성요소 중 개선을 위한 고려 요소에서 “창문”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여름철 더위에 대하여 좀더 개방적인 창호와 겨울철 추위에 대하여 좀 더 기밀하고 열관류율이 높은 창호를 요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다른주거 형태로의 이사 의향”을 조사한 결과 담양과 영암은 대부분 “없다”라고 응답한 반면 곡성에서는 “있다”가 45%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곡성의 응답자 연령층이 젊고 다른 지역은 대부분 연로한 거주자가 응답하였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4. 결 론
최근 건축수요가 늘기 시작한 신한옥에 대한 거주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외부 열환경에 대하여는 여름에는 덥고 겨울에는 춥다고 반응하였으며 내부 열환경에 대해서는 여름에는 선선하고 겨울에는 춥다고 응답한 비율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신한옥 설계 및 시공시 추위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곡성의 경우에는 따뜻하게 느끼는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남은 주목할 만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추가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2) 신한옥 부재요소 중 “창문”에 대한 개선요구가 다른 부재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다. 여름에는 좀더 개방적이고 겨울에는 좀더 밀실하고 열관류율이 높은 창호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3) 여름철 냉방은 창문개방으로 대부분 조절하였고 겨울철 난방은 전기, 가스, 기름, 목재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목재와 연탄 등 기타방법의 비율이 높았던 곡성의 경우, 난방비에 대한 부담정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4) 신한옥 내외창 창틀의 구성은 현대적 요소인 PVC창틀과 유리가 채용되었으며 목재틀과 창호지 창도 전통적 요소확보를 위해 채택된 것으로 판단된다..
5) 내외부소음에 대하여 조용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신한옥 내외관에 대해서도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6) 신한옥은 30평형 초중반대가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전기난방, 기름, 목재 및 연탄 등 다양한 방법으로 난방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세지역 모두 가습기는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차후 신한옥 조성에 있어 개선의 근거자료와 설계시 기본고려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국토해양부 첨단도시개발사업의 연구지원비 (10첨단도시 B01)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 민정 송, 길수 장, “실내 환경조절 기기에 대한 거주자 의식 실태조사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2007, Oct), 7(5(통권 27호)).
- 민정 송, 득염 천, 선우 김,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습도 변화 비교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2001, Dec), 1(2(통권 2호)).
- 경회 이, “자연환경조절측면에서 본 한국전통주택의 환경특성”, 대한건축학회지, (1986, May), 30(3).
- 상훈 임 외 3, “생태건축에 있어서 흙건축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01, Dec).
- 장열 손 외 1인, “우리나라 전통주거의 환경공학적 특성”, 대한건축학회지, (1986, May), 30(3).
- 상우 이 외 9인, “건축환경계획론”, 태림문화사, (1996, Mar).
- 윤성 박, “건축계획원론”, 문운당, (1991),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