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Vol. 18, No. 5


[ Article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 Vol. 18, No. 5, pp. 5-12
Abbreviation: J. Korea Inst. Ecol. Archit. And Environ.
ISSN: 2288-968X (Print) 2288-969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18
Received 04 Sep 2018 Revised 15 Oct 2018 Accepted 20 Oct 2018
DOI: https://doi.org/10.12813/kieae.2018.18.5.005

학교시설 개방에 따른 공간 체계 및 문제점 분석 : 2017년 서울시 우수사례 학교시설을 중심으로
이지예* ; 김영훈**

Problems Analysis of Spatial System and in Opening School Facilities : Focusing on the School Facilities of Excellent Case in Seoul in 2017
Lee, Ji-Ye* ; Kim, Young-Hoon**
*Main author, Dept. of Architecture, Daejin Univ., South Korea (ljy9149@naver.com)
**Corresponding author, Dept. of Architecture, Daejin Univ., South Korea (kymyh@daejin.ac.kr)

@ 2018 KIEAE Journal

Abstract
Purpose:

The open and Composite of school faciliti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by providing resources and space for each other by combining community and school, It is also emphasized in the current 2015 revision curriculum. However, laws, regulations, and guidelines are not clearly marked for students' safety concerns that are derived from the influx of outsiders into school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roblems and solu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operating system and spatial analysis of the five schools selected as excellent schools in 2017 in Seoul.

Method:

School Facilities Review the previous research on Open and Composite to understand recent trends and problems. And investigate the validity and rationale of the research by examining related laws, regulations, and guidelines. Then, as of 2017, five excellent schools in Seoul will be analyzed as an example of operational plans and spaces, and problems and solutions will be derived. Finally, we will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focusing on solutions.

Resul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inks between the curriculum detailed operation plan and the community linkage are the main points for school composite facility. This satisfies the lack of school facilities through the community and satisfies the lack of communities as school facilities. Second, the overlapping of copper wire can be solved by separating the building of separate batch, the single copper wire, and the layer where the main room is placed in the lower layer.


Keywords: School Facilities, Open, Composite
키워드: 학교시설, 개방, 복합화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국내 학교시설은 1990년대에 들어서 비로소 OECD기준에 적합한 수준이 되었으며 1997년 7차 교육과정의 시작과 함께 지역사회 커뮤니티 공간으로써의 역할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학교시설은 보편적으로 공공시설이기 때문에 개방 및 복합화1)는 해당 지역 주민들의 커뮤니티 공간이나 문화·체육·교육 등의 수요를 일정 부분 공유 및 제공할 수 있으며 일례로 현재 서울시 송파구와 경상남도 진주시, 경기도 부천시 등에서 다양하게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학교시설의 개방 및 복합화는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밀접하게 연관되었기 때문에 향후 계속적으로 그 영역을 확대해 갈 것으로 보인다.

2015년 개정 교육과정2)의 시행 평가 자료에 따르면 우수학교 시설로 선정된 학교들에서 지역사회와 연계하는 모습이 확인 되었으며, 2017년 우수사례로 선정된 학교 중 서울시에 소재한 5곳에서는 교육과정에 지역 사회의 연계 프로그램을 반영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학교시설 개방 및 복합화는 학생들의 안전을 위해 2014년부터 시행한 학생보호인력 운영 표준 가이드라인이나 학교시설 개방 시 안전에 관한 규정(제6조) 중 학생보호인력의 역할(2항 1호)에 따라 학교 내 외부인 출입을 관리하고 통제하도록 하는 규정에도 불구하고, 지역주민들의 이용시간과 학생들의 방과 후 수업시간이 겹쳐 학업에 방해가 되고 체육관, 다목적 강당 등의 사용으로 학생과 외부인의 동선이 중첩되어 안전을 위협받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는 관리 체계의 난해함과 학생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등 학교 측이 개방 및 복합화를 기피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가 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시설과 지역사회의 연계를 통한 학교시설 개방 및 복합화의 필요성과 운영체계, 공간을 분석하여 문제를 일으키는 외부적 요인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해결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학교시설을 적극 활용하여 교육은 물론,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학교시설 개방 및 복합화 방안의 기초적 연구 자료로서의 그 의미가 있다.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실제 사례 중 2017년 우수사례로 선정된 서울시 소재 우수학교를 기준으로 지역과 연계의 운영체계와 학교시설 공간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제시한 후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시설 개방 및 복합화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최근의 경향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둘째, 학교시설 개방 및 복합화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용어의 개념과 배치형태 등 이론적 분석을 하였으며 관련법과 조례, 가이드라인을 조사해 연구의 타당성 및 근거를 분석하였다.

셋째, 교육청 선정 2017년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 가운데 서울시에 소재하는 5곳의 학교시설을 중심으로 학교시설 개방 및 복합화의 대한 적용의 실 사례를 분석하여 이와 관련된 문제점에 대해 해결방안을 고찰하였다.

넷째, 분석한 결과와 해결방안을 토대로 향후 학교시설 개발 및 복합화의 대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최근 5년간 시행중인 학교시설 개방 및 복합화의 관련된 법과 조례, 가이드라인의 분석을 근거로 2017년 서울시 기준 우수사례 가운데 비교적 지역사회와의 연계 및 복합화가 양호한 학교시설 5곳으로 한정하였다. 연구의 흐름은 Fig. 1.과 같다.


Fig. 1. 
Flowchart of research

1.3. 선행연구 고찰3)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의 문화·체육·교육과 삶의 질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지역 사회가 공급할 수 있는 공간과 소요 예산은 한정적이다. 이 같은 문제의 해결책 가운데 하나로 제시된 것이 지역주민과 학교시설의 연계를 통한 학교시설 개방 및 복합화이다.

윤혜경(2000)은 초·중·고등학교의 도서관의 지역사회에 대한 개방을 연구한 논문에서 지역사회에 학교도서관을 개방하게 되면 지역주민의 측면에서는 다양한 정보를 좀 더 쉽고 빠르게 접하게 됨과 동시에 평생교육의 기회를 확보하게 되고, 학교도서관 측면에서는 도서관의 자료를 지역주민들에게 이용하게 함으로써 자료의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김사엽(2006)은 과거 학교체육시설 개방의 법적 근거를 제시하며 지역 주민과 사회의 커뮤니티 장과 공공체육시설 부족을 해결할 대안으로 평생학습의 장으로써 이용될 수 있는 학교체육시설을 제시하였으며 학교시설 개방과 복합화를 통해 삶의 질 향상과 복지 사회 건설에 더 다가가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서태인(2013)은 저출산 영향에 의한 학생 수 감소와 유휴교실의 발생, 고령화 등에 따른 평생교육시설과 국민생활 수준 향상으로 인한 교육·문화·복지·체육 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학생과 지역주민 모두를 위한 커뮤니티시설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교시설 복합화가 대두되었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복합화 시설 배치유형을 분석하여 복합화시설에 맞는 배치유형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정소연(2012)은 학교시설 개방은 긍정적이나 일본의 소학교시설정비지침, 미국과 독일의 교육법에 제정된 학교의 안전에 대한 조항을 예로 들면서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국가나 교육청 차원에서 마련된 학교보안지침이 없는 것을 지적하였다.

이 같은 선행연구는 주로 학교시설의 개방과 복합화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에 머물러 있으며 학교시설의 배치와 공간의 분석, 법에 대한 분석과 기준 설정 등 학교 안전에 대한 대안방법과 계획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기에는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학교시설 개방 시 수반되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법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운영 표준 가이드라인도 명확히 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향후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성이 있다.


2. 학교시설 개방 및 복합화 이론적 고찰
2.1. 학교시설 개방 및 복합화의 개념

학교시설 개방은 1995년에 제시된 교육개혁 방안으로 열린 교육, 평생학습사회, 지역 공동체 활성의 목적으로 제시되었다. 이후 학교시설 개방 개념이 확산되어 학교의 본래 기능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일부 공유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1998년에「고등학교 이하 각급 학교시설의 개방 및 이용에 관한 규칙」등의 제도가 제정되었다.4) 또한 2000년대 이후 제 7차 교육과정과 제 3차 교육환경개선사업의 시행과 함께 학교시설 사업 촉진법이 개정되어 학교 시설의 복합화가 진행되었으며 다양한 유형의 교육에 적합한 시설이 확충되었다.5) 학교시설 개방 및 복합화는 역사가 길지 않지만 점진적으로 관련 법률이 제정, 개정되며 학교시설의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학교시설의 개방과 복합화는 지역연계의 측면에서 지역주민을 위해 학교시설을 개방한다는 목적은 같지만 개념에서 차이가 있다. 개방은 학교 건물의 일부분을 공유하는 것이며, 복합화는 학교 부지 내에서 별도의 공간을 지역사회의 시설로 내어주거나 지역사회의 시설 및 자원 등을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개방과 복합화의 개념을 정리한 내용은 Table 1.6)과 같다.

Table 1. 
School facilities open and composite
School open facility School composite facility

학교부지 내 부속으로 활용하는 복합화의 경우 일반적으로 학교 건축물 안의 공존해 있는 일체형과 외부에 있으며 학교건축물과 브리지 등의 연결로 이어지는 별동연결형, 학교부지 내 학교건축물과 별도의 실을 가지고 있는 별동형의 배치형태를 보이고 있다. 다음 내용을 정리하면 Fig. 2.7)와 같다.


Fig. 2. 
School facilities composite type arrangement type

2.2. 관련법에 대한 고찰

「초·중등 교육법」제 11조에 의하면, 모든 국민은 학교교육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학교시설의 출입이 가능하며, 학교 측은 「서울특별시교육청 평생교육 활성화 조례」의 제 16조에 의거하여 학교개방에 노력하도록 규정하고 있다.8) 「서울특별시립학교 시설의 개방 및 이용에 관한 조례」 제 8조에 따르면, 학교시설의 개방 여부는 학교장의 결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학교장이 개방을 허락한 경우 해당시설의 관리·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해야한다.

또한 「평생교육법」제 29조에 제 3항에는 제 2항에 의거하여 학교의 평생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각 급 학교의 교실·도서관·체육관 및 그 밖의 시설을 활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는 학교 시설의 개방과 복합화에 대한 법적 근거뿐만 아니라 학교의 공간 활용과 다양한 프로그램이 결합되는 지역주민들의 평생교육과의 연계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학교시설 개방 및 복합화가 시행될 경우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은 학생들 안전의 위협이며, 이는 학생과 이용 시민 간의 동선의 중첩과 명확하지 않은 공간 구분 등의 이유로 발생한다.9)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서울특별시 학교보안관 운영 및 지원 등에 관한 조례」와 「학생보호 및 학교안전 표준 가이드라인」등에서는 주로 학생들의 안전을 위한 외부인 출입 관리 및 통제와 학생들의 안전 지도 그리고 학교 내 외부인 출입 관리 및 통제, 지도에 대한 업무 역할이 제시되어 있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초·중등교육법과 관련 조례, 가이드라인을 통해 학교시설 개방 및 복합화에 대한 법적 근거와 학생들 안전 관리에 대한 조항 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able 2.)10).

Table 2. 
School facilities open and composite related laws and guidelines
Legislation and guideline Article Contents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2017.06.22.)
Under article 11
(Use of school facilities)
• All citizens can use the facilities of the national school in accordance with the decision of the head of the school, facilities of public and private schools can be used as specified by the education rules of city and provinc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activation ordinance
(2016.12.29)
Under article 16
(Lifelong education at school)
• In accordance with Article 29 of the Act, the head of the school shall endeavor to revitalize the lifelong education of the school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 Those who are entrusted with the education or lifelong education of the school that directly conducts the lifelong education of the school shall be entitled to insurance or deduction business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of article 15 (1) so that the user may be entitled to compensation in case of life or personal injury shall.
• When the head of school is entrusted to the private sector and conducts lifelong education,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school facilities and the collection of the fee for use shall be in accordance with the 「Ordinance on the Open and Use of Seoul Metropolitan Facilities」.
• The superintendent or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shall support the lifelong education of the school.
School protection and school safety standards guidelines.
(2014.01.31)
Under article 6
(The role of student protection workers)
• Student protection personnel who have signed a labor contract are those who assist teachers with school safety activities related to student life guidance. The role of the head of the school is given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chool by referring to the roles of the following items.
  1. Access control and control outside the school
  2. On-site CCTV monitoring
  3. Commuting to school guidance and traffic safety guidance
  4. Go around school and suburban areas in vulnerable areas
  5. Other school safety-related tasks designated by the head of the school
Regulations on school sheriff management and support in seoul
(2017.12.01)
Under article 8
(The role of the school sheriff)
• The school sheriff is a person who assists the school safety work of teachers related to student life guidance. the role of the head of the school is given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chool by referring to the roles of the following items.
  1. Access control and control outside the school
  2. On-site CCTV monitoring
  3. Commuting to school guidance and traffic safety guidance
  4. Go around school and suburban areas in vulnerable areas
  5. Other school safety-related tasks designated by the head of the school


3. 학교시설 개방 및 복합화 사례 분석
3.1. 사례분석 대상 선정 근거 및 개요

서울시는 2017년 교육과정 평가항목 가운데 하나인 지역사회연계 항목에서 지역사회의 시설 이용과 학교시설 공유, 지역사회와의 프로그램 등 다양한 형태로 연계하고 있는 우수학교 5곳을 선발한 바 있다. 선발된 5곳은 양재고등학교, 서울방송고등학교, 미양고등학교, 도봉고등학교, 강일고등학교이며 모두 공립학교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학교들의 교육과정은 물론 지역연계라는 측면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점에 착목하여 학교시설 개방과 지역연계 특징을 살펴보기 위한 대표사례로 선정하였다. 대표 사례 5곳의 개요 및 운영체계는 다음 Table 3.11)과 같다.

Table 3. 
2015 Revised curriculum standard 100 curriculum outstanding school classification
Division Yangjae Seoul Broadcasting Miyang Dobohg Gangil
Representative picture
Established Year 1990.01.20 1991.10.30 2009.03.01 2003.12.30 2010.03.01
Address 9, Nambusunhwan-ro 346-gil, Seocho-gu 131, Dongho-ro 5-gil, Seongdong-gu 39, Insubong-ro, Gangbuk-gu 27, Dobongsan-gil, Dobong-gu 40, Arisu-ro 98-gil, Gangdong-gu
Total floor area 810,552㎡ 13,672㎡ 11,494㎡ 12,893㎡ 11,110㎡
Class 39Class 22Class 21Class 27Class 29Class
Facilities Educational research and welfare facilities Educational research facilities Educational research facilities Educational research and welfare facilities Educational research facilities
A releasing device Physical training facilities, classroom Schoolyard, classroom, audiovisual room Physical training facilities, classroom, audiovisual room Physical training facilities, classroom, audiovisual room Physical training facilities, general classroom
Curriculum contents •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in conjunction with community organizations • Expanding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by utilizing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the community • It is possible to carry out professional practical experiment and experiential activity by utilizing educational facility of community • Realization of cooperative education between schools and local community through safety consciousness and education enhancement education using local resources • Carry out career, culture, arts and volunteer programs linked to the community
Regional linkage contents • Community-based student club management
Village linkage program
• Seoul Youth Center link between the originality experience programs.
• The whole village experiential learning center linked education program
• Movie star project for elderly with namsan silver welfare center
• Utilization of local facilities and opening of facilities
• Gangbuk-gu office linking program
• Creative subject activity
• Special education
• Computer room
• Assisted learning volunteers
• developmental disabilities training center
• Gangdong-gu office linking program
Result of operation • Operate educational programs that maximize the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of the community
• Expand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village-based school clubs linked to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 Students, parents, and staff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cooperative organization
• Increase the efficiency of education by utilizing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the community
• Conducted Miyango Sports Festival using Gangbuk-gu public playground
• Suyu Badminton Club Use the gym
• MOU with community
• Reflects students' needs at various levels to provide individualized learning opportunities
• Implementation of all basic education and education programs such as education, arts, self-management, and career advancement education
• Create conditions for curriculum-based education activities such as collecting teacher opinions and simplifying tasks using various methods
• Enhance the school's role in improving student educa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by utilizing community resources

양재고등학교는 지역사회와 연계하는 동아리와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진행하고 있다. 학교시설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일시사용 허가 신청서를 작성하여 사용시작일 7일 전까지 학교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사용신청자가 둘 이상일 경우 학교장의 추첨 등을 통해 정해진다.

서울방송고등학교는 5곳의 학교 중 유일한 특성화고등학교로 학교시설에서 할 수 없는 교육들을 지역사회를 활용하여 교육과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진행하는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은 지역사회의 인적. 물적, 자원을 활용하여 학교 교육의 장을 확대하려는 목적이 있다. 학교시설의 이용은 교육활동과 재산의 관리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사용예정일 10일전에 허가와 사용료를 지불한 뒤 정해진 시간 내에 일시 사용을 허가한다.

미양고등학교는 지역사회와 MOU체결을 맺은 학교로 강북 구민운동장을 활용하거나, 학교시설 중 체육시설을 지역 동호회와 공유하는 등의 공간 공유가 특징이다. 이러한 활동은 지역사회의 교육시설을 활용함으로써 전문적인 실기 실험, 체험활동 등을 목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학교시설 사용은 학교 측의 허가를 받은 사용자가 허가받은 내용 이외에 영리 목적을 취하지 않는 경우 가능하며, 학교가 정한 학교시설 사용허가 조건 중 사용자 준수사항과 책임, 제한에 따라야 한다.

도봉고등학교는 창의적 활동과 특수교육, 지역사회 평생교육에 컴퓨터실 공간을 제공하고 있으며,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한 안전 의식 및 학력신장 교육으로 학교와 지역의 협력 교육 실현을 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학교시설 사용은 행정실에서 학교장의 결재를 받아 허가 승인 후 사용료를 지불하여 학교 수업이 있는 시간을 제외한 정해진 시간에 운동장 및 체육관, 교실, 기타 학교 부대시설을 사용할 수 있다.

강일고등학교는 지역사회와 연계한 어시스트봉사단과 발달장애인훈련센터 및 강동 구청과의 연계 등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진로, 문화예술, 봉사활동 프로그램을 운영 하고 있다. 이는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학생교육 내실화 및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학교역할 제고의 운영성과를 지니고 있다. 학교시설 사용은 운동장의 경우 개방시간과 관계없이 학교운영상 필요시 개방시간을 연장 또는 단축하며 운영이 된다. 체육관과 일반교실을 포함해 학교장의 사전 허가 및 소정의 사용료를 지불하여야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사례 5곳의 학교시설 개방 운영체계를 종합해보면, 개방을 하는 목적 중 하나인 지역사회의 평생교육과 주민들의 체력증진에 걸맞게 체육시설로서의 기능을 하는 운동장과 체육관, 강당의 개방이 공통적으로 많았으며 그다음 순으로는 일반교실의 개방이 있다. 이를 정리한 내용은 Table 4.12)와 같다.

Table 4. 
The present status of open facilities by school
Name Yangjae Seoul Broadcasting Miyang Dobohg Gangil
Schoolyard
Gym x
Auditorium - - -
General classroom
Special subject classroom x
Audiovisual room - x
Category : (○:Open, -:No facilities , x:Unopen)

3.2. 학교시설 복합화 공간 체계 분석

교육과학기술부의 학교시설 복합화 개념도에 따르면 복합화는 주로 문화와 체육의 개념으로 구성되고 있다. 문화는 학교 교실, 도서실, 강당, 문화교실, 문헌정보실, 다목적 홀이 포함되며 학교의 교실과 문화교실은 문화센터, 도서실과 문헌정보실은 정보센터, 강당과 다목적 홀은 홀과 연계된다. 체육의 경우에는 체육관, 운동장, 수영장, 지역체육관, 축구장 등이 포함되며 모두 스포츠 센터로 분류된다. 다음을 정리한 내용은 Fig. 3.13)과 같다.


Fig. 3. 
Conceptual diagram of composite school facilities

위 학교시설 복합화 개념도의 분류를 기준으로 사례 5곳의 공간 체계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양재고등학교는 교육동이 속해 있는 본관 건물과 체육시설, 급식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체육시설은 주출입구와 거리가 있는 학교부지 안에 별동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동에 속하는 교실 및 시청각실을 개방하는 데에 비해 비개방실과 인접한 배치형태와 학생들의 이동 동선 외부 사용자의 동선이 중첩되며 별동형의 체육시설도 부지 안쪽에 위치하여 이용 시 본관과 운동장을 거쳐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서울방송고등학교는 ‘ㄷ’자 형태의 본관과 별동의 실습실, 동호초등학교와 공유하는 운동장, 체육시설, 테니스장을 보유하고 있다. 본관 건물과 별동형의 체육시설은 동호초등학교와 주출입구 사이에 위치하여 동선이 중첩되지 않는다. 또한 ‘ㄷ’자 형태의 교실은 중정의 개념을 통해 외부인의 동선이 쉽게 인지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본관 건물 내의 개방 교실과 비개방 실습실이 같은 층에 위치하여 비개방 공간이 쉽게 노출되며 학교에서 개방하는 특별교실의 경우 학교부지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동선이 길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미양고등학교는 수유 배드민턴동호회 등 주민들에게 체육관을 개방하고 있으며, 교실과 컴퓨터실 등의 교육실도 개방하고 있다. 이는 학교시설만으로 부족한 전문적인 실기 및 직업 체험 수업을 강북청소년 수련관에서 실행하기 위해 맺은 지역사회와의 MOU체결의 영향을 받았다. 학교시설 개방 중 가장 많은 인원이 사용하는 체육시설의 경우 미양중학교와 같은 부지에 위치하여 별동형의 체육관을 공유하고 있으며 주출입구를 기준으로 직선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동선의 중첩을 최소화하여 학생들의 안전상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다. 하지만 개방시설 중 하나인 교실은 건물 부지 안쪽에 위치하여 사각지대를 형성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동선과 구분이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도봉고등학교는 매주 주말에 학교 체육관을 개방하고 있으며, 월계종합사회복지관 등 4개 기관에서 실시하는 직업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학교의 배치는 본관 건물과 1층 필로티로 연결된 구간, 체육관, 운동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야외 정원과 외부 계단을 배치하여 커뮤니티공간을 형성했다. 학교시설 중 체육관은 2층에 위치하여 외부계단을 통해 외부인과 학생의 동선과 활동 반경이 겹치는 특징을 보이고 있지만 학생들의 주사용 공간이 3층부터 배치가 되어 외부 요인 접근을 층으로 구분하도록 계획하였다. 또한 1층엔 식당, 교장실, 행정실 등 외부의 출입이 많은 공간을 배치하였으며, 2층엔 강당, 교무실, 도서실, 컴퓨터실 등 이동 동선이 많은 공간이 밀집하여 안전 예방에도 효과적인 특징을 가진 배치이다.

강일고등학교는 주출입구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의 교육시설과 체육관이 포함된 2개 동이 브리지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학교 부지 안쪽에 운동장이 위치하고 있다. 운동장의 경우 본관의 교실을 지나 뒷부분에 위치하여 교실을 거쳐서 지나가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개방 시 외부 동선이 내부 동선과 동일해 짐에 따라 안전상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강동 구청과 연계하여 지원을 받아 학교생활에 기여하도록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해 학교시설이 학생교육가 지역사회 발전에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그에 반해 강일고등학교는 학교시설 개방과 밀접한 연관성과 수요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개방으로 인한 문제 예방책은 미비하다.

이상의 분석 결과, 지역사회의 요건 중 체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과 체육 동호회 등의 이유로 학교 개방시설 중 체육시설이 수요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5곳의 학교 중 별동형으로 체육시설을 배치한 학교는 양재고등학교와 서울방송고등학교, 미양고등학교로 총 3곳이며, 이 중에서도 체육관의 위치가 주출입구와 인접거리에 위치한 학교는 서울방송고등학교, 미양고등학교로 총 2곳이다. 그 다음으로 평생교육에 활용되는 교실의 경우 학생들 동선과 혼동이 방지하기 위하여 주사용 실을 층 구분과 시간대를 통해 운영하는 곳은 도봉고등학교 1곳이다. 이를 정리한 내용은 Table 5.14)와 같다.

Table 5. 
Spatial analysis of school facilities
School Contents
Yangjae
high
school
• It is composed of main building, physical training facilities, feeding facility.
• The feeding facility and physical t raining facilities are in detached configurations.
• Superposition of the adjacent and circulation of the entrance and main building
Seoul Broadcasting
high
school
• Main building, detached laboratory and physical training facilities
• Gymnasium located at main entrance and horizontal line
• Copper wire matches inside and outside
• Surveillance with 'ㄷ' shaped main building
Miyang high
school
• Miyang Middle School and Gymnasium shared and separate schoolyard
• Physical facilities are located on the main entrance and vertical line
• It is a blind spot due to the main building inside.
Dobohg high
school
• Main building, connecting section of 1floor piloti, physical education facility
• Community space geometry with outdoor gardens and external stairs
• Overlap of copper wire due to opening of 2nd floor gymnasium
• Accessible spaces on lower floors
Gangil
high
school
• A bridge between two buildings, physical training facilities
• Places with a lot of demand for outside use are placed inside the premises, so that the outside copper wire the building and the students' copper wire overlap.
student                  student and outsider

3.3. 학교시설 개방에 따른 문제점 해결방식 분석

위 5곳의 사례를 분석을 종합한 결과, 학교시설 개방에 따른 문제점 중 하나는 내부인의 동선과 외부인의 동선이 중첩된다는 사실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상 학교들은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로 주출입구 앞에 안전보안관을 배치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개방의 본질적 의미와 상반되는 해결방법으로 적절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로 시간적 분리를 이용한 방법이다. 이는 내부인과 외부인의 이용시간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일과 시간과 방과 후로 나누어 학교를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학생들의 방과 후 활동이나 야간자율 학습을 실시하는 학교에서 한계점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5곳의 학교에 대한 공간 분석을 통해 해결방향을 모색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론으로 다음의 2가지의 방법이 도출되었다.

첫째, 주로 이용하는 동과 거리를 둔 별동의 형태를 채택한다. 이는 동선을 단순화시키는 방법으로 서울방송고등학교와 미양고등학교를 예를 들 수 있다. 5곳의 학교 모두 체육시설이 별동으로 위치하고 있지만 위 2학교의 경우 정문과 수직방향이거나 수평방향으로 동선이 하나로만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점은 주 사용자가 위치한 교실동과 동선의 중첩이 최소화되며 하나의 동선으로 처리될 수 있기 때문에 동선의 중첩에 대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이동 수요가 많은 실을 저층부에 배치하는 층별 구분의 형태를 채택하는 방법이다. 이는 도봉고등학교의 평면도 분석을 통한 층 구분을 예로 들 수 있다. 학교시설을 설계할 때 개방에 대한 고려의 유무와 관계없이 개방하는 실을 구분하여 이동 수요가 많은 실을 저층부에 배치할 시 학생들만의 공간 노출과 동선이 구분되어 동선의 중첩 문제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정리한 내용은 Table 6.15)과 같다.

Table 6. 
Problems and solutions of open school facilities
Problems Solutions
Students and external users
Overlap of copper wire
• Detached shape with distance from main use
     
Seoul Broadcasting High School     Miyang High School
• Division of copper wire through layer classification

Dobohg high school

이와 같이 2가지 해결책을 통해 학교시설을 개방할 경우 문제점들이 최소화되어 개방으로 인한 지역사회 평생교육과 개정 교육과정 인간상 등에 대한 충족이 실현될 것이다.


4. 결론

학교시설 개방 및 복합화는 시설개방 뿐만 아니라 학교의 필요한 부분을 지역사회의 연계로 물질, 자원, 시설 등을 지원해 주며 점차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관련법과 조례, 가이드라인에서는 국민들은 학교교육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학교장의 결정으로 시설 등을 이용할 수 있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 시설을 개방 했을 때 외부인의 출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동선의 중첩이나 사건 사고들은 사람들에게 학교시설 개방 및 복합화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 놓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시설의 개방 및 복합화가 비교적 양호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우수학교 사례 5건에 대하여 복합화, 운영체계 및 공간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분석한 내용은 2개의 결론이 도출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내용을 정리하면 Table 7.16)과 같다.

Table 7. 
Total analysis details by case
Internal copper wire and main use space(student) External copper wire and main use space Relationship diagram
Yang
jae
• Access to buildings with one main entrance and six entrances.
• Coincidence between students' copper wire and copper wire of external users.
• In the case of physical training facilities with many uses, a long copper wire is formed due to the placement inside the site.
Seoul
Broad
casting
• Two main entrance and six entrance through building sharing with dongho elementary school.
• The locations of the special and general classrooms are located on the second floor and the copper lines are overlapped.
• Students' main copper wire and external user's copper wire mostly match.
Miyang
• Access to the building is possible with one main entrance and three entrance.
• It is located in the same site as middle school, and it is operated by sharing schoolyard and auditorium.
• Miyang high school, which opens all five facilities, has the same copper wire as external users.
Dobohg
• Due to the effect of outdoor park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enter the building with 3 main entrance and 4 entrance.
• Classrooms are distributed in 1-5 floors, so the copper wire is various.
• The copper wire of the facility, excluding auditorium, matches with the external user.
Gangil
• Access to buildings with 1 main entrance and 5 entrance.
• The number of open yarns and the diversity of copper wire are proportional.
• When a schoolyard is used, a copper wire tha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building.
: Student and outsider, : Student, : Copper wire that can be moved by outsiders

첫째, 학교시설 복합화는 교육과정 세부운영계획은 물론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지역사회의 필요한 시설이나 공간 등을 학교 부지 내에 있는 학교시설로서 지역주민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방식과 학교 부지 내에 없는 학교 측에서 필요로 하는 공간과 시설, 자원들을 지역사회가 지원해주는 방식으로 분류된다. 협소한 학교 운동장 대신 강북구민운동장을 통해 체육대회를 개최한 미양고등학교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학교시설만으로 부족한 전문적인 실기, 체험 등이 지역사회에서 가능하게 되었다.

둘째, 학생과 일반 시민의 동선의 중첩에 대한 문제는 별동형의 건물 배치와 건물 내의 층 구분을 활용한 실 배치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학교시설이 개방된 5곳을 분석해 본 결과 별동형의 체육시설은 3곳이며 주출입구를 기준으로 수직 혹은 수평으로 배치되어 동선의 중첩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건물 배치에 따라 오픈 스페이스, 중정 등의 공간구성을 통해 외부 동선을 용이하게 한 경우가 있다. 이는 교실 개방으로 외부인이 학생들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경우에 해당하며 이동 인원의 수요가 많은 실을 저층부에 두는 층별 구분으로 동선의 중첩을 최소화하였다.

이상에서 학교 시설의 복합화 및 개방에 대하여 우수학교 5건의 사례 분석을 통해 문제점과 해결책을 분석해 보았다. 추후 연구에서는 개방 및 복합화 정책 시행 이후 설계된 학교를 중심으로 보다 전문적이고 구체적인 분석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Notes
1) 개방은 학교시설을 지역주민이 사용할 수 있도록 열어놓은 것이며, 복합화는 학교 부지 내에 교육·문화·복지 시설을 건립하고 인접한 공원 내에 운동장을 조성하는 시설을 말함.
2) 7차 교육과정 이후 수시 개정 하여 문·이과 칸막이 없는 인문·사회·과학기술에 관한 기본 소양을 토대로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기술 창조력을 두루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임.
3) 본 내용은 윤혜경의 “개방교육 초등학교 신축교사가 학생들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 M초등학교 사례 중심으로”, 서태인의 “서울시 초등학교 복합화 시설의 개방 및 이용 현황 연구”, 정소연의 “초등학교 시설개방 정책에 따른 외부인의 출입과 그 대응에 관한 연구: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의 일부분을 발췌함.
4) 김대원의 ‘지역사회 평생교육을 고려한 학교시설의 개방과 복합화 방향 모색’인용
5) 서태인의 ‘서울시 초등학교 복합화 시설의 개방 및 이용 현황 연구’
6) ‘서울시 초등학교 복합화 시설의 개방 및 이용 현황 연구’의 그림을 각색함.
7) 학교알리미(http://www.schoolinfo.go.kr/)
8) 공립일 경우 학교장, 국립·사립학교의 시설의 경우 시·도의 허락을 받아야한다.(서울특별시교육청 평생교육 활성화 조례」의 제 16조)
9) 학교 개방 시 학교 내 외부인과 학생의 동선이 분리되지 않는 동선의 중첩과 학생들의 공적인 공간이 노출되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명확하지 않은 공간 구분은 학교 내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이라 할 수 있다.
10) 학생보호 및 학교안전 표준 가이드라인, 국가법령정보센터(www.law.go.kr)
11) 교육부(www.moe.go.kr), 일사편리(kras.go.kr:444), 민원24시(www.gov.kr)
12) 학교시설이력관리시스템(http://.sfm.sen.go.kr/)
13) 교육과학기술부의 학교시설 복합화 개념도를 각색함.
14) 학교시설이력관리시스템(http://.sfm.sen.go.kr/) 도면 참고.
15) 학교시설이력관리시스템(http://.sfm.sen.go.kr/) 도면 참고.
16) 학교시설이력관리시스템(http://.sfm.sen.go.kr/) 도면 참고.

Reference
1. 김대희, 남기연, 손석정, 학교체육시설 이용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 방안,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JSEL), 20(3), (2017), p27-44.Kim, Dae-hee, Nam, Ki-yeon, Son, Suk-jeong, Legal and Institutional Establishment for Activating School Physical Facilities, The Journal of Sports and Entertainment Law, 20(3), (2017), p27-44.
2. 유근직, 학교운동장의 성립과정에 관한 역사적 고찰, 한국체육학회지, 39(3), (2000), p22-29.Kun, Jick Yoo, A Historical Study on the Change Process of School Playground in Korea, Korean Journal of Sport Studies, 39(3), (2000), p22-29.
3. 김재영, 이종국, 학교시설의 건축계획 방향 수립을 위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7(2), (2017), p55-58.Kim, Jae-Young, & Lee, Jong-Kuk,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Guidelines of School Facilities -Focus on Appraisal Standard for Excellence School Facilitie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7(2), (2017), p55-58.
4. 서태인, 서울시 초등학교 복합화 시설의 개방 및 이용 현황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학 석사학위 논문, (2013).
5. 김진희, 통합형 소규모 초등학교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개방형건축 시스템을 적용한 아파트먼트 리모델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2).
6. 김상호, 초등학교 운동장 복합활용에 관한 연구-지역사회 학교운동장 복합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교육시설환경정책전공 석사학위 논문, 2017, Feb.
7. 김경호, 염대봉, 도시적, 사회적 통합요소로서 학교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파리의 두 신도시의 고등학교들을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5(3), (2007), p109-117.Kim, Kyung ho, Yeom, Dae bong, A Study on The Social and Urban Integration in The French High School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and Environment, 5(3), (2007), p109-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