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Vol. 18, No. 6


[ Research Articles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 Vol. 18, No. 6, pp. 21-28
Abbreviation: J. Korea Inst. Ecol. Archit. And Environ.
ISSN: 2288-968X (Print) 2288-969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8
Received 20 Sep 2018 Revised 08 Nov 2018 Accepted 13 Nov 2018
DOI: https://doi.org/10.12813/kieae.2018.18.6.021

Karl Ehn의 Karl Marx Hof 건축특성 분석
김은지* ; 전병권**

An Analysis of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Karl Marx Hof by Karl Ehn
Kim, Eun-Ji* ; Jun, Byung-Kweon**
*Master, Major of Architectural Design for Human, Graduate School in Daejin Univ., South Korea (9187980@naver.com)
**Corresponding author, Major of Architectural Design for Human, Daejin Univ., South Korea (archistudio@daejin.ac.kr)

@ 2018 KIEAE Journal

Abstract
Purpose:

As a result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housing shortage was a serious social issue in Vienna, Austria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In the midst of the social confusion after World War I, with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ist system, various measures were taken to resolve the housing shortage in Vienna. Karl Marx-Hof drew great attention among socialists in Vienna as public housing realized under such social environment. The complex remains until now.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Karl Marx Hof, which is considered a typical model of large-scale public housing, and also analyzed its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Method:

For this study, both block-type complexes and super block-type complexes -- which were built in the early 20th century during the Red Vienna era -- were investigated. The outline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Karl Marx-Hof, a representative super block-type public housing at that time, was analyzed.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Karl Marx-Hof used “minimal residential units” to address the housing shortage and included various public facilities within the complex. The complex was as much as 1,100m long and was planned carefully considering neighboring stations and residents who lived near the complex.


Keywords: Karl Ehn, Karl Marx Hof, SuperBlock, Public Housing, Red Vienna
키워드: 카를 엔, 카를 막스 호프, 슈퍼블록, 공공주택, 레드비엔나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주거의 의미는 사람이 생활을 영위하는 장소 및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생활까지 모두 포함한다. 그에 반해 주택이란 물리적 건물 자체이다. 19세기 중반이후 서구에서는 산업혁명으로 열악한 주거환경, 노동자 착취, 삶의 질 하락과 공해, 질병 등의 문제를 심각하게 안게 되었다. 르 코르뷔지에는 프랑스 빈민 주거 구제를 위해 1922년 처음 선보인 “현대 도시”(Ville Contemporaine)계획안, 그리고 그의 브와종 계획안을 내놓았으며, 이는 마르세이유에서 유니테 다비따시옹으로 실현하였고, 당시 유럽의 건축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20세기 초 오스트리아의 비엔나에서도 근대화 과정 중 주거의 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었는 바, 일차대전 후 혼란했던 사회상 속에 사회주의 체제가 정착하게 되고, 비엔나의 부족한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조처들이 취해지게 되었다. Karl Marx Hof는 이러한 사회환경속에 구현된 오스트리아의 공공주택의 하나로써 비엔나 사회주의자들의 주요 관심사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배경하에 조성되어 현재까지도 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대규모 공동주택의 전형 중 하나라 할 수 있는 Karl Marx Hof를 대상으로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고, 건축적 특성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이를 통하여 근대시대 서구의 부족한 주거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공주택으로서의 공동주택의 양상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현대 공동주택단지에 대한 근원적 이해의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20세기 유럽에서 나타난 도시 주택단지와 제1차 세계대전 후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나타난 슈퍼블록의 형태를 고찰하며, 그 중 규모가 가장 크고 보존 자료가 남아있는 주거단지인 ‘Karl Marx Hof’의 단지를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Red Vienna시대의 공공주택을 중심으로 20세기 초 시대적 상황에 따라 나타난 슈퍼블록형 단지를 고찰하며, 그 시대 지어진 대표적인 슈퍼블록형 공동주택인 Karl Marx Hof를 대상으로 그 개요 및 건축적 특성을 분석한다. 2013년과 2017년 두 차례에 걸친 답사를 바탕으로 분석은 Karl Marx Hof의 배치특성과 J-Graph와 Flow Diagram을 주로 이용한 단위유닛의 특성, 그리고 입․ 단면의 특성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2. 오스트리아 공공주택의 성립
2.1. Red Vienna(1919-1934)

Red Vienna는 오스트리아의 수도 비엔나의 1919년부터 1934년까지의 시기 비엔나를 일컫는 용어이다.

오스트리아는 19세기 사회주의 노동자 운동의 영향으로 사회민주노동당이 형성되었다. 이 기간 적극적인 사회주의 활동이 있었으며, 남성의 참정권을 보편적으로 도입하기 시작했다. 참정권 도입 후 1907년 5월에 개최 된 첫 번째 선거에서 사회 민주당은 23% 비율로 516석에서 87석을 차지하였다.1) 제1차 세계대전의 종전과 국민들에 부담이 되엇던 파업을 거치고, 1918년 10월 임시국회가 개최되어 임시헌법을 제정하고, 독일 오스트리아 공화국(Republic of German Austria)을 선포하였으나, 제1차 세계대전을 마무리짓는 평화조약2)에 의해 독일과의 연합은 금지되고 여전히 오스트리아로 남아 있게 되었다. 이후 1920년에는 기독교사회당이 정권을 잡고 1938년까지 연방정부를 이끌게 되면서 사회적인 변화의 물결이 비엔나를 중심으로 일어났다. 전쟁 이후 전후배상을 포함한 경제적 난관으로 오스트리아의 경제사정은 심각한 상황에 놓였으며, 그런 가운데 굶주림과 인플레이션, 연료부족과 유행성 감기의 기승 등 비엔나 시민들의 고통은 극에 달하였다.3) 1922년 헌법이 개정되면서 비엔나는 란트(Land), 즉 반자치지구가 되었는 바, 비엔나를 통치하던 사회민주당은 여러 개의 중요한 사회개혁 정책을 도입했는데, 이 시기를 흔히 ‘붉은 비엔나(Red Vienna)’ 라고 부른다.


Fig. 1. 
Map of Austria showing nations boundaries before and after 1919

2.2. Red Vienna 시대 오스트리아의 공공주택

세기말 아방가르드의 한 방면인 세제션 (Secession)이 빈을 중심으로 나타나 ‘새로운 시대의 예술의 창조한다’는 운동을 펼치며, 급변하는 빈의 사회상속에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세제션의 일원이었던 오토 바그너를 위시한 부르주아 개혁파 건축가들은 주택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당시 비엔나의 집중된 건축 투기를 억제하는 방법들을 제안했다. 즉, 기본적인 사회 단위로서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 서비스의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유지, 보존하고자 하였다. 육아 상담, 산전관리 및 출산 클리닉 등을 시작하고, 신생아를 위한 용품을 산모에게 지급하며, 아동복지센터를 통해 소아과, 치과, 결핵 클리닉 등을 운영하고, 학교의 의료품 및 치과 검사를 제공하는 등 의료, 상담, 보건, 복지 등을 ‘도시전역에 분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지방자치단체는 새로운 시립 유치원을 개원하고, 병원, 공립목욕시설 및 수영장, 매장 및 묘지서비스 등을 제공하였다. 도서관, 서점 등도 설립되었고, 문화 단체들과 교육 관련 위원회도 구성되었다. 이런 사회복지서비스의 프로그램은 성공적이었으며, 이를 위해 조성되는 거대한 공공장소들은 노동자 계급의 힘, 규율, 그리고 통제 등을 보여주는 분명한 증거였다.


Fig. 2. 
Social Housing Projects in Red Vienna Period

1917년에는 비엔나에서 거주자 보호법이 발효되어, 높은 인플레이션에도 불구하고, 아파트의 임대료를 1914년 수준에서 동결하는 조처를 취하였다. 한편 새로운 주택사업이 저렴한 아파트에 대한 수요의 증가와 함께 붐을 일으키게 되었고, 1919년 기존의 주택 구조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련 법령이 정비되면서 다양한 공공주택 프로젝트들을 시행하였다. 1925년 이후 공공주택 프로젝트는 6,400여 세대를 위한 공동주택을 완성하기에 이르렀고, 1927년에는 30,000세대의 추가적인 주택 건설계획을 추진하였다. 당시 정치 상황은 긴장상태였으며,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프로그램의 구현이 어려워졌음에도 불구하고 1933년 말 사이에 58,667세대가 도시에 건설되었다. 1934년 말까지 이 숫자는 61,175로 증가하였고,4) 여기에는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시설인 병원, 상담 센터, 도서관, 놀이터, 유치원, 청소년 센터, 체육관, 보육 시설, 세탁소, 목공 상점, 극장, 영화관, 우체국 뿐만 아니라 여러 카페와 협동조합매장 및 기타 공동시설 등도 주택 블록에 함께 배치시켰다.

이렇게 사회적 환경과 대안을 모색하는 전위적인 예술가들, 과학자들과 지식인들, 특히 건축가들의 생각이 비엔나를 중심으로 열악한 주거문제를 해결하며 새롭게 건축과 도시를 제안하는 여러 개발프로그램들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적극적으로 구현되기도 한 것이 Red Vienna 시대이다.

2.3. Red Vienna의 슈퍼블록

공공주택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비엔나에서는 대형의 슈퍼블록형 건물들이 생겨났다. 이 시기 ‘Karl Marx Hof’도 슈퍼블록의 공공주택으로 계획되어지고 오늘에까지 비엔나의 중요한 주거단지로서 남아있게 된 것이다. 새로운 공공주택은 두가지 목표를 지니고 있었는 바, 첫째는 전원단지 속에 교외 코티지를 건설하는 것이고, 넓은 중정 주변에 4~6층 규모의 엘리베이터 없는 아파트로 구성되는 슈퍼블록을 건설하는 것이다.

이런 목표하에 1923년과 1927년 사이 계획된 빈의 슈퍼블록형 공공주택들은 건축, 도시의 측면에서 그 모양이나, 크기, 블록 또는 입지특성 등의 이유로 서로 조화를 이루기 보다는 개별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기존의 도시구조속에 조밀하게 집적되었다. Table 1.은 레드 비엔나시대 슈퍼블록형의 중요한 공공주택에 대한 사례들이다.

Table 1. 
Typical Superblock Type Housing in Vienna
Metzleinstalerhof Reumannhof Fuchsenfeldhof Schlingerhof Bebelhof Karl-Marx-Hof
Photo
Architect Robert Kalesa Hubert Gessner Heinrich Schmid,
Hermann Aichinger
Hans Glaser
Karl Scheffel
Karl Ehn Karl Ehn
Period 1924 1924-1926 1922-1925 1924-1926 1925-1927 1926-1930
Length 175m 180m 145m 250m 140m 1,100m
No. of House 244 485 481 478 301 1,382
No. of Floor 5 6 5 4 5 4-7

이러한 슈퍼블록형 공동주택의 첫 시도는 1919년-1921년 사이에 건설된 Margaretengurtel 90-98로 계단을 통하여 여러세대들이 진입하는 코어형으로 세대가 구성되는 back-to-back house 타입으로 배치되었다. Margaretengurtel 90-98을 통해 당시 비엔나의 표준 아파트의 기준이 설정되는 바 이는 주방과 공유 화장실을 인접시키고, 물, 가스 등을 각 세대로 공급하는 것 등이다. 새로운 주거의 또 다른 점은 거실과 주방공간이다. 당시 사회적으로 큰 영향력을 지닌 노동계급의 생활의 중심공간으로서 거실과 주방을 연결하여 독립적으로 위치시킨 것이다. 단지내 보육시설과 목욕시설, 세탁실, 공공도서관 등을 설치하고 semi-public의 개념으로 블록의 내부를 개방하여 거리와 연계시키고, 여기에서 주민과 방문객이 공용의 공간을 함께 사용하는 새로운 패턴을 도입하였다(Fig. 3.).


Fig. 3. 
Margaretengurtel 90-98 by Robert Kalesa (source : Blau Eve, Architecture of Red Vienna 1919-1934, MIT, 1999, p.219)

비엔나 슈퍼블록형 공공주택의 또 다른 사례로는 Schlingerhof가 있다. 주변의 다른 블록들과 함께 개방되면서 시장이 들어서는 광장을 공유하기도 하고 4개이상의 폐쇄적인 혹은 개방적인 중정들이 적절한 규모로 친근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는 산업화, 근대화 과정에서 무시되었던 도시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재고의 산물이라 할 것이다. 광장에 면한 블록 1층에는 유치원, 청소년센터, 공공도서관, 세탁실, 식당, 그리고 카페 등이 함께 조성하여 인근 새롭게 형성된 공업지역에 대한 상업적, 사회적, 문화적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1층의 입면은 일련의 아치들로 구성되어 주거층의 입면과는 차이를 내고, 광장 중심부분의 공동주택 옥상에는 시계탑을 설치하여 주민들의 교류의 장으로서의 장치를 배려하였다(Fig. 4.).


Fig. 4. 
Schlingerhof by Hans Glaser, Karl Scheffe (source : Blau Eve, Architecture of Red Vienna 1919-1934, MIT, 1999, p.282)

Terrassenhaus 프로젝트는 1923년 아돌프 루스, 피터 베렌스 등이 참여한 테라스형 아파트 단지계획으로 전원형 고층공동주택의 대안으로서 제안한 것이다.

루스는 자신의 2층 침실과 면한 넓은 테라스에 사적옥외공간과 함께 3층 임대 주택을 위한 접근동선을 배치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물론 당시에도 도시의 옥상 정원의 아이디어는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인 1912년에 파리에서 노동자의 주택을 설계하면서 계단형 테라스를 지닌 아파트를 제시한 것이다. Terrassenhaus는 길이 84미터의 블록으로 두 가지 유형을 포함한다. 남향 테라스와 함께 공중가로(Hochstrassen)를 개방하여 사람들이 낮과 야간에 활동을 하는 공간으로 사용하고, 북쪽에 면하여는 부수적인 발코니를 가진 단층의 아파트이다(Fig. 5.).


Fig. 5. 
Terrassenhaus Project design, by Oskar Strnad, 1923 (source : Blau Eve, Architecture of Red Vienna 1919-1934, MIT, 1999, p.302)


3. Karl Marx Hof의 개요
3.1. 건축가 Karl Ehn

Karl Ehn은 세제션운동의 중요한 역할을 한 오토 바그너의 제자로 1908년부터 비엔나 도시의 관리 작업에 참여하여 1920년대에는 비엔나의 공공주택 프로그램(Gemeindebau)을 책임졌다. 가구 제작자의 아들로 1884년 태어나 1907년 오토 바그너의 마스터클래스에서 3년의 건축교육과정을 마쳤다. 졸업 후 현장기사생활을 거쳐 바그너의 사무실에서 프로젝트 건축가로 작업을 시작한다.

건축가로서 그의 작품중 가장 주목받은 것은 Karl Marx Hof이며, 이는 Red Vienna 시대 사회주의 이념을 구현해내는 데 상징적인 역할을 한 가장 혁신적인 공공주택이다. Karl Marx Hof 이전의 작품들로 1924년에 지어진 Lindenhof와 1925년에서 1926년 사이에 지어진 Bebelhof가 있다.


Fig. 6. 
Karl Ehn

Lindenhof에서 Karl Ehn은 대지의 경사를 이용하여 공공시설과 함께 테라스를 계단형으로 만들었다. 공공영역으로서의 테라스를 입체화 시켜 보육센터, 놀이터, 청소년센터와 공원 등을 결합하였으며, Bebelhof는 대형회의장, 결핵병원, 청소년보호시설, 놀이터, 풀장 등을 포함하는 슈퍼블록형 공공주택이다. 상점과 아뜰리에를 블록 속에 포함시키며, 주택내에서의 발코니를 중정으로 돌출시키고, 모서리부분에 7층 규모의 타워를 배치하는 등 당시로서는 기념비적인 건축이었다.


Fig. 7. 
Lindenhof, 1924 (source : Blau Eve, Architecture of Red Vienna 1919-1934, MIT, 1999, p.271, 269)


Fig. 8. 
Bebelhof, 1926 (source : Blau Eve, Architecture of Red Vienna 1919-1934, MIT, 1999, p.271, 269)

3.2. Karl Marx Hof의 건축 개요

‘Karl Marx Hof’는 오토 바그너의 영향을 받은 제자인 Karl Ehn(1884–1957)에 의해 계획된 공공주택으로서 비엔나 시의회에 의해 승인받고, 건립되었다. 이는 1930년에 완공된 가장 큰 공공주택 프로젝트이며, 이름처럼 당시 사회의 큰 비중을 차지한 수십만 도시 노동자를 위한 주택으로서, 주요 정치기관들이 위치한 비엔나의 제19구역에 붉은 외장마감의 강한 상징과 아치로 노동자와 좌익 정당의 역할을 크게 드러내었다. 노동자들의 더 나은 삶의 희망을 구현하고자 임대료는 숙련공이 받는 평균임금의 약 5% 정도로 매우 저렴했으며, 시 당국은 경마를 통해 얻은 수익금이나 주류소비세, 개인욕실이나 하인을 고용한 아파트 거주자의 세금 등을 모아 임대료를 보조해주었다. 정책적인 차원에서 조성된 슈퍼블록형 공동주택인 Karl Marx Hof에 대한 상징성은 당시 비엔나의 시장 칼 자이츠(Karl Seitz)의 “Wenn wir einst nicht mehr sind, werden diese Steine fuer uns sprechen”5)(“우리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더라도 여기 있는 이 돌이 우리를 대신하여 말해 줄 것이다.”)라는 말에서 잘 나타난다. 도시 노동자 주택으로 계획되어진 Karl Marx Hof는 1934년 2월 노동자와 공화주의자들이 건물을 바리케이트 삼아 정부군에 대항하는 등 오스트리아 내전의 주무대가 되어 ‘2월 광장’으로 불리어지게 된다. 이후 1938년 독일의 점령과 함께 오스트리아의 사회주택 프로그램은 정지되었다.6) 이런 과정을 겪으며 Karl Marx Hof는 레드비엔나 시대의 상징성을 보여주는 유일한 공공주택으로 인식되었다.


Fig. 9. 
View of Karl Marx Hof


Fig. 10. 
Unit Plan of Karl Marx Hof


Fig. 11. 
Back-to-Back House


Fig. 12. 
Core Area of Karl Marx Hof, 2017

Karl Marx Hof는 페브루아르플라츠 12번지와 하일리겐슈테더 슈트라쎄에 걸쳐 있는 거대한 규모의 공동주택이다. 길이가 1,100m에 이르며 156,027㎡의 면적에 약 5천명이 입주하여 살고 있는 당시로는 세계에서 가장 큰 단일 주거 빌딩으로 계획된 것이다. 규모가 워낙 커서 이 단지의 양단부 사이에는 4개의 버스 정류장이 있다. 1926년 공사를 시작하여 1930년 완공되었는데, 당시 비엔나는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시대였으므로, 새로 지은 이 거대한 공공주택을 Karl Marx Hof라 부르게 되었다.

단위세대는 단층에 3개 혹은 4개의 실로 구성되며 중간에 벽을 통해 실이 구획되는 장방형의 평면이다. 홀을 지나 실로 연계가 되며 분리된 공간으로서의 부엌과 거실, 그리고 침실로 구성되어 있다. 산업혁명시대 영국의 Back-to-Back House의 구조와 닮아 있으므로 개구부가 외벽의 한쪽으로만 열려있다.

Back-to-Back House가 하나의 공간만을 제공하며 복층으로 구성되어 졌다면, 여기에서는 용도에 따라 구획된 실들이 독립적인 채광과 환기를 위하여 창을 배려하였다. 각 층에 4개의 세대가 동선만을 고려한 최소한의 코어를 공유하며, 발코니를 가진 세대도 있다. 현재에는 계단실의 사잇공간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주민들의 사용에 편의를 더하고 있다.

Karl Marx Hof는 레드 비엔나 시대의 상징성을 강력히 드러내는 입면을 보여준다. 인접한 역에 면해 거대한 규모의 아치들을 배치하여 Karl Marx Hof 주민들을 비롯한 지역민들의 동선을 고려하였다. 오픈광장으로 연결되는 4개의 아치와 광장의 양측에 위치한 도로 위에 설치된 2개의 아치는 처음 이 단지를 방문하는 이들로 하여금 압도감을 느끼게 한다.


Fig. 13. 
Elevation with Arch of Karl Marx Hof, 2017


4. Karl Marx Hof 건축특성
4.1. 배치특성

Karl Marx Hof의 단지는 총 길이가 1,100m이며, 단지 폭은 약 101m에 이른다. 조성면적은 약 156,027㎡로 거주인원은 약 5,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Karl Marx Hof는 남북으로 긴축을 지니고 단지가 조성이 되었다. 즉 Fig. 14.에서와 같이 인근역(Bahnhof-Heiligenstadt역)에 접한 부분의 매스를 중심으로 개방된 광장을 조성하고 광장의 남북측으로 대규모의 중정과 공공시설을 포함한 두 개의 슈퍼블록을 구성하였다. 단지의 중심부 에 위치한 개방된 광장은 Karl Marx Hof의 거주민들 뿐 아니라 주변의 주거지역으로 이르는 동선의 중심공간으로 역할한다. 현재는 이 광장의 지하에 대규모 주차장을 신축하여 주민들의 주차난 해소에 도움을 주고 있다.


Fig. 14. 
Site Plan of Karl Marx Hof, 1930


Fig. 15. 
Zoning of SuperBlock and Disposition of Facilities


Fig. 16. 
Road and Gate in Karl Marx Hof

각각의 슈퍼블록은 내부에 대규모의 외부공간을 중정으로 가지며 이 곳에는 세탁실, 유치원, 약국 등 주민을 위한 공동시설을 배치하고 단지를 가로지르는 도로를 고려하여 인근주민들의 통행에도 도움을 주며 주민들의 접근로로도 이용토록 하였다. 이 도로를 포함하여 Karl Marx Hof를 관통하는 모든 통로에는 아치로 동선로를 표시하였으며, 이런 아치는 이 슈퍼블록 공동주택의 중요한 상징으로 역할한다. 이와 관련하여 Fig. 17.은 통과도로의 전경을 보여준다.


Fig. 17. 
Arch over the Road, 2017

집적된 공동시설로 인하여 중정은 한번 더 나누어져 남북측 각각의 슈퍼블록은 크게 5개의 영역으로 구분이 된다. 하지만 Fig. 18.에서 볼 수 있듯이 중정 역시 160x70m, 혹은 140x70m 정도의 규모로 넓게 개방된 녹지였으므로 당시 전통적인 블록형 공동주택의 중정에 비하여 이용도가 낮아 보였다. Fig. 15.의 A, B중정의 경우 중정의 크기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자 식수를 충분히 하기도 하였다. Fig. 19.은 중정 곳곳에 위치한 자전거 보관실이다. 여기에는 쓰레기 분리수거장이 함께 위치하여 주민의 편의를 돕고 있지만 이는 단지 조성당시부터 계획된 것은 아닌 것으로 파악된다. 이렇게 새로이 추가된 시설들의 규모도 전체 단지계획상에서 드러나지 않도록 고려되므로 기존의 Karl Marx Hof의 계획이 현재까지 잘 유지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주민을 위한 공용의 시설로서 Karl Marx Hof에는 중앙세탁실 2개와 작은 규모의 세탁실 62개, 20개의 욕조와 샤워기 30개를 갖춘 목욕실 2개, 그리고 2개의 유치원과 치과의원, 게스트하우스, 약국, 부모상담소와 청소년센터 및 도서관 등이 25개의 상점과 함께 단지 전체에 분포되어 있으며, 중요한 시설들의 분포는 Fig. 15.와 같다.7) 현재는 유치원과 세탁소는 지금의 자리에 유지되고 있지만, 치과, 게스트하우스는 잔존하지 않는다. 이렇게 주민들을 위한 공용의 시설들의 배치로 Karl Marx Hof가 하나의 마을로 구성되고 주민들의 교류가 활발해 지기를 Karl Ehn은 의도한 것이다.


Fig. 18. 
Courtyard view, 2017


Fig. 19. 
Bicycle Storage, 2017

Fig. 16.은 슈퍼블록의 중심광장부분과 단지를 가로지르는 도로에 위치한 대형의 아치들과 함께 Karl Marx Hof 단지에서 중정을 향한 출입구의 위치이다. 14개의 출입구를 설치하여 주민들의 접근경로를 배려하였으며, 대체로 2개의 출입구가 있다. A블록의 하단부에 출입구가 많은 것은 이곳에 지역의 상가와 비즈니스용도의 공간들이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Fig. 20.은 이 출입구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블록의 내부 중정으로 연결되는 중요한 장치이지만, 쇠창살로 설치되어 미관상 블편하게 여겨지며, 현재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Karl Marx Hof는 1934년 오스트리아 내전의 주무대가 되었던 바 사회적 운동이 빈번히 열렸다. 이런 시대 상황속에서 정부의 관리가 필요한 시점에 출입구의 봉쇄가 용이하도록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Fig. 20. 
Gate to Courtyard for Resident, 2017

4.2. 단위평면 구성체계
1) 단위평면의 타입

Karl Marx Hof의 단위평면 구성은 세가지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계단실에서 4세대로의 진입이 가능한 평면과 3세대로의 진입이 가능한 평면이다. 4세대로의 진입이 가능한 평면은 다시 발코니의 유무에 따라 구분이 되어지며, Fig. 21.는 이러한 평면구성의 유형을 보여준다. Type-A와 Type-B는 맞벽을 가지고 각 세대가 구성되며, 단위평면은 산업혁명시대 Back-to-Back House의 형식을 부분적으로 보여주지만, Type-C의 경우 계단실에 접한 세대에서는 건물의 중간에 위치한 구조벽에 개구부를 만들어 건물의 전후면에 창을 설치하기도 하였다. 계단실 정면에 위치한 세대에서는 발코니를 가지는 것과 함께 다양한 평면유형을 보여주고 이로써 매스의 변화에 따른 상징성을 부여한 입면의 구축도 가능했음을 알수 있다. 이 단위 평면의 유형들은 층에 따라 조합되어지거나 코어위치의 변화에 따라 달리 조합되기도 한다. 대부분 Type-A의 경우 4-7층에 위치하며, B형은 3층 이하에 위치한다. Type-A와 Type-B의 차이는 우선 화장실의 위치에서 나타나는 바, 계단실측 단위평면의 화장실이 A-3에서는 부엌 내부에 위치하며 세면대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저층에 위치한 Type-B는 실들이 깊고 단위세대 면적도 상대적으로 커진다. Type-A의 계단실에 면한 단위평면들은 발코니를 지니고 있으며 부엌을 통해 접근이 가능하지만 Type-B에서는 발코니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Type-C에서는 계단실 반대측의 C-2 평면에서 발코니가 확인되어, 이 평면들의 조합으로 다양한 입면의 구성이 가능해지게 되었다. 단위평면의 길이는 약 13.5m, 깊이는 Type-B의 경우 약 6.5m정도이며 Type-A와 Type-C에서는 줄어든다. 위 세타입에 적용된 단위평면들은 8개의 유형으로 나타나며 Table 2.와 같다. 대체로 침실1개, 거실, 부엌, 화장실로 이루어져 있으나, 경우에 따라 침실이 1개 더 있거나, 발코니가 더해지기도 한다.


Fig. 21. 
Disposition of Unit Plan

Table 2. 
Unit Plan Type
Type-A Type-B Type-C
A-1 B-1 C-1
A-2 B-2 C-2
A-3 B-3

2) J-Graph 및 Flow Diagram 분석

Karl Marx Hof에서는 비엔나에서 나타났던 일반적인 평면과 비슷하게 공간과 공간이 연결된 유형으로 실이 구성되어 있다. 실의 가장 안쪽에 있는 침실은 가족구성원의 침대만 들어 갈 수 있는 크기로 다른 동선의 영향을 받지 않고 거실에서 침실로 진입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구성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공간구문론상의 J-Graph를 사용한다. 또한 단위평면의 동선을 분석하기 위해 Alexander Klein이 1928년에 분석한 것으로 현대주택의 평면형태는 대부분 동선이 분리되어 있다는 것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을 이용한다. 여기에는 주간의 동선은 점선으로, 그리고 야간의 동선은 실선으로 구분하여 표기하므로 평면의 기능적 분리를 파악할 수 있다.8)Table 3.은 단위평면에 대하여 J-Graph와 Flow Diagram을 함께 분석한 것이다. J-Graph분석에서는 우선 평면의 타입에 무관하게 공간의 깊이는 3으로 동일하다. 또한 모든 타입은 현관앞의 작은 홀을 기점으로 실로 이동할 수 있으며, 대체로 거실을 통해 침실로의 동선이 이루어져 있다. 다만 C-2타입에서는 침실이 부엌을 통하도록 공간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차이점이다. 이는 부엌의 위치에서도 확인 할 수 있는 것으로 대부분의 평면타입에서 부엌은 독립된 위치에 분리되어 있으나, A-3타입에서는 화장실을 포함하며 발코니와 연결되기도 하고, C-2타입과 같이 침실과 연결되기도 한다. 전체적으로 침실은 가장 깊은 공간에 위치하여 독립되어 있지만, C-2에서는 발코니를 통해 거실과 연결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A-1, B-1에서는 단위세대내 두개의 침실이 배치되어 있는 바, 실의 크기와 형태의 차이는 평면에서 느낄 수 있지만, 공간의 구조상 J-graph에서는 발코니가 있을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같은 형태를 보여준다. 또한 전체 타입의 공간의 위계가 거의 차이가 없이 홀-거실, 부엌-침실의 구조를 보여주므로 20세기 초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노동자주택 공간구성의 일반적 구조라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동선을 중심으로 한 다이어그램의 분석에서는 모든 타입에서 공간의 기능적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설비적인, 위생상의 문제로 화장실이 현관에 인접해 있어야 했으므로, 좁은 공간인 홀에서 동선의 밀도가 가장 높아짐을 볼 수 있다. 대체로 동선은 한쪽으로의 방향성을 지니고 있으나, A-1, B-1과 같이 두 개의 방이 있는 경우나, C-2의 경우는 방향성을 지니기 보다는 분산된 동선의 경향을 보여준다. 동선의 단부에 있으며, 실의 크기도 협소한 침실은 침대만 둘 수 있는 공간으로 개인의 사적 영역으로서는 쓰일 수 없는 곳이었다. 가족의 수에 따라 거실에도 침대가 배치될 수도 있지만, 평면상에서는 거실과 부엌이 중요한 가족들의 대화를 위한 장소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A-3의 경우는 화장실이 부엌에 포함되어 있으며, 부엌을 통해 발코니도 연결되어 있으므로 오히려 부엌이 동선의 중심공간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 하나의 평면속에서 공간의 기능적 구분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작은 면적의 공간구성에서는 어쩔수 없는 면이 있을지라도 이 시대에는 실의 역할이나 위치 등에 있어서 근대적 주택으로 전환되는 과도기적 현상이었을 것이라 추정된다.


Fig. 22. 
“Functional housing for frictionless living,” flow diagrams by Alexander Klein, 1928. (source : Blau Eve, Architecture of Red Vienna 1919-1934, MIT, 1999, p.204)

Table 3. 
Analysis Of J-graph and Flow Diagram in Unit-plan
Type-A Type-B Type-C
A-1 B-1 C-1
A-2 B-2 C-2
A-3 B-3

4.3. 입면 · 단면 특성

Karl Marx Hof는 붉은페인트로 마감한 입면형태의 강력한 상징성이 비엔나의 석조로 이루어진 도시경관과는 이질적이다. 이는 2개층 규모의 아치로 이루어진 강력한 매스의 이미지와 함께 독특한 입면특성이다. Fig. 23.은 Bahnhof-Heiligenstadt역을 나와 마주치게 되는 Karl Marx Hof의 입면이다. 역사를 벗어나면 바로 인접하여 마주치는 거대한 벽체로 인하여 Karl Marx Hof의 전체 매스를 인지할 수는 없으나 붉은 색과 큰 스케일의 아치는 지역의 랜드마크로서의 역할을 할 정도로 이미지를 드러낸다. 비엔나의 슈퍼 블록 공공주택을 비롯한 많은 건물들에서 아치는 종종 발견할 수 있다.


Fig. 23. 
An Analysis of Elevation


Fig. 24. 
Arch In Vienna SuperBlock

Metzleinstaler-Hof에서는 1층 레벨의 상가 및 주민편의시설에 아치가 구성되어 있지만, Reumannhof를 비롯한 다른 공공주택들에서 보이는 아치는 통로공간으로 역할을 한다. 이런 비엔나의 다른 아치들과 성격을 같이하면서 Karl Marx Hof의 아치는 2층 규모로 직경이 약 12m에 이르며, 역사의 전면에 6개의 아치가 도열해 있어 스케일감을 압도한다. 한편 전체 입면은 두 켜로 면구성을 이뤄 적색의 강력한 색채가 아치와 함께 전면에 위치하며 배경이 되는 노란색 계열의 페인트색채가 한단 물러서 위치하여 아치와 적색의 전면벽체를 더욱 부각시켜주는 효과를 낸다. Fig. 23.은 매스가 분리되지 않고 같은 면에 구성 된다면 이런 강력한 시각적 인상은 구축될 수 없었을 것임을 보여준다. 이런 대비적인 입면의 구성과 달리 창은 표정을 지니지 않는 일률적인 동일한 크기와 패턴으로 나타나 시각적 분산을 일으키지 않도록 구성되었다. 즉 정확한 대칭의 구조속에 면을 구성하고 이의 반복 배치로 전통적인 강조의 수법이 사용되어 혁명적 분위기속의 Red Vienna를 표현한다. Karl Marx Hof의 이렇게 거대하고 강력한 이미지는 비엔나의 역사적인 도시공간조직과는 완전히 유리된 것으로 더 이상 주변 블록들과 연관될 수 없었다.

Karl Marx Hof 외부 입면에 대한 강력한 표현의 욕구는 내부 중정측의 입면에 있어서는 나타나지 않고 Fig. 25.와 같이 그저 일상적인 주거 단지의 모습을 보인다. 벽면의 절곡은 일부 나타나지만 연노랑색의 단정한 페인트마감으로 어떤 시각적 과시도 찾을 수 없다. 그러므로 시각적, 장식적 요소는 현관부의 디자인 정도에서 나타나고 강조된다.


Fig. 25. 
Elevation view in Courtyard, 2017

Karl Marx Hof의 단면은 확인이 되지 않으나, 당시 지어진 공동주택들의 단면도들을 확인한 결과 일반적으로 층고는 3.2m로 적용되었을 것이며, 아치형구조가 적용된 부분을 제외하면 Karl Marx Hof는 대체로 4-5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근거로 하여 Fig. 27.은 단위세대가 적층된 일반적인 주동의 단면을 추정한 것이다. 지상층에는 상가나 주민을 위한 공동시설이 위치하고 있고, 상부층에서는 주거층이 형성되었다. 현관의 위치가 반층 가량 올려져 있기도 하지만, 위 Fig. 26.에서와 같이 광장에서 바로 진입 가능한 현관이 일반적이다. 발코니의 형성과 층수에 따라 단위평면이 변하기도 하지만 내부공간의 구성은 크게 차이가 없으며, 건물의 중심에 자리한 구조벽이 단위세대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가장 강력한 물리적 제약임을 알 수 있다.


Fig. 26. 
Main-Entrance in Courtyard, 2017


Fig. 27. 
Section Image of Typical Floor


5. 결론

20세기초 오스트리아는 심각한 주거부족현상에 직면하게 되고, 이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슈퍼블록형 공공주택이 많이 조성되었다. 슈퍼블록형 공동주택은 독일과 네덜란드에도 적용이 되었지만, 제1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사회적으로 공황상태였던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는 Red Vienna 시대를 열며 공공주택의 제공에 있어 슈퍼블록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것이다. 이런 사회적 배경에 대한 이해와 함께 공공주택으로서의 슈퍼블록을 살피고 그 중 사회민주주의의 아이콘으로서 중요하게 인식되었던 Karl Marx Hof를 대상으로 구체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의 결과 Karl Marx Hof는 당시 주거부족 문제의 해결과 함께 노동자의 적정한 삶의 공간확보를 목표로 한 단위세대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계단실과 최소한의 홀을 3-4세대가 공유하면서 공용면적을 최소화하였고, 1, 2개의 침실과 거실 혹은 방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간, 그리고 부엌과 화장실로 단위세대를 구성하였다. 당시로서는 가장 큰 규모의 공공주택으로 단지 내부에 다양한 공공시설을 가지며, 대규모의 녹지를 중정에 조성한다. 이와 함께 남북으로 긴 축으로 단지가 위치하므로 주변 주거지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여 단지를 가로지르는 통과도로를 마련하고, 특히 Karl Marx Hof의 중심에는 인근역과 연계된 광장을 마련하여 지역주민들에게 개방하며 지역활동의 거점으로 역할하게 하였다. Karl Marx Hof의 입면은 Red Vienna 시대의 강력한 상징을 드러내고자 대칭과 반복, 그리고 전통적 요소로서의 아치와 강렬한 색채의 사용 등 특성을 확인할 수 있으나, 거주민들이 주요 생활하는 중정에서의 입면은 안정된 매스구성으로 정주환경을 조성하였다.

지금까지도 가장 큰 공동주택의 하나로 여겨지는 Karl Ehn의 Karl Marx Hof에는 그저 시각적 강력한 이미지의 구현만이 아니라 1930년대 당시에 주민의 최소한의 생활환경에 대한 이해와 서로 소통하는 공간의 중요성을 구현하고자 하는 시대상이 잘 반영되었으므로 Red Vienna의 아이콘으로 불리어질 수 있었다.

Karl Marx Hof는 주거공간으로 현재도 사용되어 실제 내부공간을 살펴볼 수가 없었으므로, 시대의 변화에 따른 공간의 변용가능성을 실체적으로 파악하지 못함은 본 연구의 한계이다. 그러나 근대기 서구 공동주택의 강력한 이데올로기적 상징성을 지닌 Karl Marx Hof를 대상으로 슈퍼블록을 지향하던 시대의 공동주택을 탐구하는 본 연구를 통하여, 쉽게 도시의 경관을 재구성하는 우리의 도시주거에도 중요한 교훈으로 역할하기를 기대한다.


각주
1) Blau Eve, Architecture of Red Vienna 1919-1934, MIT, 1999, p.23
2) 전승국들과 오스트리아 사이에 체결된 이 강화조약은 1919년 9월 10일 조인되었고, 오스트리아 국회에서 1919년 10월 21일 비준되었다. 독일제국과의 강화는 베르사유 조약(1919.6.28.), 터키와의 강화는 세브르 조약(1919.8.10.), 불가리아와의 강화는 뇌이 조약(1919.11.27.), 헝가리와의 강화는 트리아농 조약(1920.6.4.)에 따라 조율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체결된 주요한 조약들 모두가 파리 근교에서 체결되었기 때문에, 이 조약들을 보통 ‘파리 근교조약들’이라고 부른다.
3) Ernst Joseph Gorlich, Grundzuge der Geschichte der Habsvurermonarcbie und Osterreichs,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88, pp.277~281
4) Blau Eve, Architecture of Red Vienna 1919-1934, MIT, 1999, p.45
5) Karl Marx Hof, http://dasrotewien-waschsalon.at/in/, 2016
6) 노버트 쉐나우어 저, 김연홍 역, 집 [6,000년 인류주거의 역사], 다우, 2004, p.467 // (Norbert Schoenauer, Transpered by Kim, Yeon-Hong, 6,000 Years of Housing, Dawoo, 2004, p.467)
7) Blau Eve, Architecture of Red Vienna 1919-1934, MIT, 1999, p.323
8) Blau Eve, Architecture of Red Vienna 1919-1934, MIT, 1999, p.204

Acknowledgments

This research rewrites and revises the contents Kim, Eun-Ji’s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Karl-Marx-Hof during the Red Vienna Period』(Daejin Univ. Master Thesis, 2014).


References
1. Blau, Eve, Architecture of Red Vienna 1919-1934, MIT, (1999).
2. Ernst Joseph, Gorlich, Grundzuge der Geschichte der Habsvurermonarcbie und Osterreichs,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88).
3. Karl Marx Hof, http://dasrotewien-waschsalon.at/in/, (2016).
4. 노버트쉐나우어 저, 김연홍 역, 집 [6,000년 인류주거의 역사], 다우, (2004).
Norbert, Schoenauer, Transpered by Kim, Yeon-Hong, 6,000 Years of Housing, Dawoo, (2004).
5. Hilary French, Key Urban Housing of the Twentieth Century, Laurence King Publishing, (2008).
6. Walter Zednicek, Wiener Architektur Um 1900, Walter Zednicek,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