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Current Issue > Vol. 24, No. 4


[ Research Article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 Vol. 24, No. 3, pp. 53-60
Abbreviation: J. Korea Inst. Ecol. Archit. And Environ.
ISSN: 2288-968X (Print) 2288-969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4
Received 12 Apr 2024 Revised 24 Apr 2024 Accepted 30 Apr 2024
DOI: https://doi.org/10.12813/kieae.2024.24.3.053

리차드 마이어의 건축작품에 나타난 공간구성 원리
김창성*

The Principles of Spatial Composition Shown in Richard Meyer’s Architectural Works
Chang-Sung Kim*
*Professor,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Hyupsung Univ., South Korea (cskim815@daum.net)

ⓒ 2024. KIEAE all rights reserved.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Purpose:

Richard Meyer was greatly influenced by Le Corbusier, and the present meaning of Meyer's work is not small in terms of the creative succession of Le Corbusi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is architectural perception and application method of design elements that are common in Richard Meyer's work, and the process of space formation by mutual fusion of design elements.

Method:

Richard Meyer consistently used various architectural principles such as white space, light, ramp, geometric shape, and multi-layered space in the process of his work.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literature survey representing Richard Meyer's architectural principles and an analysis of works in which his design vocabulary was actively applied.

Result:

The five design principles of Richard Meyer analyzed in this paper are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Le Corbusier's architectural theory, and the results of his original work can be said to have great significanc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Richard Meyer consistently applied architectural principles such as white space harmonized with nature, the impression of time and space by light and shadow, the sequence of spaces by ramps, the geometric shape by surfaces, lines and grids, and the composition of multi-layered spaces by solids and voids.


Keywords: Richard Meyer, White Architecture, Light, Architectural Promenade
키워드: 리차드 마이어, 백색 건축, , 건축적 산책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현대 건축가로서 모더니즘 경향을 추구한 미국 건축가 리차드 마이어는 피터 아이젠만(Peter Eisenman), 찰스 과쓰메이(Charles Gwathmey), 마이클 그레이브스(Michael Graves), 존 헤이덕(John Hejduk)과 1960년대 ‘New York 5’ 멤버로 활동하였다[1]. 그는 주택, 박물관, 병원, 상업건물, 공장, 교육시설, 사무실 등 다양한 작품을 수행하면서 A.L.A.상과 프리츠커상 등을 수상했고, 하버드, 예일 등의 대학에서의 건축 교육을 통해 현대건축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마이어는 르 코르뷔제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르 코르뷔제의 창조적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마이어 작품에 대한 현재적 의미는 작지 않다고 할 수 있다[2]. 조셉 리쿼트는 마이어가 프로그램과 콘텍스트에 충실했을 뿐 아니라 그 이상의 메타포적인 힘을 보였다고 했고, 케네스 프램톤은 마이어의 건축은 르 코르뷔지에 이외에도 여타 건축적 영향이 반영된 산물이라고 하였다[3].

리차드 마이어는 백색 건축에 의한 자연과의 조화, 빛에 의한 공간 연출, 건축적 산책에 의한 공간의 연계, 기하학적 형태, 다층적 공간 구성 등의 건축 원리를 작품 전반에 일관성 있게 사용하였다[4-6]. 이러한 건축 원리는 건축물 내에서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융합적 작용을 통해 리차드 마이어 만의 독특한 건축을 구현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리차드 마이어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디자인 원리에 대한 그의 건축적 인식과 적용 방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가 일관적으로 추구했던 건축 원리들이 현대건축에서의 발전적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리차드 마이어의 건축 원리를 나타내는 문헌 조사와 그의 디자인 어휘가 적극적으로 적용된 작품 분석을 통해 진행되었다. 이러한 리차드 마이어의 건축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차드 마이어가 그의 건축 이론을 전개할 수 있도록 영향을 받은 교육과 건축가들에 대해 고찰하였고, 그의 작품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작품 경향을 살펴보았다.

둘째, 리차드 마이어의 작품에서 일관되게 적용된 건축 원리로서 백색 건축, 빛, 산책로, 기하학적 형태, 겹 공간의 건축 디자인 어휘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이러한 건축 원리가 적용된 대표적 사례 분석을 통해 리차드 마이어의 일관된 작품 형성 과정을 분석하고 각각의 특성을 요약 정리하였다.


2. 리차드 마이어의 건축적 배경과 작품 경향
2.1. 건축 배경

리처드 마이어는 1934년 미국 뉴저지(New Jersey)에서 태어났고 코넬대학에서 건축 교육을 받았다. 졸업 후 유럽의 여러 나라를 여행하면서 건축에 대해 많은 감명을 받았으며, 르 코르뷔제,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미스 반데어 로에, 마르셀 브로이어와 같은 근대건축 거장에 영향을 받았다[1].

마이어는 “나는 르 코르뷔제의 작품에 애정이 없었다면 나의 건축은 만들어지지 못했을 것이다. 나는 그가 공간을 구성하는 방식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밝히고 있다. 특히, 1963년 뉴욕에서 개최된 르 코르뷔제 전시회는 마이어가 자신의 건축사무소를 여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2].

또한, 그는 마르셀 브로이어(Marcel Breuer)에게서 가르침을 받으며 중요 작품에 참가하였고, 마르셀 브로이어의 건축 개념을 따른 Fire Island의 해변 주택을 설계할 기회를 얻게 된다[1]. 마이어는 코르뷔제의 건축의 5원칙, 라이트의 유기적 건축, 미스의 벽을 구조에서 해방시킨 공간 특성과 같이 근대건축 거장의 이론을 바탕으로 자신의 건축이념을 형성했다고 할 수 있다[6].

리차드 마이어는 60년대 스미스 하우스와 같은 초기 주택 건축물로 알려지기 시작했고, 70년대에는 브롱스 재활센터(Bronx Developmental Center)를 비롯한 공공건축물, 80년대에는 프랑크푸르트의 장식미술 박물관(Museum for the Decorative Art), 하이 뮤지엄(High Museum of Art)과 같은 백색 건축으로 국제적 명성을 얻게 되었다[18].

2.2. 작품 경향

리차드 마이어는 백색은 모든 자연색 중 가장 기본적인 색채로서 빛과 그림자를 이용한 공간 연출이 가능하고, 완벽함과 순수함, 명료함의 상징으로서 가장 아름다운 색채로 생각하며 ‘백색 건축’을 지향하였다[5]. 그의 작품은 1960년대의 주택건축, 70년대의 공공건축물 및 80년대 이후의 박물관 건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들 건축물 들은 모두는 백색 건축으로 설계되었다.

리차드 마이어의 주택작품은(Fig. 1.) 거실과 같은 공적공간의 상·하층을 개방시키고 사적 침실 공간과는 철저히 분리하여 공간의 질서를 부여하였다. 또한, 기둥은 공적공간에 노출하고, 벽은 구조적 목적이 아닌 공간을 에워싸며, 경사로에 의한 공간의 연결과 조망을 제공하였다[2].


Fig. 1. 
Pictures of Smith House

리차드 마이어는 모든 작품의 디자인 체계를 다이어그램으로 제시하고 있으며(Fig. 2.), 자연 축과 대지 축의 설정, 프로그램에 의한 공간구성, 합리적인 구조체계와 동선 설정 등을 체계적으로 표현한다[2]. 또한, 그는 독립된 공간에서 사적영역과 공적영역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외부와 내부의 겹쳐진 공간에 연속성을 부여한다[17]. 이렇게 프로그램된 공간은 중첩과 관입, 분해와 충돌의 재구성을 통해서 복합적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공간구성 과정은 빛의 이용과 더불어 전시 공간에서 잘 나타난다(Fig. 3.)[4].


Fig. 2. 
Diagram


Fig. 3. 
Barcelona Museum


3. 리차드 마이어 건축의 공간구성 원리

건축 작업에 있어 마이어의 주된 관심사는 공간, 형태, 빛에 있으며, 건축의 근본적인 목표는 환영보다 현존이며, 건축은 본질적으로 생명력과 인내를 함유한다고 생각한다[1]. 이러한 마이어의 건축을 구현하는 디자인 원리로서 ‘백색 건축’, ‘빛’, ‘산책로’, ‘기하학적 형태’, ‘겹공간’ 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3.1. 백색 건축(White Architecture)

마이어는 ‘백색’에 관한 자신만의 철학이 있어 그의 작품집과 연설문에서 자주 언급된다. 1984년 프리츠커상 수상 연설문[1]에서 “백색은 가장 아름다운 색이며 항상 빛에 의해 전달되고 변화되며, 다른 색은 그 배경에 의존해 상대적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흰색은 절대성을 보유하고 명백한 형태를 지닌다.” 고 말했다. 이러한 마이어의 백색 건축에 대한 의미는 모든 자연색에서 존재하는 가장 기본적인 색채로서 백색 표면을 이용하여 보이드와 솔리드, 밝음과 그림자의 연출이 가능하며, 공간과 형태를 질서 있게 정의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5].

마이어는 스미스 주택(Fig. 1.)에서 공간과 형태를 강조하기 위해 빛에 미묘하게 반응하게 하는 배경색으로 백색이 선택되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빛의 존재를 표현하였다. 또한, 화강암을 주요 마감재로 사용한 데무앵 아트센터(Fig. 4., 좌)에서도 본질적으로 여전히 백색을 지향하였고, 빛과 그림자, 채움과 비움, 형태의 순수성을 나타내었다.


Fig. 4. 
Des Moines Art Center, Basilica di San Lorenzo, Jubilee Church

3.2. 빛(Natural Light)

마이어는 바로크 교회들에 대하여 영적 숭고함이 느껴지는 빛이 존재하며, 건축적 볼륨을 경험하는데 빛이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하였다[7]. 바로크 성당인 구아리니의 산 로렌조 성당(Basilica di San Lorenzo, Fig. 4., 중)은 “기하학적 체계들이 공간의 내‧외부를 연결하고, 물결 같은 곡선이 벽을 따라 흐르면서 돔에서 들어오는 빛을 통해 공간의 겹침과 깊이감을 느끼게 하는데 이는 자신이 사용하는 빛과 유사하다.”고 하였다. 이같이 마이어는 빛에 의한 공간의 연출과 빛과 휴먼 스케일과 같은 문제를 끊임없이 해결하고자 한다[16].

쥬빌리 교회(Fig. 4., 우)는 같은 반경의 곡선으로 된 3개의 쉘이 서로 다른 높이로 나란히 서 있는 구조 형식을 갖고 있으며, 각 각의 구조물 사이에 설치된 천창을 통해 풍부한 자연광이 유입되어 공간의 겹침과 연속성을 표현한다[14].

3.3. 산책로(Architectural Promenade)

리차드 마이어의 건축에서는 복도, 경사로, 브릿지, 계단과 같은 동선 체계가 움직임에 의한 다양한 공간의 시퀀스를 제공한다. 특히, 경사로는 수직적‧수평적 움직임이 동시에 일어나며, 빛과 백색 공간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8]. 이러한 경사로는 코르뷔제의 빌라 사보아(Fig. 5.)를 비롯해 다양한 작품에 적용된 건축적 산책의 개념에서 영향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Fig. 5. 
Villa Savoye

올드 웨스트베리 주택(Fig. 6.)은 4층의 본채와 게스트하우스로 분리되어 있고, 반 층 높이의 고저 차가 있는 대지에 건축되었다. 지층은 필로티로 처리돼 건물의 진입부로 사용되며, 여기서부터 경사로가 시작된다. 경사로는 3층까지만 연결되는데, 유리 너머로 보이는 외부의 전경은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모호하게 해주며, 건축적 산책의 즐거움을 느끼게 한다[3].


Fig. 6. 
Old Westbury House

3.4. 기하학적 형태(Geometric Mass)

리차드 마이어는 축의 설정과 다이어그램을 통해 작업을 진행하며, 표피와 구조의 분리, 기하학과 비례에 의한 합리적인 표현에 의해 건축 작업을 진행한다[9]. 이러한 마이어의 조형 어휘로는 기하학적 비례에 의한 입면 체계, 계단과 경사로, 브리즈 솔레이유 등을 꼽을 수 있으며, 전체공간과 부분공간의 연결과 상호관계에 대한 체계를 논리적으로 정의한다[10].

호프만 주택은 도로축과 45°틀어진 각도로 맞물려 설계되었다. 기본적인 구성은 두 개의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부뿐 아니라 내부에서도 사선의 형태가 계속해서 드러나며 기하학적 형태를 완성하였다(Fig. 7.)[11].


Fig. 7. 
Pictures of Hoffman House

3.5. 겹공간(Multi-Layered Space)

건축가는 건물을 계획할 때 자연스럽게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을 나누게 된다. 이러한 공간을 구성 함에 있어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은 서로 단절될 수도 있지만, 유리의 투명성, 필로티, 벽체의 높낮이 등으로 경계가 모호해질 수도 있다[12]. 이러한 공간 속의 공간을 겹공간이라 하며, 외부공간에서 내부공간으로 이르는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공간을 형성하여 다층적 공간을 경험하게 한다.

일리노이주에 위치한 복합 문화관인 아테네움(Fig. 8.)에서는 전면 유리를 속의 실내 영역과 가벽에 의해 형성되는 옥외 영역이 겹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에는 단절된 공간들 사이에 리듬감을 부여하고, 공간과 공간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매개공간을 형성하였다[4].


Fig. 8. 
Pictures of Atheneum


4. 리차드 마이어의 작품 분석
4.1. 스미스 하우스(1967, Connecticut, U.S.A)

스미스 하우스는 울창한 상록수와 해안의 돌출부가 있는 암석 지반의 땅에 대지 고저 차를 이용하여 건축되었다. 거실 같은 공적 공간은 해변을 바라보고, 사적공간은 건물 배후의 언덕과 이어진다. 스미스 하우스는 백색 건축의 특성이 나타나기 시작한 초기 건축물로 백색과 빛의 조화를 잘 느낄 수 있다. 해변에서 들어오는 풍부한 빛은 시간의 변화에 따른 백색의 미묘한 변화를 일으키며 건축물을 다채롭게 만들어 준다(Fig. 9.)[11].


Fig. 9. 
Pictures of Smith House

스미스 하우스에서는 통로, 계단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건축적 산책을 표현하고 있지만, 경사로의 형태는 나타나고 있지 않다. 건물의 가장 큰 특징인 주 출입구는 대지에서 집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되며 건축적 산책을 시작하게 한다. 집안에 들어서면, 이용객은 주택의 공간적 핵심인 거실을 마주하게 되며, 거실에서부터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Fig. 10.).


Fig. 10. 
Exterior and interior views of Smith House

마이어는 설계 초기 단계부터 대지에 맞게 입방체를 기본으로 하여 파내거나 부수적인 형태를 덧붙이는 조각적 기법을 적용하였고, 전면을 유리로 디자인하여 빛에 의해 형태가 변화되도록 하였다[13]. 스미스 하우스는 마이어의 겹공간 개념이 확립 되어가고 있는 작품으로서 공간의 통합과 중첩을 통해 내·외부의 연결성을 높여준다. 3층의 방과 1층 식당이 거실을 통해 연결되어, 3개의 공간이 거실의 개방으로 시각적으로 연결된다(Fig. 11.)[22].


Fig. 11. 
Pictures of geometric form in Smith House

4.2. 더글라스 주택(1973, Michigan, U.S.A)

더글라스 주택(Douglas House)은 미시간 호수 가의 숲속 경사지에 위치하며, 대지의 고저 차에 의해서 4층과 2층에 외부와 연결되는 브릿지가 계획되었다. 멀리서 바라보면 순수한 백색으로 보이지만 햇빛이나 달, 구름, 나무 등에 의하여 미묘하게 달라진다. 이러한 색의 차이는 공간의 깊이감을 더욱 잘 느끼게 하며, 주택 내부에서 나오는 빛은 자연 속에 빛나며 또 다른 풍경을 자아낸다(Fig. 12.)[9].


Fig. 12. 
Picrures of Douglas House

마이어는 주택에서의 빛은 프로그램에 따른다고 생각하였다. 상부층을 개방시켜 비워낸 공적공간에는 다량의 자연광으로 채우고, 그 뒤쪽으로 계획된 사적공간에는 벽면 개구부나 창을 통해 빛을 유입시켜 공적 공간과는 다른 공간감을 부여하였다[5]. 마이어에게 빛은 특정 장소를 조명하는 단순 역할을 넘어 독특한 공간 창조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Fig. 13.).


Fig. 13. 
Interior views of Douglas House

더글라스 하우스는 거실을 중심으로 층을 이루고 있다. 산책은 대지에서 건물로의 진입부터 시작된다. 언덕에서 브릿지를 통해 지붕 층으로 진입하는데, 진입하자마자 바로 거실을 마주하지 않는다. 거실은 계단을 통해 2층으로 내려가야 오픈된 거실을 마주하게 되며, 전면 창을 통한 개방감과 창 너머로의 풍경을 마주하며 건축적 산책의 절정을 느끼게 된다(Fig. 14).


Fig. 14. 
Architectural promenade

더글라스 하우스는 실의 배치나 축 설정 등에서 마이어의 기하학적 배치가 돋보이는 건물이다. 형태의 심미적 완전성은 단순한 물질적 형태의 관계가 아니라, 기하학적인 비례의 원리와 추상적 개념들이 표현된 복잡한 요소의 중첩에서 비롯된다[9]. 자연광이 닿는 첫 번째 면은 거실의 유리로서 빛이 그대로 투과되고, 건물 뒤쪽의 사적공간에 두 번째 면으로 닿게 된다. 이는 외부에서 외부를 바라보는 느낌을 주며 공간을 그 너머까지 확장 시키게 된다. 이러한 공간의 확장성은 내외부의 경계 자체를 모호하게 하는 겹공간적 특성을 만든다(Fig. 13.).

4.3. 주빌리 교회(2003, Rome, Italy)

주빌리 교회(Jubilee Church)는 바티칸 밀레니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로마에 지어진 교회 중 하나로서 전통적인 로마의 석회암과 흰색 대리석 모양의 콘크리트로 지어졌으며, 기하학적인 쉘의 형태를 강조하여 주택 단지 속에서 기념비적인 교회를 건축하였다[20]. 주빌리 교회는 백색 재료를 사용하여 그림자와 색이 대비되어 건물의 형태를 강조하며, 공간을 신비롭게 연출하였다. 바닥의 백색으로부터 빛의 반사와 쉘의 이중 표피 구조에서 들어오는 빛은 교회 공간을 다채롭게 채워준다(Fig. 15., Fig. 16.)[19].


Fig. 15. 
Picrures of Jubilee Church


Fig. 16. 
Interior views of Jubilee Church

주빌리 교회는 세 겹의 쉘 모양으로 이루어져 독특한 건물 외관을 보여주며, 세 겹의 벽 사이로 들어오는 빛을 통해 부드럽고 온화한 종교적 분위기를 느끼게 한다[1]. 주빌리 교회에서는 경사로나 계단에 의한 적극적인 동선의 유도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지만, 빛을 이용한 시각적 산책이 나타난다. 먼저, 교회에 접근하면 거대한 3개의 쉘이 존재를 드러내며, 쉘 사이로 들어오는 빛은 온화하고 따뜻하며 전면의 제단까지 공간의 확장성과 방향성을 암시한다(Fig. 16.)[15].

주빌리 교회는 전체적으로 사각과 원형의 비례를 기반으로 하여 수직적인 반 아치를 중첩하고 내적 규칙을 이루게 하였다[10]. 이러한 3개의 쉘은 삼위일체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내부 공간을 나누는 기능을 한다. 바깥쪽의 두 개의 쉘은 사이드 채플과 세례당을 감싸며 안쪽의 큰 쉘은 주 예배당을 감싼다[7]. 이는 이중 표피에 의한 구조적 이격과 이로 인한 빛의 유입으로 구조적 특성이 강조되어 강한 공간감을 부여하는 마이어의 독특한 디자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Fig. 17.).


Fig. 17. 
Photos of Jubilee Church

4.4. 산 호세 시청사(2005, California, U.S.A.)

산호세 시청(San Jose City Hall)은 야외 광장, 원형 홀, 오피스 빌딩 및 의회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스틸, 콘크리트, 샌드스톤 등의 재로를 사용하여 온전한 백색 재료만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전체적으로는 백색 건축의 개념이 이어진다[21]. 내부에서는 바닥재를 제외하고 벽과 구조체, 천장 등에 백색을 사용하여 저층부 천창에서 들어오는 빛이 백색 재료에 전해지고 변화한다(Fig. 18.).


Fig. 18. 
Photos of San Jose City Hall

공공 광장과 원형 돔은 대지의 중심에 위치하여 사람들이 어느 곳에서 접근하거나 끌어들이는 효과를 일으킨다. 공공 광장에서는 먼저 가운데에 있는 원형 홀로 방문객들을 끌어들인다. 원형 홀의 거대한 계단은 시의회 회의실로 이어지게 되며, 내·외부 경사로로 이어진다. 또한, 복도에서도 측창과 천창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통해 건축적 산책의 즐거움이 이루어지며, 창을 통한 외부와의 시선 교류를 통해 좁은 공간의 확장성을 느낄 수 있다(Fig. 19.).


Fig. 19. 
Interior view of San Jose City Hall

오피스 건물에 설치된 브리즈 솔레이유는 자연광을 조절하는 동시에 건물의 미적 비례에 맞는 선적인 형태 요소로서 유리의 투명 요소와 함께 기하학적 비례를 표현하였으며, 원 형태의 돔형 구조는 전체적인 구심점으로서 목적성을 갖는다[10]. 또한, 시청의 중심에 있는 원형 홀은 대중이 모일 수 있는 공간이자 의회 건물로 향하는 대기 공간으로서 유리 벽 너머의 광장을 보고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실내 영역과 외부 영역 사이의 단절된 공간에서 매개 공간을 형성한다(Fig. 20.)[4].


Fig. 20. 
Exterior and interior views of San Jose City Hall

4.5. 장식 미술 박물관(1985, Frankfrut, Germany)

장식미술 박물관(Museum of Applied Arts)은 마인강 변 뮤지엄 거리에 있는 19세기 팔라초 양식의 빌라 메츨러를 증축한 것이다. 마이어는 정방형 백색 자기질 건축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백색의 차갑고 깨끗한 질감과 조형을 유지하였다. 또한, 기둥과 벽, 천장은 물론이고 창호 프레임과 금속 난간에 이르기까지 백색으로 통일하였고, 전시 공간 속에서 기둥을 노출시켜 공간의 깊이감을 만들어 내었다(Fig. 21.)[5].


Fig. 21. 
Pictures of Museum of Decorative Arts

마이어는 자연광을 통해 동선을 유도하였다. 회전문을 밀고 처음 건물 내부로 들어오면 홀이 펼쳐지는데, 이 홀은 천장이 낮고 어두워 다소 폐쇄적으로 느껴진다. 홀의 오른쪽에는 아트리움과 경사로가 설치되어 있어 이곳으로 자연광이 유입되며, 이는 현관과의 상대적인 명암 차이로 인해 방문객을 자연스럽게 경사로로 유도한다[3]. 관람객은 진입 이후 대공간에 있는 경사로를 통하여 전시 공간에 이르게 되며, 연속된 전시 관람 체계를 가지면서도 선택적 관람이 가능한 동선 체계로 유도된다(Fig. 22.)[2].


Fig. 22. 
Pictures of Museum of Decorative Arts

장식미술 박물관은 남북 방향의 ‘브리지 축’과 동서 방향의 ‘경사로 축’이 서로 교차하며 관람객의 동선을 유도한다[3]. 브리지를 지나 두 축의 교차점에 다다른 관람객은 경사로를 인지하고, 다음 층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마이어의 박물관 건축에는 다양한 기하학적 축과 모듈이 이용되는데 이는 전시 공간을 구성하는 논리적인 근거와 특성을 제공한다[2]. 관람객은 박물관으로 진입한 후 대공간의 램프를 통하여 전시 영역에 이르게 되며, 경사로와 회랑이 반 외부공간의 역할을 하면서 겹공간의 역할을 담당한다. 대공간을 중심으로 전시공간이 배치되고. 겹공간을 통해 공간의 유동성을 제공하면서 전시품을 감상할 수 있게 하였다(Fig. 22., Fig. 23.)[4].


Fig. 23. 
Pictures of Museum of Decorative Arts

4.6. 하이 뮤지엄(1983, Atlanta, U.S.A.)

1926년 J. M. High 부인이 기증한 저택에서 시작된 하이 뮤지엄(High Museum of Art)은 온전한 백색과 유리로 이루어져 있다. 현관은 천정이 낮고, 띠창을 통해 적은 빛이 유입되는 수평적 공간이며, 경사로를 포함한 아트리움은 천창과 측창을 통해 유입되는 다량의 빛으로 인해 수직적으로 개방된다[3].

이런 공간적 변화는 자연스럽게 다음 단계로 시선이 유도되게 하며, 유입된 빛들은 매시간 변화하면서 조형성을 강조하면서 백색 공간의 효과를 배가시킨다[4]. 산책은 건물의 진입로부터 시작한다. 진입을 위한 위부 경사로는 거리에 따른 건물의 질감과 크기를 느끼게 하고, 건물로 들어오면 실내 경사로에 의해 동선 흐름을 제어하고, 대공간, 겹공간, 개별전시실의 공간 위계로 연계된다(Fig. 24., Fig. 25.)[2]. 경사로 사이의 벽체는 참을 기점으로 공간의 성격을 내부와 외부로 바뀌게 하며, 전시 공간에 빛이 직접 들어가는 것을 차단한다[3].


Fig. 24. 
Pictures of High Museum of Art


Fig. 25. 
Pictures of High Museum of Art

미술관은 대지와 평행한 그리드의 세 모퉁이에 정사각형 매스의 전시공간이 배치되고, 그 사이를 연결하여 ‘ㄱ’ 자 형태의 장방형 평면을 형성하여 사선의 진입 축과 만나는 곳에 오디토리움이 배치되었다. 전시동과 오디토리움 사이의 빈 공간에 사분원 형태의 아트리움이 설치됨으로서 대공간과 개별전시실 사이에 겹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겹공간은 개별전시실의 전실 역할을 하고, 개별 전시공간과 대공간 사이에서 관람객들이 자신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게 하며, 내외부 공간을 경험하며 관람할 수 한다(Fig. 24., Fig. 26.).


Fig. 26. 
Interiors pictures of High Museum of Art

4.7. 사례 분석 요약

이처럼 각각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마이어의 건축은 명료하면서도 복합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 마이어가 작품 속에서 담아내고자 한 건축적 디자인 어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Table 1.).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cases to study
Works Characteristics of Selected Cases
Smith House WA It shines brightly during the day and silvery at night, becoming a living symbol with a changing power.
NL It separates public and private spaces by light, and creates public space a more open and vibrant..
AP It shows an architectural promenade to people using aisles, stairs, and driveways, but no ramps were used.
GF It was designed by setting up a program and structural system by analyzing the shape, slope, direction.
MS Rrooms on the 3rd fl. and restaurant located on the 1st fl are visually connected and spatially integrated.
Douglas House WA The colors of forest, lake and sky, sand, together with the white of the house, create a magnificent landscape.
NL Natural light plays a role beyond illuminating a apace,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unique spatial environments.
AP Guided from hill to bridge to roof, one go down the stairs to the second fl. and face open living room.
GF Mass shape is simple, but unique geometric arrangement appears, such as arrangement of rooms and axes..
MS A unique space is formed through a collage-type façade configuration with multi-layered spaces.
Jubilee Church WA Except for furniture and frames in the space, white color was used to make the space more fabulous..
NL Light enters from the shell and ceiling to illuminate entire space and change the atmosphere of the space.
AP Although the movement line is not guided by ramps or stairs, a visual promenade using light appears.
GF Based on the proportion between square and circle, the half-arch was overlapped to form an internal rule.
MS The structural separation of the shell wall and the resulting inflow of light give a strong sense of space.
San Jose City Hall WA Materials such as steel, concrete, and sandstone were used, but the concept of white architecture continued overall.
NL Light enters the curtain wall in the high-rise, and the use of light appears beautifully in the low-rise.
AP Terraced ramp outside also allows access to circular dome and buildings feeling architectural promenade.
GF It is defined the geometric shapes of linear lines and connected the entire space and subspace consistently.
MS The inbetween space between the interior and the outside was formed between the disconnected spaces.
Museum of Applied Arts WA The columns were exposed in the white exhibition space to create a sense of depth in the exhibition space.
NL Natural light was introduced into the atrium and ramp, and visitors were naturally guided to the ramp.
AP The ramp becomes the center of the exhibition movement through the connection with the bridge.
GF The geometric axes and modules were used, and a square of the same size as the existing villa was used.
MS A movement line system is constructed that allows selective viewing in a continuous exhibition system.
High Museum of Art WA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consists of complete white and glass windows, and the interior also uses white
NL It maximizes effect of light coming from ceiling and side windows, and visitors focus on viewing exhibits.
AP It consists of a slope from the entrance of building, and one can feel the texture and size of the building.
GF Shapes and spaces.were designed by setting up the basic city axis and diagonal axis to induce the building.
MS It also serves as a space for visual adaptation between the large space and the individual exhibition room.
WA: White Architecture, NL: Natural Light, AP: Architectural Promenade, GF: Geometric Form, MS: Multi-layered Space

(1) 백색 건축: 백색은 자연색에서 존재하는 가장 기본적인 색채이며, 백색 표면을 이용하여 솔리드와 보이드, 빛과 그림자의 연출이 가능하고, 추상적인 공간과 스케일, 자연과의 컨텍스트를 부여하여 공간에 질서를 부여한다.

(2) 빛: 빛은 건축공간의 볼륨을 경험하는데 중심 역할을 하며, 기하학적 체계에 의한 공간의 내·외부를 연결하고, 공간의 겹침과 깊이감을 조절하는 주된 요소로서 작용한다.

(3) 산책로: 복도, 경사로, 브릿지, 계단과 같은 동선 체계는 움직임에 따르는 공간의 시퀀스를 제공하며, 특히, 경사로는 수직적 움직임과 수평적 움직임이 동시에 일어나 동선의 의미와 함께 공간의 융합과 유동성을 제공한다.

(4) 기하학적 형태: 축의 설정과 다이어그램에 의해 기하학적 비례의 원리에 따른 모듈을 설정하며, 표피와 구조의 분리에 의한 공간의 체계적인 연결과 일관성 있는 형태를 표현한다.

(5) 겹공간: 공간에서 공간으로 이르는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공간지각을 형성하며, 겹쳐진 공간 사이에 리듬감을 부여하고,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매개 공간을 형성한다.


5. 결론

리차드 마이어는 르 코르뷔제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르 코르뷔제의 창조적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현대건축에서의 그의 현재적 의미는 매우 중요하게 평가된다. 자연과 조화되는 백색 공간, 빛과 그림자에 의한 시간성과 공간감 부여, 경사로에 의한 공간의 시퀀스, 면, 선, 그리드에 의한 기하학적 형태, 솔리드와 보이드에 의한 다층적 공간 구성 등의 건축 원리를 작품 전반에 일관성 있게 적용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리차드 마이어의 작품에 나타나는 디자인 요소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연과 조화되는 백색 공간: 스미스 하우스와 더글라스 하우스는 는 백색 건축의 특성이 나타나기 시작한 초기 건축물로, 리차드 마이어의 백색과 빛의 조화를 잘 느낄 수 있다. 백색은 배경색으로서 빛을 받아들이고, 시간의 변화에 따른 백색의 미묘한 변화는 건축공간을 더욱 다채롭게 만들어 준다.

(2) 빛과 그림자에 의한 시간성과 공간감: 빛에 의해 공적공간과 사적공간을 분리하고 프로그램에 따른 공간감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공간의 이용은 초기 주택작품에서 개념이 설정되어 전시 공간에 적극 도입되었다. 빛은 공간의 볼륨을 경험하는데 중심 역할을 하며, 기하학적 체계에 의한 공간의 겹침과 깊이감을 조절한다.

(3) 경사로에 의한 공간의 시퀀스: 르 코르뷔제에 의해 제기된 건축적 산책의 개념은 리차드 마이어 건축에서 창조적으로 계승된다. 복도, 경사로, 브릿지, 계단과 같은 요소들이 공간의 시퀀스를 제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이용되었으며, 이런 시퀀스는 수직적 움직임과 수평적 움직임이 동시에 일어나는 공간의 융합과 유동성을 제공한다.

(4) 면, 선, 그리드에 의한 기하학적 형태: 리차드 마이어의 건축은 표피와 구조의 분리, 기하학과 비율로 조절되는 합리적인 디자인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기하학적 형태는 축의 설정과 다이어그램에 의한 비례와 모듈의 적용으로 전체공간과 부분공간의 관계를 정의한다.

(5) 솔리드와 보이드에 의한 다층적 공간 구성: 리차드 마이어는 공간 진행에 따라 공간의 변화와 연속성을 경험하고 이를 통해 공간의 다층성을 지각하게 하였다. 외부공간에서 내부공간으로 이르는 연속된 과정에서 풍부한 공간감을 제공하고 실내의 대공간과 개별 공간 사이의 다채로운 공간을 만들어 내었다.

(6) 본 논문에서 분석한 리차드 마이어의 건축 디자인 원리는 르 코르뷔제의 건축 이론을 계승 발전한 것으로서, 그의 독창적인 작업 결과물은 현대건축의 발전에 큰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2024년도 협성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


References
1. 정혜영, 리차드 마이어의 건축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1호, 1999.12, pp.182-187.
H.Y. Chung, A study on tendency of architecture in Rechard Meier, Journal of KIID, 21, 1999.12, pp.182-187.
2. 이성훈, 박용환, 리차드 마이어의 뮤지엄건축 전시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5권 제4호, 2006.08, pp.97-105.
S.H. Lee, Y.H. Park,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 planning in museums desinged by Richard Meier, Journal of KIID, 15(4), 2006.08, pp.97-105.
3. 정재훈, 김현섭, 리차드 마이어의 건축의 경사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31권 제11호, 2015.11, pp.133-142.

J.H. Jeong, H.S. Kim, A study on the ramp in Richard Meier’s architectur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1(11), 2015.11, pp. 133-142.
4. 최재훈, 김문덕, 리차드 마이어의 전시공간에 나타나는 겹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09.10, pp.54-57.
J.H. Choi, M.D. Kim, A study on muiti-layered characteristics of Richard Meier in exhibition space, 2009 Conference of KIID, 2009.10, pp.54-57.
5. 이관석, 리처드 마이어의 박물관에 나타나는 건축적 특성과 그 의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0권 제6호, 2004.06, pp.127-134.
K.S. Le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its implications in Richard Meier’s museum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0(6), 2004.06, pp.127-134.
6. 최소현, Richard Meier 박물관의 감성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S.H. Choi, A study on the sensibility space characteristic in Richard Meier’s museums,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2010.
7. 한명식, 리처드 마이어 건축에 표현된 바로크적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2권 제3호, 2013.06, pp.127-134.

M.S. Han, A study on the Baroque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architecture by Richard Meier, Journal of KIID, 22(3), 2013.06, pp.127-134.
8. N. Al Aaasf, S.M. Dahabreh, The aesthetics symptoms of architectural form: The case of Barcelo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by Richard Meier, Architectural Design Conference on Design Methodologies (ARCHDESIGN ’14), 2014.05.
9. S.M. Dahabreh, The hidden geometry of the Douglas House, Research Journal of Applied Sciences, Engineering and Technology, 7(12), 2014, pp.2483-2490.
10. 오현정, 윤재은, 리차드 마이어 백색건축에 나타난 구조주의적 공간체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4권 제4호, 2019.08, pp.91-102.

H.J. Oh, J.E. Yoon,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istic spatial system appearing in white architecture of Richard Meier, Journal of KISD, 14(4), 2019.08, pp.91-102.
11. 김은지 외 3인, 리차드 마이어 주택건축의 공간구조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3.10, pp.73-74.
E.J. Kim et al., Spatial structure analysis of Richard Meier’s housing architecture, 2013 Conference of KIA, 2013.10, pp.73-74.
12. 이길호, 현대 미술관에서 나타나는 내·외부 순위적 공간질서에 대한 계획 연구, 남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K.H. Lee, A study on the planning of interior and exterior spatial order in contemporary museum, Master’s thesis, Namseoul University, 2019.
13. 이선민, 조은란, 허범팔, 리차드 마이어의 주거 건축에 나타나는 공간 설계 변화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권 제2호, 2011.04, pp.131-138.
S.M. Lee, E.R. Joh, B.P. Hur, A study on the variation of residential architectural space designed by Richard Meier, Journal of KIID, 20(2), 2011.04, pp.131-138.
14. 김중근, 종교건축의 실내공간에 있어서 빛의 조절과 연출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6호, 1995.12, pp.6-14.
J.K. Kim, A study on the control and production of the light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religious architecture, Journal of KIID, 6, 1995.12, pp.6-14.
15. 김미례, 김문덕, 종교공간에 있어서 현상학적인 빛의 연출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06.11, pp.135-140.
M.R. Kim, M.D. Kim,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phenomenological light in the religious space, 2006 Conference of KIID, 2006.11, pp.135-140.
16. 조은아, 김창성, 리차드 마이어 작품에 나타난 백색 건축의 의미와 빛의 관계,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22.12, pp.60-61.
E.A. Cho, C.S. Kim, The meaning of white architecture and the relationship of light shown in the works of Richard Meier, 2022 Conference of KIEAE, 2022.12, pp.60-61.
17. S.M. Dahabreh, The aesthetics of the Barcelo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by Richard Meier,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Research and Technology, 13(6), 2020, pp.1409-1419.
18. 이성훈, 리차드 마이어(Richard Meier)의 미술관건축 공간구성 특성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6호, 2001.03, pp.79-87.
S.H. Le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organization of Richard Meier’s museum project, Journal of KIID, 26, 2001.03, pp.79-87.
19. 김태윤, 리처드 마이어 건축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T.Y. Kim, A study on variety of Richard Meier’s architecture,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6.
20. WikiArquitectura, Jubilee Church, https://en.wikiarquitectura.com/building/jubilee-church/, 2023.12..20.
21. MeierPartners, San Jose City Hall, https://meierpartners.com/project/san-jose-city-hall/, 2024.01.15.
22. E. Din, A. Economou, Emergent symmetries and visual computations: A group theoretical analysis of the Smith House by Richard Meie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Futures (CAAD Futures 2009), 2009.06, pp.174-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