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 코르뷔지안 건축의 공간 특성과 빛의 역할 : 앙리 시리아니, 알바로 시자, 로랑 보두앵 건축을 중심으로
ⓒ Copyright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Abstract
This paper tried to understand the architectural concept of Neo Corbusian architects who had succeed to the Le Corbusier’s principles of modern architecture and developed into their own creative architecture and formed a big achievement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As representative Neo Corbusian architects, Henri Cirianni, Alvaro Siza and Laurant Beaudouin were selected to study their own design concepts and principles.
Three step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aper; Firstly, investigated significant differences about modern architecture between Le Corbusier and three neo corbusian architects; Secondly, analyzed the architectural meanings of ‘Plan Libre’ and ‘Promenade Architecture’ of three neo corbusian compared to Le Corbusier’s ones; Finally, deducted their own design process to integrate the architectural concept of ‘Plan Libre’, ‘Promenade Architecture’ and ‘Natural Light into architectural desig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enri Cirianni, Alvaro Siza and Laurant Beaudouin made a splendid progress of Corbusier’s modern concept, and then, created his own originative architecture by combining Plan Libre’, ‘Promenade Architecture’ and ‘Natural Light.
Keywords:
Neo-Corbusian, Plan Libre, Promenade Architecture, Light키워드:
네오 코르뷔지안, 자유로운 평면, 건축적 산책, 빛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인공화 되어 갈수록 인간, 건축, 자연의 관계 회복은 절실히 필요하다. 건축은 급히 만들어 질 수 있는 것이 아니며, 급히 변하지도 않는다. 건축은 소비의 객체가 아닌 자연의 일부이며, 인간의 삶을 영유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그것에 형태를 만들어 준다. 근대에 이르러, 급속히 발전된 산업화에 따라 새로운 시대정신이 지배하게 되었으며, 건축 및 많은 예술 활동에서도 그에 따른 변화가 요구되었다.
르 코르뷔제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기술적 미학적 가능성을 연구하여 독자적인 근대건축 이론을 제시하였으며, 빛을 건축 공간 창조를 위한 매우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생각하였다. 이러한 코르뷔제의 건축 이론은 ‘네오 코르뷔지안’이라는 건축적 흐름으로 현대건축에서 계승 발전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르 코르뷔제의 근대건축 이론을 계승 발전시켜 현대 건축의 독자적 흐름을 형성한 ‘네오 코르뷔지안’건축가 중에서 ‘앙리 시리아니(Henri Ciriani)’, ‘알바로 시자(Alvaro Siza)’, ‘로랑 보두앵(Laurent Beaudouin)’1)의 작품 분석을 통해, 그들의 건축에서 나타나는 독창적 건축 개념과 빛에 의한 공간 디자인 원리를 이해하고, 그 현대적 표현방식을 파악함을 목적으로 한다.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본 논문에서는 ‘네오 코르뷔지안’ 3인의 건축 개념과 빛의 이용원리를 르 코르뷔제의 건축 원리와 비교하여 분석하였으며, 문헌조사에 의해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르 코르뷔제가 주장한 근대건축 공간 개념에 대한 3인의 입장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둘째, 르 코르뷔제의 이론에서 ‘자유로운 평면(Plan Libre)’과 ‘건축적 산책(Promenade Architecture)’이 갖는 건축적 의미와 이의 개념을 흡수 발전시킨 3인 건축가 각각의 독자적인 건축 개념을 분석하였다.
셋째, ‘자유로운 평면(Plan Libre)’과 ‘건축적 산책(Promenade Architecture)’의 개념이 ‘빛(natural light)’과 결합하여 나타나는 그들 각각의 건축 개념을 분석하였다.
2.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의 특징
2.1. 근대건축 공간구성 개념의 해석
르 코르뷔제 작품에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기술적 미학적 가능성 아래 그가 주장한 근대 건축의 5원칙2)이 다양하게 적용되었다.<Fig. 1><Fig. 2> 이러한 코르뷔제의 개념은 후대 건축가들에 의해 새롭게 해석되면서 ‘네오 코르뷔지안’이라는 하나의 건축적 흐름을 형성하였다.
이들은 모더니즘 건축의 전반적 경향인 내부와 외부의 상호관입, 비대칭적 균형감을 갖는 매스와 볼륨으로서의 공간 개념3)을 따르면서 그들만의 복합적인 건축개념으로 발전 되었다. 또한, 주택 건설에 있어 코르뷔제의 건축적 특성을 반영 하고, 형태의 구성도 구조적 필연성과 분리하지 않으며, 내부 공간은 코르뷔제의 모듈러 영역에서 처리된 모던한 스타일로 표현하였다.
앙리 시리아니는 코르뷔제의 건축을 배경으로 하여 독자적인 해석과 모더니즘을 추구하고, Group UNO4)를 결성하여 건축설계 교육을 주도하였다.5) 시리아니의 유동적인 공간 구성은 코르뷔제의 자유로운 평면의 원칙에 기초하며, 건물의 하중을 벽체가 담당하던 것을 기둥을 사용하여, 공간을 최대한 이용하도록 했으며, 벽체는 구조체의 기능에서 벗어나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로 작용된다. 또한, 공간은 단순히 비어 있는 공간이 아닌, 시각적, 심리적으로 개방적이면서 유동적인 공간을 의미하게 된다.
시리아니는 자신이 설계한 건축물의 입면을 두꺼운 파사드라고 특징지어 부르며, 자유로운 입면을 추구하고자 하였는데, 이를 집합주거에 적용시켜 2차원적 벽체 구성이 아닌 공간을 함유하여 깊이 감을 주는 3차원적 구성을 하였다.6)<Fig. 3> 이는 코르뷔제가 사용한 브리즈 솔레이유와 유사한 특성을 보여주며, 보이드 공간을 통해 자연스럽게 빛을 유입시킴으로서 내부공간을 창조한다. 이러한 빛은 공간 내에서 일정하게 혹은 균등하게 존재하면서 변화하는 빛에 의해 사람들의 동선을 끌어당긴다.<Fig. 4>
알바로 시자는 비판적 지역주의를 바탕으로 전통성과 지역성을 지키면서 합리성을 통합한 포루투갈 건축가로 지역의 기후적 조건에 적합한 건축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지역에 관계없이 보편적이고 획일적인 근대건축과 상반되는 접근방식을 제시했다.7) 시자의 건축에는 외부 중정이나 내부 파티오 등의 보이드 공간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Fig. 5> 시자는 기후의 특성에 맞추어 빛을 이용하였으며, 과도하지 않은 조절된 빛을 공간에 유입하여 공간을 밝고 경쾌한 심리적 감동을 경험하게 만들어준다.<Fig. 6>
로랑 보두앵은 추상으로 단순화된 기하학의 백색 볼륨들 속에 도시의 복합성을 내포하는 작품을 추구한다. 이 단순한 볼륨들은 매우 논리적이고 상징적이지만 감성적인 곡선과 다각을 내포한다. 사물의 균형을 중시하는 보두앵의 작품들은 도시의 정확한 분석 속에서 이성과 감성이 공존함을 알 수 있다.8)
보두앵은 시리아니와 함께 Group UNO에서 설계 강의를 하면서 코르뷔제의 건축요소들을 매우 독창적으로 응용하여 근대 건축공간의 개념을 발전시켰다. 그는 건축의 근원은 내부에 있다고 말하며, 건축의 목적은 입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기능적인 동시에 감성적인 공간의 성격을 가진 내부를 구성하는 것이며, 건축물의 내부와 외부공간은 연속성이 있어야 하며, 이것은 비록 대상이 작더라도 항상 큰 규모의 느낌을 준다고 말한다.<Fig. 7>
이러한 보두앵의 건축은 빛과 평면 그리고 자연이라는 단어로 설명되어진다. 그의 빛에 대한 인식은 시간의 개념과 결부되어 있으며, 벽에 비친 태양의 그림자가 이동하는 자연적 시간이 지나치게 빨리 흘러가는 사회적 시간을 치유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9) 따라서 공간의 자유는 경직된 구조 안에서 빛의 포착과 표현으로 다양한 형상을 나타낼 수 있는 큰 능력에 있다고 하였다.<Fig. 8>
2.2. 자유로운 평면의 의미
르 코르뷔제는 새로운 구조 시스템인 도미노 시스템10)(Domino System)을 개발하여 기둥으로 슬라브를 떠받침으로써 구조체로부터 벽을 해방시켰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은 건물 벽체로부터 자유로운 평면(Plan Libre)유형을 가능하게 하였고, 이러한 평면은 비어있는 보이드 공간(Void Space)과 결합하면서 2차원의 평면에서 3차원의 볼륨으로 발전 되었으며, 나아가서 외부와의 연속성으로 그 개념이 확장되었다.<Fig. 9>
이러한 개념은 보이드를 어떤 방식으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평면의 활용 방법이 달라지며, 기단의 활용과 지상 층 외부공간을 건축구획 내부로 끌어들이기 위해 필로티 디자인이 발전하게 되었다. 필로티는 다른 층의 평면에 대해 자유롭게 구성하며, 상부층의 평면으로 인해 한정되는 보이드 공간을 갖게 된다.<Fig. 10, 11> 또한, 두 개 층의 보이드 공간을 연결하기 위해 계단이나 램프를 사용하게 되었고, 이는 건축적 산책로의 개념을 도입하여 상부와 하부의 공간을 이어주는 매개체가 되었다.11)<그림 12>
앙리 시리아니는 평면 구성 시에 다층화 된 자유로운 평면을 염두에 두어, 하나의 공간이 또 다른 공간을 향하여 시각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열려져 있어 내부와 외부를 가로지르는 움직임을 갖도록 했다.12) 이러한 개념에 극적인 효과를 주기 위해 시리아니는 자신의 스케치에 천정바닥을 검게 칠하거나 어둡게 칠함으로 면적인 구성을 강조하여 연속적인 공간의 느낌을 주고자 했다.<그림 13>
또한, 공간에 음영의 효과를 주기위해 천창의 도입과 자연광에 의한 미묘한 빛의 변화에 따라 생동감이 넘치는 공간을 창조하였으며,13) 내부에서 빛을 자연스럽게 포착하도록 빛의 유입구를 드러내지 않게 하였다.<그림 14>
시리아니는 자유로운 평면을 구성하기위해 보이드 공간과 다른 건축 요소들이 함께 구성됨으로서 자유로운 평면의 위상을 갖게 된다고 생각하였고, 보이드 공간의 수축과 팽창의 연속성을 통해 심리적인 공간감을 극대화하였다.
알바로 시자는 건축 설계에 있어서 평면14)은 프로세스의 최종결과가 아니라 디자인한 것과 짓는 것 사이에서 소통의 의미를 찾는다. 따라서 시자는 창을 통해 내부와 외부의 과장되지 않은 연속적 소통에 주의하며, 외부를 향한 과잉된 노출은 시간이 지나면서 지루함을 느끼게 하며 너무 많은 빛은 불필요한 부분이 된다고 말한다.15)
따라서 중요한 곳에 선택적으로 창을 만들어 풍경을 담고, 과도한 보이드에 의한 변화 보다는 필요한 부분에 제한적으로 보이드 공간을 구사하여 극적인 평면 구성을 시도하였고.16)<그림 15> 반복된 램프의 구성에 의해 평면에 변화를 주고 보이드 공간을 만들어 내며 열린 공간을 만들어 내고 있다.<그림 16>
로랑 보두앵의 평면 구성에서 볼 수 있는 가장 특징적인 점은 층바닥이나 보이드 등 여러 요소와 결합하여 일체화된 모습을 보임으로서 공간의 입체적 연속성에 의한 시간의 흐름을 인식하도록 표현하였다.17)<그림 17> 이러한 그의 자유로운 평면 구성18)은 공간을 이동하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공간을 체험하도록 개구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의 각도를 조절하여 눈부심을 억제하고, 이용자에게 시간의 흐름을 인식하도록 하였다.19)<그림 18>
보두앵은 건축은 빨리 변하는 것도 서둘러서 이룩할 수 있는 것도 아니며,20) 건축은 우연과 뜻밖의 것, 과거와 현재의 것, 지역적인 것과 멀리 있는 것이 뒤섞여 만들어지고 우리가 보았던 것과 경험했던 것에 대한 추억으로 채워진 기억 사이를 여행한다고 생각하면서21) 대지와 대지 주변 도시의 전통을 접목시켜 과거와 현재가 조화된 현대성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2.3. 건축적 산책의 의미
‘건축적 산책(Promenade Architecture)’은 이동이라는 점에서 타 분야의 예술과 건축이 구별될 수 있는 기준이며 건축을 구성하는 중요한 개념22)이라 할 수 있다. 이 개념은 르 코르뷔제가 자신의 작품집에서 “정원에서 2층에 도달하고, 경사로로 옥상의 일광욕장에 이르기 까지 건축적 산책을 한다.”라고 빌라 사보아를 설명하였다.<Fig. 19> 이와 같이 ‘건축적 산책’의 개념은 사람의 움직임과 시선의 변화에 따르는 장면의 변화이며, 사람의 동선은 건축적 산책의 중요한 원리로 사용된다. 따라서 동선이 처리되는 계단실이나 램프는 코르뷔제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졌으며,23) 이들은 수직 동선의 처리와 시각적 장면의 변화를 만들어내기 위해 이용되었다.
또한, 코르뷔제는 내부 공간의 연속성이 외부에 전해지도록 필로티를 적극 사용했다. 필로티는 건물을 땅 위로 띄움으로서 비워진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시각적인 움직임과 흐름의 표현을 위해 강조된다. 코르뷔제는 외부와 내부 공간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필로티에 의해 공간의 전환이 일어나며, 중심에서 건물 외곽 으로 사람의 동선의 전개가 이루어지면서 램프나 계단에 의한 수직적인 단면 변화에 의해 그 효과가 극대화 된다 하였다.24)
르 꼬르뷔제는 ‘건축적 산책’의 개념을 문다니엄 미술관 계획안에 적용하여 계획된 경로에 따라 관람자를 움직이도록 디자인하였다.25) 이를 위해 중앙의 중심공간을 통한 공간의 통합과 공간의 연속성을 제공하였으며, 천창에서 유입된 빛에 의하여 자연스런 동선을 유발하고 작품과 긴밀한 교감을 이루도록 ‘무한성장 박물관’ 개념을 제안하였다.<Fig. 20>
앙리 시리아니는 박물관 건축은 입구 홀에서 박물관의 복잡한 기능을 관람객 모두가 이해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한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입구 홀은 기능과 이미지를 충분히 알려줄 수 있도록 넓어야 하며 건축적 감동을 줄 수 있도록 디자인 하였다.
따라서 시리아니는 아를르 고고학 박물관에서 ‘계획된 자유’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동선의 강제와 자유를 계획함으로서 ‘산책의 길’을 제공하였다. 그는 전시공간에 들어가기 직전에 전시의 마지막 부분을 보여줌으로서 방문객의 동선을 암시하였고, 계획된 동선에 따라 방문객이 전시공간에 들어서면 자유롭게 자기의 경로를 선택하게끔 한다. 이때 빛에 의해 동선이 유도되며, 빛이 동선을 유도하고, 그 동선에 의해 전달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관람자의 이해를 돕고 감동을 더하게 된다.<Fig. 21>
알바로 시자의 건축을 보면 외부 중정이나 내부 파티오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런 Void 공간은 내부동선, 외부동선, 공간과 공간의 소통, 대지와 주변 지역의 관계성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26) 대지와 주변지역에 순응한 평면계획을 통해 자유로운 기하학적 외관을 갖추고, 중정을 통해 동선의 질서를 이루면서 Void 공간을 통한 공간의 연속성을 제공한다. 외부에서 보이는 매스의 형태는 기하학적이고 견고한 모습을 갖추며, 내부공간은 섬세한 기하학적 느낌과 정제된 빛의 유입으로 내 · 외부 공간의 반전된 느낌을 경험하게 한다.27)
이베레 카마르고 박물관은 공간을 가로지르는 램프를 통해 Void 공간을 따라 오르는 과감하고 자유로운 평면을 보여주었다. Void 공간을 가로지르는 램프는 내부에서 시작해서 외부로 나갔다가 다시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반복하여 직선과 곡선의 대비를 강조하며, 외부로 나간 램프는 외부에 또 다른 Void 공간을 만들어 내고 있다.28) Void 공간은 건물에서 동선의 중심이 됨과 동시에 빛과의 조화를 통해 풍부한 공간감을 제공하는 ‘건축적 산책’을 경험하게 한다.<Fig. 22>
르 코르뷔제와 앙리 시리아니가 동선 이동의 시점과 장면의 변화를‘건축적 산책’의 개념으로 삼았다면, 로랑 보두앵의 의미는 그것과 조금 다르다. 보두앵은‘건축을 통해서 시간이 흐르는 이동’이라는 표현을 통해 그의 ‘건축적 산책’의 개념을 보여주었다.29) 건축은 시간의 속도를 늦추는 기계이며, 시간의 흐름을 연장하는 시간의 지각을 미룬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그는 시간은 공간에 밀착하고, 공간의 연속성을 드러내는 것은 ‘건축적 행로’를 통해 움직이는 시간이라고 말한다. 또한, 시간과 공간을 연속적이면서 서로 결부된 요소로서‘4차원’의 연속적인 공간의 연결에 생명을 불어 넣는 것이 바로 빛의 도입이라 하고 있다.
낭시 미술관의 평면 구성은 극적인 감흥을 주게 하는 공간의 입체적 연속성을 제공한다.30) 보이드는 층 바닥이나 벽 등의 다른 건축요소들과 결합하여 하나로 이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며, 공간을 이동하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공간을 체험하게 유도한다.<Fig. 23>
3. 네오코르뷔지안 건축에서 빛의 건축적 의미
3.1. 르 코르뷔제 건축에서 빛의 의미
빛은 건축 공간과 형태를 나타내고 재료와 구조의 존재가치에 영향을 끼치며 중요한 건축원리로서의 역할을 한다. 르 코르뷔제는 빛에 대한 탐구를 통해 빛을 끌어들이고 조절하는 방식31)을 채택하여, 빛이 머무르고 이동하며 감동을 주는 공간으로 형상화하여 빛의 조소적 가능성을 바탕으로 건축적 감흥을 일으키도록 하였다.32)<Fig. 24><Fig. 25>
샹디갈 고등법원<Fig. 26>과 아메다바드 방직협회 건물<Fig. 27>은 빛의 표현과 조절을 위해 ‘브리즈 솔레이유(Brise-Soleil)’의 개념이 적용된 대표적 건물이다. 건물의 기능에 따라 구성적인 비례로 디자인된 ‘브리즈 솔레이유’는 일사를 조절하여 내부공간을 보호하고, 강한 입체적 볼륨감과 함께 독특한 조소적 입면을 보여준다.
3.2. 앙리 시리아니 건축에서 빛의 의미
코르뷔제는 벽과 처마에 건물과 일체가 되는 ‘브리즈 솔레이유’를 설치하여 건물의 내부 공간이 강한 일사로 부터 보호를 받으며, 건물 외부로 바닥이 연장되어 공간의 확장을 일으킨다. 이러한 공간 확장의 개념을 느와지 집합주거<Fig. 28>에 사용한 시리아니는 “파사드는 간단히 말해서 면을 의미한다. 지금까지의 대부분 건축 파사드는 벽을 의미하고 있다. 벽은 외부인의 공격으로부터 차단하려는 기능으로 주로 쓰인다. 그러나 내가 나타내려한 파사드는 내부의 공간을 한계 짓는 면이며, 공간적 기능으로서 외부인을 초청하려 하는 얇은 면인 것이다.”33) 라고 말하면서 파사드를 통해 기능과 형태의 풍성함을 나타내고, 주거 내부에서 시각적 확장을 가능케 하는 공간의 연속성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게 한다.
시리아니는 자연의 빛을 실내로 유입함으로서 자유로운 평면에 생명력을 부여한다. 시리아니에 있어 빛은 어둠과 빛의 대비가 아닌 빛과 빛의 대비에 의해서 건축공간을 확장하는데 이용된다. 빛에 의한 동선의 흐름을 중시하는 시리아니는 아를르 고대사 박물관<Fig. 29>과 페론 전쟁 박물관<Fig. 30>에서 빛에 의해 관람객의 시선과 동선을 유도함으로서, 그가 원하는 건축적 시나리오에 의해 관람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동시에 휴식과 감동을 얻을 수 있게 설계하였다.34) 이를 위하여 관람자의 시선을 빛이 반사되는 벽으로 이끌고, 그곳으로 유도하며, 다양한 형태의 개구부를 디자인하여, 거기에서 유입되는 빛에 의해 공간의 분위기를 바꾸고, 활력을 주며, 생명력을 제공해줌으로서 공간 표현의 궁극적인 디자인 수단으로서 활용하였다.
3.3. 알바로 시자 건축에서 빛의 의미
알바로 시자의 건축은 빛과 질감, 움직임, 공간에 대한 감각적인 탐사를 통해 방문자에게 감동을 주며, 하나의 장소에 대한 경험을 고양시킨다.35) 이처럼 시자는 장소의 기후 특성에 맞추어 빛을 이용하였으며, 과도하지 않은 조절된 빛을 공간에 유입하여 인공조명과의 적절한 조화를 통해 공간을 밝고 경쾌한 심리적 감동을 경험하게 만들어준다.<Fig. 31><Fig. 32> 사자의 빛의 사용은 르 코르뷔제의 빛으로부터 영향을 받으며36), 이러한 빛의 유입으로 형성된 공간은 빛의 시간성에 의해 유동적이고 풍부한 공간감을 느끼게 만들어주며, 공간과 공간사이의 벽을 통해 각 공간의 특성을 부여하고 서로 다른 공간감을 제시한다.
이러한 공간의 연속성은 외부와 내부의 공간체험에서 쉽게 느낄 수 있다. 포르토 하우스<Fig. 33>의 기하학적이고 견고한 매스는 포르투갈 기후 특성을 고려한 지역의 환경과 소통하고 대지와 장소에 순응하는 독특한 시자의 건축을 보여준다. 이베레 카마르고 박물관<Fig. 34>은 정제된 빛의 유입으로 인한 섬세하고 기하학적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의 반전된 느낌의 연속성을 부여한다.
3.4. 로랑 보두앵 건축에서 빛의 의미
로랑 보두앵은“사회가 인공화 되어 갈수록 건축과 자연의 관계회복은 절실히 필요하다.”고 말하면서 치유하는 자연적 시간 개념으로 건축을 설명하였다.37) 그의 건축은 숨어있는 자연의 요소들을 활용한 결합을 창조하여 공간, 빛, 시간, 중력 등에 대한 관계를 지양하였다. 이러한 자연적 요소 중에서 빛은 사물을 만나야만 우리가 그 존재에 대해서 알 수 있듯이 우리가 빛 자체를 보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반사광이나 그림자를 보는 것이라 말한다.
건축은 마치 화가가 붓 터치로 자신의 그림을 드러내듯이 빛의 모습을 그리는 것이며, 빛을 손으로 만지게 할 수 있고, 그것을 볼륨으로 변형시키며, 빛에 형태를 부여하는 것은 물질이라 하며 빛에 대한 근본적인 성질을 파악한다. 그는 푸아티에 미디어 도서관의 빛에 대해서38) “정원 쪽의 입면은 내부공간과 차양 전체에 빛을 확산시키고, 북쪽 면은 남쪽의 빛을 벽면에 반사시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분위기를 창조하며, 서쪽 면은 투명한 빛을 실내에 유입하고 외부 조망을 제공한다. 또한, 하늘의 빛으로 인한 기하학적 형태와 색상의 변이를 통해 빛을 추상적 형태로 다룬다.”라고 말하면서 작품의 논리에 따라 빛을 다루는 그만의 디자인 개념을 설명하였다.< 35><Fig. 36>
보두앵은 빛으로 인해 시간이 움직이고 있는 것처럼 보여주며, 건축을 진정으로 변화시키는 유일한 것이라 말한다. 따라서 보두앵의 브리즈 솔레이유는39) 코르뷔제와 시리아니의 공간 확장개념이 아닌 건물 구조에서 완전히 독립하여 파사드를 형성함으로써 빛을 조절하는 장치로 쓰인다. 구조적으로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반투명 유리를 이용하여 빛을 차단하는 용도로서 뿐 아니라 태양과 그림자의 움직임을 볼 수 있도록 하여 빛에 의해 시간의 흐름을 조성하였다.
4. 결론
본 논문에서는 르 코르뷔제의 근대건축 이론을 계승 발전시켜 현대 건축의 독자적 흐름을 형성한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가로서 앙리 시리아니, 알바로 시자, 로랑 보두앵의 독창적 건축 개념과 빛에 의한 공간 디자인 원리를 파악하고 그 현대적 표현방식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1)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가들은 코르뷔제의 전반적 건축경향인 ‘공간의 상호관입’, ‘매스와 볼륨으로서의 공간 개념’ 및 ‘자유로운 평면’과 ‘건축적 산책’의 개념에 의한 공간의 유동적 흐름 추구하였으며, 이러한 공간에 ‘빛’을 도입하여 조소적 아름다움과 감흥이 있는 건축공간을 창조하였다.
- (2) 앙리 시리아니는 건물의 입면을 두꺼운 파사드라 부르고, 자유로운 평면과 입면을 위한 유동적인 공간을 구성하였다. 그의 다층화 된 평면은 하나의 공간이 또 다른 공간을 향하여 시각적 기능적으로 열려져 있어 내부와 외부를 가로지르는 움직임을 갖도록 ‘계획된 자유’라는 개념을 주장하였다. 시리아니는 자연의 빛으로 평면 구성에 생명력을 부여하였고, 이러한 빛은 어둠과 빛의 대비가 아닌 빛과 빛의 대비를 통해 공간을 확장하는데 이용하였다.
- (3) 알바로 시자는 지역에 관계없이 보편적이고 획일적인 근대 건축과 상반되는 지역의 전통성과 지역성을 합리적으로 수용하며, 공간과 공간의 소통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중정이나 파티오와 같은 보이드 공간을 즐겨 사용하였으며, 지역의 기후 특성에 맞추어 빛을 이용하였으며, 과도하지 않은 조절된 빛을 공간에 유입하여 공간을 밝고 경쾌한 심리적 감동을 경험하게 만들어준다.
- (4) 로랑 보두앵은 사물의 균형을 중시하며, 추상으로 단순화된 기하학적 볼륨들 속에 도시의 복합성을 표현하였다. 그는 건축의 근원은 입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기능적인 동시에 감성적인 공간의 성격을 가진 내부를 구성하는 것이하하면서, 내부와 외부공간의 연속성을 강조하였다. 보두앵은 빛과 평면, 자연을 중시하고, 빛에 의한 자연적 시간의 개념으로 건축을 설명하려하였다.
Notes
References
-
황철호, 로랑 보두앵의 디테일 & 디자인, 건축세계, (2001, Jan).
Hwang, Chul Ho, Detail & Design of Laurent Beaudin, Archiworld, (2001, Jan). -
김태우, 김형우, Henri E. Ciriani 건축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2003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2003, Oct).
Kim, Tae Woo, Kim, Hyung Woo, A Study on Experssive Characteristics of Henri E. Ciriani’ Architecture, 2003 AIK Proceedings, (2003, Oct). -
서정연, 앙리 E. 시리아니의 작품에 나타난 건축적 표현특성 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조형연구소 조형연구, (2002, Dec).
Suh, Jeong Yeon,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Vocabulary in Henri E. Ciriani’ Works, Formation Research, Komkuk Univ., (2002, Dec). -
이원희, 알바로시자의 체험을 유발하는 건축 공간 구현방식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12, Aug).
Lee, Won Hee, A Study on Alvaro Siza’s Strategy of realizing architectural space inducing spatial experiences,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 (2012, Aug). -
백승만, 로랑 보두엥 & 엠마뉴엘 보두엥, 공간, (1997, Feb).
Baek, Seung Mann, Laurant Beaudouin & Emmanuelle Beaudouin, Space, (1997, Feb). -
김연준, 천창 유형 및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7, Dec).
Kim, Yon Jun, A Comparative Study on Typology and Characteristics of Sky Light, Journal of AIK, (2007, Dec). -
김연준, 르 코르뷔지에의 보이드에 의한 자유로운 평면 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2, Jun).
A Study on Le Corbusier’s Plan Libre in Terms of Void, Journal of AIK, (2012, Jun). -
김연준, 자유로운 평면 유형 및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대한 건축학회논문집, (2011, Nov).
Kim, Yon Jun, A Comparative Study on Typology and Characteristics of Plan Libre, Journal of AIK, (2011, Nov). -
로랑 보두앵 지음, 문희, 이관석 옮김, 느림의 건축을 위하여, 문운당, (2010, Jan).
Layrant Beaudouin, Pour une architecture lente, Mun Woon Dang, (2010, Jan). -
백종현, 조창한, 빌라 라로쉬-잔네르에서 나타나는 ‘건축적 산책’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98, Oct).
Bac, Jong Hyun, Zoh, Chang Han,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romenade in the Villa La Roche Jeanneret, 1998 AIK Proceedings, (1998, Oct). -
김형준, Le Corbusier의 건축형태 생성원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1995, Aug).
A Study on the Principle of Generation in Le Corbusier’s Architectural Form,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 (1995, Aug). -
조주현, 신범식, 르 꼬르뷔제 건축에 나타나는 흐름의 공간으로 서의 필로티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12, Dec).
Cho, Joo Hyun, Shin, Buhm Shik, A Study on the Pilotis as a Space of Flow in Le Corbusier’s Works, Journal of KIID, (2012, Dec). -
김창성, 르 코르뷔제 건축에 나타난 빛의 건축적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2012, Aug).
Kim, Chang Sung,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Expression of the Light Appeared in the Works of Le Corbusier, Journal of KIEAE, (2012, Aug). - C.S. Kim, K. W. Seo, The Architectural Expression of Space and Form Created by the Light in the Works of Alvaro Siza, JBCPR, (2014, Dec). [https://doi.org/10.4236/jbcpr.2014.22011]
-
김경재, 근대건축 이후 건축적 빛의 의미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00, Dec).
Kim, Kyung Jae, A Study on the Variation in Meaning of Architectural Light since Modern Architecture, Journal of KIID, (2000, Dec). -
김창성, 앙리 시리아니의 박물관 건축에 나타난 빛의 건축적 표현,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14, Apr).
Kim, Chang Sung, Architectural Expression of Light Appeared in Museums Designed by Henri E. Criani, Journal of KIID, (2014, Apr). - William, J. R. Curtis, Notes on Invention: Alvaro Siza’, Alvaro Siza 1995-1999, El Croquis, (1999).
-
C3 architect, New World Architect: E. & L. Beaudouin, C3 건축디자인, (2003).
C3 architect, New World Architect: E. & L. Beaudouin, C3 Architectural Design, (2003). -
김연준, 브리즈 솔레이 유형 및 진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6, Dec).
A Study on Typology and Evolution of Brise Soleil, ournal of AIK, (2006, D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