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A를 활용한 공동주택 주민공동시설 거주 후 평가 : 김포시 감정1지구 도시개발사업 중심으로
ⓒ 2022. KIEAE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As the first field survey research about city development projects resident community facilities, This research exacted a survey about community facilities built to a complex 1 of city development projects having been completed projects and thorough it, anaylsed importance and satisfying degree, surveyed the appraisal of residents after moving in by aggregating it.
This research exacted a field survey research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satisfying degree of residents community facilities. Also, based on the anaylisys results, This research exacted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inally This research deduced related implication with sorting and deducing preferential concentration areas, sustainability areas, incremental development areas and the area of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First, improvements in the facilities that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e such as the playground and daycare center are needed by priority. Second, the importance and the satisfaction of the facilities for all classes such as sport facilities, rest areas, or welfare facilities are generally high, and it seems the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is neede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living conditions. Third,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importance of the facilities other than the facilities for children or for all classes is low, and gradual improvements or passively maintaining the status quo of these facilities seems to be the metho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living conditions. An empirical study on the opinion on the community facilities of the residents of Gimpo Gamjeong Area 1 was conducted to seek a measure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living conditions. To achieve this, preferential improvements, maintaining the status quo, and passive responses were suggested.
Keywords:
Urban Development Project, Apartment Housing, Community Facility, Post Occupancy Evaluation키워드:
도시개발사업, 공동주택, 주민공동시설, 거주 후 평가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의 도시개발은 환지 방식의 토지구획정리사업에 의한 도시개발, 재개발에 의한 시가지 개발 그리고 주택 및 공업용지 조성사업 그리고 공영개발 방식의 택지개발사업이 있다. 이 가운데 70여 년간 동안 우리나라 도시개발사업의 중추적 역할을 한 수단은 환지방식의 토지구획정리사업이다. 1930년에 도입된 토지구획정리사업방식은 국가 및 지방 자치단체 그리고 토지소유자가 설립한 조합이 사업 시행 주체가 되고 사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토지소유자가 부담함으로써 사업지구 내 도로·공원·학교 등 공공 기반시설의 설치 확보를 자기 토지에 대한 일정기준의 감보를 통하여 부담하고, 잔여 토지는 환지 기법을 이용하여 배분받게 되는 방식[1]이다.
도시개발사업은 계획적인 도시개발이 필요한 지역에 주거, 상업, 산업, 유통, 정보통신, 생태, 문화 그리고 문화 및 복지 등의 기능이 있는 단지 또는 시가지를 조성하기 위해 시행하는 사업[2]이며, 주택용지 및 공장용지 등의 증가되는 수요와 복합적인 기능을 하는 도시를 종합적·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민간 사업자를 도시개발사업 시행자로 인정하여 도시 개발계획 수립권을 부여하고, 민간에게도 한정된 범위의 토지수용권을 부여하는 등 도시개발사업에 민간참여가 확대됨에 따라 많은 건설회사(시공사) 및 시행사가 도시개발법에 근거하여 사업을 추진[4]하고 있다.
경기도 도시개발사업 구역 지정서에 의한 전국 도시개발사업 현황을 구획 지정된 사례로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7년 총 452개 구역, 2018년 492개 구역 그리고 2019년 524개 구역1)으로 그 수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그 중 서울, 인천, 경기지역이 각각 177개 구역, 193개 구역, 213개 구역으로 서울 및 수도권이 대략 절반가량의 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도시개발사업은 그 사업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환지방식의 도시개발사업은 시행 절차의 복잡성, 사업비 충당의 어려움, 사업기간 및 투자 사업비 회수기간의 장기화, 부동산 경기침체 시 사업비 충당을 위한 체비지 매각의 어려움 등 다양한 문제점에 직면하여 정체상태에 있는 실정이며, 아울러 복합적인 기능을 하는 종합적·체계적인 도시공간 조성이라는 정책적 목적에 부합하고 있는지, 그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개발사업 주민공동시설에 대한 첫 번째 현장조사 연구로써 사업이 완료된 도시개발사업 단지 1개소를 대상으로 설치된 주민공동시설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중요도 및 만족도를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여 거주 후 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추후 도시개발사업 설계에 이를 반영하여 주민공동시설에 대한 지역주민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연구는 도시개발사업의 주민공동시설을 분석하기 위하여 「주택건설기준등에관한규정」의 기준시설 13개 항목을 대상으로 중요도 및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정리한 연구의 과정 및 방법을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개발사업 주민공동시설 관련 조사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실시하기로 한다. 관련 논문 및 연구보고서를 분석하고, 도시개발사업관련 최신 뉴스(News)를 모니터링하여 이러한 내용이 사회적으로 어떠한 반응이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연관된 도시개발사업 및 주민공동시설 관련 법·제도를 조사하여 이러한 내용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고자 한다.
주민공동시설 중요도 및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우선 도시개발사업 준공 사례 중 연구대상지를 선정하고, 「주택건설기준등에관한규정」기준 설치 가능한 주민공동시설을 도출하여 설문조사를 위한 각 항목을 마련하고,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1대1 대면조사를 실시하여 관련 내용을 구축한다.
앞서 도출된 중요도 및 만족도와 관련된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우선적 집중영역, 지속유지영역, 점진적 개선영역 그리고 현상유지영역을 구분, 도출하였다. 아울러 이를 종합하여 주민공동시설에 대한 실태를 점검하고 개선방안 및 향후 지향점에 대하여 고찰한다.
2. 문헌고찰
2.1. 도시개발사업 개괄적 검토
도시개발사업은 계획적인 도시개발이 필요한 지역에 주거, 상업, 산업, 유통, 정보통신, 생태, 문화, 보건 및 복지 등의 기능에 있어 단지 또는 시가지를 조성하기 위해 시행하는 사업이다. 아울러 주택용지 및 공장용지 등의 높아진 수요와 복합적인 기능을 하는 도시를 종합적·체계적으로 개발할 필요성에 대응하기 위해 종전의 「도시개발법」의 도시개발사업부문과 「토지구획정리사업법」을 통합하여 2000년 7월 최초로 도입되었다[1]. 도시개발사업의 종류 및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3]과 같다.
2.2. 선행연구 고찰
도시개발사업 주민공동시설에 대한 현장조사 및 IPA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시개발사업 관련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법·제도적인 개선방안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연구의 주 목적인 도시개발사업 대상지의 현장조사 및 입주민들에 대한 거주 후 평가로써 주민공동시설에 대한 조사와 관계가 깊다고 판단되는 논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정리된 내용을 보면, 이재성(2020)은 평택지역을 대상으로 환지방식과 수용·사용방식, 혼합방식의 사업방식별로 도시개발사업의 단계별 접근을 통한 개발 리스크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도시개발사업 단계별 리스크의 제거 및 회피를 통하여 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박성무(2018)는 부산시 인근의 중소도시인 김해시 내덕지구에서 환지를 받는 토지소유자를 대상으로 지정된 환지에 만족하는 정도와 그 원인을 파악하고 이어서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김창준(2013)은 도시개발이나 택지개발사업에 환경적 토지이용계획 및 설계에 대한 종합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이에 근거한 계획 및 설계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김준호(2012)는 도시개발사업의 기본계획 수립시 환경생태계획요소를 도출하고 이에 대하여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분석을 실시하여 각 요소에 대한 종합중요도를 도출하였다.
조종렬(2009)은 도시개발사업의 개발 이후의 관점에서 사업방식을 평가하기 위해 환지 방식과 수용방식의 특성을 비교 고찰하여 2개의 사업방식별로 해당 사업지구 거주자들의 주거환경 만족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상기 연구를 분석해보면 거주 후 평가의 관점에서 도시개발사업 입주민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연구는 박성무(2018), 조종렬(2009)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입주민들에 대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와 관계가 깊으며, 같은 맥락인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3개의 연구 모두 사업방식에 따른 주거만족도 비교에 그치고 있으며, 본 연구와 같이 건축계획적 요소에 따른 주민의사의 도출이라는 관점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김창준(2013)의 연구는 개발사업 내 공원 녹지율에 대한 조사라는 점에서 본 연구과 관계가 있으나 토지이용계획 즉, 도시계획적 측면의 접근으로 각 개발사업의 공원녹지율 및 1인당 녹지면적을 분석하여 이를 평가하였다. 반면 본 연구는 보다 세부적으로 건축계획적 측면인 주민공동시설 각 요소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를 분석하여 사용자 중심의 조사로써 지역주민의 사용요구와 선호에 관한 의사를 조사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시개발사업과 같은 대규모 공동주택 단지계획에 대한 선행연구를 조사한 결과 총 9개의 논문이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본 연구의 대상인 주민공동시설 관련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인 총량제 실시(2014년) 이후에 이를 대규모 공동주택 단지에서 조사한 연구는 아직까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 가장 최근의 연구를 살펴보면, 김은영(2013년)의 연구로 대규모 복합단지 내 기반시설 중 하나인 폐기물처리 시설에 대한 현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었으며, 약 10년 간 대규모 공동주택 단지계획을 대상으로 실시된 연구는 미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른 연구를 살펴보면, 대규모 단지조성으로 인한 경관에 대한 연구가 총 3개 김철진(2010년), 최성진(2007년) 그리고 유정숙(2007)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초고층 대규모 단지조성으로 인간 도시맥락적 차원의 경관조성계획 및 만족도 조사연구가 주로 실시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3. 주민공동시설 관련 검토
주민공동시설은 공동주택의 거주자가 공동으로 사용하거나 거주자의 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시설을 말한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경로당, 어린이놀이터, 어린이집, 주민운동시설, 주민교육시설, 청소년수련시설, 주민휴게시설, 독서실, 입주자집회소, 공용취사장, 공용세탁실 그리고 공공주택특별법의 단지 내 설치하는 사회복지시설이 있다. 이러한 주민공동시설의 법적 근거는 「주택건설기준등에관한규정」제2조에서 규정하고 있다.
주민공동시설 총량제는 2013년 6월 「주택건설기준등에관한규정」이 개정되면서 도입되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주민공동시설 총량제 운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도입 목적 및 종류 등 세부사항을 공지하였다. 주민공동시설 총량제의 목적은 지역특성 및 주민수요 등을 고려하여 융통성있는 주민공동시설의 계획 및 설치가 가능하도록 세부설치면적 대신에 설치 총량면적 제시를 목적으로 하며 100세대 이상 공동주택 단지에 총량제가 시행되도록 의무화 하였다.
주민공동시설 총량제의 적용대상을 보면, 「주택건설기준등에관한규정」에 의해 1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단지에 적용되지만, 동법 제7조2항부터 7조10항까지에 의하여 적용제외가 가능한 경우가 있다. 이는 시장과 주택을 복합건축물로 건설하는 경우, 독신자용 주택과 노인복지주택을 건설하는 경우,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재정비촉진지구 안에 설치하는 경우 그리고 도시형생활주택을 건설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2.4.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분석
IPA분석은 연구의 기본 개념에 따라 명확한 기준의 조사 항목을 정하고 라이커트 5점척도로 평가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이러한 결과는 포트폴리오 차트와 스프레이 차트로 구분되어 제시되며, 공통적으로 중점 개선영역, 우위 유지영역, 개선 대상 영역 그리고 현상 유지영역으로 구분된다.
즉, 이들 좌표가 평균값을 중심으로 분할된 매트릭스의 어느 사분면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항목의 중요도에 대한 만족도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기법이다. 해석방법으로는 중요도 및 만족도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좌측 상단은 중점 개선 영역, 우측 상단은 우위 유지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좌측 하단은 개선 대상영역이고, 우측 하단은 현상 유지영역이다[5]. 이러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 그림과 같다.
3. 조사개요
3.1. 연구개요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도시개발사업(대규모 단지조성사업)을 대상으로 주민공동시설에 대한 평가와 만족도/중요도 조사를 통하여 현재 문제점과 개선방안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개발사업으로 조성된 단지에서 주민공동시설에 대한 요구의 특정 패턴이 있는지 분석하고 우선적으로 설치 검토가 필요한 시설에 대하여 도출하기 위하여 IPA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조사 날자는 2019년 9월3일부터 9월28일까지 약 3주간 실시하였다.
3.2. 연구대상지 선정
도시개발사업 지역의 주민공동시설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연구대상지를 최종 선정하였다.
첫째, 경기도 지역의 도시개발사업 완료단지로 지정하였다. 경기도는 도시개발사업구역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 매년 100개소 이상의 사업구역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경기도 내 도시개발사업 완료 단지 중 규모가 가장 큰 단지 6곳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위와 같이 화성 남양뉴타운구역, 고양 식사구역, 수원 권선구역, 평택 용이구역, 하남 지역현안사업2구역 그리고 김포 감정1구역이 도시개발사업 완료단지 중 구역 면적이 대규모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만, 본 연구의 목적인 주민공동시설에 대한 중요도/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주거형 사업만이 이에 해당하기 때문에 하남 지역현안사업2구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5개를 연구대상지 선정 2단계의 결과로 정리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지 선정 최종 단계로써 앞서 선정한 5개의 단지 중 최근에 사업이 완료된 사례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김포감정1구역이 최종 연구대상지로 선정되었으며, 이를 대상으로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3.3. 주민공동시설 조사 항목 선정
주민공동시설에 대한 거주민 의사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택건설기준등에관한규정」에서 명시하고 있는 모든 주민공동시설 13개 항목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주민공동시설에 대한 전체만족도, 이용빈도, 필요시설 순위, 중요도 그리고 만족도를 조사하였으며, 이러한 내용을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 항목은 상기 내용의 분류에 따라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분석, 주민공동시설에 대한 전체 만족도, 이용빈도, 필요시설 순위, 중요도 그리고 만족도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사용한 척도는 명목척도와 라이커트 5점척도를 사용하였다. 이에 주민공동시설 13개소를 대상으로 한 지역주민의 의사 조사 및 IPA 분석을 통하여 최종 결과를 도출하였다.
3.4. 연구대상지 현황
김포 감정1지구는 김포시청에서 북서측 약 5㎞ 정도 떨어져 있으며 김포한강신도시 우남 퍼스트빌 단지와 접해있다. 북측으로는 국도 48호선과 우회도로가 인접하고 있고, 김포광로3-2호선, 김포고속화도로(월곳~고촌) 그리고 경기순환철도가 계획되고 있어 교통요건이 양호한 지역이다.
용도지역을 살펴보면, 제2종일반주거지역이 82.2%로 공동주택용지, 도로부지, 완충녹지, 초등학교부지 등을 포함하여 준주거지역은 2.6%로 환지부지이며, 자연녹지지역은 15.2%로 공원, 유수지, 도로로 구성되어 있다.
단지 내 주민공동시설 현황을 보면 대규모 단지인 만큼 다양한 주민공동시설이 설치되어 있었다. 규모가 큰 2단지를 중심으로 어린이집과 어린이 놀이터가 주로 배치되어 있었으며, 다양한 주민운동시설 및 휴게시설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 주민운동시설과 경로당은 독립된 시설이 아닌 주상복합형식의 1층 공간에 배치가 되어 있어 주동으로부터의 접근성이 좋은 것으로 보이며, 야외에는 다양한 주민휴게시설 및 주민운동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5. 연구모형
도시개발사업구역의 주민공동시설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정리하면 다음 Fig. 2.와 같이 표현된다.
연구모형은 연구대상지 선정, 분석항목 도출, 분석(이용빈도/필요시설) 그리고 데이터분석(IPA)으로 총 4단계에 걸쳐서 실시된다. 연구대상지 선정은 도시개발사업 완료 단지 중 주민공동시설을 조사하기 위한 대표사례를 선정하였으며, 「주택건설기준등에관한규정」내 주민공동시설 13개를 분석항목으로 도출하였다. 분석은 앞서 도출된 13개의 시설을 기준으로 주민공동시설에 대한 이용빈도, 필요시설 그리고 중요도/만족도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지역주민의 의사를 조사하였다. 데이터분석은 앞서 도출된 중요도와 만족도를 기준으로 IPA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내용을 종합하여 연구의 결론에 도달하였다.
4. 실증분석
4.1. 응답자 인구·통계학적 분석
도시개발사업 주민공동시설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9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응답자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응답자를 살펴보면, 성별은 남자가 62명(68.9%)로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여자는 28명(31.1%)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의 경우 51~60세의 응답자가 33명(36.7)으로 가장 많았으며, 41~50세 응답자가 28명(31.1%)으로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41~60세의 거주민이 주로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주민의 월소득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면 99만원 이하, 900만원 이상의 응답자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300~499만원, 500~699만원의 응답자가 각각 33명(36.7%), 26명(28.9%)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보았을 때 본 현장조사의 응답자는 주로 남성, 40~50대 연령, 월소득 300~600만원대 거주민들이 주로 응답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4.2. IPA 분석
도시개발사업 주민공동시설 13개소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과 이를 통한 IPA분석 결과를 정리·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주민공동시설에 대한 중요도를 측면의 순위는 어린이놀이터가 가중치 4.11로 가장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어린이집이 3.84로 두 번째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휴게시설, 주민운동시설의 경우 각각 가중치 3.58, 3.44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경로당 및 공용취사장의 경우 각각 가중치 1.73, 1.80으로 중요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주민교육시설 및 공용세탁실 역시 각각 2.20, 2.22로 중요도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요도 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어린이와 관련된 시설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이며, 주민휴게시설, 주민운동시설, 사회복지시설과 같이 특정계층이 아닌 모든 계층이 이용가능한 시설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경로당, 독서실, 청소년수련시설과 같이 특정 계층이 주로 사용하는 시설의 경우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민공동시설에 대한 만족도를 보면, 경로당, 주민휴게시설의 경우 각각 가중치 3.81, 3.63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도서실, 입주자집회소의 경우 각각 가중치 3.59, 3.33으로 3위, 4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공용취사장, 어린이놀이터의 경우 각각 가중치 1.64, 2.21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청소년수련시설, 주민교육시설 역시 각각 2.30, 2.44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만족도 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가중치의 순위에 따른 특정 용도시설의 Grouping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경로당, 도서실, 입주자집회소, 공용세탁실의 경우 중요도의 순위는 낮은 반면 만족도가 높게 분석되었으며, 이는 특정 계층의 입주민만이 이용하여 시설의 중요도는 낮다고 인식되지만 실제로 사용하는 주민들은 이를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중요도 및 만족도 순위 4위 이내 시설들을 살펴보면, 주민휴게시설이 중요도와 만족도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순위 내 다른 시설들은 중요도 및 만족도의 순위가 각각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내용은 주민휴게시설과 같은 전체 계층이 이용하는 시설이라는 점이 반영된 결과라고 사료되며, 신혼부부가 주로 이용하는 어린이집, 어린이 놀이터, 고령자의 경로당 그리고 청소년들이 주로 활용하는 도서관과 같이 특정 계층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들의 경우 중요도 및 만족도의 순위에서 괴리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상기 중요도 및 만족도 데이터를 기준으로 IPA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정리·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분석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IPA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영역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적 집중영역은 어린이놀이터, 어린이집 그리고 주민운동시설이 분석되었으며, 신혼부부 및 어린 자녀가 있는 입주세대가 주로 사용하는 어린이 관련시설 및 전 계층에서 사용하는 주민운동시설이 도출되었다.
지속유지 강화영역의 경우 주민휴게시설 및 사회복지시설이 분석되었으며, 특히 주민휴게시설의 경우 전체 13개의 인자 중 만족도가 2번째로 높을 정도로 입주민들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아울러 장애인, 노약자를 지원하기 위한 사회복지시설 역시 중요도와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선순위가 낮은 점진적 개선영역은 청소년수련시설, 주민교육시설, 독서실 그리고 공용취사장이 도출되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상시 활용이 아닌 특정 목적으로 인하여 활용되는 청소년수련시설, 주민교육시설 그리고 공용취사장이 도출되었고, 주로 청소년이 활용하는 독서실 또한 점진적 개선영역으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소극적 대응으로써 현상유지를 해야 하는 시설은 경로당, 도서실, 입주자집회소 그리고 공용세탁실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점진적 개선영역의 시설에 비해 비교적 상시 활용성이 강한 경로당, 도서실, 세탁실과 같은 시설들이 현상 유지를 해야 하는 시설로 도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해보면, 어린이놀이터 및 어린이집과 같이 유아 및 어린 자녀들이 이용하는 시설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된다고 분석되었다. 우선적 집중영역의 주민운동시설, 지속유지 강화영역의 주민휴게시설, 사회복지시설 즉 모든 계층이 사용 가능한 시설의 경우 중요도가 높게 조사되었으며, 그중에서 특히 주민운동시설의 경우 만족도가 낮아 우선적으로 개선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주민휴게시설 및 사회복지시설은 중요도와 만족도가 높은 인자이며, 현재 상태를 유지하여 지속적인 이용 활성화를 도모하고, 거주 후 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활용 해야 될 것으로 사료 된다.
전반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인자들을 살펴보면, 청소년시설, 주민교육시설, 독서실, 경로당, 세탁실 등 특정 목적을 위해 일부 계층만이 활용하는 시설들이 주로 도출된 것으로 보이며, 그 중 비교적 상시 활용이 가능한 도서실, 세탁실, 경로당이 타 시설에 비해 만족도가 높게 나온 것으로 조사되었다.
5. 결론
도시개발사업은 주택용지 및 공장용지 등의 높아진 수요와 복합적인 기능을 하는 도시를 종합적·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사업이며, 현재 그 사업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개발사업에 대한 실증연구로써 사업이 완료된 도시개발사업 단지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단지 내 설치된 주민공동시설에 대하여 중요도 및 만족도를 분석하고 IPA분석을 통하여 현재 거주하고 있는 입주민의 의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놀이터 및 어린이집과 같은 유아 및 초등학생 정도가 이용하는 시설에 대한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어린이집의 경우 중요도고 가장 높은 반면 만족도는 13개 시설 중 12위로 중요도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시설을 이용하는 입주민에 대한 니즈(Needs)를 보다 심도 있게 조사하여 우선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모든 계층이 활용 가능한 시설인 운동시설, 휴게시설, 복지시설의 경우 전반적으로 중요도 및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시설의 현상유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주민휴게시설의 경우 13개 시설 중 가장 중요도 및 만족도를 종합해봤을 때 가장 긍정적으로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주민운동시설의 경우 다른 2개의 시설에 비해 만족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개선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어린이 및 모든 계층이 활용 가능한 시설 외의 다른 시설들의 경우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시설들은 시간을 두고 점진적으로 개선하거나, 소극적으로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거주 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김포 감정1지구를 대상으로 주민공동시설에 대한 입주민의 의사를 실증 분석하여 거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전반적인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우선적 개선사항 및 현상 유지 그리고 소극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내용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다만, 본 연구는 도시개발사업 완료된 구역 중 김포 감정1지구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이에 대한 결론은 해당 연구사례에 국한되며, 타 도시개발사업 사례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주민공동시설에 대한 분석을 다른 지역을 대상으로 확대해 나아가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지구단위계획 등) 중소규모 사업과 비교하여 차이점에 규모 및 사업 종류에 따른 주민공동시설 선호도의 차이와 관련된 연구를 향후 연구로 제안하고자 한다.
References
-
박성무, 도시개발사업 토지소유자의 환지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석사논문, 2018.
S.M. Park, A Study on Landowners’ Replotting Satisfaction on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Master Thesis, Dong-ui Univ. 2018. -
김준호, 도시개발사업 기본계획수립 단계의 환경생태계획 요소 중요도 분석,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2012.
J.H. Kim, Analysis of the major eco-environmental planning factors in the comprehensive planning process for urban development projects, Master Thesis, Han-yang Univ. 2012. -
조종렬, 도시개발사업에서 사업방식에 따른 주거환경 만족도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2009.
J.Y. Cho, Analysis of the degree of a resident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by urban development project types, Master Thesis, Yon-sei Univ. 2009. -
이재성, 도시개발사업의 개발단계별 리스크 중요도 연구, 목원대학교 박사논문, 2020
J.S. Lee, A Study on the Risk Importance in the Development Stages of Urban Development Projects, Journal of AIK, 2020. -
김주환, 김원필, 도시개발사업의 개발단계별 리스크 중요도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21.09.
J.H. Kim and W.P. Kim, An IPA Analysis on the Suitability of Housing Renovation Manual of the Elderly Household, Doctor Thesis, Mok-won Univ. Sep.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