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AE Journal
[ Research Article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 Vol. 20, No. 5, pp.81-86
ISSN: 2288-968X (Print) 2288-969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0
Received 18 Sep 2020 Revised 08 Oct 2020 Accepted 12 Oct 2020
DOI: https://doi.org/10.12813/kieae.2020.20.5.081

행복주택 평면의 변형에 관한 연구: N.J. HABRAKEN의 주거대 시스템 이론을 중심으로

하민호* ; 김진모**
Possibility of Plan Change by Types of Happy Housing: Focused on with N.J. HABRAKEN Supports system
Min Ho Ha* ; Jin Mo Kim**
*Graduate Student,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wangWoon Univ., South Korea hippo60@naver.com
**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Dept. of Architecture, KwangWoon Univ., South Korea kimjinmo@kw.ac.kr


ⓒ 2020. KIEAE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d the limitations that the current floor plan of a happy house was insufficient to accommodate the needs of residents. To solve this problem, it is meaningful to suggest the plan improvement directions of happy house by using the housing zone system of N.J. HABRAKEN, the pioneer of public rental house, about the type of happy house.

Method:

The order of this study is first, identified the current limitations of happy house by analyzing the satisfaction of young people’s public rental house. For this purpose, prior studies have been analyzed. Next, the N.J. HABRAKEN residential system, a pioneer of public rental house in Europe, was analyzed. To this e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definitions of the residential system were organized. Finally, by applying the system of N.J. HABRAKEN to the plans of each type of happy house, we would like to suggest a plan to supplement the problems of the current happy house’s plan. The four representative planes of each type of happy house in Seoul, 16m², 26m², 36m², 44m², was selected which has the highest competitive for subscription and the policy was put into effect first since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inability to analyze all happy houses.

Result:

We applied the theory of residential systems to a plan of 16m², 26m², 36m², 44m². As a result, it is believed that the limits of the current plan can be improve. (16m² is difficult to provide the possibility of change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area.) Furthermore, it is also believed that it will be able to provide a floor plan to realize the needs of each resident. by creating variable potential that is deficient in existing plan. In spite of a limit to the difficulty of transformation of kitchen and toilet due to Dutch architecture with dry construction method and Korean architecture with wet construction method, improvements can be made in a way that allows up to six plan’s variations compared to the existing ones by applying dry construction to other spaces.

Keywords:

Happy housing, Supports system, Zone & Margin, Sector & Sector group

키워드:

행복주택, 주거대 시스템, 존과 마진, 섹터와 섹터 그룹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최근 청년층은 고용불안, 저출산율, 결혼 기피 현상, 경제 저성장화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겪고 있다. 그 중 특히 주거에 대한 불안은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2019 주거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년가구, 신혼부부의 자가 점유율은 점점 떨어지고 있으며, (자가 비율 청년가구 17.2%, 신혼부부 49.3%) 임대료 및 대출금 상환 부담 정도는 신혼부부 77.9%, 청년가구 76.3%로 응답할 만큼 주거비용에 대한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있다[1].

정부는 이러한 주거불안을 느끼는 청년 계층을 위해 다양한 공공임대정책을 내놓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행복주택이다.

행복주택 정책은 2010년 이후 새롭게 등장한 주거취약계층을 위해 만든 정책으로서, 도시의 직주근접 및 저렴한 임대료를 통해 주거문제 해결을 위해 만들어졌다. 2019년도까지 56,428호가 지어졌으며, 지속적으로 매년 2만호씩 공급할 예정이다[2].

한편, 과거 우리나라의 사회 분위기는 단체주의의 성향이 강하였으나, 현재는 단체보다 개인의 의견이 더 중요시 되고 있는 사회로 변하고 있으며, 이는 의식주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주택에서도 이러한 성향이 고스란히 나타나고 있다. 거주자들은 자신이 거주 하고 있는 주거에서도 개인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싶어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공공임대주택은 단지 양적 공급만을 위한 목적으로서의 제공이 우선시 되어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3]. 현재 주거취약계층에게 제공되는 새로운 형태의 공공임대주택인 행복주택 또한 이러한 문제점이 나타남으로써 개인의 다양성 및 정체성 실현의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상황이다.

반면 해외에선 이미 1980년~1990년대에 이러한 사회 현상을 겪었으며, 이를 해결하기위해 공공임대주택 정책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공공임대주택의 대표적 건축가인 N.J.하브라켄은 현재 행복주택이 가지고 있는 거주자의 니즈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과 유사하게 네덜란드에서 제공하는 대량 공공임대주택 정책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 해결을 위해 주거대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개인의 다양성을 존중하며, 이를 표현하기 위한 공공임대주택평면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거주자의 니즈를 수용하기엔 현재 행복주택의 평면이 지닌 한계점을 인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임대주택의 대표 건축가 N.J. 하브라켄의 주거대 시스템을 적용한 행복주택의 평면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먼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청년층의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주거만족도 분석을 통하여 현재 행복주택이 지니고 있는 한계점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유럽의 공공임대주택의 대표 건축가 N.J.하브라켄의 주거대 시스템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행복주택의 유형별 평면에 N.J.하브라켄의 주거대 시스템을 적용하여, 현재 행복주택 평면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평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실적으로 모든 행복주택을 분석 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대상을 선정하였다. 가장 청약 경쟁이 높고, 정책적으로 우선 시행된 서울에 위치한 행복주택 각 유형별 대표 평면 4개 16m2, 26m2, 36m2, 44m2을 선정하였다.


2. 행복주택 선행연구 분석

2.1. 행복주택 관련 기존 선행연구 동향

지금까지 이루어진 행복주택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해 본 결과 수요자 만족도, 지역 활성, 행복주택 정책, 행복주택 단지 등 크게 4가지 키워드로 분류할 수 있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행복주택 정책이 올바르게 실행되었는가에 관련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행복주택의 공급목적인 노후불량 주거지 및 국공유지의 활용 및 개선 방안, 행복주택 단지 커뮤니티 형성, 등 행복주택 주요 정책의 실행여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4].

수요자 만족도 조사에서도 현재 상황에 따른 조사만 이루어질 뿐 실질적 평면 개선방향에 대해선 자세히 조사되어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족한 행복주택 평면에 관련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2.2. 청년 대상 공공임대주택 및 행복주택 주거만족도 조사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현재 행복주택 평면이 지니고 있는 한계점을 파악하고자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공공임대주택 및 행복주택에 거주하고 있거나, 거주 예정인 청년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주거만족도 조사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았다.

강신애 외(2013)는 사회초년생들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공공임대 주택의 보편화, 대중화하기 위해선 거실과 방의 개수에 선택의 폭을 넓히고, 쾌락한 주거환경 조성이 이루어 져야 된다 라는 결론을 언급하였다.

송보람 외(2018)는 서울행복주택을 대상으로 청년층의 주거환경에 대한 거주 후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편의시설, 대중교통, 녹지 공간 시설 내 외부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보다 높았으며, 임대료에 대해서도 평균 만족도는 높았지만, 평면크기 및 수납공간에 대한 부분은 낮게 나왔다.

김형근(2018)는 청년층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1, 2인 가구 주택 특화 방안에 좁은 공간에 대한 최소한의 단위세대 면적 확대 및 신혼부부를 위한 변화하는 생애주기 맞춤형 공간계획을 제안하였다.

Prior Study Of Happy Housing

김진성 외(2019)는 서울시 청년, 신혼부부 계층의 설문조사를 통해 수요자의 패턴과 요구에 기반을 둔 맞춤형 주택계획 방안을 제안하였다. 분석결과 주방에 대한 활용도가 낮았으며, 원룸형 공간의 확장이 필요하였으며, 맞춤형 커뮤니티 시설계획을 할 필요가 있다 라고 결론지었다.

지금까지 선행연구를 분석해본 결과 공공임대주택 거주자 및 거주 예정자들의 몇 가지 요구사항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첫 번째로 원룸형에 대한 평면 면적에 대한 불합리성. 두 번째, 입주자별 다양한 주거생활을 위한 평면의 가변성 요구. 마지막으로 변화하는 생애 주기 맞춤형 공간이다.

따라서 거주자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위해, 먼저 네덜란드 공공임대주택의 대표 건축가 N.J. 하브라켄의 주거대 시스템을 분석하여 행복주택에 적용하고자 한다.


3. N.J. 하브라켄의 주거대 시스템

3.1. N.J.하브라켄의 주거대 시스템 이론적 배경

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은 갑작스러운 인구팽창에 따라 주택 부족을 극복하고, 주택 보유량을 늘리기 위해 정부 주도의 대량공공임대 주택을 건설하기 시작하였다. 공급에서만 초점을 맞춘 초기 정부의 정책으로 인하여, 많은 도시에 다량의 주택 공급이 이루어졌으나, 대량공급에만 급급하여 단조롭고 획일적인 건물들이 만들어졌다[5].

이러한 초기 주택 정책은 점점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으며, 유럽의 대표 공공임대주택 건축가 N,J.하브라켄은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 S.A.R 재단을 설립하여 연구하였다.

1965년 처음 주거대 시스템을 개발을 시작으로, 점진적으로 발전시켜 1976년에 완성했으며, 이후 실제 공공임대주택 건물에도 적용하여 실현시켰다[6].

N.J.하브라켄은 주거대 시스템을 실제 설계에 적용하여 Molenvliet지역 퍼펜드리히트에 실험주택을 건설하였고, 이후 네덜란드 각지에 많은 주택들을 만들었다. 중 북유럽인 서독, 영국, 오스트리아, 프랑스, 벨기에, 스위스, 스웨덴 등에서도 주거대 시스템을 이용한 주택의 현상설계가 당선되었다[7].

주거대 시스템의 가장 중점적인 목표는 대량공공임대주택으로 인한 인간의 정체성 상실의 회복과 공공임대주택의 거주자의 임대기간동안의 다양한 개인적 요구조건을 만족시켜 주는 것이다. 주거대 시스템은 획일화된 평면의 제공이 아닌 사용자들의 니즈를 최대한 실현할 수 있는 평면 구성이라 할 수 있다.

Method of Analysis of Supports Systems

3.2. 주거대 시스템의 정의

N.J.하브라켄이 제시한 주거대 시스템은 넓은 범위에서의 분류에서 부터 점점 세부적인 형태의 변형까지 이루어진다. 주거대 시스템의 단계는 존과 마진, 존 배열과 공간, 존 배열과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8].

존과 마진 분석방법에서 존은 구역에 대한 정의이며, 마진은 공간과 공간사이에 이루어진 공간이라 정의한다. 존은 알파존, 베타존, 델타존, 감마존 총 4개가 존재하며, 존들은 각각의 성향을 가지고 있다. 마진은 두 존 사이에 위치하여 두 존의 성향을 동시에 가진다. 각 마진의 이름은 2개의 존을 합쳐서 부른다.(ex.α-β- 마진)마진 공간은 두 개의 존의 성향을 동시에 가지기에 가장 변화가 이뤄지기 쉬운 공간이다.

존 배열과 공간은 섹터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정의한다. 섹터란 존과, 이와 인접한 마진을 합친 공간이다. 섹터는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최대한의 공간이며, 섹터의 범위는 존에서 시작하여 인접한 마진에서 끝난다.

섹터는 같은 기능을 가진 섹터끼리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며, 섹터 내에서의 공간 분할도 이루어질 수 있다. 섹터와 섹터 간 위치 변경을 기본 변형이라 정의하며, 섹터 내에서의 공간 변화는 하위 변형이다.

존 배열과 부품은 최소 공간 및 최대 공간을 설정하기 위한 가구에 따른 치수 산정이다. 존 마진 및 존 배열과 공간 분석 이후 평면의 각 공간 내에 실제적으로 가구의 배치를 모듈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제안한다.

N.J. 하브라켄의 주거대 시스템 이론은 주거에서의 개인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고, 니즈를 수용할 수 있게 만들어진 개념이다. 따라서 현재의 행복주택 평면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즉, 평면 면적에 대한 불합리성, 주거생활을 위한 평면 가변성 요구 및 변화하는 생애 주기 맞춤형 공간에 대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이론이다[9]. 이러한 주거대 시스템 이론을 통해 현재 행복주택 유형별 평면에 적용, 분석하고자 한다.


4. 행복주택 유형별 평면 분석

행복주택은 계층에 따라 각기 다른 면적의 평형을 제공 한다. 총 4개의 계층이 존재하는데 대학생,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노인층이며, 평형별로는 크게 4개의 유형(16m2, 26m2, 36m2, 44m2)이 있다. 16m2은 사회초년생, 취업준비생, 대학생, 고령자, 26m²은 고령자, 대학생, 사회초년생, 주거급여, 36m2, 44m2은 신혼부부 예비부부가 지원할 수 있다[10].

Zone and Margin of Four Types of Existing Happy Houses

분석대상은 가장 청약 경쟁이 높으며 정책적으로 우선 선정된 서울의 행복주택 기준이며, 면적별 4가지 유형의 평면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하기 위해 단위세대 기준으로 평면을 다이어그램화 시켰다. 분석 방법은 4가지 유형의 평면에 N.J. 하브라켄의 주거대 시스템 이론 중 평면 분석 방법인 존과 마진, 섹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존 16m2, 26m2, 36m2, 44m2 4개의 행복주택 평면을 존과 마진에 대입하여 분석한 결과, 존 공간은 알파존, 베타존, 감마존, 델타존 모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진은 γ-β마진만 존재하였다. 4개 유형의 평면 모두 하나의 마진만 존재할 뿐이다. 따라서 현재 행복주택의 4가지 평면 모두 변화 가능성이 적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1. 존과 마진

현재 행복주택의 다양한 평면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변화 가능성을 가진 마진을 더 많이 제공해야 한다.

16m2 평면유형은 기존γ-β마진만이 존재하는데 추가적인 마진을 만들기엔 현재 행복주택 평면의 면적에 대한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마진을 추가로 넣을 수 없다.

26m2 평면유형은 기존γ-β마진만 존재하여 복도와 주방 사이에 변화공간이 존재한다. 기존 평면에 α-β마진을 만들어 줌으로써 변화 가능성을 제공 할 수 있다. 마진을 주방과 거실 사이에 추가함으로써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변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36m2 평면 유형은 기존 γ-β마진만 존재한다. 방, 주방과 복도 사이의 마진이 존재하여 필요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기존 평면에 α-β마진을 만들어 줌으로써 화장실, 주방과 거실 사이에 변화 가능한 공간이 생겨 필요에 따라 거실의 확장 또는 주방의 확장에 대한 변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44m2 평면유형은 기존 γ-β마진만 존재한다. 방, 주방 과 복도 사이에 마진이 있으므로 변화가능성이 존재한다. 기존평면에 거실, 방과 화장실 사이에 α-β마진을 만들어 줌으로써 거실 및 방의 변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Expansion of Margin Space for Happy Housing Plan

현재 행복주택 평면 유형별로 마진을 추가적으로 제공하였을 때 16m2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26m2, 36m2, 44m2 3가지 평면 유형은 α-β마진을 만들어 줌으로써 개개인의 필요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4.2. 평형별 섹터 기본 변형 & 세부 변형

앞서 존과 마진에서 마진 추가를 통한 변화가능성을 만들어 줌으로써 조금 더 자유로운 공간의 구성이 가능해졌다. 섹터의 개념을 추가함으로써 기본 변형과 하위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26m2 평면 유형을 섹터를 통해 먼저 분류해 보면, α,β 두 개의 섹터가 존재한다. 알파섹터는 알파존과 알파베타 마진을 포함하고 있으며, 베타섹터는 베타존과 γ-β마진을 포함한다.

Comparative Analysis of 26m²

Comparative Analysis of 36m²

기본변형은 같은 성향을 가진 섹터와 섹터의 상호간의 위치 교환을 의미하지만, 26m2 평면은 2개의 다른 섹터만 존재하여 상호간 위치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하위변형은 섹터내의 공간 변형인데, 알파섹터 내의 변형은 총 3가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존 거실로만 정의되어있는 공간은 작은 방+거실, 거실+방, 거실+작은 방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베타 섹터 내의 변형은 우리나라 대부분의 건축물은 습식 공법을 이용함으로 배관 위치가 정해져 있기에 변형이 불가능하다.

36m2 평면 유형을 섹터를 통해 먼저 분류해 보면, α,β섹터 각각 2개씩, 총 4개 존재한다. 알파섹터는 알파존과 알파베타 마진 공간, α-γ을 포함하고 있으며, 베타섹터는 베타존과 γ-β마진 공간을 포함하고 있다.

기본변형은 같은 성향을 가진 알파섹터간의 공간 이동이 가능한데, 현재 방과 거실의 위치가 변형 가능하다.

하위변형은 총 6가지로 변형 가능하다. 먼저 현재 평면에서 거실에 위치한 알파섹터 내에서의 변형은 기본 평면 이외 총 3가지로 변형 가능하다. 즉, 방과 거실, 작은 방과 거실, 큰 방과 거실로 변형이 가능하다. 다음으로는 기본변형 큰 방과 작은방에서 거실과 방을 바꾼 평면에 세부변형이다. 즉, 방과 방, 작은 방과 큰방, 큰 방과 작은 방 3가지로 변형이 가능하다.

Comparative Analysis of 44m²

A Comparison of the Number of Changes in the Plan of Happy Housing

베타 섹터 내의 변형은 우리나라 대부분의 건축물은 습식 공법을 이용함으로 배관 위치가 정해져 있기에 변형이 불가능하다.

마지막으로 44m2 평면 유형을 섹터를 통해 먼저 분류하면, α,β섹터 각각 2개씩, 총 4개 존재한다. 알파섹터는 알파존과 알파베타 마진 공간, α-γ을 포함하고 있으며, 베타섹터는 베타존과 γ-β마진 공간을 포함한다.

기본변형은 같은 성향을 가진 알파섹터간의 변형이 가능하다, 즉 현재 방과 거실의 위치가 변형 가능하다.

44m2경우도 앞서 36m2과 마찬가지로 하위변형은 총 6가지로 변형 가능하다. 먼저 현재 평면에서 거실 및 방에 위치한 알파섹터 내에서의 변형은 기본 평면 이외에 총 3가지로 변형가능하다. 방, 거실, 방 다음으로 작은 방, 작은 방, 거실 마지막으로 거실, 작은 방, 작은방이다. 복도에 위치한 섹터와 테라스에 위치한 섹터의 위치를 변형하였을 때 3가지의 세부 변형이 가능하다. 작은 방, 작은 방, 큰 방 그리고 방, 방 마지막으로 큰 방 작은 방, 작은 방이다.

앞서 마찬가지로 베타 섹터 내의 변형은 우리나라 대부분의 건축물은 습식 공법을 이용함으로 배관 위치가 정해져 있기에 변형이 불가능하다.

4.3. 비교·분석 결과

N.J.하브라켄의 주거대 시스템을 통해 현재 행복주택의 평면 유형별로 적용, 분석해 본 결과 기존 행복주택에 비해 다양한 평면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6m2 평면 유형은 기존 평면 기준 마진이 1개이며, 주거대 이론을 적용하기엔, 면적의 한계가 존재하여 마진을 추가하기 어렵다. 섹터를 적용하였을 때 기본변형이 가능하지 않아 1개이며, 하위변형도 1개이다. 따라서 현재 16m2 평면 유형은 주거대 시스템을 적용하더라도 변화가 이루어 질 가능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26m2 은 기존평면 기준 마진 1개, 평면 변형 1가지이다. 주거대 시스템을 적용하여 기존평면 기준 1개만 존재하였던 마진을 1개 더 추가함으로써 공간의 변화 가능성을 확대할 수 있다. 섹터를 적용해본 결과 기본 변형 1가지, 섹터 내 하위변형은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변형이 불가능했던 기존 평면이, 주거대 이론 적용 후 3가지 유형으로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개선되었다.

36m2은 기존평면 기준 마진 1개, 평면 변형 1가지이다. 주거대 시스템을 적용하여 기존평면 기준 1개만 존재하였던 마진을 1개더 추가함으로써 존의 변화가능성을 확대할 수 있다. 섹터를 적용해본 결과 기본변형 2가지, 섹터 내 하위변형은 6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변형이 불가능했던 기존 평면이, 주거대 이론 적용 후 6가지 유형으로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개선되었다.

44m2은 기존평면 기준 마진 1개, 평면 변형 1가지이다. 주거대 시스템을 적용하여 기존평면 기준 1개만 존재하였던 마진을 1개 더 추가함으로써 존의 변화가능성을 확대할 수 있다. 섹터를 적용해본 결과 기본변형은 36m2와 같이 2가지, 섹터 내 하위변형 또한 36m2과 동일한 6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변형이 불가능했던 기존 평면이, 주거대 이론 적용 후 6가지 유형으로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개선되었다.


5. 결론

본 연구는 거주자의 요구사항을 반영 할 수 있는 행복주택 평면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현재 행복주택의 4가지 유형별 평면에 N.J. 하브라켄의 주거대 이론을 적용, 이를 분석해보았다.

먼저 공공임대주택 및 행복주택에 관련된 주거도 만족도 조사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현재 거주자 및 예비 입주자들의 요구사항을 파악하였다. 선행연구를 분석해 본 결과, 청년 세대는 원룸형에 대한 평면 면적에 대한 불합리성. 입주자별 다양한 주거생활을 위한 평면의 가변성 요구. 변화하는 생애 주기 맞춤형 공간의 필요성 등의 불만사항을 가지고 있었다.

다음으로 현재 행복주택 평면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럽 공공임대주택 대표 건축가 N.J. 하브라켄의 주거대 이론을 분석했다. 그 결과 N.J.하브라켄의 이론이 개인의 요구사항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디자인 방식인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행복주택 유형별 평면에 주거대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변화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16m2, 26m2, 36m2, 44m2의 평면에 주거대 시스템 이론을 적용해 본 결과, 현재 평면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16m2은 면적의 한계로 인해 변화 가능성을 제공하기 어렵다). 기존 평면에 부족한 가변 가능성을 만들어줌으로서, 거주자의 니즈를 실현할 수 있는 평면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비록 건식공법이 주를 이뤄지는 네덜란드 건축과 습식공법이 주를 이루는 우리나라 건축과의 차이점이 존재하여 주방 및 화장실의 변형이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나, 이를 제외한 다른 공간은 건식공법을 적용함으로써, 변형이 가능하여 기존 대비 최대 6가지의 평면 변형이 가능한 방향으로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시대가 변화하면 이에 따라 공공임대주택도 변화해야 한다. 비록 공공임대주택이 제공하는 면적의 한계 및 비용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나, 제한된 상황 속에서 조금 더 나은 주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나라에서 국민의 행복을 위해 할 수 있는 최소한의 노력이다.

현재 사회에 우리나라 청년세대들은 누구보다 개인의 정체성 및 자신의 표현을 중요시 하는 세대이다. 현존하는 주거이론들 중 N.J.하브라켄의 주거대 시스템은 거주자의 니즈를 반영할 수 있도록 행복주택을 개선하는데 가장 적합한 이론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모든 행복주택의 평면 사례를 분석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으나, 청년세대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행복주택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N.J.하브라켄의 주거대 시스템 이론은 초기 공공임대주택 평면 제시안임으로, 현대사회의 공공임대주택이 필요로 하는 변화된 주거대 시스템에 관한 후속 연구가 진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2019년 광운대학교 교내연구비 학술 연구 지원으로 이루어졌습니다.

References

  • 강미나 외 8인, 2019년 주거실태조사 요약보고서, 한국: 국토교통부, 2019, p.58.
    M.N. Kang et al., 2019 Housing Survey Summary Report,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9, p.58.
  • 손경환 외 6인, 행복주택 개발모델 창출연구 최종보고서, 한국: 국토교통부, 한국토지주택공사, 2014, pp.1-2.
    K.H. Son et al., A Final Report on the Development of Happy Housing Model,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 Land&Housing Corporation, 2014, pp.1-2.
  • 강신애, 홍형옥, 사회초년생의 주거선호 및 공공임대주택 및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인식과 선호,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3년 제2권, 2013.11, p.402.
    S.A. Kang, H.O. Hong, A study on Awareness and Housing Preferences about Public Rental Housing among Career Starting Persons, Proceeding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KHA, 2013(2), 2013.11, p.402.
  • 하민호, 김진모, N.J. HABRAKEN의 주거대 이론을 통한 행복주택의 유형별 평면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제20권 3호, 2020.06, p.74.
    M.H. Ha, J.M. Kim, Analysis of Plan types of Happy Housing with N.J. HABRAKEN Supports system,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20(3), 2020.06, p.74. [ https://doi.org/10.12813/kieae.2020.20.3.073 ]
  • N.J.하브라켄, Supports 주거대(住居臺), 한국: CA현대건축사, 2009.01, pp.19-20.
    N.J. HABRAKEN, Supports system, Korea: CA History of modern architecture, 2009.01, pp.19-20.
  • N.J.하브라켄 외 3인, 주제와 변주(주거대의 체계적 디자인), 한국: CA현대건축사, 2010.05, p.9.
    N.J. HABRAKEN et al., Variatons(The Systematic Of Supports), Korea: CA History of modern architecture, 2010.05, p.10.
  • 이보라, 김수암, 이현수, 국내 아파트의 가변형 평면계획 경향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제21권 제11호, 2005.11, pp.4-5.
    B.R. Lee, S.A. Kim, H.S. Lee, Study on the Design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Flexible Housing Unit Plan in Korea,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world, 21(11), 2005.11, pp.4-5.
  • N.J.하브라켄 외 3인, 주제와 변주(주거대의 체계적 디자인), 한국: CA현대건축사, 2010.05, pp.99-109.
    N.J. HABRAKEN et al., Variatons(The Systematic Of Supports), Korea: CA History of modern architecture, 2010.05, pp.99-109.
  • N.J.하브라켄 외 3인, 주제와 변주(주거대의 체계적 디자인), 한국: CA현대건축사, 2010.05, p.9.
    N.J. HABRAKEN et al., Variatons(The Systematic Of Supports), Korea: CA History of modern architecture, 2010.05, p.9.
  • 장진업, 강순주, 행복주택 내 온라인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5년 제2권, 2015.11, p.318.
    J.U. Jang, S.J. Kang, Activation Direction of An Online Community within An Happy House, Proceeding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KHA, 2015(2), 2015.11, p.318.

Table 1.

Prior Study Of Happy Housing

Related Fields year Title Author
Happy Housing
Apartment
complex
2018.12 A Study on the Status of Community Facilities in Happy House Yoonjae Lee, Soyun Park
2018.04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Residents' Joint Facility Planning and the Development Conditions of Happy House - Focused on the prize-winner of LH design in 2016 Hyun Mo Yang, Ki Soo Kim
Local Revitalization 2019.01 An Analysis of NIMBY Phenomenon in the Neighborhood of Happy House in Seoul - Based on the Survey on Residents' Perception of Happy House in Gangil, Cheonwang, Naegok and Samjeon Areas Heesun Ju
2017.04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Community Facilities for Public Rental Housing for Local Revitalization - Focused on the Happy Housing Project District of Seoul City Minah Choi,, Jungran Yoon, Ryunhee Kim
Happy Housing
Policy
2017.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mall-scale Happy House Business Model for Urban Regeneration Okyeon Kim, Kwon Hyuksam
2017.02 A Study on the Supply of Rental Housing through the Street Housing Improvement Project Kwon Hyuksam, Okyeon Kim, Kwon Chi Heung
Customer Satisfaction 2018.12 Analysis of Demand Characteristics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 Focused on Jeonnam, Gwangju, Happy Housing and National Rental Housing Sunghwa Hwa, ,Eunae JIN
2018.11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of Happy House Customized by the Consumers - A Study on the Young Residents of Happy House in Gajwa District Boram Song, Oh jung Kwon,, Dongsuk Kim

Table 2.

Method of Analysis of Supports Systems

Name Zone & Margin Zone Arrangement & Space Zone array & Parts
Image
Contents α-zone
β-zone
δ-zone
γ-zone
Margin
SECTOR, SECTOR GROUP PARTS, SPACE

Table 3.

Zone and Margin of Four Types of Existing Happy Houses

16m² 26m² 36m² 44m²
E:Entrance S:Shoe Closet B:Bathroom K:Kitchen L:Living room T:Terrace C:Corridor

Table 4.

Expansion of Margin Space for Happy Housing Plan

16m² 26m² 36m² 44m²

E:Entrance S:Shoe Closet B:Bathroom K:Kitchen L:Living room T:Terrace C:Corridor

Table 5.

Comparative Analysis of 26m²

26m²
Zone
& Margin
SECTOR
basic deformation detailed deformation
A B C
:SECTOR

E:Entrance S:Shoe Closet B:Bathroom K:Kitchen L:Living room T:Terrace C:Corridor

Table 6.

Comparative Analysis of 36m²

36m²
Zone
& Margin
SECTOR
basic deformation detailed deformation
A B C
D E F
:SECTOR

E:Entrance S:Shoe Closet B:Bathroom K:Kitchen L:Living room T:Terrace C:Corridor

Table 7.

Comparative Analysis of 44m²

44m²
Zone & Margin SECTOR
basic deformation detailed deformation
A B C
D E F
:SECTOR

E:Entrance S:Shoe Closet B:Bathroom K:Kitchen L:Living room T:Terrace C:Corridor

Table 8.

A Comparison of the Number of Changes in the Plan of Happy Housing

Name Existing Plan Possibility of Planar Change through Suppors system
Margin Plan Variability Mairgin basic deformation detailed deformation
16m² 1 1 1 1 1
26m² 1 1 2 1 3
36m² 1 1 2 2 6
44m² 1 1 2 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