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AE Journal
[ Research Article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 Vol. 20, No. 5, pp.53-59
ISSN: 2288-968X (Print) 2288-969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0
Received 14 Aug 2020 Revised 02 Sep 2020 Accepted 27 Sep 2020
DOI: https://doi.org/10.12813/kieae.2020.20.5.053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지방자치단체-대학 연계를 통한 주민-대학생 역량강화 : 대구시 중구 마을 건축학교를 중심으로

최여진*
Reinforcement of Residents-University Students' Capacity through Local Government-University Linkage in New Deal Project for Urban Regeneration : Focused on A Village Architecture School in Daegu Jung-gu
Yeo-Jin Choi*
*Professor, Dept. of Architecture, Daegu Catholic Univ., Korea yojin76@cu.ac.kr


ⓒ 2020. KIEAE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Purpose:

The new deal project for urban regeneration is actively carried out nationwide. At this point, a new local government-university-linked urban regener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in which local residents and local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 together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and the performance of the class, while at the same time enhancing the field application ability of students majoring in university architecture.

Method:

A studio-type village architecture school consisting of residents and students was conducted. The students participated both as students and assistant instructors, coordinated residents' opinions on urban regeneration and visualized their ideas. A survey was conducted on participant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ult:

Resi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chool responded that the class management and their achievements were highly satisfied, and among them, the collaboration with university students was most contented. In addition, from the level of knowing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only before education, residents were able to establish specific plans with the vision for urban regeneration in their own village after education. Participating students became aware of the the importance of the coordinator's rol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rough the class.

Keywords:

Local Government-University-linked, New Deal project for Urban Regeneration, A Studio-type Village Architecture School

키워드:

지방자치단체-대학 연계, 도시재생뉴딜사업, 스튜디오형 마을건축학교

1. 서론

도시재생 사업은 쇠퇴해가는 도시를 종합적으로 재생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환경을 개선함은 물론 거주 주민들의 역량을 강화하여 도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경제적ㆍ사회적ㆍ물리적ㆍ환경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우리나라 도시재생 사업은 2002년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을 시작으로 하여 2006년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 2013년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등의 명칭으로 이어졌다[1].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후 2017년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사업규모 및 방식에 따라 5개 유형(경제기반형, 중심시가지형, 일반근린형, 주거지지원형, 우리동네살리기)으로 구분하여 매년 약 100개씩 지역을 확대하고 2021년까지 5년간 약 50조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현 정부의 중점사업으로 진행되는 만큼 도시재생 사업 수행의 효율성과 향후 사업의 지속성을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도하고 이에 대한 복합적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주거복지 삶의 질 향상, 도시 활력 회복, 일자리 창출, 공동체 회복 및 사회통합을 목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낙후된 마을을 살리기 위해서는 지역 주민이 중심이 되어 적극적인 참여 활동을 필요로 한다. 지방자치단체(이후 지자체)의 지원이 종료된 이후에도 주민들의 다양한 활동들이 지속적으로 운영되어질 수 있도록 주민들의 역량이 강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주민교육 프로그램들이 운영되었다.

국내에서 실시된 시민참여 교육은 1997년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경실련 도시개혁센터, 푸른경기21 등 ‘도시대학’이 운영되기 시작했고, 2008년 수도권 도시대학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2013년 「도시재생법」 제정 이후로는 각 지자체에서 ‘도시재생대학’이라는 이름으로 주민참여형 도시재생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2]. 이 중 정부 및 지자체 등 행정 주도 교육 프로그램은 주로 물리적 환경 개선에, 그리고 시민단체 주도 교육 프로그램은 주로 활동가 양성을 위한 인적역량 양성과 시스템 구축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 주민학교와 대학의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연계하여 8주간의 스튜디오형 도시재생 주민교육 프로그램을 기획, 수행하고 이 프로그램이 도시재생에 관한 지역 주민의 역량과 지역 대학생의 도시 및 건축학 교육의 현장적용력을 강화하는데 효과가 있는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역 주민들과 지지체 관련자 및 현장지원센터 운영자, 그리고 주민학교 프로그램 참여 및 미참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지자체-대학 연계 주민학교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았으며 향후 유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기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2. 선행연구 고찰

최근 도시재생대학 프로그램이 각 지역마다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김진경 등은 프로그램 수강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운영방식, 강의 내용, 교육 일정, 수립된 계획의 실행도 등이 주민의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밝혔으며 참여 대상별, 수준별로 강의 내용을 차별화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하였다[3]. 김민혁은 주민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특징과 문제점을 도출한 후 참여주민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교육기법을 적용해야 하며 지역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독특하고 개성있는 결과물을 도출함으로써 마을 리더를 양성해야 한다고 하였다[4]. 최수진은 주민참여 도시학교를 활성화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기획 단계부터 계획안의 평가 단계까지 모든 부분에서 주민들이 참여가 확대되어야 하며, 폭넓은 교육내용과 교육 방법의 특성화, 지속적인 주민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조직의 구성 등과 같은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5]. 전병혜 등은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해서는 구체적인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수강대상을 확대하고 수강대상 특성을 고려한 교육 방법을 구성해야 하거, 대학-지자체 상생협력을 통한 교육 환경 개선 등이 필요하며, 행정과 대학, 민간의 협력적 거버넌스 체계의 구축 등 운영방안을 제언하였다[6]. 김미선 등은 시민참여에 의한 공공디자인 국내외 사례를 통해서 도시재생 사업이 시민의 요구와 참여에 부합되기 위한 관계성을 해석하고, 시민참여에 의한 도시재생 사업 중 도시공원을 중심으로 공공디자인의 요소와 도시재생 사업의 특성을 분석하여 공공디자인에서 시민참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참여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론을 모색하였다[7]. 김호철은 AHP 분석을 통하여 지역주민, 조직, 공무원, 활동가들의 인식과 협력, 상호 작용과 같은 지역 역량, 지역 주체의 참여와 사업현장 중심 협업체계 등이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사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역설하였다[8].

이상과 같은 선행연구의 동향을 살펴보면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현황과 과제, 사업의 지속성을 위한 중요요인, 도시재생과 공공성의 역할, 시민참여 확대 방안 등에 관한 주제로 주로 연구가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도시재생 주민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지역대학의 전공 수업과 연계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3. 연구내용 및 방법

기존 도시재생 주민학교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형식의 주민학교 프로그램을 기획 및 진행한 후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3.1. 기존 프로그램 조사 및 분석

각 지자체마다 도시재생 관련 주민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도시재생대학, 주민학교, 주민참여 도시학교, 주민학교, 도시재생 뉴딜학교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 학교와 관련되어 전국 지자체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에서 2019년도에 시행한 프로그램을 조사하여 대표적인 프로그램을 Table 1.에 나타내었으며 교육기간, 프로그램 구성, 그리고 교육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Representative Urban Regeneration Community School Held in 2019, Korea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5주에서 8주의 교육 기간으로 총 10시간~20시간 내외로 운영되었으며, 운영 방식은 주로 스튜디오 팀 작업으로 운영되어지며, 강의, 특강, 대상지에 대한 토론(워크샵), 그리고 1회(9시간)의 선진지 답사를 포함하고 있었다. 참여 대상은 뉴딜 사업지의 주민들이고, 프로그램 내용은 뉴딜사업에 대한 이해, 쇠퇴한 물리적 환경 개선을 위한 공간 개선, 지역에 대한 이해와 주민공동체의 이해와 주민 협의체 구성, 그리고 협동 조합과 마을 기업 만들기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스튜디오 팀 작업을 수행한 경우, 일반적으로 강의와 특강 수업 후 팀별 토론을 거친 주민의 의견을 보드에 간단히 형식적인 결과물로 제시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도시재생에 대한 이해도와 관심을 증진하고 공동체 의식 함양을 기대할 수 있으나, 아이디어를 시각화하지 않고 단순히 의견을 나열하는 것만으로는 주민들의 의견이 반영된 마을 재생의 실현 가능성을 체감하기 어렵다. 또한 주민들이 도시계획 및 건축학 관련 전문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마을 재생을 토론하기는 쉽지 않으며,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내거나 제안된 아이디어에 대해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거나 효과적인 비판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3.2. 지자체-대학 연계 주민학교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

1) 지자체-대학 연계의 필요성

주민학교에 참여하는 대부분의 주민들은 도시재생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만을 이해하고 있는 수준이기에 수업 중 주민들끼리 토론을 하거나 제안된 아이디어의 구현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실제적으로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한편 건축학 전공 대학생은 3~5학년에 이론 교과목 또는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특강이나 세미나, 선진사례 답사 등을 통해 도시계획 및 재생 이론을 학습한 후 도시 환경 재생 실습 프로젝트 과제들을 수행한다. 주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으로는 실제 현장에서 즉시 적용될 수 있는 프로젝트를 기획하는 기회를 가지기 어렵기 때문에 현실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다소 이상적인 계획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직접 대상지 주변에 거주하는 해당 주민들의 의견을 직접 청취하고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다양한 의견을 조율하는 역할 수행은 학교 교육만으로는 경험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도시재생 주민학교에 지역 주민뿐 아니라 도시재생 관련 전공 대학생이 함께 참여한다면 학생들의 전문 지식으로 마을재생 토론이 더욱 활성화되고 주민 아이디어를 시각화할 수 있는 등 수업 효과를 증진할 수 있으며, 또한 학생에게 실제 대상지에서 진행될 프로젝트를 직접 기획하고 대상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조율하는 등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2) 프로그램의 구성

본 ‘대구시 중구 주민과 함께하는 건축학교’ 프로그램은 Table 2.에 보이는 것처럼 총 8주(2시간 수업 7주와 9시간 답사 1주)간 진행되었다. 참여주민 22명의 수준을 고려하여 3회에 걸쳐 도시재생 뉴딜 기본 이론, 마을공동체 이해 및 마을재생사업 사례공유, 공공디자인과 도시재생, 그리고 리노베이션 개념 및 사례 등의 주제로 도시재생 전반에 대한 이론 강의를 제공했다. 또한 부산지역 초량 이바구길, 아미 비석마을과 깡깡이 마을을 답사하였는데 이 사례지들은 기존 역사와 스토리가 있는 지역의 장소를 공공디자인과 리노베이션을 통해 마을 환경을 개선하고 주민들이 협의체를 통해 마을 재생 관련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관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주민학교 참여 주민들이 본 프로그램 대상지에서의 공동체의 역할과 공간의 개선 방향 등에 대해 고민하게 하였다.

Proposed Local Government-university Linked Program for a Village Architecture School in Daegu Jung-gu

실제 도시재생활성화 계획에 포함된 지역을 주민학교의 물리적 환경 공간 개선 프로그램 대상지로 삼고 2회 답사 및 1회 워크샵 팀 활동을 통해 해당 지역 주민이 대상지에 대한 현안을 고민하고 향후 발전계획에 대해 제안하도록 하였다. 건축전공 대학생들이 수업에서 배운 현장 조사 분석 방법론 통하여 지역을 분석하고 주민에게 분석 결과와 향후 재생 방향의 컨셉, 공간적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전문가적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3) 프로그램 운영 방식

지역 D대학에서 진행되는 ‘도시환경재생실습프로젝트’는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으로 건축학 전공 3학년 학생 8명이 수강하며, 전반 8주는 기초 이론수업을 실시하고 후반 8주는 본 주민학교 프로그램 수업에 참여하여 5명~6명의 주민들과 2명의 학생들이 한 팀씩을 구성하여 대상지를 방문 및 현황을 분석하고 팀 토론을 통하여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스튜디오형 수업을 진행하였다. 10명의 도시재생 현장센터 직원들은 코디네이터가 되어 주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존중하고 해결방안을 잘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수업 준비를 위해 대상지에 대한 물리적, 사회적, 건축적 문제를 사전 분석했고, 매 수업 후 주민 의견을 분석하고 관련내용 선례조사를 거쳐 마을 개선 방향 컨셉을 도출하고, 수업 중 토론을 거쳐 확정된 컨셉을 정리한 후 주민 아이디어 시각화를 위해 2D, 3D 모델링을 하고 최종적으로 Fig. 1.과 같이 패널과 모형, 그리고 공간 동영상을 제작하였다. 마지막 수업 시간에 주민들은 자신들의 의견이 반영된 대상지에 대한 마을재생 시각화 작품을 발표하였고, 일주일 후 Fig. 2.와 같이 전시회를 개최하여 본 프로그램에서 제작된 대구시 중구 마을재생 시각화 작품들을 전시하였으며 지자체와 주민들로부터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Fig. 1.

Visualization of Residents’ Opinion for Urban Regeneration by University Students

Fig. 2.

Final Exhibition (Panel, 3D Mmodel and Animation)

3.3. 설문조사를 통한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지자체와 대학이 연계된 주민학교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2020년 6월에서 8월까지 8회(전시회 제외)간 진행되어진 주민 학교 참여자 주민 22명과 코디네이터로 참여한 현장지원센터 직원 10인, 지역대학 건축학과 대학생 8명에게 7월 13일부터 7월 31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학생들의 주민학교를 통한 역량 강화의 비교 대상으로는 2018년, 2019년 2년간 동일한 도시재생 캡스톤 수업(주민학교 프로그램이 없는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이며, 2주간 설문을 20부 배포하고 17부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4. 설문조사 결과 및 분석

4.1. 주민 대상 설문 결과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관해 개념 정도만을 인지하고 있던 주민들에게 마을공동체 이해 및 마을재생사업 사례, 공공디자인과 리노베이션 사례에 대해 3회에 걸쳐 이론 강의를 제공했는데 주민들은 이에 대해 5점 척도로 만족도를 표시한 결과 평균 4.17(백점 만점으로 환산, 83.4점)로 비교적 양호한 만족도를 나타냈다.

Fig. 1.에 보여주는 것과 같이 주민들이 가장 높은 만족도(89점)를 보인 프로그램 중 하나는 선진지 부산 답사이다. 일반 주민들에게 실내에서 진행되는 이론 강의보다 교외로 나가서 실제 사례를 답사하고 배우고 느끼는 과정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은 예측가능한 일이다.

이와 더불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낸 프로그램은 주민들의 아이디어를 작품으로 만든 과정이었다. 주민들의 마을 재생 아이디어를 대학생들이 시각화하고 최종작품으로 제작하고 최종적으로 주민이 직접 발표하는 과정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다는 사실은 지자체-대학 연계 주민학교 프로그램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다. 기존의 일반 주민학교에서는 주민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이를 포스트 잇에 정리하여 보드에 붙이거나 이를 간단히 정리한 패널을 만들어 발표하는데 그치는 반면 본 프로그램에서는 주민과 학생이 공동으로 도출한 아이디어가 실체화된 패널과 모형으로 시각화했기 때문에 주민들의 만족도는 크게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밖에 팀 구성을 통한 대상지에 대한 토론과 합의 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86점을 얻었으며, 이 역시 기초 이론 강의보다는 높은 점수를 보였다.

프로그램을 통한 참여 주민들의 역량 향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Table 3.과 같이 도시재생 뉴딜의 개념 인지 및 발전 단계를 5단계로 구분하고, 주민들에게 본 교육을 받기 전과 후 단계의 변화를 체크하도록 하였다. 설문 결과 교육을 받기 전 평균 3.26 단계, 즉 주민학교 교육 전 도시재생 뉴딜의 개념을 알고 있는 수준에서 교육을 받은 후 평균 4.7단계, 즉 자신이 살고 있는 마을에 대해 구체적인 도시재생 비전과 계획을 가지고 있는 수준으로 주민역량이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결국 지자체 주민학교와 대학 전공 수업이 연계된 본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보여준다.

Survey Result of Coordinator(Administrative Staff)

지자체-대학 연계 건축학교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주민들에게 대학생과의 협업에 대한 만족도 항목을 따로 만들어서 조사한 결과 평균 만족도가 91점으로 나왔는데 세부 프로그램 중 가장 만족도가 높았던 선진지 부산답사에 대한 만족도 점수가 89점이었음을 비추어볼 때 이는 상당히 높은 점수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민들은 ‘학생들과의 대상지에 대한 토론 수업은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를 더 높여주었다.’(92.2점)고 응답하였고, ‘학생들의 제작한 공간 이미지들은 주민들의 의견을 잘 반영하였으며 이를 통해 뉴딜사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다.’(90.4점)고 하였으며, ’교육과정 중 학생들과의 공동 작업을 통해 건축과 도시재생 전반에 관한 이해도와 관심이 높아졌다.’(90.4점)고 응답하였다.

결과적으로 도시재생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주민들끼리 모여서 토론을 하는 것보다는 학생들이 전문성을 발휘하여 토론을 중재함으로써 토론이 원활하게 진행되었고, 특히 주민들 만으로는 불가능했던 마을재생 아이디어의 구체적인 시각화 구현으로 만족도가 상당히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Fig. 3.

Results of Survey on the Satisfaction with Detail Programs of the Village Architecture School (by Participating Residents), Converted a 5-point Scale into 100points

Fig. 4.

5steps of Recognition of Urban Regeneration New Deal

Fig. 5.

Results of Survey on the Satisfaction with Collaboration with University Students (by Participating Residents), Converted a 5-point Scale into 100points

4.2. 코디네이터 대상 설문 결과

본 주민학교에 참여한 코디네이터 10명(인턴 3명 포함) 중 2명은 3년 이상의 도시재생 관련 경력을 가지고 있고 나머지 8명 중 3명은 도시 및 건축 관련 학과를 졸업하여 도시재생에 대한 이론적 학습 경험은 있으나 도시재생 주민학교 운영 경험이 없으며, 5명은 관련 경력이나 조율자로서의 경험이 없었다.

코디네이터를 대상으로 ‘본 도시재생 뉴딜 건축학교 수업 과정을 통하여 얻은 가장 중요한 성과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하였는데 응답자의 50%가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대한 이해도 상승’이라고 답하였고, 30% 만이 ‘주민 협업 작업 시, 조율자 역할의 중요성 인식’이라고 답하였다.

주민학교에서 코디네이터는 주민과의 협업 시 조율자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오히려 주민학교를 통해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대한 이해도가 상승한 것이 가장 중요한 성과였다고 답한 것은 도시재생 관련 전문적인 지식과 경력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현재 다양한 규모의 지자체에서 여러 형태의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관련하여 다양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관련 전공 또는 행정 경험을 가진 코디네이터를 채용하고 적재적소에 배치하기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3. 대학생 대상 설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주민학교 수업 과정을 통하여 얻은 가장 중요한 성과를 묻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62.5%가 ‘주민 협업 작업 시, 조율자 역할의 중요성 인식’이라고 답하고 나머지 37.5%는 ‘이론과 실제 프로젝트 적용 시 차이점 인식’이라고 하였다. 코디네이터의 설문 결과와는 달리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대한 이해도 상승’이 가장 중요한 성과라고 응답한 학생은 한 명도 없었고 오히려 50%의 학생이 4순위라고 응답하였는데, 이것은 이미 대학에서 도시재생에 관한 이론적인 학습을 마친 상태이기에 이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상태라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주민학교에 참여한 학생들은 수업과정 동안 자신들이 생각한 기획안이 주민들의 이익 집단과 대치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놀라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은 실제 주민들과의 협업을 통해 건축가의 가장 중요한 역량 중 하나인 조율자의 역할을 경험해봄으로써 그 역할이 대단히 중요함을 깨달음과 동시에 학교에서 배운 이론과 실제 프로젝트 적용 시 차이점이 매우 크다는 것을 배웠으며, 실제 도시재생에 관한 프로젝트를 수행해 봄으로써 현장 적용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에 반해 본 주민학교 프로그램에는 참여하지 않았지만 지난 2년동안 동일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수업을 수강하고 특강, 세미나, 답사에 참여한 학생 20명(17부 회수)을 대상으로 동일한 질문을 하였을 때 그들 중 76.4%가 도시재생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진 것을 가장 중요한 성과로 꼽았으며, 단 6%만이 조율자의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한 것을 꼽았다. 이것은 대학 내 수업이나 1회성 특강, 답사 교육을 통해서는 도시재생 과정에서의 조율자의 역할의 중요성이나 이론과 실제 프로젝트 차이를 인식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잘 말해준다고 할 수 있다.

Table 3.4.에서 보여주듯이 코디네이터와 주민학교에 참여한 학생, 그리 학교 수업만 수강한 학생, 이렇게 3 그룹에서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대한 이해도 상승’과 ‘주민 협업 작업 시, 조율자 역할의 중요성 인식’이라는 두 가지 수업 성과에 대해 가장 확연한 입장 차이를 보였으며, 이러한 설문 조사 결과에 대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Table 5.의 결과에 알 수 있듯이 설문대상자의 수가 한정되어 F-검증 결과 등분산이 아닌 경우(p<0.05)도 있었으나 유의수준 5%로 T-검증(양측검증)을 한 결과 모두 p값이 0.05 이하가 되어 동일한 질문에 대해 서로 다른 그룹의 응답 결과의 차이는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Survey Result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Village Architecture School Program vs. Taking a University-course)

Results of T-test and F-test on the survey

한편, 주민학교에 참여한 학생과 일반 캡스톤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이수 혹은 교과목 수강으로 얻은 위 네 가지 성과 각각에 대한 동의 여부를 5점 척도로 표시하게 하였는데, Fig. 6.에 그 결과가 나타나 있다.

Fig. 6.

Results of Survey by Students on Agreement to the Achievement Through the Class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Village Architecture School Program vs. Students Taking a University-course), Converted a 5-point Scale into 100points

주민학교 참여 학생은 실제 주민들과의 공동 작업을 통해서 ‘조율자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는 사실에 매우 동의(97.5점)하였고, 또한 ‘교과목에서 배운 이론과 실제 프로젝트는 많은 차이가 있다.’는 것(92.5점)과 ‘실제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현장 적용력이 향상되었다.’는 것(90점)에도 동의하는 정도가 높았다. 반면 ‘도시재생 이해도가 높아졌다.’는 사실에 대해서 동의하는 정도는 75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학교 수업만을 수강한 학생들은 주민학교 참여 학생과 정반대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우선 그들은 수업을 통해 도시재생에 대한 기본 이해도가 높아진 사실에 가장 크게 동의(85.6점)하였고, 실제 주민들과 협업할 기회가 없어서 조율자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는 사실에는 동의하는 정도(60.0점)가 매우 낮았다. 이뿐만 아니라 현장 적용력 향상(71.1점) 및 이론과 실제 차이 인식(70점)에 관한 성과도 현저히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 결과에 대해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주민학교에 참여한 학생의 가장 낮게 평가하고 반면 학교 수업만 수강한 학생이 가장 높게 평가한 ‘도시재생에 대한 이해도 상승’부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p값이 모두 0.05 이하로 나타나 이들 두 그룹간의 설문 응답 결과의 차이는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조사 결과로부터 대학의 도시재생과 관련한 실습교과목과 지자체에서 주관하는 주민학교를 연계한다면 주민들의 도시재생과 관련한 역량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현장 적용력이 함께 향상되어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윈윈전략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지자체와 대학이 연계된 주민학교가 도시재생 주민학교 프로그램의 새로운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5. 결론

대구시 중구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일환으로 대상지 지역에 대해 구체적인 의견을 가진 주민들과 관련 전공 지식을 가진 대학생들이 함께 참여하는 지자체-대학 연계 스튜디오형 주민학교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현장지원센터 직원들이 코디네이터로 참여하였지만 전문적 지식을 가진 학생들은 수강자이면서 동시에 보조 활동강사의 역할도 수행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참여 주민들은 수업 운영 방식과 성과에 대해 만족도가 높았고, 그 중에서도 대학생과의 협업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도시재생 개념을 알고 있는 수준에서 수업 후 자기 마을의 도시재생 비전을 가지고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정도로 역량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학생들이 얻은 가장 중요한 수업 성과로는 대학의 전공 수업을 통해서는 도시재생에 대한 이해도가 향상된 것이었지만 주민학교를 통해서는 주민과의 협업 시 조율자로서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달은 것과 이론과 실제의 차이점을 인식하고 현장 적용력이 향상되었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과 연계한 주민학교 프로그램 진행 이력이 부족하여 설문조사 대상자의 수가 적은 한계에도 불구하고 설문조사 결과를 T-검증한 결과 유의수준 5%로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수와 참여대상을 더욱 확대하여 프로그램 효과성과 주민과 학생의 수업 성과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Acknowledgments

이 결과물은 2018년 대구가톨릭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

References

  • 노현준, 전용석, 도시재생과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 경향 및 특성 분석, 한국: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4권 제7호, 2019.12, pp.63-72.
    H.J. Noh, Y.S John,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Trend and Characteristics about Urban Regeneration, Korea: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4(7), 2019.12, pp.63-72. [ https://doi.org/10.35216/kisd.2019.14.7.63 ]
  • 국토교통부, 2013년 도시재생대학 운영연구용역 최종보고서, 2013, pp.18-2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Final Report of Urban Regeneration University Operational Research, 2013, pp.18-20.)
  • 김진경, 황기원, 도시대학 교육프로그램의 주민역량강화 효과성 분석, 한국: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2권 제5호, 2011.10, pp.5-18.
    J.K. Kim, K.W. Kim, Hwang, Effectiveness in Citizen’s Empowerment of Urban Planning Academy Program - Focused on Green Gyeonggi 21 Urban Planning Academy Program, Korea: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2(5), 2011.10, pp.5-18.
  • 김민혁, 도시재생에서의 주민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제2기 청주시 도시재생대학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 청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M.H. Kim, A study on Education Program for Resident Empowerment in the Urban Regeneration- Case Study of Urban Regeneration Program in Cheongju, Korea: Cheongju University Master Dissertation, 2016.
  • 최수진, 김철영, 주민주도 계획 수립을 위한 스튜디오형 주민학습 프로그램의 특성에 관한 연구-대구광역시 주민참여 도시학교를 중심으로, 한국: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제18권 제6호, 2017.12, pp.5-16.
    S.J. Choi, C.Y. Kim,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ios Citizens Learning Program for Resident-initiated Planning- Focused on Resident Participation Urban Schools, Korea: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itute of Korea Urban Design, 18(6), 2017.12, pp.5-16. [ https://doi.org/10.38195/judik.2017.12.18.6.5 ]
  • 전병혜, 송혜승, 이명훈, 도시재생을 위한 시민참여 교육프로그램의 운영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9권 제4호, 2017.11, pp.155-181.
    J.H. Jun, H.S. Song, M.H. Le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itizen Participatory Education Program for Effective Urban Regeneratio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9(4), 2017.11, pp.155-181.
  • 김미선, 이정교, 시민참여와 공공디자인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도시 재생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4권 제7호, 2019.12, pp.157-170.
    M.S. Kim, J.G. Le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 Participation and Public Design - Focusing o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Korea: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4(7), 2019.12, pp.157-170. [ https://doi.org/10.35216/kisd.2019.14.7.157 ]
  • 김호철, AHP분석을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의 중요요인 분석 연구-근린재생형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한국: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9권 제3호, 2017.9, pp. 201-216.
    H.C. Kim, A Study on Major Factors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Kore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9(3), 2017.9, pp.201-216.

Fig. 1.

Fig. 1.
Visualization of Residents’ Opinion for Urban Regeneration by University Students

Fig. 2.

Fig. 2.
Final Exhibition (Panel, 3D Mmodel and Animation)

Fig. 3.

Fig. 3.
Results of Survey on the Satisfaction with Detail Programs of the Village Architecture School (by Participating Residents), Converted a 5-point Scale into 100points

Fig. 4.

Fig. 4.
5steps of Recognition of Urban Regeneration New Deal

Fig. 5.

Fig. 5.
Results of Survey on the Satisfaction with Collaboration with University Students (by Participating Residents), Converted a 5-point Scale into 100points

Fig. 6.

Fig. 6.
Results of Survey by Students on Agreement to the Achievement Through the Class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Village Architecture School Program vs. Students Taking a University-course), Converted a 5-point Scale into 100points

Table 1.

Representative Urban Regeneration Community School Held in 2019, Korea

Program (City) Total weeks (hrs/day) Lecture (hrs) Discussion/ Workshop
(hrs)
Exploration (days)
Oncheonjang Urban Regeneration Community School (Busan) 6 (2) 3 1 1
Icheon-dong Urban Regeneration Community School (Daegu) 5 (2) 4 3 1
Hakseong-dong Urban Regeneration School (Wonju) 5 (2) 6 0 1
Seohak-dong Urban Regeneration School (Jeonju) 8 (2) 6 4 1
Elegant New Deal Institute (Jeonju) 10 (2) 0 14 1
Hwabong Dream Tree Road Urban Regeneration New Deal School (Ulsan) 8 (3) 5 10 2

Table 2.

Proposed Local Government-university Linked Program for a Village Architecture School in Daegu Jung-gu

Weeks Program Details Residents activities Students activities
Class Non-curricular
1 OT, urban regeneration, Intro. and characteristics of urban regeneration new deal (Lecture) ∙ Taking a lecture
∙ Team composition for each site
∙ Taking a lecture
∙ Team composition for each site
∙ Preliminary analysis of physical, social, and architectural context for the site
2 Understanding of urban communities and sharing example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Lecture)
3 Investigation of my neighborhood 1 ∙ Site exploration
∙ Identifying target issues for the site
∙ Discussion on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site
∙ Site exploration
∙ Sharing of pre-analysis for the site
∙ Coordination of team opinions
∙ Analysis of teams' opinions and precedent study
∙ Concept derivation for improvement direction
4 ∙ Intro and case studies of public design,
∙ What is renovation? (Special lecture)
∙ Taking a lecture ∙ Taking a lecture
5 Exploration of urban regeneration sites (Busan) ∙ Exploration ∙ Exploration ∙ Considera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improvement direction
6 Investigation of my neighborhood 2 ∙ Concept discussion of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site
∙ Discussing specific design ideas for improving the site
∙ Confirmation of improvement direction concept for the site
∙ Suggestions for architectural/space improvement ideas
∙ Coordination and collection of team members' opinions
∙ Analysis of feasibility of resident opinion
∙ Finalizing concept
∙ Visualization of team ideas (2D, 3D modeling and panel work)
7 Team activities (Discussion and design ideas for the site) ∙ Sharing the visualized ideas and discussion
∙ Suggestion of the additional ideas
∙ Final confirmation of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 site
∙ Coordination and collection of team members' opinions
∙ Suggestion of the additional ideas
∙ 2D, 3D Modeling modification
∙ Panel production
∙ Model production
∙ Animation production
- (Non-curricular activities) ∙ Visualization work sharing and final presentation preparation ( 2~4 hours per team)
8 Final presentation and completion ceremony ∙ Final presentation of team works ∙ Final presentation support ∙ Preparation of exhibition works
9 Exhibition (model, panel, animation) ∙ Exhibition participation ∙ Exhibition presentation

Table 3.

Survey Result of Coordinator(Administrative Staff)

Q: What was the most important achievement through the class? Ranking
(Average)
Increased understanding of ‘Urban Regeneration New Deal’ 2.1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Coordinator's Role’ 2.3
Recogni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2.8
Improving the practical application through project implementation 2.8

Table 4.

Survey Result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Village Architecture School Program vs. Taking a University-course)

Q: What was the most important achievement through the class? Ranking (Average)
Participating urban regeneration program Taking university-cours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Coordinator's Role’ 1.4 3.3
Recogni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2.4 2.6
Improving the practical application through project implementation 2.9 2.8
Increased understanding of ‘Urban Regeneration New Deal’ 3.4 1.4

Table 5.

Results of T-test and F-test on the survey

Survey items on achievement through the class Coordinator Students
Participating UR program Taking university course
Increased understanding of ‘Urban Regeneration New Deal’

-
-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Coordinator's Role’

-
-

F-test T-test
p = 0.081 p = 0.025

F-test T-test
p = 0.377 p = 0.000

F-test T-test
p = 0.036 p = 0.03

F-test T-test
p = 0.106 p =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