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AE Journal
[ Article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 Vol. 18, No. 2, pp.111-121
ISSN: 2288-968X (Print) 2288-969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18
Received 02 Jan 2018 Revised 09 Apr 2018 Accepted 14 Apr 2018
DOI: https://doi.org/10.12813/kieae.2018.18.2.111

한옥형 공공건축물 계획기준에 따른 유형분류 및 특성에 대한 연구

김영훈* ; 이재혁**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Han-ok Based on Public Building Planning Standards
Kim, Young-Hoon* ; Lee, Jae-Hyouck**
*Corresponding author,, Dept. of Architecture, Daejin Univ, South Korea kymyh@daejin.ac.kr
**Dept. of Architecture, Daejin Univ, South Korea imickey3434@naver.com


@ 2018 KIEAE Journal

Abstract

Purpose:

As the interest in Han-ok is increasing in Korea, the social demand for the continuous dissemination and activation of Han-ok as environment-friendly and sustainable buildings is increasing. However, public buildings in Han - ok type have various problems due to the nature of buildings and various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 of public buildings in Han - ok type.

Method:

First, look at the overall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Han-ok. Second, set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nd define the range of features and types. Construct a new classification system and analyze each characteristic. Third, applying detailed planning standards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Han-ok to understand detailed architectural features. Finally,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we try to synthesize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buildings in Han - ok type and present future research direction.

Result:

There is a need to classify the public buildings of Han - ok type through a new type classification standard. The architectural planning standard was established and analyzed its characteristics. For the diffusion of public buildings, it is necessary to be subdivided and redefined by type. In addition, the legal and conceptual status must be secured.

Keywords:

Han-ok Style Public Building, New Han-ok Style, Type classification

키워드:

한옥형 공공건축, 신한옥형, 유형분류

1. 서론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국내에서 한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건축물로서 한옥의 지속적인 보급과 활성화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한옥에 대한 연구는 주거용 한옥을 위주로 공간구성이나 평면적·구조적 연구를 비롯해 경제성·시공성 확보를 위한 디자인 기법, 자재 개발 등 여러 분야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불어 기존 주택에만 한정되었던 한옥은 국가한옥센터를 비롯한 여러 기관의 연구를 통해 공공성과 접근성이 확보된 공공건축물로 확대되고 있다. 국가연구기관과 건축도시공간연구소를 비롯해 개인적 차원에서의 연구도 과거에 비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2)의 한옥기술개발 연구단은 공공한옥의 보급과 확산을 위한 한옥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시공성과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한 한옥기술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이를 실증구축을 통해 성능을 검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옥형 공공건축물은 규모를 비롯해 외관, 기능, 요구 성능 등이 다양하기 때문에 분석을 위한 접근이나 기준의 마련이 어렵다. 따라서 한옥형 공공건축물을 보급하고 확산하기 위해서는 분석기준을 선정해 유형별로 건축적 특징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미 국내에서는 한옥형 공공건축물은 하나의 건축 양식으로 자리 잡고 있을 정도로 전국적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지자체를 중심으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한옥형 공공건축물은 건축물의 성격이나 여러 요인들로 인해 무분별한 재료와 구조의 결합, 현대건축과 맞지 않는 한옥디자인의 추상적 응용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한옥형 공공건축물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건축적 특징을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한옥의 정신적·심미적 계승을 전제하면서, 오늘날 및 향후 한옥을 좀 더 접근 용이하고 친숙한 공간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기존 한옥형 공공건축물에 대한 유형별 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까지의 공공건축물로 한옥에 대하여 계획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유형분류가 필요하며, 유형에 따른 각각의 건축적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한옥의 장점과 문화적 가치의 계승은 물론 주거에 한정되어 있던 기존의 한옥을 다중시설이나 공공시설로 적극 확대 적용함으로써 누구에게나 수용가능하고 적절한 어포더블(affordable) 공공건축 한옥의 새로운 위상을 설정할 수 있도록 기초적 연구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한옥형 공공건축물을 중심으로 계획기준을 설정해 유형을 분류하고 이에 따른 계획적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과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째, 현재까지 진행된 한옥의 정의 및 한옥의 분류를 비롯한 공공건축의 분류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진행하여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둘 째, 한옥형 공공건축물을 분류하기 위해 분류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특징과 유형별 범위를 정의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한옥기술개발 연구단의 연구 성과인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의 개념을 포함한 새로운 분류 체계를 구성하고 각각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셋 째, 유형별로 분류된 한옥형 공공건축물을 계획기준에 따라 분석하고자 한다. 한옥의 특징을 반영한 계획기준(전통건축계승, 현대기술도입, 현대거주성능 등)을 적용해 세부적인 건축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한옥형 공공건축물의 특징을 종합해보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1.3. 선행연구 검토3)

국내에서 진행된 한옥관련 연구는 건축법 및 지자체의 한옥정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국토교통부의 「한옥활성화 실천방안 연구」에 의하면 국내 법령에서 정의한 한옥에 대해 서술하고 있으며, 한옥기술개발 연구단의 연구에서는 지자체 조례에 의해 제정된 한옥의 정의를 서술하고 그 특징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공공건축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 분류한 연구도 진행이 되었다. 김성홍(2004)의 연구에서는 공공건축물의 디자인 방향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면서 먼저 공공건축물의 개념과 유형을 협의적 의미와 광의적 의미로 분류했으며 이에 따라 공공건축물의 유형을 4개로 구분했다. 조명래(2007)의 연구에 따르면 공공건축물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현재 국내의 공공건축물 분류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내리고 3개로 분류를 했다. 서수정 외6인(2008)은 공공건축의 가치향상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언하면서 공공건축의 개념을 사회·문화적 공공성에 기반 해 정의했고 이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하고 있다. 조성호(2014)의 연구에서는 한옥형 공공건축물의 유형을 분류하면서 공공건축물의 범위를 정의하고 이에 따라 한옥을 유형별로 분류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하지만 한옥형 공공건축물에 대한 연구는 앞서 언급한 조성호(2014)의 연구를 제외하고 이후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한옥형 공공건축물을 구조나 외관형식을 기준으로 분류는 했지만 공공건축물의 성격이나 유형에 따른 분류와 그 특징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한옥계획기준에 맞는 한옥형 공공건축물을 분류하고 계획기준에 따라 그 특징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표 1>

The comprehensive advanced research


2. 한옥의 법·제도상의 정의와 유형분류

2.1. 한옥에 대한 법·제도상의 정의4)

한옥 등 건축자산을 보전·활용하거나 미래의 건축자산을 조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국가의 건축문화 진흥 및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한옥등건축자산법」이 개정되었다.

한옥과 같은 미래에도 가치가 있는 건축물들을 보전하고 관리하며 활용을 유도하기 위한 지원법의 성격을 보이며, 지자체를 비롯한 공공기관에서 제정·운영하고 있는 한옥 지원 조례 및 근대건조물 지원 조례와 같은 기존 건축문화자산 관련 지원 조례의 상위 근거법 성격을 가진다. 즉 「문화재 보호법」과는 다르게 규제를 위한 법령이 아닌 지원에 관한 법령으로 해석된다.

Total of the Han-ok definition of domestic laws and ordinances

「한옥등건축자산법」에서 정의하는 건축자산은 법적인 측면에서 역사적· 문화적·사회적·경관적 가치를 가진 「건축기본법」에 근거한 건축물을 포함한 공간구조와 공공공간을 비롯한 경관까지 아우르는 환경적 측면까지 포함한다. ‘자산’의 언어적 개념에서 알 수 있듯이 대대로 이어져오는 것을 전승 또는 계승하는 한정적인 개념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에 유효한 경제성을 지닌 다양한 가치에 초점을 두고 있다. 더욱이 이 법에서 정하는 건축자산은 건축물뿐만 아니라 도로/철도/교량/터널 등의 교통구조물도 포함하며, 영단주택단지/부흥주택단지와 같은 주거지, 광장/공원, 녹지 등의 공간시설, 산업단지와 시장 골목길까지 넓은 범위를 포함한다. 본 법에서 정의하는 건축자산은 한옥도 포함하는데, 한옥을 자산으로서 ‘보전’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동시에 수요에 따른 ‘보급’의 대상으로 보고 있다. 오늘날 새롭게 지어진 한옥도 특수한 건축양식으로부터 파생된 건축자산으로서 가치를 가지므로 건축자산 중 한옥의 경우에는 새롭게 조성하는 한옥 및 한옥 마을에 대해서도 지원규정을 마련했다. 건축자산으로서 한옥의 유형은 [그림 1]과 같다.

Fig. 1.

The Typology of Han-ok type Public building5)

하지만 본 법률에서 정의된 한옥은 건축자산으로서 인식하고 한옥의 종류나 유형에 대해서 세부적으로 구분을 짓지 않는다. 다시 말해 기존 「건축법 시행령」이나 「관광진흥법」에서 정의되는 한옥의 개념을 차용해 포괄적으로 지원을 할 뿐 한옥의 유형별 건축에 관한 기준이나 유지·관리를 위한 관리기준 마련 등 세부적인 지원·규제완화 방안은 볼 수 없다.

「건축법 시행령」6)의 한옥 정의를 따르면 한옥을 세분화하지 않고 주요 구조부가 목구조이며 지붕을 한식으로 구성하고 자연재료로 마감한 전통양식이 반영된 건축물 및 그 부속건물이라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정의는 포괄적 개념으로 신한옥이나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을 정의하기 위한 개념으로 볼 수 없다. 또한 관광진흥법에서 한옥은 건축법 시행령에서 정의한 한옥의 개념을 기본으로 숙박 체험에 적합한 시설을 갖추어 관광객에게 이용하게 하는 한옥으로 정의하고 있다.

국내 지자체 조례에서도 한옥에 대해 세분화되고 구체적인 정의를 내리지 않으며 건축법 시행령의 한옥에 대한 개념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국내 지자체에서 정의내린 한옥의 개념에 따르면 목구조와 한식전통 지붕구조의 적용을 공통적 조건으로 보고 있으며, 전통양식이나 전통미와 같은 주관적인 해석에 의한 기준도 보인다. 특히 고령군의 한옥관련 조례에서는 한옥형 주택을 정의하는데 ‘한옥형 경사지붕 주택’과 ‘전통한옥형 주택’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전주시에서는 ‘한옥’과 ‘전통 도시한옥’을 정의하는데 건축물뿐만 아니라 대문과 담장도 도시한옥 범위에 포함하고 있다. 이는 다른 지자체의 정의와는 다르게 더 넓은 의미의 한옥을 정의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경주시는 한옥을 ‘전통한옥’에 한정하고 지붕의 재료를 볏집을 사용한 초가까지 한옥의 범위에 포함하고 있다.

위와 같은 경주시와 고령군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자체는 한옥의 기능을 제한하지 않고 구조와 양식으로 개념을 정의하고 있다. 즉 포괄적으로 한옥의 개념을 정의하기 때문에 ‘한옥’과 ‘신한옥’의 개념을 정확하게 정립하기 어렵다. <표 3>

Han-ok Regulations supported by the Building Property Act

Definition of related laws for Han-ok

2.2. 한옥 건축의 유형분류 체계7)

2011년에 발표된 ‘한스타일 공공건축물 공급방안 연구’에 따르면 ‘전통의 충실도’에 따라 한옥을 총4개(문화재 한옥, 정통한옥, 신한옥, 한옥풍 건축)로 분류하고 ‘내·외부 공간’을 기준으로 한스타일 건축물의 분류체계를 제안했다. 여기서 문화재, 전통한옥, 신한옥, 한옥형 건축의 유형 분류체계와 유형별 범주구분은 ‘현대적 편의성’과 ‘전통의 충실도’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유형별 보급 및 지원방식의 차별화 방안도 제시했다.

Fig. 2.

The typology of Han-Style architecture8)

한스타일 건축물의 유형별 특징도 서술하고 있는데, 신한옥, 정통한옥, 한옥풍 건축, 한실, 한식경관으로 분류하여 기술하고 있다. 특히 새로운 개념인 ‘신한옥’은 오늘날 디자인되고 지어진 거주성을 전제로 한 한옥의 일체로 정의하고 현대한옥과 신기술·신공법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면적으로 수용한 한옥, 개보수를 통해 현대 건축물과 결합을 시도한 한옥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는 한옥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Type characteristics of ‘Han’(Korean) style architecture


3. 한옥형 공공건축물 유형 분류

3.1. 공공건축물 유형분류의 기준

일반적으로 공공건축물은 시민들에게 제공되는 일상적 장소서 시대적·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고 요구에 맞게 적용되는 대표적 사회기반시설이다.9) 공공성을 목적으로 대다수 사람들이 이용하는 건축물 및 시설의 전반적인 부분을 공공시설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좁게는 지자체를 비롯한 정부가 관리·운영하는 건축물 및 시설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지칭하는 공공건축물은 넓은 의미로서 공공성에 근거한 분류로 정부기관을 포함한 청사와 건축기본법에서 정의하는 시민들의 생활에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건축물을 의미한다. 수요자의 입장을 반영한 정부건축/공용건축/공공화된 건축(민간 포함)으로 나누고 동시에 공공을 위한 개방성정도에 따라 정부건축과 공용건축으로 분류한다.

Fig. 3.

The Range of Public Building10)

3.2. 한옥형 공공건축물 유형분류 체계

위와 같은 일반적 공공건축물 범위를 기준으로 한옥형 공공건축물을 세부적으로 분류했으며 또한 한스타일 건축의 유형별 분류체계를 참고해 한옥형 공공건축물 유형분류를 종합했다. 한옥형 공공건축물은 일반 공공건축물과 달리 외적요소 즉 디자인적 요소와 구조 및 건축적 특징이 상이하기 때문에 구조방식 및 시각적 요인을 통해 정통한옥, 한옥풍 건축, 신한옥, 신한옥형 공공건축물로 분류했다.11)

한옥형 공공건축물은 시각적인 요소가 부각이 되기 때문에 전통건축의 디자인적 특징이 어느 정도 나타나는지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분류기준을 설정했다. 따라서 전통한옥에서 나타나는 미적요소가 얼마나 남아있고 적용되었는지에 따라서 ‘정통한옥’과 ‘한옥건축양식’으로 분류했다.

현대 한옥형 공공건축물은 접근성과 공공성을 위해 대규모 공간과 여러 가지 기능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대건축과 전통건축의 결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현대건축과 전통건축의 비중에 따라서 ‘한옥건축양식’을 ‘한옥풍 건축’, ‘신한옥’, ‘신한옥형 공공건축물12)’로 구분을 했다. 특히 한옥기술개발 2차 년도 연구성과로서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을 포함시켜 <표 6>과 같은 분류체계를 구성했다.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은’ 연구단계의 개념이기 때문에 아직 법적·문화적 위상은 존재하지 않으며 현재 국가한옥센터와 LH토지주택공사의 노력으로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에 대한 제도적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Classification of 'Han-ok' type public buildings

여기서 문화재 한옥은 건축자산으로서 대중들이 사용할 수 없으며 학술적·예술적 가치로 인정되는 한옥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본 연구의 범위에서는 제외했다.

3.3. 한옥형 공공건축물 유형분류 종합

앞서 분류된 한옥건축의 유형별 특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옥풍 공공건축물’ 공공건축물은 정통한옥의 일부분을 차용해 일반 건축물에 적용시켰기 때문에 구조적 측면이나 시각적 요소에서 전체적인 한옥의 특징을 찾기는 힘들다. 보급·확산이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활용 될 수 있지만 형식적인 한옥이나 정책적 이득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한옥에 대한 정책적 지원에 대한 규제가 필요로 한다.

‘정통한옥 공공건축물’은 전통적으로 전해져온 한옥건축방식을 채용했기 때문에 시각적․구조적 측면에서 한옥의 특징이 잘 나타난다. 하지만 전통한옥특성상 현대적 거주 성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관리 및 시설운영을 철저히 해야 한다. 또한 현대적 거주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위생·전기 설비 등 일부를 현대적으로 변형하거나 개·보수를 해야 하기 때문에 관리·시설운영을 위한 대책을 필요로 한다.

‘신한옥 공공건축물’은 현재까지 디자인되고 지어진 거주성을 확보한 한옥을 말하며 전통적 방식으로 지은 한옥부터 신기술과 신공법을 활용한 한옥까지 넓은 범주에 포함된다. 현재 많은 수의 한옥형 공공건축물은 ‘신한옥’형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한옥이 생겨나고 있다.

반면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은 전통한옥의 구조·기능·미적 요소를 계승하며 현대적 건축의 장점을 결합한 방식으로 일반 ‘신한옥’을 포함하여 다양한 기능성을 담을 수 있으며, 현대 생활에 맞는 구조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한옥관련 R&D기술의 개발 및 적용을 통해 기존 시공비 절감을 비롯해 시공성·경제성을 확보해 보급·확산이 용이하다.<표 7>13)

Types of public buildings in "Han-ok" style Classified comprehensive table


4. 한옥형 공공건축물 계획기준에 따른 특성분석

4.1. 한옥형 공공건축물 계획기준 설정

일반 공공건축물의 계획기준과는 달리 한옥형 공공건축물은 전통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 기존과 다른 계획기준이 필요하다. 우선 한옥형 공공건축물을 현대성과 전통성을 기준으로 분류하면 다음 [그림 4]과 같다.

Fig. 4.

The Distribution Pattern of New Han-ok style Public Buildings According to the Modern Convenience and Fidelity of Tradition14)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Han-ok type public building plan standard

전통적인 요소를 반영한 한옥은 상대적으로 현대적 편의성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전통적인 요소와 현대 건축적 성능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 ‘신한옥’과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의 개념이 등장했으며 위와 같은 분류를 면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한옥형 공공건축물에 적합한 계획기준을 설정했다. 크게 3가지 전통건축계승, 현대기술도입, 현대거주성능 으로 분류했으며 각 세부 사항은 다음과 같다.<표 8>16)

1)전통건축계승

전통적인 재료사용 및 한식목구조를 비롯해 전통외관 요소를 얼마나 적용했는지에 대한 지표로서 전통적 한옥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구조적·기능적·미적 요소를 포함한 ‘전통성’, 공간의 ‘가변성’, 목재·석재를 활용하고 지형이나 지세에 순응하는 ‘친환경성’, 풍수지리적 특성을 반영해 주변 자연환경과 유기적 관계를 형성하는 ‘경관성’으로 구분했다.

2)현대기술도입

전통한옥의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시공성과 경제성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 유형은 현대적 건축기술이 적용이 되었다. 특히 현대건축물과 전통건축물이 결합된 형태를 보이는데, 전통건축의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적 특성인 ‘기술성’, 인건비·재료비 등의 비용 절감을 위한 ‘경제성’, 전통한옥에서 부족한 시설과 수납공간을 다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는 ‘편의성’으로 구분 했다.

3)현대거주성능

전통적 한옥은 현대 사람들의 생활 방식이나 여러 가지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힘들기 때문에, 한옥형 공공건축물은 현대적 건축기술을 도입해 현재 사람들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특히 주거에 집중되었던 한옥은 점차 수요가 많아지면서 공공건축물로 활용되기 시작해 ‘공공성’과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접근성’의 특징을 보인다. 또한 여러 사람들이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하게 활용 할 수 있도록 ‘안전성’의 특징과 기존 한옥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유지·관리적 특성인 ‘관리성’으로 구분하였다.

4.2. 계획기준에 따른 특성분석

한옥형 공공건축물을 설정한 계획기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옥풍 공공건축물은 인테리어 및 일부를 전통적 요소를 채용한 현대건축물이기 때문에 전통적 건춖계승 기준은 다소 떨어지는 특징을 보인다. 전통적 건축계획을 따르지 않고 건물의 성격이나 특징에 맞게 재해석하기 때문에 활용용도는 대규모 숙박업소부터 도서관, 박물관, 교육연구시설 등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전통한옥과 현대건축의 결합에 대해 기술적으로 활용하거나 경제적으로 개선하는 특징은 다른 유형에 비해 크게 두드러지지 않는다. 하지만 현대적 건축물이기 때문에 현대거주성능인 공공성, 접근성, 안전성은 보통수준을 보이며 특히 유지·관리적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정통한옥 공공건축물은 음식점과 교육체험시설, 관리사무소 등 비상주 공공건축물로서 활용이 되고 있다. 한식목구조 등 전통적 건축계획기준에 부합하기 때문에 전통적 건축 특징인 전통성, 가변성, 친환경성, 경관성은 다른 유형에 비해 매우 좋은 수준을 보인다. 하지만 현대적 거주 성능을 확보하기 어려운 정통건축은 현대적 기술의 적용이 크게 이뤄지지 않았으며 시공상 소요되는 비용에 대한 경제적 절감 방안에 대한 특성도 다소 낮게 분석이 되었다. 마찬가지로 현대적 거주성능인 접근성과 안전성 방음·난방 등 유지·관리적 특성이 보통수준으로 분석이 된다.

신한옥 공공건축물은 한옥적 특성과 현대적 건축 특성을 결합한 형태로 정통한옥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시공적·설계적 기술을 도입했다. 따라서 교육연구시설, 주민복지시설을 비롯해 공공 청사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한옥적 특성을 적용했기 때문에 전통성과 가변성, 친환경성, 경관성 등 전통건축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현대적 거주성능을 만족하고 전통한옥에서 나타나는 시공적·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설계·시공 기술을 도입해 이용자의 편의성을 확보했고 공공성, 접근성, 안전성 관리성과 같은 현대거주성능을 확보하고 있다.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은 한옥으로서 보여 지기 위한 요건을 구조·기능·미적 요소로 나누고 이를 현대적으로 계승하기 위한 특징을 보인다. 한옥기술개발 2차년도 연구 성과로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은 ‘순창 공립어린이집’, ‘나주 농업누리관’, ‘은평 한옥마을회관’이 구축되었으며 이후 사회복지시설로 확대되고 있다. 외부공간을 포함해 여러 가지 시공·설계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해 다른 유형 대비 현대적 기술성과 경제성을 확보하고, 공공성과 접근성과 같은 현대거주 성능도 확보하고 있다.

4.3. 분석 종합

위와 같이 계획기준에 따른 각 한옥형 공공건축물의 특성을 분석해 보았으며 기존 유사연구에서 제시한 공통계획기준17)에 따라 종합적인 분석을 해보았다.

1)한옥풍 공공건축물

배치 및 외부공간계획에서 나타나는 한옥풍 공공건축물은 주로 현대건축의 특징을 보인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현대건축의 동선계획과 이에 따라 외부공간계획도 현대적인 건축기술이 적용 되었다.

평면과 단면 및 구조계획과 같은 건축계획 측면에서 나타나는 한옥풍 공공건축물의 특징은 역시 전통적인 건축계획보다는 현대적 건축물의 특징을 보인다. 현대적 거주 성능을 만족하기 위한 평면적 구성이나 이에 따라서 구조적·단면적 계획도 전통적인 계획보다는 현대적 건축기술이 적용되었다. 특징적으로 한옥의 느낌을 주기위해서 일부 인테리어나 입면계획에서 전통 계획요소를 찾아볼 수 있다.

성능 계획적 측면에서는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단열성, 기밀성, 차음성 등 현대거주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 현대건축기술이 사용되었으며 일반 공공건축물과 비슷한 특징을 보인다.

2)정통한옥 공공건축물

정통한옥 공공건축물에서 나타나는 배치 및 외부공간계획 특징은 한옥의 공간 배치 기법의 성격과 특성을 반영하고, 공동체생활을 중시하던 전통한옥마을의 정서를 반영해 지형이나 지세에 순응하는 자연친화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개념과 더불어 외부공간계획도 한국적 조경원리를 기본으로 전통적 조경시설물을 적용했다.

평면, 단면 및 구조계획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전통한옥의 기본 평면인 모양, 마당, 대청 등의 한옥 공간개념과 한식목구조를 적용했다. 또한 전통한옥의 지붕계획을 비롯해 담장, 한식 창호, 외벽 마감 등 전통적 요소를 적용했다.

정통한옥 공공건축물은 목재를 비롯해 자연적 재료를 사용하여 친환경적이지만 일반 공공건축물에 비해 경제성이 떨어지며 단열, 방수, 내수성, 기밀성 등 거주 성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추가적인 시공을 필요로 한다.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Han-ok style public building

3)신한옥 공공건축물

신한옥 공공건축물의 배치 및 외부공간계획은 전통성과 친환경성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통 한옥의 공간 배치 기법과 배치원리를 바탕으로 기존 부족하던 커뮤니티 및 휴식과 교류를 위한 공공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현대적 건축기술을 결합했다.

평면과 단면 및 구조계획에서 보이는 특징은 전통한옥의 기본 평면계획을 기본으로 하되 전통한옥에서 부족한 공간을 다기능으로 해결하기 위한 공간계획을 비롯해 편안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기둥 보 등의 기본구조를 목구조로 하며 전통한옥에서 나타나는 높이의 한계와 다양한 기능을 수용할 수 있도록 목구조 일부를 RC구조 등의 현대식 건축구조기술을 적용하는 기술적 특징도 보이고 있다.

현대적 거주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건축물 구조, 설비, 재료 성능과 기술을 제시하고, 목부재의 규격화·표준화 등 부재의 공업화 방식을 통해 전통한옥에서 꾸준히 문제되었던 경제성을 보완했다.

4)신한옥형 공공건축물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은 한국 전통건축에서 찾아볼 수 있는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의 유기적 연계요소를 도출해 전체적 한옥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요소를 배치 및 외부 공간 계획에 적용했다. 또한 공공건축물로서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 커뮤니티 공간을 비롯한 휴식과 교류를 위한 내·외부 공간계획, 마당, 외부 계단 등의 계획적 특징을 보인다.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에서 나타나는 평면과 단면·구조계획은 역시 전통한옥의 평면계획을 기본으로 건축물의 성격에 맞게 가변적 특징을 보인다. 구조계획에서도 신한옥 공공건축물과 마찬가지로 R.C구조를 비롯해 철골구조 등 다양한 현대적 건축물과 결합을 시도해 편의성과 기술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다. 특히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은 구조유형을 ‘목구조형’, ‘복합구조-융합형’, ‘복합구조-병치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성능 계획적 측면에서도 한옥 R&D기술 등 거주 성능과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설계·시공 기술들이 개발되고 실제 적용되고 있으며, 전통한옥의 우수한 요소를 현대적으로 계승하기 위한 기술적인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5. 결론

한옥형 공공건축물의 유형은 앞서 분류한 바와 같이 한옥풍, 정통한옥, 신한옥, 신한옥형 공공건축물로 분류가 가능하며 건축 계획적 기준을 중심으로 각각의 특징을 분석해 보았으며 도출된 결론과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 째, 현대적 거주 성능을 비롯한 다양한 요구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여러 가지 유형의 한옥이 등장하고 있다. 기존 주거에 한정되었던 한옥은 대중화되고 수요가 증가하면서 공공성과 접근성을 확보한 공공건축물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옥풍 건축, 신한옥, 신한옥형 등 다양한 유형의 한옥이 등장하고 있으며 그 유형에서 파생된 새로운 형식의 한옥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둘 째, 국내 한옥관련 조례나 법령으로 한옥형 공공건축물을 분류하는데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 국내 건축법상 한옥조례는 한옥을 포괄적 개념으로만 정의했으며 그 유형에대해서는 세세하게 분류하지 않았으며 지자체의 조례도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건축법상 조례를 따르고 있다. 위와 같은 포괄적 한옥의 정의는 한옥유형을 분류하는데 법적·개념적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다.

셋 째, 일반 공공건축물 계획기준은 한옥형 공공건축물을 분류하는데 한계점을 보인다. 일반 공공건축물은 현대건축물을 기준으로 건축적 계획·시공이 한옥과는 상이 하다. 한옥은 전통적 건축계획이나 의장요소 등 현대적 건축요소와 다르기 때문에 한옥형 공공건축물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한옥 건축계획과 공공건축물 계획기준을 동시에 부합하는 세분화된 건축계획기준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한옥형 공공건축물에 대해 새로운 유형분류 기준을 통해 분류해보고 건축계획기준을 세워 그 특징을 분석해 보았다. 한옥형 공공건축물의 보급 확산을 위해서는 기존 포괄적인 개념의 한옥에서 벗어나 세분화되고 유형별로 재 정의 되어야 하며 법적·개념적 위상을 확보해야 한다. 향후 한옥형 공공건축물은 그 수요와 요구조건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며 이에 따른 법적위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와 시범사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한옥의 보급과 활성화에 기여하는 기초적 연구로서 향후 여러 방면의 한옥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2017년도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은 연구과제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과제번호: NRF-2017R1D1A1B03035706)

Notes

1) 이 연구는 2017년도 한국연구재단 연구비 지원에 의한 결과의 일부임. [과제번호: NRF-2017R1D1A1B03035706]
2) 명지대학교 한옥기술개발 연구단을 필두로 2013년부터 현재까지 전통 한옥의 브랜드가치를 계승하고 현대적 거주성능이 확보된 저렴한 대중한옥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3) 본 내용은 천국천의 “신한옥 공공건축물의 사례조사를 통한 구조유형 분류 연구”에서 선행연구에 대한 부분을 재정리 함
4) 건축도시공간연구소, 「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의 주요 내용 및 정책 실효성 제고방안, 2014. 07. 30, pp. 4~9
5) 출처 : 한옥기술개발 2단계 신한옥형 공공건축물 모델 개발 및 구축 1차년도 연구보고서 (2014. 04)
6) 건축법 시행령, 제 2조(정의) 16항의 내용 정리
7) 본 내용은 건축도시공간연구소, ‘한스타일 공공건축물 공급방안 연구‘의 한스타일 공공건축물 유형분류 내용을 재정리·편집 함
8) 출처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한스타일 공공건축물 공급 방안 연구, 2011
9) 한옥기술개발 연구단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공공건축은 「건축서비스산업 진흥법 제 3조」에서 공공적 가치 구현, 적정한 수준의 품격 확보, 국민 중심의 공간복지 향상을 위한 건축물 및 공간환경을 의미한다.
10) 출처 : 한옥기술개발 2단계 신한옥형 공공건축물 모델 개발 및 구축 1차년도 연구보고서 (2014. 04)
11) 이재혁, 공공건축물 계획기준에 따른 한옥형 공공건축물 유형별 특징에 대한 연구, (2017)
12)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의 개념은 기둥, 보 등의 주구조부가 목구조 방식이고 철근콘크리트 구조, 철골 구조 등의 현대적 구조를 융합한 복합 구조로서 가변적 공간계획을 통해 다양한 공간을 창조하며, 한옥의 특성을 계승, 발전 및 창조적으로 재해석한 계획요소와 미래지향적 디자인 요소 등을 반영한 건축물과 그 부속 건축물 및 한식 옥외공간을 포함한 것을 의미함, 한옥기술개발 2차년도 연구결과 참조, 2016
13) 이재혁, 공공건축물 계획기준에 따른 한옥형 공공건축물 유형별 특징에 대한 연구,(2017)
14) 출처 : 한옥기술개발 2단계 신한옥형 공공건축물 모델 개발 및 구축 1차년도 연구보고서 (2014. 04)
15) 한옥기술개발연구단, ‘한옥기술개발 1차년도’ 3-3세부 (주)한인건축사사무소 연구결과 인용
17) 노경민 외 3인, ‘신한옥형 공공건축물 단지형 모델 계획기준의 설계 적용 및 적용성 검토 연구’에 따르면 공통계획기준을 배치 및 외부공간계획, 건축계획, 성능계획으로 구분했으며 본 연구에서도 이와 같은 기준을 적용했다.
18) 그림·도면 출처 : 토방 하우징, 유탑 엔지니어링
19) 그림·도면 출처 : 종로구청 자치행정과
20) 그림·도면 출처 : ㈜금성건축
21) 그림·도면 출처 : ㈜한길종합건축사사무소, 대진대학교 한옥기술개발연구원

References

  • 이재혁, 한옥형 공공건축물 유형 및 특성분석,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7, Oct).
    Lee, Jae-Hyouck, An Analysis of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Han-ok style pbulic building,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cademic conference, (2017, Oct).
  • 노경민 외3, 신한옥형 공공건축물 단지형 모델 계획기준 설계 적용 및 적용성 검토,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6, Oct).
    Lho, Kyung-Min ect 3,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esign guideline of new Han-ok style pbulic facilities in housing comples and the examination of its applicatio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cademic conference, (2016, Oct).
  • 이강민 외 1인, 한스타일 공공건축물 공급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1).
    Lee, Kang-Min ect 1, A Study on policy measures for povision of the Han-Style public Buildings, Architecture & Research Institute, (2011).
  • 천국천, 신한옥형 공공건축물 사례조사를 통한 구조유형 분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주택기획디자인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
    Cheon, Guk-Cheon, A Study on the Building Structural Type Classification of New Hankok Style Public Build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Department of Housing Planning and Design, Master's Thesis, (2017).
  • 조성호, 한옥형 공공건축물의 유형과 건축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Cho, Sung-Ho, Building Type Classification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Public Buildings of the Korean Traditional Styles,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4).
  • 한옥기술개발연구단, 한옥기술개발 2단계 신한옥형 공공건축물모델 개발 및 구축 1차년도 연구보고서, (2014, Apr).
    Han-ok Technology Development Institute, Development of Han-ok Technology Development Phase 2, New Han-ok Style Pbublic Architectural Model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Study Report, (2014, Apr).
  • 심경미 외 1인, 「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의 주요 내용 및 정책 실효성 제고방안,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4, Jul).
    Sim, Gyeiong-Mi ect 1, The main contents and policy measures of the 「Act on Promotion of Building Properties such as Han-ok」,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2014, Jul).
  • 한옥기술개발연구단, 한옥기술개발 최종보고서,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16).
    Han-ok Technology Development Institute, Han-ok Technology Development Final Report,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2016).
  • 박준영 외 3인, 신한옥형 공공건축물 모델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4).
    Park, Joon-Young ect 3, A Study on the Model development Direction for New Han-ok Style Public Building,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cademic conference, (2014).
  • 조성호 외 1인, 한옥형 공공건축물의 유형분류 기준과 체계,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3).
    Cho, Sung-Ho ect 1, Classification System and Criteria of the Building Types of Korean-Traditional Style Pbulic Building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cademic conference, (2013).
  • Kim, Young-Hoon, Peck, Yoo-Jung, Park, Joon-Young, Chun, Kuk-Chun, Application of the Public Building for the Korean-style houses in the availability of R&D technologies,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vironment, vol. 16(No.3), (2016). [https://doi.org/10.12813/kieae.2016.16.3.013]
  • 김영훈 외 1인, 신한옥 공공 어린이집에 나타난 건축계획적 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2016).
    Kim, Young-Hoon ect 1, Research on the Design Trends and Spatial Components of Han-ok Public daycare Center, 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vironment, (2016). [ https://doi.org/10.12813/kieae.2016.16.4.047 ]
  • Park, Joon-Young, Kwon, Hyuck-Sam, Cheong, So-Yi, Bae, Kang-Won, The Type setting and Application of the New-Han-ok type Public Buildings,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vironment, vol. 15(No.5), (2015). [https://doi.org/10.12813/kieae.2015.15.5.047]
  • Park, Joon-Young, Kwon, Hyuck-Sam, Cheong, So-Yi, Bae, Kang-Won, The Design Criteria for the Model Development of the New-Han-ok Type Public buildings,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vironment, vol. 16권(No.1), (2016).

Fig. 1.

Fig. 1.
The Typology of Han-ok type Public building5)

Fig. 2.

Fig. 2.
The typology of Han-Style architecture8)

Fig. 3.

Fig. 3.
The Range of Public Building10)

Fig. 4.

Fig. 4.
The Distribution Pattern of New Han-ok style Public Buildings According to the Modern Convenience and Fidelity of Tradition14)

Table 1.

The comprehensive advanced research

Title and Report Signature Author Year of Issue The concept and the classification of public architecture
A Study on the Design Direction
of Public Buildings
Kim, Sung-Hong
and 6 others
2004 ∙Consultation meaning : It means the government building, the parliament, the court,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the building, the city hall, the ward office, etc., which are used for public works located in public places owned by public institutions such as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 Broad meaning : It is a building that is not directly related to public affairs but is built to promote public interest and value. It means education and culture facilities such as museums, memorials, museums, libraries, theaters, concert halls and conference rooms.
What is the problem with our public architecture (public building forum presentation materials) Jo, Myung-Rae 2007 Public architecture refers to buildings expressing and expressing dimensions of collective life (public administration, education, welfare, culture, etc.) that live together in urban spatial environment.
Promoting Plans and Proposing Policies for Raising Values of Public-Building Seo,Soo-Jung and 2 others 2008 ∙ Concept of public architecture based on social and cultural publicness
 - Consumer centered architecture based on living public type
 - Strengthen the function of social publicness of public architecture
 - Increase the value of public life of local residents through cultural publicity
Building Type Classification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Public Buildings of the Korean Traditional Style Cho,Sung-Ho, KIm,Sung-Woo 2014 The scope of public construction is limited to facilities that are constructed by the budget of the government or the local government and are openly used by the general public.
A Study on Policy Measures for Provision of the Han-Style Public Buildings Lee,Kang MIn Ok,Chae Won 2011 It is a facility and space environment that is ordered by the public and ordered by the public budget. It limits the scope of public buildings, and is open to facilities that are directly accessible to the public.

Table 2.

Total of the Han-ok definition of domestic laws and ordinances

The title of law and ordinance Function Structure Traditional form (Traditional beauty) Within the district unit plan Other specified
Wooden Structure Material Roof (Korean roof tile)
Article 2 of the ordinance of the Building Act Han-ok O O O O nature material
Article 2 of the ordinance of the Tourism Promotion Act Han-ok O O O
Seoul Han-ok O O O
Seoul, Suwon Han-ok O O O
Jeonju Han-ok O O O O ‘Traditional Urban Han-ok’
Main gate, Wall
Gwangju Han-ok O O O
Yeosu Han-ok O
Jeonnam, Goseong, Boseong, Mokpo, Suncheon,
Gwangyang, Hwasun, Haenam, Yeonggwang, Jindo,
Kangjin, Naju, Gurye, Wando, Shinan, Jangheung
Han-ok O O
Youngam, Goheung Han-ok O O O
Hampyeong, Damyang, Chungju Han-ok O O O
Jangseong-gun Han-ok O O O
Muan-gun Han-ok O O
Chungnam, Geojae Han-ok O O O O
Wanju-gun Han-ok O O O O
Goryung-gun Han-ok
(House)
O O O It distinguishes between a traditional style house and a traditional pitched roof house.
Danyang-gun Han-ok O O
Hadong-gun Han-ok O O
Daegu Han-ok O O O
Chungju Han-ok O O O
Gyeongju Traditiona l Han-ok O O O include the thatched roof
Gyeongnam, Gangwondon, Chungbuk, Changnyeong-gun Han-ok O O
Andong Han-ok O O
Gijan-gun, Busan Han-ok O O O O

Table 3.

Han-ok Regulations supported by the Building Property Act

Division Contents
Provision on application - Provide financial support such as technical support and subsidies necessary for Han-ok architecture and Han-ok village promotion.
- Support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infrastructure such as roads, electricity, and sewerage of newly built Han-ok village.
- Preferential treatment
Relaxation of regulation - The Building Law: The scope of major repair, the standard of empty lot, the standard of building height for securing sunshine, relaxation of method of calculating building area
-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Law : Reduction of design standards for energy conservation of buildings
The others - Matters concerning the performance, material and form of Han-ok
- Scale, density, roads, public space of the Han-ok Village, arrangement and landscape of the building
- Other necessary matter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Han-ok and the development of Han-ok village

Table 4.

Definition of related laws for Han-ok

Basis Definition
Article_2 of the ordinance of the Building Act "Han-ok" is the structure of the bed and the neck structure. This refers to buildings and their attached buildings that reflect the traditional style of Korea, which is made of natural materials (Korean roof tile, straw, wood, earth, etc.) in the structure made of Korean style roof
Article_2 of the ordinance of the Tourism Promotion Act Han-ok (a structure that has a unique traditional taste among the buildings using the Korean style tile as the main structure supplementary wooden structure and its attached buildings)
Article_2 of the Architectural Promotion Act "Han-ok" is a wooden structure whose main structure is a column, beam, and Korean-style roof frame. It refers to the buildings reflecting the traditional style of Korea and its attached buildings.

Table 5.

Type characteristics of ‘Han’(Korean) style architecture

"Han" style architecture type Feature
New Han-ok It refers to the whole Han-ok which is designed and built today. (Including odern Han-ok faithful to the old technique, Han-ok using new technology and new technique, and Han-ok combined with modern architecture through renovation)
Traditional Han-ok Cultural Properties Han-ok built faithfully by the principle of building and spatial order. (Including non-cultural Premodern Han-ok, Modern Han-ok, and Han-ok which is not a cultural property of the restored Han-ok)
Traditional Korean Style Architectual Modern architecture that borrows or reinterprets some of the hallmark features or elements of the Han-ok and reflects them in the building design
“Han”room It refers to a Han-ok original space or small-scale Han-ok built inside modern architecture.
Korean Style Landscape A Korean outdoor space that is constructed by borrowing or reinterpreting structures and landscaping elements in Korean traditional garden.

Table 6.

Classification of 'Han-ok' type public buildings

"Han" style architecture type Feature
New Han-ok Style Public Building It is a concept to move the Han-ok to the stage of everyday life. It is a Han-ok that uses various technologies for modern convenience and adds design elements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beauty.
New Han-ok Public Building All of the Han-oks are designed and built these days, based on their habits. (A Han-ok built by adopting new technologies & methods, and accommodating modern architecture)
Traditional Han-ok Public Building It is a Han-ok built faithfully by the building principle and the spatial order of the cultural property type Han-ok. (Without cultural assets Han-ok)
Traditional Korean Style Public Building Modern architecture that borrows or reinterprets some of the features or elements of the Han-ok, and reflects the building design

Table 7.

Types of public buildings in "Han-ok" style Classified comprehensive table

Division Traditional Korean Style Public Building Traditional Han-ok Public Building New Han-ok Public Building New Han-ok Style Public Building
Structure Modern architecture Korean wooden structure Korean wooden structure / Korean wooden structure+Modern architecture Korean wooden structure+Modern architecture(RC structure, steel-frame structure)
Exterior using some of the traditional Han-ok
(the Aesthetic elements)
traditional elevation /Traditional roof traditional elevation /Traditional roof traditional methods + modern architecture
Design using Han-ok interior and some of traditional techniques reflecting tradional techniques reflecting traditional and modern techniques reflecting traditional techniques / combined with modern techniques
A Classic Example Buyeo National Museum Hyehwa-dong Office Hanssem Design Center Agricultural Nuri Hall at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
Example Lotte Buyeo Resort, Namak Provincial Library, Cheongwadae, Official Residence of the US Ambassador Bukchon Cultural Center, Gimhae Han-ok Experience Center, Seonamsa Temple, Seonamsa Temple Tea Experience Center Geulmaru Han-ok Children’s Library, Goyang Cultural Center, Seoul Namsan Traditional Theater, Eunpyeong Hwageongdang, Ragung Hotel, Yeongam Kim Changjo Memorial Hall Sunchang Public Daycare Center, Eunpyeong Han-ok Village Community Center
Feature - borrowing part of traditional Han-ok
- The distribution method is relatively easy.
- It can be stopped in the showing Han-ok off
- Maintain all design elements in a traditional way
- Modernization of parts
(equipment, electricity)
- High construction cost
- Needs measures to maintain and manage
- Accept new technologies and methods partially or completely.
- Attempts to combine through renovation of general Han-ok
- Complement the disadvantages of Han-ok
- Combine the merits of traditional Han-ok and modern architecture
- Application of R & D technology to reduce construction cost
- Functional expansion through variable spatial planning

Table 8.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Han-ok type public building plan standard

Division Han-ok style Public Building Authentic Han-ok public building New Han-ok public building New Han-ok style public building
availability Large-scale accommodations, libraries, museums, educational research facilities, convenience facilities, Welfare Facilities for the Community, public buildings etc Restaurants, educational facilities, control office etc Educational Research Facilities, Welfare Facilities for the Community, accommodations, Social welfare facility, Government Office etc Village Hall, daycare center, Educational Research Facilities
Architectural planning features - Modern architecture with interior elements and traditional elements
- Do not use traditional architectural planning standards, but reinterpret and then apply
- Use elements that match traditional architectural planning standards such as Korean style wooden structures.
- Realization of building principle and spatial order in cultural heritage Han-ok
- Combines modern building standards with traditional building standards
- Introduced various technologies to solve problems of authentic Han-ok
- Extracts necessary elements as Han-ok and reinterprets them in a modern way
- Modern application of various elements including external space
Structural type classification15)
Planning Criterion Traditional architecture succession Traditionality
variability
environment friendly
Outdoor scape
Introduction of modern technology technology
economic feasibility
ease
Modern residence performance publicness
accessibility
safety
Manage ability
Well : ◎ Good : ○ Normal : △ 

Table 9.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Han-ok style public building

Division Plot planning and External Space Planning architectural planning and design Performance planning Representative cases
Plan and elevation planning Section and structural planning
Han-ok style Public Building
Modern plot planning

Application of Han-ok proportional and design character

Steel structure/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ome use of system wood)

Securing the residence performance of general modern architecture
Jeollanam-d o Livestock Research Institute18)
ease Traditionality +ease technology Manageability
Authentic Han-ok public building
Traditional plot planning

Existing Traditional Han-ok Renovation

Apply traditional Korean style wooden structure
(wooden structure, plasters interior finishing etc)

Constructing Han-ok space faithful to tradition
Hyehwa-don g Office 19)
Traditionality Traditionality + variability Traditionality Traditionality
New Han-ok public building
Spatial scale application of Han-ok Village

a courtyard and servants' quarters etc Apply a traditional flat plan

Traditional Korean style wooden structure(ground )
Steel structure/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nderground )

Application of modern sound technology and traditional finishing technology
Namsan Traditional Theater20)
Traditionality +environment friendly+publicness Traditionality +ease Traditionality +technology Traditionality +technology
New Han-ok style public building
Nature-friendly planning to adapt to the site

Applying the variability (tradition) of space to connect interior and exterior space

Steel structure(ground ) Korean style wooden structure(underground )

Achieving modern residential performance utilizing traditional finishing technology and luthern
Eunpyeong Han-ok community hall21)
Traditionality +environment friendly+publicness Traditionality +ease+variability Traditionality + echnology Traditionality+technology+economic feas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