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AE Journal
[ Articl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 Vol. 13, No. 6, pp.5-16
ISSN: 2288-968X (Print) 2288-969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Dec 2013
Received 16 Sep 2013 Revised 24 Dec 2013 Accepted 24 Dec 2013
DOI: https://doi.org/10.12813/kieae.2013.13.6.005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y Houses Planned and Built by Non-experts People

LeeYeun Sook*LeeJi Hye**AhnChang Houn***
*Main & 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Dept. of Interior Architecture & Built Environment, Yonsei Univ. South Korea **Co-Author. Dept. of Interior Architecture & Built Environment, Yonsei Univ. South Korea ***Co-Author. Dept. of Interior Architecture & Built Environment, Yonsei Univ. South Korea
비전문가에 의해 계획된 건강주택 사례들에 나타난 특성연구

As rapid aging society comes and people have growing interest in health, health issue has become an important value in modern society. The demand for healthy and comfortable residential environment has also increased and people themselves have made effort to build healthy residential environm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 housings planned and built by ordinary people. The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healthy houses that were broadcasted on TV with the title of healthy houses. Analyzed items were the planning elements and motives of building such healthy houses reflected in the samples of respective healthy houses. The result of the study revealed there were many examples of housings for healing purpose and the planning elements were in the order of architecture elements, natural elements, decoration elements, other elements and technical elements. While the experts usually put priority on technical elements for developing of healthy houses, ordinary people put priority on natural elements. This study comprehensively presents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healthy houses which ordinary people pursue, on empirical basi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inspire to think about the desirable direction of healthy houses for the residents by comparing with or along with the concepts of housings that experts pursue.

Keywords:

Healthy, Healthy Houses, Non-experts People, Country House, Healing, Promoting, Enabling, 건강, 건강주택, 국내, 비전문가, 전원, 치유, 향상, 가능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90년대 이후 각종 공해가 만연하고 인구 노령화가 진전되는 위협을 인식하게 되면서부터 건강한 환경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고령화 사회로 대변되는 21세기에 들어서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은 크게 증폭되고 있으며, 건강이라는 주제는 오늘날, 우리 모두에게 일상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관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이연숙 외3, 2007).요즘 TV에 방영되는 다양한 종류의 건강관련 프로그램과 유기농 식품 판매 매장의 증가, 건강관련 상품 판매의 급속한 성장 등은 건강에 대한 현대사회 사람들의 관심정도를 잘 나타내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쾌적한 주거환경에 대한 요구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20세기 이후 급속한 산업화 및 의학의 발달, 경제성장과 교육수준의 향상 등으로 환경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높아지고 있고 삶의 질을 보다 더욱 중요시 여기는 사회적 흐름이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박태은, 2003). 이처럼 높아진 주거환경에 대한 의식에 대응하기 위해서 여러 건설사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건강성을 내세워 주택건설을 하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다. 또한 친환경 건축물인증제도를 시행하는 등 정부 차원에서도 주택의 건강성에 대하여 많은 고려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시생활로 인한 스트레스와 이로 인한 질병으로 고통 받고 있는 점을 고려한다면 건강주택은 공동주택뿐만 아니라 단독주택의 양면에서 계획되고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고려할 때, 현재 개인이 주도하는 건강주택은 그 수가 적고, 공동주택 등과 같이 보급형으로 진행되는 건강주택의 경우 대부분 건설사들이 담당하고 있고 이들이 추구하는 건강관련 계획요소는 많은 사람들에게 공통으로 건강을 지원해줄 수 있는 일반화된 요소로써, 이후 건강주택의 지속적인 발전과 대안이 가능해지기 위해서는 보다 개인의 특성이 고려된 건강관련 계획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보편화시키는 등의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2) 연구의 목적 및 의의

이에 본 연구는 개인의 다양한 상황 및 특성이 고려되어 계획된 비전문가 주도형 건강주택의 사례들을 통해 나타난 다양한 계획요소들을 추출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전문성 없는 비전문가 혹은 개인이 건축한 건강주택의 특성을 체계화함으로써 건강주택이 조성되고 있는 현상의 범위를 확장하였고, 이는 건강주택을 조성하는 귀납적 방법으로서 개인들이 추구하는 건강계획 요소들을 재조명하여 추후 과학적으로 증명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는 개인이 건강주택을 계획하고자 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기반을 줌으로써 개인 주도형 건강 주택의 파급을 촉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주택건설 업계는 다양한 개인의 상황이 고려된 계획요소들이 가지는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보편화의 가능성을 제시하여 보급형 건강주택의 개발 자료로 활용가능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방송에 소개된 사례를 대상으로 하여 2차 자료로서의 한계를 지니고 있으므로 연구자가 집적 개발한 도구 등을 사용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2. 문헌고찰

2.1. 건강의 정의

건강에 대한 정의는 관점에 따라 다양하나 1948년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건강이란 단순히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완전히 안녕한 상태”라고 하여 단순히 질병이나 허약함이 없을 뿐 아니라 신체적·정신적·사회적 건강을 모두 포괄하는 총체적 건강을 의미한다. 과거에는 육체적·정신적으로 질병이나 이상이 없고 개인적으로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신체 상태를 말하였으나, 오늘날에는 개인이 사회생활에 영향을 받는 경향이 커짐에 따라서 사회가 각 개인의 건강에 기대하는 것도 많아졌기 때문에 사회적 건강이란 측면에서 이와 같은 정의가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반자연, 2003).

아래의 <표 1>은 이연숙(2006)이 건강차원에 따른 주택의 지원성에 대해 정리한 개념이다. 이 개념은 2002년 대우건설의 미래주택 개발과정에서 만들어진 개념으로 추후 보완·정리하여 2006년 건강주택에 기재된 내용이다.

Health Dimensions and Relevant Affordances of Housing

여기에서는 건강을 신체적/생리적 건강, 정신적/정서적/심리적 건강, 사회적/사회·심리적 건강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건강에 따른 주택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신체적/생리적 건강은 신체의 형태적, 기능적 요소의 보다 tangible한 구체적이며 실체적인 차원이고, 이와는 반대로 정신적 건강은 인간의 정신과 마음에 관한 intangible한 추상적 차원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건강은 인간이 사회적 생활을 하면서 인간과 인간, 그리고 인간과 사회가 서로 반응하는 상호작용 차원이다. 이는 WHO의 세 가지 차원의 정의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 개념으로 건강을 포괄적이고 총체적인 개념으로 생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2.2. 건강주택의 정의

건강에 대한 정의가 다양하듯이 건강주택에 관한 정의도 다양한데 김건영 외2(2008)의 연구에서는 건강주택의 정의와 관련하여 다음의 <표 2>와 같이 정리하였다. 이 내용을 살펴보면 표현에 있어서 조금씩의 차이가 있지만 인간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 건강을 지원하는 주택이라는 큰 맥락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총체적 건강과 관련되어 이를 지원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임을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Definition of Healthy Houses

또한, 이연숙(2006)은 주택이 지녀야하는 기능에 대한 개념을 <그림 1>과 같이 표현하였다.

Fig. 1.

Function of Healthy HousesSource: Lee YS & Lee SM (2006) Health House

위 <그림 1>은 주택이 지녀야하는 다국면적인 기능의 이해를 위해 일반인들 관점에서 논할 수 있는 기능과 사회적 약자 관점에서 논할 수 있는 기능으로 구분하여 표현한 것이다. 그리고 이 개념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의 <표 3>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Functions of Healthy Houses

이처럼 건강주택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총체적 관점에서 계획되어야 하며 본 연구에서는 앞서 제시한 이연숙의 건강주택 기능의 개념인 일반인관점의 유지/향상과 사회적 약자 관점의 가능/치유의 4가지 개념을 분석유목 중 하나인 거주동기를 분석하는 분류기준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2.3. 건강주택의 연구동향

건강주택에 대한 사례분석연구로는 본 연구의 선행연구로서 이지혜 외(2013)의 국내 민간 건강주택 특성 분석 연구와 장재우 외(2013)의 건강주택 국외 사례 특성 연구가 있다. 국내사례에 대한 이지혜 외의 연구는 총 6사례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고 치유와 같은 특정 목적의 필요에 의해 거주자가 직접 지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자연적인 환경에 놓여있으며 특정 재료의 효과에 대한 내용으로 국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국외사례에 대한 장재우 외의 연구는 모두 5개의 사례를 대상으로 하였고 국내와는 달리 자연통풍을 유도하기 위한 구조와 태양열 발전을 통한 에너지 절약 등과 같이 구조적인 방법과 친환경설비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좀 더 전문적인 접근 방법을 통해 자연적인 요소를 적극적으로 집 안으로 유입하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국내 사례는 시각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황토집에서 생활을 하는 등 각각의 치유목적에 부합하는 사례의 특수성을 지니고 일반인이 직접적으로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였지만 국외의 경우 전문가에 의한 다양한 건축기술을 접목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는 건강주택이라는 것이 치유라는 목적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목적으로 건강주택을 추구해야 하며 그 방법적인 측면에서도 현대 기술을 적절히 사용하여 보다 나은 차원의 건강주택을 추구해야 함을 보여준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음 <표 4>는 건강주택 관련 건설사들의 동향을 정리한 내용이다.

Current Status of Construction Company

이 표는 박태은(2003)이 정리한 내용으로 건강한 주거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 증가에 반응하기 위하여 민간 건설사들 역시 노력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는 내용이다1).

2.4. 사용자혜택이론(UBC:User Benefit Criteria)

UBC는 Murtha&Lee가 개발한 개념으로, 디자인된 환경이 사용자의 삶에 어떠한 혜택을 주는가에 대한 관점에서 주택의 지원성에 대하여 정리한 것이다. 행동의 용이성(Behavioral Facilitation), 생리적 유지(Physiological Maintenance), 지각적 유지(Perceptual Maintenance), 사회적 용이성(Social Facilitation)과 같이 크게 네 가지 차원의 범주로 구분되어 있고 각각의 하위범주를 가진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의 <표 5>와 같다. 본 연구에서 추출된 건강주택의 계획요소는 실제 사례를 통해 추출된 하나의 현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현상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UBC를 활용하여 거주자들에 대한 건강주택의 지원성을 분석함으로써, 추출된 계획요소들이 가지는 다양한 의미를 고찰하고, 이들이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건강주택 계획에 활용되고 보편화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하는 것이다.

Murtha & Lee’s User Benefit Criteria


3. 연구방법

3.1. 연구방법 및 범위

1) 연구방법

본 연구는 내용분석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연구방법은 문서에 수록된 원형 그대로의 자료를 그것이 글이든 수치이든 비언어적 표현물이든 간에 상관없이, 표준화하고 정량화 하는 문서연구 방식으로 과거에 이미 발생한 사건 또는 현상의 본질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대표적인 문서연구방법이다. 이는 연구대상자들과의 접촉이나 현장답사 등과 같은 일련의 자료수집 절차가 생략되어 경비절약이라는 부수적 효과를 노릴 수 있다(이도영, 2005).

2) 연구범위

본 연구의 분석대상 사례수집 기간은 2013년 1월부터 7월까지 각 방송사별로 건강주택이라는 타이틀로 TV에 방영된 사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방법은 지상 공중파 방송사(KBS, MBC, SBS)와 종합편성채널(JTBC, MBN, 채널A, TV조선) 홈페이지에서 현재 방영중인 프로그램 목록을 검색하여 건강주택 또는 건강을 주제로 방영된 프로그램을 찾았고, 그 결과‘MBN의 천기누설’에서 6사례,‘SBS의 잘 먹고 잘 사는 법’에서 27개의 사례를 찾았다. 그러나 그 중 SBS의 잘 먹고 잘 사는 법에서 소개된 마지막 5사례는 귀농생활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뤄 본 연구내용과는 맞지 않다고 판단하여 제외하였다. 최종적으로 28사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프로그램별 구분하여 다음의 <표 6>, <표 7>과 같이 정리 하였다.

Case List of ‘Reveal the secret of nature(천기누설)’

위의 <표 6>은 미스터리한 현상에 대한 정보를 밝혀내기 위해 접근하는 프로그램인‘MBN의 천기누설’의 사례를 정리한 것으로, 사례로 선정된 회 차에서는 암과 같은 병을 얻은 사람들의 건강 회복 요인으로 주택의 특징에 대하여 집중 탐구를 하였다. 다음 페이지의 <표 7>은 도시를 벗어나 자연 속에 지은 전원주택에서 건강을 추구하기 위한 각자의 방법을 들어보는 프로그램인 ‘SBS의 잘 먹고 잘 사는 법’에서 방영된 사례로, 다양한 관점에서 건강과 건강주택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본 연구 대상이 된 사례는 아파트와 같은 대규모 주거단지가 아닌 단독 주택으로 개인의 취향이나 라이프 스타일 등과 같은 개별적이며 특수성을 가지는 요소들이 많이 반영되었다. 대부분 약 10년을 전후로 하여 전국 각지에 지어진 비교적 최근 사례라 할 수 있다. 이에 최근 아파트가 5~10년 단위로 사회, 문화, 지역적 특징을 보이는 것과는 달리, 시대적 흐름에 따른 주택의 경향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판단하여 건축시점은 고려하지 않았다.

Case List of ‘Way of eat and live well(잘 먹고 잘 사는 법)’

3) 분석방법

본 연구의 분석유목은 건강주택 거주동기와 각 사례들에 내재해 있는 계획요소 및 계획요소에 따른 효과와 만족도, 그리고 UBC이론을 활용한 계획요소의 지원성으로, 4가지의 분석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주택에 거주하게 된 동기에 대한 분석은 방송에서 언급된 내용 중에서 동기와 관련된 키워드를 추출하고 앞서 문헌고찰에서 살펴본 이연숙의 건강주택 기능을 기준으로 거주동기를 정리하였다. 키워드 추출과정과 동기 정리 과정을 보여주기 위하여 대표사례로 6월 15일 SBS에서 방영된 사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이 사례의 대화내용을 살펴보면 거주동기와 그에 따른 효과 혹은 만족도에 대해서도 함께 알 수 있다. 사회자가 건강주택에 거주하게 된 동기에 대해 질문하였을 때 거주자는 “이 집에서 (생활한 기간이) 한 달 정도 지나니깐 (스트레스성 만성 장염이) 싹 없어지더라”, “유두암(갑상선암) 수술을 받고 몸을 회복하기 위해 이곳으로 왔는데 여기 이사 와서 생활하다 보니깐 피곤함 자체가 많이 없어졌어요”라고 응답하였다. 이 사례는 아내가 갑상선암이라는 큰 병을 얻어 수술을 받은 후에 건강주택으로 이주한 후 건강을 회복하고 도시에서 만성장염으로 고통 받던 남편도 함께 이 증상이 치유되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는 내용이다. 이처럼 암, 만성장염 등과 같이 각 사례의 거주 동기를 판단할 수 있는 키워드를 추출하여 거주 동기를 파악하였고 동시에 결과와 만족도에 대한 내용도 함께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계획요소의 분석은 방송에서 언급된 나레이션 및 출연자들의 대화내용만을 통해서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 이유는 거주자가 의도적으로 계획한 요소와 거주하면서 느끼게 된 부분에 대한 내용만을 다룸으로써 좀 더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데이터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이 요소들은 크게 자연적 요소, 건축적 요소, 장식적 요소, 기술적 요소, 기타 요소로 구분하였고, 이것을 다시 10개의 중분류로 구분하였다.

셋째, 위에서 추출된 건강주택 계획요소를 분석 한 후, 이에 대한 효과와 만족도에 해당하는 키워드를 추출하여 앞서 문헌고찰에서 살펴본 신체적·정신적·사회적 건강의 정의에 따라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과연 계획요소가 어떠한 결과를 나타내고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의 사고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넷째, UBC를 적용하여 4가지 카테고리의 21가지 세부항목으로 계획요소를 체크하여 각각의 요소들이 어떠한 지원성을 가지는지 파악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각 항목별 계획요소 중에서 보다 많이 적용된 계획요소만을 정리하여 설명하였다.


4. 결과분석

4.1. 건강주택 거주 동기

거주동기 분석은 앞서 연구방법에서 설명한대로 각 사례에서 동기를 판단할 수 있는 키워드를 추출하고, 건강주택의 네 가지 기능인 유지/향상, 가능/치유를 기준으로 거주동기를 파악하였다.

건강주택 기능의 네 가지 개념은 일반인과 사회적 약자 관점에서 주택의 기능을 구분한 것으로 사회적 약자에는 노인과 어린이, 병에 걸린 환자, 장애인 등과 같은 사람들이 포함되는 개념이다. 특히, 가능의 수준에서는 장애인과 노인이 주된 대상이고 치유는 환자와 노인이 주된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각각의 기능에 해당하는 주된 대상은 건강주택의 거주동기를 규명할 수 있는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예를 들어 암에 걸린 환자가 있는 가정의 경우 환자에게 있어서 치유라는 직접적인 동기가 되지만 환자가 아닌 건강한 나머지 가족에게는 향상이라는 간접적 동기를 가지게 된다. 이를 기준으로 다음의 <표 8>과 같이 거주 동기를 정리하였다.

Motivation of Moving to Healthy Houses

그 결과, 유지 0개, 향상 9, 가능 2, 치유 17로 일반인들은 도시 생활에 지쳐 좀 더 여유롭고 자연과 가까운 위치에서의 생활을 위해 건강주택에 거주하게 된 경우가 많았고 암과 같은 병을 진단 받은 사회적 약자들은 모두 병을 치료하거나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강주택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2. 건강주택 계획요소

본 연구의 분석유목 중 하나인 건강주택 계획요소 역시방송에서 언급한 내용을 기준으로 키워드를 추출하였고 귀납적으로 총 34개로 구성하였다. 이를 큰 분류로 구분하면 자연적 요소, 건축적 요소, 장식적 요소, 기술적 요소, 기타 요소로 구분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10개의 중분류로 구분하여 다음 페이지의 <표 9>, <표 10>과 같이 정리하였다. 표에 표기된 비율은 건강주택 계획요소의 전체 항목 중 각 대분류별 요소가 추구된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요소별 항목의 차이 등을 고려하면 이 비율은 항목의 중요도를 나타내기 보다는 전체 요소 중에서 어떠한 요소를 더 추구하는지, 어떠한 측면에서 건강주택 계획을 위해 접근하는지 정도를 나타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Planning Elements of Healthy Houses utilized in Each Case Houses – Nature Elements & Architecture

Planning Elements of Healthy Houses utilized in Each Case Houses - Decoration Elements, Technical Elements, Others

첫째, 자연적 요소는 세 가지의 중분류로 구분할 수 있다. 텃밭/정원/연못 등 인위적으로 조성가능한 자연요소와 산/개울 등 자연과의 인접한 정도에 관한 지리적 요소, 집의 방향이나 환경과의 조화를 다루고 있는 주변과의 맥락이 있다. 총 28개의 사례 중 텃밭/정원/연못 등 인위적으로 조성가능한 자연의 요소를 언급하고 있는 것은 23개, 지리적 요소는 14개, 주변과의 맥락은 12개이다. 이러한 결과는 거주자에게 자연환경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특히 도시생활의 획일적인 환경에서 가질 수 없었던 혹은 조성할 수 없었던 요소들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여건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건축적 요소는 각 사례에 사용된 마감재와 같은 재료에 관한 것과 구조나 시공방법에 관한 요소, 그리고 공간구성 요소와 같이 3개의 중분류로 구분하였다. 재료적인 측면에서는‘자연재료 또는 친환경재료를 사용하였다’는 22개로 다수의 사례에서 이 요소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창의 크기가 크다’고 언급한 것도 15개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아궁이, 발효효소 저장창고’와 같은 거주자의 요구에 따른 특별한 공간이 있다고 한 사례도 23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전문가가 계획한 주택의 경우 표준화되고 규격화된 것을 탈피하여 각자가 원하는 것을 추구하고 이를 조성할 수 있는 환경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장식적 요소는 가구와 인테리어 소품과 같은 장식 요소로 구분하였다.‘사용자 맞춤형 가구를 제작하였다’항목이 16개로 일반적인 가구를 구입해서 쓰기 보다는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작된 가구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사용자만의 독특한 개성이 나타난 장식요소가 있다’,‘자연적인 요소(식물)를 장식요소로 사용한다’와 ‘벽난로가 있다’와 같은 요소들도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연과 가까운 지리적 위치의 환경 뿐 아니라 실내에도 자연의 요소를 유입하려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기술적 요소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설비시설과 이외의 주택 관리에 필요한 설비시설을 갖춘 경우가 있었다. 이들은 각각 4개와 2개로 크게 높은 수치는 아니었다. 이는 도시에 위치한 주택들과는 달리 이미 자연 속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구태여 실내 공기 질을 개선시키거나 하는 등의 설비 요소들이 필요가 없기 때문일 수도 있다.

다섯째, 기타요소는 중분류 없이 계획요소 5가지를 선정하여 정리하였다. 그 중에서‘식자재를 직접 재배한다’가 17개로 일반인과 사회적 약자 구분 없이 자신들의 건강을 위해서 건강한 먹거리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사례에서 특별한 식이요법, 규칙적인 운동, 취미생활 등과 같은 요소들이 추출되었다. 이는 건강 회복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약초 등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등의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비록 두 사례에 불과하지만 풍수지리설이나 피라미드 효과와 같은 비과학적인 요소들도 추출할 수 있었다. 건설사들의 경우도 노인주택 등을 계획할 때 노인의 심리를 고려하여 서향 및 북향을 지양하는 것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비교적 과학적 검증이 힘든 이러한 요소들도 개인의 주거만족을 위해서 보다 적극적으로 사용될 필요성이 있고 이를 간과하지 말아야 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4.3. 건강주택 계획요소로 인한 만족도

다음 페이지의 <표 11>은 앞서 추출한 계획요소의 결과로서 건강주택의 효과와 만족도에 관한 키워드를 추출하여 신체적·정신적·사회적 건강에 대한 정의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만족도에 표기된 비율 역시 만족도를 나타내는 요소들의 전체적인 비중 정도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각 요소들 간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Effects of Planning Elements Mentioned by each case

그 결과, 신체적 건강이 46개, 정신적 건강이 45개로 비슷한 개수를 나타내고 있었다. 신체적 건강에서‘병이 치유되거나 건강이 호전되었다’고 응답한 사례가 19로 가장 많았다. 이는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사례의 수가 많은 것과 관련된 것이라 여겨진다. 그리고 주택에 사용된 자연재료의 특성 때문에 건강이 회복되거나 증진되는데 영향이 미친다고 믿는 경우도 17사례로 다수의 사례에서 이러한 만족도를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신적 건강에서는‘경치가 좋다’는 것이 가장 많이 이용되는 요소였다. 대부분의 건강주택이 자연과 인접한장소에 위치해 있고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좋은 경관이 정서적으로도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사회적 건강에 대한 만족도 항목 중에서‘가족관계 향상에 유리하다’는 키워드가 14개로 가장 많았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 한번 돌아보고 치유하고 싶은 것으로 가족관계를 회복하거나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한 요소임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4.4. UBC에 따른 주택의 지원성

UBC를 활용하여 앞서 추출된 계획요소들이 가지는 지원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자연적 요소, 건축적 요소, 장식적 요소, 기술적 요소, 기타 요소들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대표적인 요소들만을 따로 분리하여 UBC에 적용시킨 데이터를 다음 페이지의 <표 12>와 같이 정리하였다.

Health Supportive Characteristics Extracted from Key words

자연적 요소에서‘텃밭, 정원, 연못이 있다’라는 항목의 경우, 주택 내 자연적 요소를 적용하여 생리적·정신적으로 쾌적한 환경을 지원하고 산책 등의 활동뿐 아니라 이를 유지·발전시키려는 작업 활동을 유인함으로써 전원주택으로서의 기본 기능을 유지시킨다. 또한, 준 사적(semi- private)공간에 적용됨으로써, 야생동물로부터 보호되고 보다 이웃과 쉽게 접할 수 있어 지속적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택 내 가족과 떨어져 잠시 휴식 및 사색을 취할 수 있는 공간으로써 사회적 지원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건축적 요소 모두 생리적·정신적으로 쾌적한 환경을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특별한 용도의 공간이 있다’는 요소에서 특별한 용도의 공간은 아궁이, 정원에 있는 파고라, 가족실과 같은 공간으로 이러한 공간은 가족과 이웃과의 활동을 도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관계 향상에 도움을 주어 사회적 지원성 측면에서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장식적 요소는 두 가지로 모두 정신적 지원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사용자 맞춤형 가구를 제작하였다’는 요소는 생리적·정신적 용이성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적합한 가구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행동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고 행동의 어려움으로부터 겪는 스트레스의 해소로 인하여 정신적으로도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기술적 요소의‘에너지절약형 설비/시스템 창호를 사용’의 항목 역시 생리적·정신적으로 쾌적한 환경을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에너지 절감 기술로 인하여 전기요금과 같은 비용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정신적으로 매우 유리하고 또한 적은 비용으로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타요소로서‘식자재를 직접 재배한다’는 요소는 생리적·정신적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회적 용이성 측면에서도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텃밭과 같은 공간에서 일어나는 재배·경작과 같은 활동은 개인이 혼자서 하는 행위보다는 여러 사람이 함께하는 행동이 더 많기 때문에 가족과 이웃과의 관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4.5. 종합결과

다음의 <그림 2>는 각 요소별 해당 사례의 개수와 비율을 비교한 것이다.

Fig. 2.

Comparison of Planning Elements Ratio

그림의 파란색 막대그래프(%_1)는 각 계획요소 결과분석 <표 9>, <표 10>에 기재되어 있는 비율로 각 계획요소별 개수를 비율로 나타낸 것이고 사선이 채워진 막대그래프(%_2)는 각 요소별 전체항목 중 체크된 사례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면 자연적 요소의 전체항목 개수는 112이고 그 중 체크된 항목의 개수는 60개이다. 이를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그 결과, 각 계획요소별 개수의 비율을 나타내면 건축적 요소 비율이 45%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각 요소별 항목의 비율을 나타내면 자연적 요소가 5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히 해당 사례가 많다고 하여 좋은 것은 아니며, 비록 자연적 요소를 추구하는 방법은 다양하지 않지만 이를 가장 많이 추구하려 노력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계획요소와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위 25%(7개)의 계획요소와 만족도를 비교해본 결과 다음의 <표 13>과 같이 나타났다.

Comparison of Planning elements and Satisfaction

계획요소를 많이 사용하였다고 하여 만족도가 반드시 높은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만족도라는 것이 개인의 판단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절대적으로 건강주택을 지원하는 요소가 많다하더라도 만족도 또한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은 아니므로 개인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계획요소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그리고 계획요소 중 상위 약 25%의 요소를 살펴본 결과 자연적 요소 2개, 건축적 요소 4개, 장식적 요소 2개, 기타요소 1개로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요소를 비교적 고르게 사용하는 것으로 어떠한 이론적 배경이 없더라도 자신들의 필요에 의해 다양한 요소를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5. 결 론

현대인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삶의 질을 추구하고 있다. 그 중 하나로서 건강주택이 주요 화두가 되고 있고 전문가와 비전문가 모두 다양한 방법으로 이를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이 조성한다고 하는 것들도 아직은 초보적인 단계이고, 일부 건설업계에서 건강성을 내세워 상품 개발을 하고 있지만 많은 부분을 실내 공기 질 향상을 위해 설비시설에 치중하고 있는 상황에서 비전문가들이 조성하고 있는 건강주택 사례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들이 추구하는 계획요소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주택 거주동기, 계획요소 키워드 추출, 만족도 키워드 추출, UBC에 근거한 주택의 지원성 평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건축적 요소에 대하여 가장 많은 방법을 사용하였지만 각 요소 내에서의 해당 사례비율을 살펴본 결과 자연적 요소가 5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자연성을 통하여 건강주택을 추구하려는 경향이 높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을 통한 결과로서 신체적 건강 특히, 병이 완쾌 되거나 건강이 호전되었다고 하는 사례가 많았다. 이는 치유를 동기로 하는 사례가 많은 것과 관련되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UBC에 근거하여 주택의 지원성을 평가한 결과 대부분의 요소들이 생리적·정신적으로 쾌적한 환경을 지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거주자들이 직접 체험하여 얻어진 하나의 현상으로 이에 대한 만족감과 효과에 대한 믿음(Perceived Belief)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과정에서 건축 재료가 가지는 효과에 대한 믿음이 굉장히 높았다. 이러한 믿음이 거주자들의 믿음뿐만 아니라 과학적인 접근을 통하여 건축 재료로써의 우수성이 입증되고 거주자들이 믿고 있는 것처럼 병의 치유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객관적으로 입증된다면 건축 마감재의 범위를 확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건강주택을 계획하는 다수의 개인에게 도움을 주고 건설사들도 이를 건강주택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여 건강주택을 대중화 시키는데 기여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결국 비전문가들이 조성한 건강주택 요소들은 획일적인 형태나 규격이 아닌 각자의 필요와 상황에 맞게 주변 환경을 조절하여 그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신체적·정신적·사회적 건강 즉, 총체적 건강을 도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설비시설과 같은 기술적인 요소들을 통하여 실내 공기 질 환경에 집중하고 있는 건설사들이 이를 반영하여 총체적인 건강을 도모하는 동시에 개인이 추구하는 특별성을 가진 요소들도 함께 활용하여 건강주택을 개발해야 함을 보여주며 일반 개인들도 같은 위치에 있는 다른 사람들이 행하고 있는 실제 사례를 통해 더욱 쉽게 건강주택에 접근 하여 건강주택을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추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방송에서 소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한 내용분석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은 방송의 목적에 맞게 방영된 자료로서 2차 자료의 성격을 띠고 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직접 분석 도구를 개발하여 방문 혹은 인터뷰 등을 통해 민간이 지은 건강주택의 의미를 진정성 있게 그려낼 필요가 있다.

개인들이 자신들의 요구에 따라 건강주택을 계획하는 것은 이미 대체의학, 통합의학 등 기존 병원에서의 치료를 탈피하여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시점에서 개인이 직접 자신들의 건강증진과 회복을 위하여 노력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부분으로 간과하지 말아야 할 부분이고 이를 과학과 연계시켜 환경 자체가 건강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중요하다는 것과 이것의 영향을 받아 치유되었다고 믿는 심리에 대한 연구도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를 좀 더 심층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실제 거주자들과의 인터뷰와 같은 방법을 통한 후속 연구가 이어진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건강이란 보다 일괄적이고 지속적이며 과학적으로 접근해 온 분야이기는 하나, 신체적 ․ 심리적 ․ 사회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만큼 현 단계에서 이 모든 것이 체계적으로 검증되기는 매우 힘든 점을 고려한다면, 본 논문에서 다루어진 개인적 건강주택 계획요소 등과 같이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라도 우선적으로 참고 자료로서 활용가능 하고 이 과정에서 점차적인 과학적 검증을 거쳐 보급형 단계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Glossary

1) 건설사의 연구동향을 조사/분석하는 것은 본 연구주제와는 별도로 진행해야 하는 큰 주제로 간접적으로 정리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대기업들의 연구 동향은 본 연구 사례대상이 자연의 본질적인 것을 추구하는 것과 대비되어 이를 강조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사용함.

2) 요리 연구가인 거주자의 직업에 때문에 집에 보관하는 음식의 양이 많아 이를 보관하기에 용이한 환경을 위해 토굴집을 짓게 되었다고 거주동기를 말함.

3) 세 쌍둥이로 태어난 딸들 중 두 명이 먼저 세상을 떠나고 혼자 남게 된 딸을 건강하게 키우기 위해 자연환경의 주택에서 생활하기로 결정함.

Acknowledg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MSIP) (No. 2008-0061908)

References

  • 건영 김, 선휘 황, 진원 최, 건강주택의 개념을 적용한 국내외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평가항목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08), 8(2), p11-15.
    Gunyoung Kim, Sunhwie Hwang, Jinwon Choi, A Study on Comparing and Analyzing Indicators of Domestic and Foreig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on the Basis of Healthy Housing, Korea Institute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2008), 8(2), p11-15.
  • 대우건설, ‘미래형 신개념 주거공간-건강주택‘ 브로슈어, (2002).
    Daewoo Engineering&Construction Co. ltd, Health House, (2002).
  • 자연 반, 건강한 주거환경의 제반 특성에 관한 소비자 인지 및 요구도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p6-7.
    Jayuen Ban, Consumer Awareness of and Demand for Healthy Features of Residential Environment,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3).
  • 태은 박, 건강주택 계획요소에 관한 사용자의 태도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Taeeun Park, A Study on the User’s Attitude towards Design Criteria for Healthy House,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3).
  • 도영 이, 건축 및 디자인분야 연구자를 위한 건축·디자인 연구 방법론, 서울: Spcacetime·시공문화사, (2005), p176-178.
    Doyoung Lee, Research Methodology for Beginning Schollars in Architecture and Design, Spacetime, (2005), p176-178.
  • 선민 이, 연숙 이, 거주자요구에 기반한 건강주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08), 8(6), p11-20.
    Sunmin Lee, Yeunsook Lee, Health Friendly House Planning Elments Demanded by Consumers, Korea Institute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2008), 8(6), p11-20.
  • 연숙 이, 실내환경심리행태론, 서울 :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8), p96-107.
    Yeunsook Lee, Indoor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Human Behavior, Yonsei University Press, (1998), p96-107.
  • 연숙 이, 수진 이, 혜진 김, 건형 김, 건강주택의 건강지원 특성에 관한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07), 12(1), p227-232.
    Yeunsook Lee, Soojin Lee, Hyejun Kim, Kyunhyoung Kim, Analysis of Health Support Features in Healthy Houses, Korea Institute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2007), 12(1), p227-232.
  • 연숙 이, 성미 이, 건강주택,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6), p22-24.
  • 지혜 이, 연숙 이, 국내 민간 건강주택 특성 분석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13), 13(1), p104-105.
    Jihye Lee, Yeunsook Lee, Characteristic of Domestic Health Houses, Korea Institute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2013), 13(1), p104-105.
  • 재우 장, 연숙 이, 치팅, 건강주택 국외 사례 특성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13), 13(1), p106-107.
    Jaewoo Chang, Yeunsook Lee, Qiting, Analysis on Characteristic of Foreign Health Houses, Korea Institute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2013), 13(1), p106-107.

Fig. 1.

Fig. 1.
Function of Healthy HousesSource: Lee YS & Lee SM (2006) Health House

Fig. 2.

Fig. 2.
Comparison of Planning Elements Ratio

Table 1.

Health Dimensions and Relevant Affordances of Housing

Health Dimension Affordances of Housing
Physical/
Physiological
health
-Elimination of risk elements for physical health
-Elimination harmful stimuli for physiological health
-Promotion of physical-physiological fitness
Mental/Spiritual/
Emotional/
Psychological
health
-Relief of anxieties, stresses and mental pressures
-Enhancement of emotion and provision of
psychological mental security
Socio
-psychological/
Social health
-Maintenance of stable social relations among family
members
-Provision of potential opportunities for proper
interactions

Table 2.

Definition of Healthy Houses

Sources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APHA
(1938)
Residential types satisfying human-beings’
physiological-psychological needs and protect
human-beings from diseases, injuries, fires, electric
shocks, toxic and explosive gases
WHO
(1948)
Healthy houses require well function as resting place
with sufficient functions and sanitary residential
conditions, neighborhood communities, well arranged
surrounding environment, proper public services and
housing policies.
Urich. R
(n,d)
Healthy houses are formed with individual
controllability, environment with guaranteed privacy,
social support and high accessibility to nature.
Lee Yeun-sook,
(2002)
Future oriented houses with universal design having
diverse adoptability and flexibilities that contain
health functions comprising physical/physiological,
psychological/emotional/spiritual/mental, and socio –
psychological/social aspects.

Table 3.

Functions of Healthy Houses

Classes Functions Explanations
Common
people
Maintaining Under the hypothesis that modern urban
people have health problems that are
below their expectation, support is made
to maintain the minimum health level
they expect.
Promoting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 health
status that modern urban people pursue
has no limit, support is made to promote
their health status to the maximum level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even
though they are healthy presently.
Socially
deprived
people
Enabling Under the hypothesis that socially
deprived people in terms of all health
concerns are not free from existing
environmental restrictions, support is
made to enable them to lead their daily
life by preventing impaired situation due
to their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deprived situation.
Healing Under the hypothesis that socially
deprived people in terms of all health
concerns can be benefited to the
maximum from their environment beyond
the level of overcoming their restrictions
in their daily life, support is made to
heal their poor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in order to restore their health
and abundant life.

Table 4.

Current Status of Construction Company

Construction
companies
Current status
H
Const. Co..
This company recruited experts in environmental filed
and they are developing ventilation system for efficient
ventilation of indoor airs and task force team was
organized with personnel from architecture department,
product development office and technique research
center.
G
Const. Co.
From the group level, this company is developing
eco-friendly healthy houses that provide spacious and
comfortable residential environment together with
affiliated companies of chemical engineering and
electronics
S
Const. Co.
This company newly formed healthy housing team and
develops eco-friendly materials and a new indoor air
ventilation system called Hawaii Air System and
positively preparing for this field by designing model
houses for healthy housings.
D
Const. Co.
This company started to research on theme apartments
for health from 2000, achieved many studies on healthy
houses, has recently installed a diagnosing system to
check such health conditions as cardiogram, lung
function and blood pressure by residents themselves in
D apartment and currently plans to set up a joint-venture
with a general hospital to back-up their system.
L
Const. Co.
This company plans to provide health care system
service to all residents of L apartments in joint-venture
with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the
residential contractors will have individual health
diagnosis, consultation and information for their health
by internet and phones.

Table 5.

Murtha & Lee’s User Benefit Criteria

Category Concrete Concepts
Behavioral
Facilitation
Concept Enabling various behaviors
with easiness
Subordinate
Concept
- Overall Conformance
- Functional Conformance
- Spatial Conformance
- Operational Conformance
- Stimulus Conformance
- Contingent Conformance
Physiological
Maintenance
Concept Providing physiological, biological
amenity and health
Subordinate
Concept
- Support Conformance
- Climate Conformance
- Stimulus Regulation
- External Regulation
- Hazard Regulation
- Physical Endurance
Perceptual
Maintenance
Concept Conveying the implication of
environmental behavior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Subordinate
Concept
- Conceptual Consonance Perational
Invitation
- Sensory Invitation
- Sensory Consonance
Social
Facilitation
Concept Promoting social interaction into
desirable state
Subordinate
Concept
- Social Invitation
- Social Observability
- Social Convergence
- Social Isolation
- Social Accommodation

Table 6.

Case List of ‘Reveal the secret of nature(천기누설)’

Date Case
No.
Title of broadcasting Hours
(min.)
01.24 1 Secret for overcoming visual handicap? (red
earth Hwangto house)
12
2 Some special things about Pyramid house? 14
3 Only one cave house Ttangguljip in the
world
9
02.14 4 Pine log house cured stomach cancer? 9
5 House built with salts? 9
6 Natural cave Toguljip house 12

Table 7.

Case List of ‘Way of eat and live well(잘 먹고 잘 사는 법)’

Date Case
No.
Title of broadcasting Hours
(min.)
01.05 7 Healthy house built to cure wife’s lung cancer 28
01.12 8 Special rural house built to save hardly-survived
daughter’s life
27
01.19 9 Nature’s healing effect for curing colon cancer
of terminal third period
25
01.26 10 Overcoming cancer in nature after sudden
diagnosis of colon cancer
26
02.02 11 Secret of curing rheumatism in 10 years
through rural life
26
02.09 12 Rural house of two sisters who longed for life
in nature
27
02.16 13 Rural life that restored the health of all family
from breast cancer of the second period, diabetes
and atopy
25
02.23 14 Rural house for the second life after retirement 25
03.02 15 Rural life to overcome the frustrations from
breast cancer and cervix disease
28
03.09 16 Rural life chosen for long life with son born in
late age
26
03.16 17 Emotional rural house where furniture designer
lives breathing in nature
26
03.23 18 Special house built with natural materials and
ventilated with fresh air 24 hours a day with
heat circulation system
26
03.30 19 Special rural house with nature to cure wife
with danger of losing sight due to macular
degeneration
25
04.06 20 Only one rural house in the world made by
hands with recycled materials
24
04.13 21 Log house that helped to overcome the stress in
social life due to introspective personality
18
04.20 22 Singer Yu Ik-jong’s rural life 19
04.27 23 House with little botanical garden in living room
in order to present pleasant environment to
family
21
05.11 24 Customized rural house that presented genuine
rest and happiness to family who were tiresome
with urban life
23
05.18 25 Insomnia healing at house with front yard where
contact with nature is available
24
06.08 26 DIY house for aged parents 19
06.15 27 Special traditional Korean style house Hanok
built in nature for a wife suffering from thyroid
cancer
21
06.22 28 Special rural house that provide contact with
nature everywhere
19

Table 8.

Motivation of Moving to Healthy Houses

Case
No.
Selected key words Motivations
3 To store foods2) Promoting Promoting
(9)
6 For healthy life, for eliminate harmful
elements
Promoting
12 Cherished rural life Promoting
14 For a second life after retirement Promoting
16 For healthy life with a son born at late
age
Promoting
17 Sensible house breathing in nature Promoting
20 Rural house longed for life Promoting
22 Rural life Promoting
24 Tired with urban life, presenting rest
and happiness
Promoting
8 For a daughter survived with difficulty3) Enabling Enabling
(2)
26 For parents, for healthy aged life Enabling
1 Overcoming multiple sclerosis and
visual handicap
Healing Healing
(17)
2 Healing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Healing
4 Overcoming stomach cancer Healing
5 Prevention of atopy Healing
7 Curing lung cancer Healing
9 Overcoming terminal colorectal cancer Healing
10 Overcoming rectal cancer Healing
11 Overcoming rheumatoid arthritis Healing
13 Curing breast cancer, diabetes, atopy Healing
15 Overcoming breast cancer, cervix disease Healing
18 Curing atopy Healing
19 Overcoming macular degeneration Healing
21 Overcoming difficult stresses of social
life
Healing
23 Curing atopy Healing
25 Healing insomnia Healing
28 Curing atopy, rhinitis and skin disease Healing

Table 9.

Planning Elements of Healthy Houses utilized in Each Case Houses – Nature Elements & Architecture

Table 10.

Planning Elements of Healthy Houses utilized in Each Case Houses - Decoration Elements, Technical Elements, Others

Table 11.

Effects of Planning Elements Mentioned by each case

Table 12.

Health Supportive Characteristics Extracted from Key words

Table 13.

Comparison of Planning elements and Satisfaction

Planning elements Satisfaction
Case no. Motivations Case no. Motivations
12 Promoting 12 Promoting
11 Healing 7 Healing
13 Healing 19 Healing
16 Promoting 14 Promoting
27 Healing 11 Healing
7 Healing 16 Promoting
8 Promoting 18/27 Hea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