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Vol. 17, No. 6


[ Articl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 Vol. 17, No. 6, pp. 231-238
Abbreviation: J. Korea Inst. Ecol. Archit. And Environ.
ISSN: 2288-968X (Print) 2288-969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7
Received 26 Nov 2017 Revised 12 Dec 2017 Accepted 17 Dec 2017
DOI: https://doi.org/10.12813/kieae.2017.17.6.231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시설개선을 위한 디자인요소
김민경* ; 이현진**

Design Elements for Improving the Facilities of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Ward
Kim, Min-Gyeong* ; Lee, Hyun-jin**
*President, J&K Advisory Co. Ph.D. of Architecture (archkun@naver.com)
**Corresponding author, Assistant Professor, Ph.D., Dept. of Medical Space Design & Management, Konyang University (hjlee0323@konyang.ac.kr)

ⓒCopyright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s to establish guidelines for the facilities of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s suitable for the domestic situation, and to draw up the issues of the nursing service through the review of relate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is to suggest design factors for the improvement of nursing service facilities.

Method: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looking into the literature in the field of nursing and architecture, which focuses on the understanding of domestic wards of hospitals performing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s since 2013. The guidelines (2017) of the Korean Medical Law and the relevant international standards/ guidelines are based on those of the United Kingdom (HBN Guideline) and Canada (CSA).

Result:

The most important issu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is to change the functions of NS according to the team nursing and the nursing area in the ward. It is also pointed out that the nursing movement becomes longer due to the unreasonable arrangement of the nursing rooms.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is based on team nursing, and since the nurse's patient is determined, therefore, the basic unit cluster plan should be based on the nursing activity by providing effective nursing placement, patient privacy, comfort. It is also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to solve the separation of pollutants.


Keywords: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s, Ward, Nurse Station, Design Element
키워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너스스테이션, 디자인요소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병원은 다른 유형의 건축물에 비해 기능성이 강조될 뿐만 아니라 그 사회의 시대적 상황 및 문화적 영향을 많이 받는 시설이며, 특히 병동부는 환자의 진료와 간호라는 기능적 측면과 환자의 생활과 요양환경적 측면까지 고려해야 하는 분야이다.1)

국내 병동부는 2015년 6월에 발생한 메르스(중동호흡기 증후군) 이후, 사설간병인이나 보호자의 상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2)이 제기되어, 간호인력 확충을 통한 한국형 포괄간호제도 도입 필요성에 의해 시행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사업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사업은 2013년에 시범사업으로 시작하여, 2015년 건강보험 급여 사업으로 전환되었고, 의료법 개정으로 시행근거를 확립하였다. 이에 따라 지속적인 사업의 근간을 마련하고 있어, 국내 병동부의 운영방식으로 정착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병동부(이하 간호간병 병동부라 함) 구조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에는 미흡3)하다고 지적되고 있지만, 건축계획분야의 간호간병 병동부 관련 연구4)는 10편 이하로 초기단계이다.

또한, 그 내용에 있어서도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공에 따른 전반적인 기능의 수용과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 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간호∙간병통합서비스에 적합한 공간기능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건축계획의 방향을 설정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에 적합한 지침마련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간호간병 병동부의 전반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연구 고찰을 통하여 건축계획적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간호간병 병동부의 쟁점을 파악하고, 간호간병 병동부의 운영을 전제로 제시되고 있는 국외 관련 지침을 분석함으로써 간호간병 병동부의 디자인 요소 및 계획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실정에 적합한 간호간병 병동부의 시설의 지침 설정의 기초연구로서, 문헌고찰을 통해 간호간병 병동부의 쟁점을 도출하고, 국외 관련 지침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간호간병 병동부의 디자인 요소 및 고려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1) 연구범위

본 연구의 범위는 다음으로 한정한다.

첫째, 간호∙간병 서비스의 대상 환자는 급성기 환자로서 중증 및 중경증 환자를 전제로 하며, 병동부의 진료과는 내과계 및 외과계를 전제한다.

둘째, 문헌고찰의 범위는 2013년 이후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수행한 병원의 병동부 전체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간호 및 건축분야의 연구로 한정한다.

셋째, 간호간병 병동부의 디자인 요소 및 고려사항을 설정하기 위한 국외 관련 기준 및 지침은 국내 의료법 시행령(2017)과 영국 HBN Guideline, 캐나다 CSA 기준의 지침이다. 본 연구는 국내실정에 적합한 간호간병 병동부의 시설의 지침 설정의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시행되는 연구라는 점에서 분석내용은 병동부의 기능, 주요 규정 항목과 고려사항만을 대상으로 하며 세부 치수를 비교하지 않는다.

넷째, 공간적 범위는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된 간호간병 병동부의 쟁점에 따른 공간 중,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는 다인 병실 및 병실 내 화장실, 간호사실, 간호제실을 대상으로 제한한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간호∙간병 통합서비스의 개념과 국내 병동부 및 간호간병 병동부의 특징, 병동부의 적정성 관점의 쟁점을 고찰함으로써 간호간병 병동부의 기능을 파악한다.

둘째,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사업 지침의 항목을 중심으로 기존연구의 간호간병 병동부 관련 연구문헌에 대한 고찰을 통해 병동부 건축계획에 영향을 주는 간호간병 병동부의 문제점 및 대안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간호간병 병동부 건축계획의 쟁점을 도출한다.

셋째, 도출된 쟁점에 따른 국내외 병동부의 디자인 요소 및 판단기준을 비교분석한다.

넷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간호간병 병동부 디자인 요소 및 고려사항을 제시한다.


2. 간호간병 병동부의 연구분석틀 설정
2.1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사업
1)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개념

간호·간병 통합서비스는 가족 간병으로 인한 사회적 부담 및 개인 간병인 고용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입원 서비스의 질적 향상, 병동 내 보호자 및 간병인 상주하지 않아 쾌적한 병동환경 유지5). 환자의 자기간호 능력 향상으로 조기회복 촉진 등을 기대되고 있다.

2)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사업지침 상 권장사항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지침 상, 병동환경의 권고사항(2016)은 아래 Table1과 같이 권장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주요 내용은 이 사업에서 전제로 하는 팀 간호 운영방식에 따른 간호서비스의 제공, 환자의 이동 및 안전을 위해 비축해야 하는 의료장비 및 물품, 무장애 공간계획을 통한 안전확보, 환자 위생, 환자의 편의 등이다. 그리고 입원환자 병문안에 대해서는 일일 병문안 허용시간대, 병문안 제한이 필요한 사람의 유형, 준수 수칙, 병문안객 명부작성, 의료기관 상시 출입자 관리 등을 규정하고 있다. 이들 내용을 건축계획적 측면에서 정리하면, 병상의 규모 및 병상간의 간격, 다인실의 구성, 간호근무실(이하 NS라 함)의 위치 및 S-NS의 설치, 병실내 화장실, 병동내 화장실 및 목욕실, 환자 휴게실, 면담실의 설치, 그리고 바닥미끄럼 방지 및 안전손잡이 등의 무장애공간 확보로 요약할 수 있다.

Table 1. 
Recommendations for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Ward Environment
Configuration Contents
Ward Size of Ward 30~50BED, Standard 45BED (Evaluation Committee Coordination)
Configuration of the Multi-room Single room ~ 6 person room (If the room exceeds 6 persons, the interval between the beds is 2m.)
Personal locker Installing a personal locker with lock
Intensive care Patient room Installing Intensive care Patient Room
Bedside curtain Bedside curtain for patient's privacy
Nurse Station M-NS should be placed in the center of the ward S-NS should be placed considering hospital room structural characteristics
Sanitation facility Toilets Toilets including sink in the room If there is no toilet in the room, there is a separate toilet in the inside of the ward.
Installing Toilet for the Disabled
Bathroom Installation of bathroom in the room If it is not possible to install in the room, it is placed adjacent to the ward and in a position where patient movement is easy
Facilities Day-room Rest room for patient convenience
Visitor’s room Division of Visitor’s room
Barrier- free Space Ward/Toilet/ Shower room/ Corridor Non-slip Floor Safety knob installation Eliminate Threshold

2.2 간호간병 병동부의 공간적 특징
1) 국내 병동부 평면 특징 및 공간구성

국내 병동부 계획에 대한 연구는 평면적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1945년 이후 최근까지 병동부의 평면적 특징을 분석한 유영민(2016)의 연구결과를 통해 국내 병동부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유영민(2016)에 따르면, Table 2에서와 같이, 국내 병동부는 복도형태에 따라 병동부 형태를 구분할 수 있으며, 병동의 병상수, NS 위치, 다인실 내 화장실, 환자의 휴게 공간 및 전용엘리베이터의 분산 배치가 평면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Table 2. 
Characteristics of Domestic Hospital Ward
Configuration Characteristic Remarks
Shape of Ward Affected by corridor type (middle corridor, double corridor, complex double corridor) -
Size of Ward Recently, there are many 45 beds -
Configuration of the Multi-room 4 person room Medical law (2017.02.02.)
Interval between beds 1.5m or more
Location of Nursing Station Centered on the ward since 2000 -
Toilet Distributed according to function -
Day room
Elevator

2) 일반 병동부와 간호간병 병동부의 공간구성 비교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운영에 따른 공간구성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간호∙간병 통합서비스의 운영 전.후에 개원한 유사한 규모의 병원에 대한 병동부 평면을 비교분석하였다. 2005년 개원한 K병원과 사업시행이후 2017년 신축 개원한 S병원은 병동부 바닥면적이 각각 1,941㎡, 2,041㎡ 이며, 이중복도, 판상형의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S병원의 경우 신축 당시부터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운영을 고려하여 계획되었다.

K병원은 2017년 2월 의료법 개정전 보편적 다인실의 구성인 5인병실이 6개실로 주를 이루며 2인실이 6개실이다(5인실6개실,4인2개실,2인6개실,1인1개실). 총 51병상이 하나의 표준병동을 구성하며 이중복도 중앙에 메인스테이션 (이하 M-NS라 함)이 위치하는 유형으로 탑상형 병원의 대부분이 K병원과 유사한 형태이다.


Fig 1. 
K hospital ward space configuration

반면, 2017년 개원한 S병원은 의료법개정의 적용을 받아 4인실 9개실의 다인실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소아병동과 VIP 병동을 제외하고는 각 층에 1인 격리병실 2개실이 구성되었다. K병원과 달리 특이한 부분은 NS의 위치 및 구성이다. S병원은 아래 Fig 2 a)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4인 병실 2곳마다 서브스테이션(이하 S-NS이라 함)이 배치되어 있으며 M-NS의 기능과 면적이 축소된 것을 알 수 있다.


Fig 2. 
S hospital ward space configuration

S병원은 S-NS에서 병실로 관찰이 가능하며, 간호사 이동 동선이 짧고 M-NS의 기능이 축소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S병원의 화장실은 S-NS에서 관찰이 가능하도록 병실 외부에서 출입되도록 계획되었다. S병원의 유형이 신축되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보편적 해답이 될 수는 없겠지만 지금까지 국내 병원평면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S-NS 의 적극적 도입에 쟁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2.3 간호간병 병동부의 쟁점
1) 간호분야의 연구결과 고찰 6)

간호분야 연구에서의 제시되고 있는 간호간병 병동부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기존 병동부는 M-NS를 중심으로 간호제반실이 설치되어 있어서 물품이용을 위한 이동이 증가하고 있다. 둘째, 고령환자 증가 및 다양한 진료과/ 경증 및 중증환자의 혼재가 존재하므로 환자의 중증도 및 진료과의 특성에 따른 공간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셋째, 경증환자의 자별적 간호 부족은 홍보와 함께 환자 위생증진 및 기타 다양한 방식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넷째, 환자상황에 대한 보호자와의 의료진간 및 각 의료진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부족하다. 다섯째, 진료과 및 중증도별 특정 공간 계획, 여섯째, 환자의 관찰성 확보를 위한 모니터링/즉각 대응시스템의 확보, 일곱째, 보호자 및 방문자의 출입제한 및 면담실 등의 확보가 필요하다. 특히, 기존 병동부에서 간호간병 병동부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문제점은 첫째, NS 개수 확대 또는 S-NS 설치가 요구되며, 둘째, 인간공학적 측면에서 NS 구조가 필요하고, 셋째, 간호제실과 비축물품/의료장비 등의 적절한 배치를 통한 간호 동선의 축소, 넷째, 환자 관찰성 증대 방안 모색 등이다.

2) 건축분야의 연구결과 고찰 7)

건축분야 연구에서 제시된 간호간병 병동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간병 병동부는 팀간호를 전제로 하므로, S-NS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M-NS는 간호팀의 공통업무 지시나 의사소통, 교육 및 훈련의 행위가 이루어지는 등 기능이 축소되며, 기존 M-NS의 기능은 S-NS에 분산되었다. 둘째, 간호인력의 2배 이상 증가 및 의료장비의 증가로 인하여 간호인력에 대응한 간호부속실(간호사 휴게실, 회의실, 간호사부속실 등)이 필요하고, 의료장비(휠체어, 이동침대, 보행보조기, 카트, 트롤리 등 ) 및 비품의 보관(의약품, 린넨 및 청결물품 등)이 필요하다. 또한, 이들의 위치 및 종류 등에 따라 간호제실의 종류 등이 결정되며, 이는 간호 동선의 거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오염물 처리방식에 따라 간호제실의 배치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셋째, 기존 병동을 간호간병 병동부로 전환할 경우, 병동형태에 따라 NS위치, S-NS의 배치 등이 달라진다. 셋째, 간호간병 병동부는 병실 내 보호자 및 간병인의 상주가 제한되며, 이에 따른 출입통제와 면회객실의 요구된다. 넷째, 개인위생관리 및 식사보조 등의 간병업무가 간호업무로의 이관되는 등 간호업무 변화에 따라 업무분담과 이에 따른 근무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다섯째, 개인 간병인 및 보호자의 부재로 인해 환자의 안전 및 간호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간호의 전담업무로 변화됨에 따라 환자의 이송, 환자의 모니터링 시스템, 호출벨의 위치, 호출벨의 수신기 위치 등의 계획이 요구된다. 또한, 병실 내 간호공간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여섯째, 세면대, 화장실, 샤워실 설치를 통해 환자의 자가관리 이용편의성을 높이고 중증환자병실 지정 및 의료기기/장비 비품 수납공간 및 적정 병상면적 확보 통해 효율적인 간호업무 수행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낙상방지 설비를 주의 깊게 고려한다. 일곱째, 공용 욕실 공간계획 시 환자, 간호인력 동시 사용을 고려 적정면적 확보와 환의 착, 탈의를 고려한 공간구성이 요구된다. 여덟째, 배선실은 환자 식사보조 시 사용된 기구 세척 및 건조(자연채광) 행위를 고려한 계획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개인위생, 배설물 처리가 간호업무로 확대됨에 따라 오염물 처리 이동시 간호인력 부재에 따른 안전사고 위험과 오염물 노출 최소화를 위해 주행위실 인근 오물실 배치가 필요하다.

Table 3. 
Comparison of business guidelines and research literatur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mposition Recommend Guideline Research in Nursing Research in Architecture
Bu EunHee others (2015) Kim JinHyun others (2017) Yoon EunJung others (2017) Park KwangOk others (2017) Lee HyunJi others (2015) Back SungUk others (2015) Kim MyungYun (2017) Han SukBum (2017)
1. Shape of Ward corridor (Difficulty of changing of existing ward corridor)
2. Size of Ward
2.1 Number of beds in the ward
3. Patient room
3.1 Type of room (Single room, Multi-room, ICU) / Interval between beds
3.2 Nursing area in Patient room
3.3 Theft prevention (Personal locker)
3.4 Bedside curtain
4. Nurse Station
4.1 Sub-NS (Whether to install, location, Scale)
4.2 Main-NS (Whether to install, lFunction reduction)
5. Nursing area
5.1 Location of medical equipment / fixtures
5.2 Contaminant treatment method
6. Nursing room (toilet, dressing room, rest room)
7. Athletic room (Surgery)
8. Sanitation facility
8.1 Toilets (inside the Patient room)
8.2 Shared Bathroom in the ward (Whether to install, area)
8.3 Shared Toilet in the ward
8.4 Sink
9. Facilities : Day room
10. Visitor access restrictions
10.1 Visitor’s room
11. Communication (Family to Staff / Staff to Staff)
11.1 Installation of signboard (Operating room)
11.2 Discussion room
12. Increase patient observation requirements (Safety)
12.1 Barrier free
12.1.1 Eliminate Threshold (Patient room, Toilet, Corridor)
12.1.2 Secure your movement (Patient room,Corridor)
12.1.3 Safety knob installation (Patient room, Toilet, Bathroom)
12.1.4 Pictogram installation (Bedside)
12.2 Observation window (Wall. Door)
13. Immediate response to patient care needs
13.1 Install Call Bell
13.2 Call Bell Receiver (Notice board)
Note : ◯ As a conclusion, △ Included in content

3) 간호간병 병동부의 쟁점 도출

간호간병 병동부의 쟁점은 전술한 간병 통합서비스 사업의 지침 상의 규정내용을 건축계획관점에서 재구성하여 항목을 도출하고, 간호간병 병동부의 실태조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비교분석하여 필요한 부분은 항목을 추가하였다. 규정내용과 기존 연구의 결론부에서 제시한 내용은 ◯로, 지침 및 연구 내용상 언급되거나 유사한 내용은 △로 표기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비교분석 결과, 사업지침에서 규정하지 않는 항목들은 병실 내 간호영역, 오염물 처리방실, 간호부속실 설치, 외과계 운동공간 확보, 수술실 등의 안내판설치, 환자관찰을 위한 문 또는 벽에 관찰창의 설치, 호출벨 수신기의 위치 및 요구 등이다. 또한 이상의 결과로 보면, 기존 병동부를 간호간병 병동부로 전환하였을 때에 기존 NS와 간호제실 간의 부적절한 위치 등의 구조로 인하여 간호간병서비스 전달에 어려움을 가지고, 간호 동선이 길어지는 것이 가장 두드러진 쟁점으로 인식된다.

이를 정리하면, 국내 간호간병 병동부의 쟁점은 첫째, 병실 내 간호영역이며, 둘째, 간호사실의 메인 간호사실과 서브스테이션의 설치유무, 기능, 규모 등이며, 셋째, 간호제반실의 구성으로서 의료장비 및 비품의 보관위치, 오염물의 처리방식 등이며, 넷째, 위생시설로서 병실내 화장실이, 마지막으로 무장애 공간에 대한 계획방향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무장애공간에 대한 부분을 제외하고 각국의 지침을 비교분석하였다.


3. 국외 관련 기준 분석
3.1 기준의 특성 및 구성체계
1) 개요

국내 병동부 관련 법규는 의료법 제58조에 근거한 병원급 의료기관에 대한 인증과 의료법 시행규칙이라 할 수 있으나, 병동부 계획에 대한 내용은 한정적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사업의 지침에서 그 내용을 제시하고 있으나 건축공간의 위계나 공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반면,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등은 간호간병서비스를 전제로 의료시설의 건축과정별 참고사항 및 관련 타 기준과의 관계, 의료시설 종류 및 부서별로 별도의 체계적인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2) 특징

캐나다 와 영국의 지침 주관기관은 각각 캐나다 표준협회(Canadian Standards Association; CSA) 주관으로 각국의 의료시설에 대한 지침(Canadian health care facilities; HCF)을 통해 일관된 방법론 및 실용적 요건, 모범사례를 제공하고 있다. 영국은 NICE(국립보건임상연구원)이 주관으로 의료시설 지침(Health building note)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신축 의료시설 및 기존 시설의 개조/증축의 계획 및 설계, 모범사례(best practice)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두 지침의 가장 큰 차이는 지침의 성격이다. 캐나다의 기준은 국가표준이므로 매우 구체적이고 법적 효력이 강하여 의무와 권장사항으로 구분되며, 기술적으로 규정을 따르지 못할 경우 최소로 적용해야 하는 기준을 제시한다. 반면, 영국의 지침은 법적 효력보다는 설명서의 성격이 강하며, 의료시설 별 규정내용을 반드시 준수하는 것이 아니라 설계자가 대상 시설의 규정과 동일한 수준의 기능을 보장한다는 설명서를 제시하면 수용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캐나다의 지침은 규정항목이 매우 상세한 반면, 영국의 지침은 규정항목의 기능에 대한 설명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3) 구성 체계

분석대상 지침의 구성은 병동부에 국한된 지침이 아니라 의료시설 전체를 다루고 있으므로, 전반부에는 의료시설 전체에 적용되는 공통지침의 내용을 규정하고, 하부에 특정시설에 따라 지침 등을 따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캐나다의 지침은 의료시설별로 일반사항, 기능적 요건, 기술적 요건 등을 기술하고 있으며, 모든 규정에 공통요건을 11장에서 표로 요약하여 구체적인 표준을 확인할 수 있게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체계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캐나다 지침의 8장(8.1 내과/외과계 입원환자의 내용 중 의무사항) 및 11장과 영국의 4, 5장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4) 병실 레이아웃

대상 지침은 병실의 구성인원에 차이가 있다. 캐나다는 1인실이 기본이며, 설계도에 포함해야 하는 문서인 기능 프로그램(functional program)으로 필요성을 인증 받은 경우만 2인실 설치까지 가능하고, 리모델링 시에는 4인 이하까지 가능하다. 또한 지침은 간호 비스간의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련 서비스의 클러스터링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병동부 설계에 있어서 그러나 영국의 병실은 단계적으로 침상의 최소 클러스터(cluster), 이상적인 간호작업 단위,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1개의 유니트(unit)의 3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클러스터는 2개 이상의 병상으로 서비스의 공급 및 처리방식에 대한 접근지점의 기준이며, 둘째, 이상적인 간호작업단위는 8인 병상으로 임상의 1인, 간호보조인력 1인이 서비스할 수 있는 이상적인 간호작업단위이며, 셋째, 24인 병상을 하나의 유니트로 본다. 이상으로 보았을 때, 간호 서비스 내용 또는 병상을 일정부분 클러스터화 하여 간호 및 치료의 균등한 배분 계획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3.2 간호간병 병동부의 쟁점에 따른 분석
1) 병실

캐나다 입원실(1인실 기준)은 환자구역, 가족존, 직원존의 3구역으로 나누고 이들 구역 활동간 겹침과 충돌을 최소화 하는 것이 원칙이다. 병실에는 독립된 화장실을 포함하여, 벽장이나 락커, 옷장 등과 공급물 알코브가 있으며, 최소한 4000×4000mm (16.0㎡)이상의 유효공간이 있어야 한다.

Table 4. 
Canadian single room comparison
location Size (㎜)
General ward Intensive care unit Outpatient
From the non-moving side of the bed to the fixed side 1100 1200 1000*
From the toe side of the bed to the front wall 1500 1500 1200
Between two beds (If you have two beds) - 1800 1200
Centerline to Centerline (If you have two beds) - 2400 1800
* It is based on a standard bed of 1,000 mm, and an obesity of 1200 mm.

개조의 경우는 최소 12.0㎡ 이상으로 해야 한다. 특히 침실 내 간호영역의 기능은 평가/진단, 협진, 시행, 처치/절차, 격리/보호환경, 교육/연구, 방출계획을 포함할 수 있어야 한다. 영국 영국의 지침 상 병상 간 면적은 인간공학에 근거하여 3600mm(폭)×3700mm(깊이)이며, 고정된 수납공간, 준비 공간, 작업대는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병실 내 간호영역은 들어갈 수 있으나 정확한 기능의 확인 및 이에 따른 적정한 면적산정이 필요하다.

2) NS

캐나다 기준의 NS는 M-NS의 존재를 전제로 하고 있어 국내 실정과는 차이가 있으며 이는 1인실을 전제로 하는 캐나다 기준상의 특징일 수 있다. 반면, 영국은 지침 상에서는 병동 유니트에 업무구역을 배치하였을 때에는 M-NS가 없다는 가정 하에 규정하고 있다.8)

캐나다의 지침은 병실에 있어서 간호영역인 직원존을 NS의 공동영역으로 할 수 있으며, 의료진이 각 환자의 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규정한다. 이곳에는 진단확인(영상포함) 알코브를 설치한다. 또한 M-NS 내/주변에 사람이동공간이 필요하며, 테이블, 의자, 전화, 네트워크 및 전화선을 제공, 작업카운터(컴퓨터에 맞는 깊이와 마우스, 키보드를 나란히 배치할 수 있는 폭), 필요시, 유리 끼운 프라이버시 스크린의 제공, 소음제어 및 작업조명은 작업영역 설계에 통합되어 계획한다. 그리고 기록업무는 입원실이 아닌 복도 측면이나 입원실 사이이거나 환자의 관찰지점에 위치한다. 한편, 영국은 침실 내 워크스테이션을 위치시키고, 기록적 업무는 전자환자기록(Electronic patient records; EPR), 방사선 영상보관 및 통신시스템(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s; PACS)을 사용하며, 기록할 수 있는 공간인 터치다운베이스(Touchdown base; TB9)을 4개의 침상 사이에 배치하거나 침실과 침실 사이에 공유된 TB 또는 작은 병실 클러스터에 서비스할 수 있는 하나의 TB를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소요치수는 캐나다의 경우는 컴퓨터의 깊이(폭)와 마우스 및 키보드의 배치(길이) 그리고 앉아있는 이용자 뒤 사람 및 물품 이동 유효공간(통로 유효공간)을 규정한다. 반면, 영국은 기록장소를 서있는 높이를 참고하도록 하는 점에 차이가 있다.

Table 5. 
Comparison of NS standards
Configuration Canada England
M-NS -Employee work zone -Station for checking records -Spatial organization based on medical facility size / delivery model May not exist (However, when placing work area in ward unit)
Nursing area inside the Patient room -Station setup for internal diagnosis check -Can be done jointly with NS. Placement of work area
Record / Work -Employee work zone Touchdown base

국내병원의 팀간호를 기반으로 S-NS의 설치의 필요성은 앞에서 설명하였으며, 관련 기준을 비교한 결과 병실내 간호영역과, 기록과 확인 등을 위한 공간과 같이 병실 내 그리고 기록 및 업무공간으로서 S-NS로의 분산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각 기능과 위치, 그리고 물품 보관 위치 등을 같이 고심할 필요가 있다.

3) 간호제실 : 의료장비 및 비품흐름, 분리

간호업무 효율과 감염방지 등의 병원의 기본 기능상 가장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간호업무로 인한 기능실의 구성과 실들의 흐름, 분리 등의 계획이다. 캐나다의 지침은 멸균물, 청결물, 오염물의 분리를 각 관련된 표준에 근거하여 설계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건축계획 시에는 비품의 이동, 이송패턴, 의료시설 내 청결물 및 오염물의 흐름을 설명하고, 설계 시에는 분리를 유지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한편, 의료기기의 재처리에 대한 조항도 다루고 있는데, 이는 청결물 및 오염물의 리프트를 가지고 있을 경우만 수행할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이외에 의약품 조제(공급)영역 및 실은 직원구역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하며, 개인보호물품(PPE)는 입원환자의 출입구에 인접한 곳에서 접근할 수 있게 해야 한다.

한편, 영국 지침에 따르면, 처리실 및 청결물실은 중앙집중 또는 분산할 수 있으며 복도를 통해 환자영역까지 직접 접근하도록 한다고 규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2인 이상의 클러스터는 서비스의 공급/처리방식의 접근의 위치기준이 된다. 서비스는 트롤리(카트)로 제공되는 것을 권장하며, 그 기준점에서 의약품저장소/준비실과 거리가 멀지 않아야 한다. 특히 린넨, 임상 소비재, 폐기물, 적기공급 및 추가공급물의 보관소가 요구되며, 배선실도 클러스터 사이에 위치하도록 요구된다.

폐기물은 폐기물실에 배치하고, 일부품목은 폐기실로 이동전에 오염물처리실에 일시적 보관된다. 공급물 운영방식은 설계초기에 병원관계자와 합의해야 한다. 오염물 처리실은 이상적으로는 15병상 이하에 서비스해야 한다. 이는 직원의 이동거리를 줄이고 간호시간을 단축하며, 오염물의 유출 및 교차오염의 위험을 줄이기 때문이다. 추가적으로 24병동의 병동 당 2개의 오염물실을 배치한다.

따라서 무엇보다 간호기능을 가진 간호제실은 청결물실과 오염물실의 분리가 우선되어야 하며, 청결물과 오염물의 이동 흐름 및 처리방식에 따라 보관장소의 위치, 동선의 분리 등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폐기물도 물품에 의한 것과 사람에 의한 것의 분리와 흐름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간호간병 병동부는 간호인력을 대체하는 의료장비가 늘어났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장비의 규격과 사용처, 이용방법 등을 산정하고, 이에 따른 치수와 실의 위치, 필요하다면 중량까지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4) 병실 내 화장실

캐나다 지침의 병실 내 화장실은 원칙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대변기, 세면대, 고정형 샤워 또는 욕조 이며, 이용자 중 휠체어 및 비만자를 특정한 이용자로 구분하여 규정한다.

영국의 지침에서는 1인실 및 다인실 모두 부착된 위생시설을 가지고 있어야하며, 그 구성은 대변기, 손세정대, 샤워기 등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하고, 4가지 화장실의 프로토타입(내부에 부착유형, 내부 근처에 부착유형, 외부에 부착유형, 병실 간 또는 병실 간 부착유형)을 제시하고 있다.

Table6과 같이 두 지침 모두 무장애 공간계획과 병실 내 화장실의 기능상 계획의 두 가지 관점에서 규정한다. 무장애 공간계획은 캐나다의 접근성(accessibility)법과 영국의 건축법규 파트 M의 규정 방식을 따르게 하며, 캐나다는 구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영국기준은 관련법을 따르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두 지침모두 보조자의 도움을 받는 사람에 우선하여 공간계획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특히 기능관점에서 계획방법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간이변기의 사용과 처리의 방법이며, 캐나다는 간이변기에서 나오는 오물은 이를 처리하는 처리기를 따두어야 하며, 청결한 간이변기의 보관은 화장실 옆 또는 안에 두도록 규정하고 있다. 영국 지침에서는 대변기가 인접한 곳에 손세정대를 설치하지 않도록 하여 대변기를 사용하는 사람으로 인하여 손세정대의 사용제한을 금지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화장실 유형에 따라 계획방향을 다르게 제시하고 있다.

Table 6. 
Comparison of bathroom standards in the room
Configuration Canada England
barrier free Accessibility Compliance Compliance with Building Code M
-Door width -Wheelchair radius of rotation -Install Handrail around lavatory -Non-slip floor -slope of drainage -Installed bathroom folding chair -Movement space of wheelchair - Accessible to people who need assistance -A plan with variability
Function-al plan - Direct access from bedroom to toilet - Facilities that permit privacy but allow emergency personnel to open the door -No lavatory tank in consideration of danger -Towels / clothing provided in the drying zone - Shelf over sink - Mirror on the side - Nursing call setup -Isolated patient waste disposal unit - Movable toilet stains provide a washing space other than a toilet - Movable toilets placed next to or inside the toilet -Restriction on the installation of hand pedestal near the faucet - Single room : Obtain visibility to observe hospital room - Multi bed room : Ensure accessible without long travel or crossing

특히 국내의 경우, 의료법 개정에 따라 6인실이 4인실로 변경됨에 따라 병동내 화장실의 위치가 문 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으므로 영국 지침과 같이 특정 유형을 분류하고 이에 대한 계획방향을 모색하는 것도 필요해 보인다. 또한, 간호간병 통합서비스의 권장사항에서는 구체적이지 않고 단순하게 미끄럽지 않은 바닥, 경사로 설치, 안전손잡이 설치 등을 권장하고 있어 설계 및 시공자에게 잘못된 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 병원시설은 일시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다수가 이용하는 점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이동 및 이용을 산정하고, 가능하다면 보조자의 도움을 받는 사람에 적합한 계획에 우선순위를 두고 계획방향을 설립할 필요도 있다.


4. 결론

본 연구는 간호간병 병동부의 디자인요소 및 고려사항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진행되었다.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사업을 수행하는 병원의 가장 큰 쟁점은 병실 내 간호영역 필요와 NS의 기능변화였으며, 특히 S-NS 필요에 의해 M-NS 기능의 축소가 예상되는 것이었다. 이는 병실 내 간호영역에서의 기능 산정과 이에 따른 사용자, 기능, 면적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기록 및 업무공간으로서 S-NS를 계획하고 그 위치는 병실 근처에서 병원의 실정에 적합한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간호제반실의 구성, 불합리한 배치로 인한 간호 동선이 길어지는 점이었다. 국외 지침을 분석한 결과, 간호제실은 청결물실, 오염물실의 분리가 우선되어야 하며, 이 두 물품 간의 흐름, 처리방식에 따라 보관장소의 위치, 동선의 분리가 요구된다. 특히 의료장비가 증가한 것은 장비의 규격과 사용처, 이용방법 등을 산정하여 이에 따른 치수와 실의 위치, 필요하다면 중량까지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처치실은 1인실이 아니라면 환자의 프라이버시 및 치유환경측면에서 확보할 필요가 있다

3) 병실 내 화장실은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며, 내과계의 경우 노인 환자가 많고, 외과의 경우는 수술 전후 신체적 기능변화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화장실은 예상되는 가장 심한 중증 장애에 즉, 보조자의 도움을 받아 이동 및 활동할 수 있는 사람을 우선순위에 두어 이들의 이동과 시설이용관점에서 상정된 시나리오에 따른 문, 통로, 화장실 사용 전반에 걸친 이동과 이용의 관점에서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병실에 부착되는 화장실은 일반 주택과 같이 계획되는 것이 위생기기를 구성하는 것이 환자의 치유환경에 도움을 줄 수 있으나, 손세정대의 사용 또는 샤워기 사용으로 인하여 다른 사람이 대변기를 사용할 수 없게 계획해서는 안될 것이며, 병실에서 사용하는 간이변기 등 오염물 및 폐기물의 처리를 병실 내 화장실에서 하는 것이 필요한지에 대한 설정과 이에 때한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 간호∙간병 통합서비스는 팀간호를 전제로 하며, 한 간호사당 담당하는 환자가 결정되므로, 팀간호의 활동을 산정하여 기본단위 클러스터를 통해 효율적인 간호배치, 환자의 프라이버시 및 쾌적성 향상, 적절한 물품의 배치, 청결물과 오염물의 분리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국내의 간호∙간병 통합서비스를 시행한 병원의 전반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를 분석하여 쟁점으로 도출된 국외 관련 지침의 항목만을 비교하여 한정적일 수 있다. 향후 국내 간호간병 병동부 쟁점에 대한 국외기준의 분석과 국내 실태조사를 통해 지침을 제시할 예정이다.


Notes
1) 유영민(2016), 1945년 이후 한국병원건축 병동부의 변화,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p.67 재구성
2) 김진현 외(2017),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운영성과 및 향후정책방향, 간호행정학회지
3) 박광옥 외(2017),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를 적용한 병동 간호사의 환자간호 경험. 간호행정학회지 재구성
4) 김명윤(2017), 백성욱 외(2015), 이현진(2016), 이현지(2015), 한석범(2017) 등
5) 병실의 과밀성은 줄어드나, 간호사의 과밀성은 증대한다.
6) 간호분야는 김진현 외(2017), 박광옥 외(2017), 윤은정(2017), 부은희(2016) 대상으로 함.
7) 건축분야의 문헌은 김명윤(2017), 백성욱 외(2015), 이현진(2016), 이현지(2015), 한석범(2017)을 대상으로 함.
8) 그러나 설계시에는 M-NS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기술하고 있다.
9) 터치다운 베이스는 간호테이블을 놓고 간호업무를 보는 장소이다.

Acknowledg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ICT & Future Planning. (No.2017R1C1B1007695)


References
1. 국민건강보험공단,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사업지침, 2016, Sep.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Guideline for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2016, Sep.
2. 보건복지부, 의료법 시행규칙 시설기준 개정안, (20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nforcement Regulations of Medical Law Facilities Standards, 2017, Feb.
3. 김명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사업지침에 따른 병동부 시설현황과 개선에 관한 연구 – 종합병원 병동부 간호업무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 (2017).
Kim, Myung Yun, “A Study on Present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the Facilities of the Ward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 for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 Focused on general hospital nursing work-”, University of Seoul, (2017).
4. 김진현 외,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운영성과 및 향후정책방향”, 간호행정학회지, 23권(3호), (2017).
Kim, Jinhyun, Kim, Sungjae, Park, Euntae, Jeong, Suyong, Lee, Eunhee, “Policy Issues and New Direction for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J Korean Acad Nurse Adm, (no.3), vol.23 (2017).
5. 박광옥 외,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적용한 병동 간호사의 환자간호 경험, 간호행정학회지, 23권(1호), (2017).
Park, Kwang-Ok, Yu, Mi, Kim, Jong-Kyung, ”Experience of Nurses Participating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J Korean Acad Nurs Adm, (no.1), vol.23 (2017).
6. 부은희 외, 포괄간호서비스 사업 운영성과 및 개선방안 연구,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연구소, (2015).
7. 백성욱 외, (2015), 공동간병인제도와 포괄간호서비스에 적합한 건축계획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제35권(2호), (2015).
Back, Sung-Uk, “A Study on Architectural Planning Fitted for Mutual Caregiver System and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Annual Conference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16, (no.2), vol.35 (2015).
8. 유영민, "1945년 이후 한국병원건축 병동부의 변화",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22권(4호), (2016).
Yu, Youngmin, "Change of Ward Design in Korean Hospital Architecture since 1945 ",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no.4), vol.22 (2016).
9. 이현지 외, “ S 공공병원 포괄간호병동내 공간 이용 및 동선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21권(1호), (2015).
Lee, Hyunji, “A Study on the Use and Circulation of Comprehensive Care Ward in S Public Hospital”,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no.1), vol.21 (2015).
10. 이현진,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위한 병동부 간호공간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대회, 제7권(1호), (2016).
Lee, Hyunjin, “A Study on Nursing Space of Wards for Comprehensive Care Services”,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2016, (no.1), vol.7 (2016).
11. 최광석 외, “병동부 시설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대회, 제8권(1호), (2017).
Choi, Kwangseok, Lee, Hyunjin, Kim, Cheonhaeng, Shin, Youngsung, Jung, Taewoo, Kwon, Soonjung, “A Study on the Facilitiy Guidelines of the Ward Hospitals,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2017, (no.1), vol.8 (2017).
12. 한석범 외,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위한 국내 공공병원 병동부에 대한 건축 계획적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6권(3호), (2017).
Han, Suk-Bum,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for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in Ward of Public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no.3), vol.26 (2017).
13. Department of Health, Health Building Note 04-01: Adult in-patient facilities, (2013).
14. Canadian Health care Facilities, CSA Standards,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