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Vol. 14, No. 5


[ Article ]
- Vol. 14, No. 5, pp. 111-116
ISSN: 2288-968X (Print) 2288-969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Oct 2014
Received 18 Sep 2014 Revised 24 Sep 2014 Accepted 26 Sep 2014
DOI: https://doi.org/10.12813/kieae.2014.14.5.111

Basic Study of new Hanok Style Public Buidings Design Trend Analysis

지속가능한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을 위한 디자인 요소 기초연구

Han-ok has been forgotten by rapid industrialization, however, recent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eco friendly architecture are increasing. Government is also processing various policies and research in Han-ok for historical reasons. Still Han-ok is considered as temporary discover stage not daily space. Moreover, previous weakness of Han-ok made it difficult to supply. There is a need to build new Han-ok style public buildings different from traditional or new Han-ok for revitalization of Han-ok. Moreover, development of new Han-ok style public buildings model are needed for the public which include updated concept and function. From public buildings model development and supply people can visit and explore Han-ok. Therefore Han-ok tradition can be modernized. In addition to this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mode of living can be developed and conserved. This research focuses on public buildings of Han-ok supplication and aims design elements and regional trend.


New hanok style, Public building, Type classification, Vitalization, Design trend, 신한옥형, 공공건축물, 유형분류, 구성요소, 활성화, 디자인트렌드

1.서론
1.1.연구의 배경 및 목적

국내 주거문화는 산업화와 인구의 밀집으로 무분별한 주택 공급으로 이어졌으며 아파트 위주의 주거문화로 정착되었다. 그러나 최근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과 친환경건축의 관심 증대로 인해 한옥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한옥의 건축양식을 바탕으로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한옥 건축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정부에서도 한옥의 활성화와 관련된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공사비 절감, 기술과 성능 향상, 현대 생활패턴의 적용 등 한옥 보급을 활성화 하기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한고 있다. 그러나 한옥은 일회성 체험의 건축에 머물러 있으며, 현대 주거문화의 일상적 공간으로의 인식은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한국 전통 주거문화와 양식을 보존, 발전시고 일회성 체험의 한옥이 아닌 일상생활의 한옥 보급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전통한옥, 신한옥과는 달리 많은 대중들이 이용하고 체험할 수 있으며, 대중적으로 파급효과가 큰 공공건축물을 대상으로 새로운 한옥의 개념과 기능을 할 수 있는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옥의 활성화 기반 구축을 위해 대중적으로 파급효과가 큰 공공건축물을 중심으로 한옥의 보급화, 활성화를 위한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의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의 디자인 구성요소 및 지역별 디자인 트렌드 분석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1.2.연구범위 및 방법

이 연구의 범위는 우선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이 많은 서울과 전라도, 경상도 지역을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그 다음 문헌과 인터넷을 통한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의 사례를 보면 목구조, 목구조+기타구조, 철근콘크리트 구조, 인테리어가 있으나 한옥의 미를 강조한 목구조, 목구조+기타구조로 범위를 한정하였다. 또한 청사의 경우 사례도 적고 현장조사가 어려워 제외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우선 이론적 고찰을 통한 신한옥형 공공건축물, 디자인트렌드의 정의 및 분석 기준을 설정 후 다음은 인터넷 검색을 통해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의 지역별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의 구조, 기능, 미에 따른 디자인의 요소와 특징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장 조사를 통한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의 디자인 및 특징을 분석하여 지역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2.신한옥형 공공건축물 및 디자인 트렌드의 정의
2.1.신한옥형 공공 건축물의 개념1)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의 개념은 현대 생활의 불편함으로 대중화되지 않은 한옥을 제한적 체험의 단계에서 기존 한옥을 새로운 개념으로 재해석하고 현대적 편의성에 부합하는 공공건축물을 통하여 한옥에 대한 인식전환과 보급으로 일상생활의 단계(생활밀착형)로 옮기기 위한 개념이다. 한옥의 구조, 기능, 전통미를 기반으로 현대적 편의성, 기능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전통미를 재해석한 요소, 현대건축의 기술 등을 반영한 한옥 형태의 생활 밀착형 공공건축물을 의미한다.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의 구성개념은 전통한옥, 현대건축, 신한옥이 가지는 구조, 기능, 전통미를 분석하여 ‘신한옥형’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의미하며, 전통한옥, 현대건축, 신한옥이 가지는 구조, 기능, 미를 가지는 건축물이 아닌 주변의 상황과 건축물 유형에 따라 다양한 건축물을 구성할 수 있다.

2.2.트렌드의 개념

트렌드(Trend)의 사전적인 의미는 동향, 추세, 경향을 말한다.2)

트렌드는 “도입-성장-성숙-쇠퇴‘의 과정과 유사한 속성을 가지고 있다. 즉 Fad(유행)처럼 갑작스럽게 등장하거나 일시적인 현상과는 구별되는 것으로, 일정한 방향성을 띠며 변해가는 속성이 있다. 따라서 미래의 트렌드는 과거 또는 현재의 사건이나 흐름을 분석함으로써 예측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모든 변화의 과정에는 예측 불가능한 변수가 존재하므로 외부의 작은 변화 요인에도 크게 영향 받지 않으며 일정시간 이상 지속될 수 있는 트렌드 정보가 제안되는 것이 일반적이다.3)

미국이나 유럽의 미래학자들이 말하는 트렌드는 다음과 같다.4)

1) 트렌드란 현재에 일어나는 변화 과정이다. : 마티아스 호르크스(Matthias Horx). 《미래, 진화의 코드를 읽어라.》의 저자

2) 그런 트렌드들은 이미 시작됐기 때문에 결코 피할 수 없는 필연적인 것임을 우리는 안다. 그럼에도 그런 트렌드들은 우리를 놀라게 할 것 이다. 왜냐면 근본적으로 그런 트렌드가 낳을 사건은 미리 정해져 있지만, 그 사건이 실제로 일어나는 시간, 그 결과와 효과 등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 피터 슈워츠(Peter Schwartz). 《이미 시작된 20년 후》 중에서

3) 아무도 트렌드를 창조할 수는 없다. 다만 관찰할 뿐이다. 그리고 트렌드를 변화시킬 수도 없다. 단지 트렌드를 믿는 사람들의 마음을 변화 시킬 수 있을 뿐이다. : 페이스 팝콘(Faith Popcom). 《클릭! 미래 속으로》 중에서

4) A trend is a change or development towards something new or different (트렌드는 새로운 것이나 뭔가 다른 것으로의 변화, 혹은 발달이다.) : 영영사전 《콜린스 코빌드 Collins Cobuild》의 ‘트렌드’에 대한 정의

상기 개용을 종합해봤을 때 트렌드란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과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본고에서도 이 같은 개념으로 트렌드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2.3.디자인 트렌드 분석의 기준

BC 25년경 로마의 건축가 비트루비우스(Vitruvius)의 건축십서(The Ten Books on Architecture)에서의 편리함(commodity), 튼튼함(firmness), 기쁨(beauty)을 기본으로 오늘날은 건축의 3대 요소로 기능(function), 구조(structure), 미(form)로 건축 양식의 특징을 분류하였다. 디자인 트렌드의 개념은 사회적, 기술적, 감성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사회적, 감성적 요인은 각각 기능(function)과 미(form), 기술적 요인은 기능(function)과 구조(structure)에 대입하여 분석할 수 있다.

Table-1은 전통건축, 현대건축, 신한옥의 구성요소를 나열한 도표이며, 이에 따라 신한옥형 공공건축의 디자인 분석의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전통건축, 현대건축, 신한옥의 구성요소를 구조, 기능, 미 나누어 분석한 후 각각의 건축 요소가 조화롭게 섞인 건축을 기준으로 한다.

Table 1. 
New hanok style public building’s elements
Divisi-on Contents
Structure Function Traditional beauty
Tradit-ional hanok Korean traditional wooden structure / Korean traditional wall (soil, straw, lime and so on) / Korean traditional roof structure (hip roof, the gambrel roof and so on) Traditional method → Incongruity in modern Traditional beauty (curve of roof), Natural beauty
New hanok Wooden structure (hardwood, collection tree) / Wall(improvement of efficiency) / Roof structure (improvement of efficiency) Improvement of efficiency, accommodate various program Succession of traditional beauty
modern archit-ecture Various structure (wooden, RC, iron framed and so on) Suitability in modern shortage of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beauty


3.신한옥형 공공 건축물 현황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의 국내 현황은 문헌, 인터넷(민원24, 국가한옥센터, 도시공간연구소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은 주로 서울지역 과 전라도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용도는 문화 및 집회시설, 교육연구 시설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한옥형의 공공건축물 중 주구조가 목재가 아닌 구조, 현장조사에 어려움이 있는 건축물(예: 어린이집, 공관), 인테리어를 제외하고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의 개념에 부합하는 건축물을 선정하여 현황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들 중 서울지역 9곳, 전라도지역 7곳, 경상도지역 6곳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건물은 설계개요(대지면적, 연면적, 규모 등)를 조사하고, 이들을 각각 지역, 유형, 용도별로 구분하여 적용현황 및 실태 조사·분석(공간구성, 이용현황 및 특성 등)을 실시하였으며, 디자인 트렌드 분석을 위하여 기능(function), 구조(structure), 미(form)의 전통과 현재의 건축 요소를 분석 하였다.

Table 2. 
New hanok style public building’s present state of application
No Image Name Address Use
1 Jongno-gu northern village culture center Seoul Jongno-gu Gyedong-gil 37 Commer-cial Facilities
2 Jongno-gu hyehwa-dong office Seoul Jongno-gu Hyehwa-ro 12 Commer-cial Facilities
3 Guro-gu glmaru hanok library Seoul Guro-gu Gaebong-dong 105-24 Educatio-nal facilities
4 Namsan traditional theater Seoul Jung-gu Pildong 2-ga 84-1 Culture & meeting facility
5 Mokmyeok sanbang Seoul Jung-gu yejang-dong san5-6 Commer-cial Facilities
6 Gardening in dadam Seoul Jung-gu Jangchung-dong 2-ga 197-27 Commer-cial Facilities
7 hohyeondang Seoul Jung-gu Hoehyeon-dong 1-ga 100-115 Commer-cial Facilities
8 moogaewon Seoul Jongno-gu Buam-dong 315-2 Culture & meeting facility
9 Dodam dodam library Seoul Jongno-gu Sungindong-gil 43 Educatio-nal facilities
10 Yeongsanjae Hotel Jeollanam-do Yeongam-gun Samho-eup Nabul-ri 292 accomm-odations
11 Rice museum Jeollanam-do Yeongam-gun Samho-eup Nabul-ri 304 Culture & meeting facility
12 Kim, chang-jo memorial hall Jeollanam-do Yeongam-gun Yeongam-eup Hoemun-ri 35-1 Culture & meeting facility
13 Samgye library Jeollanam-do Jangseong-gun Samgye-myeon Sachang-ri 427-7 Educatio-nal facilities
14 Bugi library Jeollanam-do Jangseong-gun Bugi-myeon Sageo-ri 634 Educatio-nal facilities
15 The portrait of a king museum Jeollabuk-do Jeonju-si Wansan-gu Pungnam-dong 3-ga 102 Culture & meeting facility
16 Sound Cultural Center Jeollabuk-do Jeonju-si Wansan-gu Pungnam-dong 3-ga Culture & meeting facility
17 Gunja Village Hall Gyeongsangbuk-do Andong-si Waryong-myeon Ocheon-ri 358-1 Commer-cial Facilities
18 Galgye-forest old village Village Hall Gyeongsangnam-do Geochang-gun Buksang-myeon Galgye-ri 1450 Commer-cial Facilities
19 Oksanseowonreli c museum Gyeongsangbuk-do Gyeongju-si Angang-eup Oksan-ri 7 Culture & meeting facility
20 Sancheong yulsuwon Gyeongsangnam-do Sancheong-gun Sindeung-myeon Dan-gye-ri, Culture & meeting facility
21 Gimhae hanok Experience Center Gyeongsangnam-do Gimhae-si Bonghwang-dong 425-13 Culture & meeting facility
22 Gyeongju millennium palace Gyeongsangbuk-do Gyeongju-si Sinpyeong-dong 719-70 accomm-odati ons


4.신한옥형 공공건축물 디자인 요소 현장 조사
4.1.지역별 용도 및 년도에 따른 디자인 요소 현장 조사 내용

최근 10년동안 건립된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의 구조, 기능, 미의 개념에 부합하며 전통적 건축요소와 현대적 건축요소가 적절히 혼용된 사례로써 서울 9사례, 전라도 7사례, 경상도 6사례, 총 22사례 중 각 지역별로 대표되는 5곳의 사례를 기재하였다. Table-3은 기능, 구조, 미의 요소를 전통건축요소와 현대건축요소로 구분하여 각 지역별 건축물의 특징을 조사한 도표이다. 디자인 요소는 전통 한옥이 가지고 있는 건축 요소와 이에 접목된 현대 건축요소를 각 항목으로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Table 3. 
New hanok style public building field survey by regional groups
Seoul Jeolla-do Gyeongsang-do
Mokmyeok sanbang hohyeondang Namsan traditional theater glmaru hanok library Dodam dodam library Sound Cultural Center Kim, chang-jo memorial hall Rice museum Samgye library Yeongsanjae Hotel Gunja Village Hall Galgye-forest old village Hall Sancheong yulsuwon Gimhae hanok Experience Center Gyeongju millennium palace
Use & year of completion Commercial facilities/2009 Commercial facilities/2012 Culture & meeting facility/2007 Education-al facilities/2011 Education-al facilities/2014 Culture & meeting facility/2011 Culture & meeting facility/2014 Culture & meeting facility/2014 Educational facilities/2013 accommodations/2011 Commercial facilities/2007 Commercial facilities/2009 Culture & meeting facility/2013 accommodations/2006 accommodations/2007
floors -1 foor
+1 foor
-1 foor
+1 foor
-1 foor
+1 foor
+2 foors +1 foor -1 foor
+1 foor
-1 foor
+1 foor
+2 foors +2 foors -1 foor
+2 foors
+1 foor +1 foor -1 foor
+1 foor
+1 foor -1 foor
+2 foors
structure post-lintel tradition wooden
modern concrete
steel
system
masonry modern brick
function rainwater pipe tradition nothing
modern gutter
ceiling tradition & modern exposure
finishing
windows and doors tradition wood frame
modern system
incoming light tradition nothing
modern skylight
atrium
sanitary arrangem-ents tradition outside
modern inside
receipt space tradition furniture
modern built-in
life pattern tradition sit-down
modern stand-up
disabled person tradition nothing
modern ramp
E/L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tradition ondol
modern floor heating system
installation
reclamation
basement tradition nothing
modern sat
parking space tradition nothing
modern sat
New Regeneration Energy tradition nothing
modern Sun E
others
beauty arrangement tradition ㄱ form
ㄷ form
ㅁ form
– form
丁 form
modern complex
roof tradition Matbae
Woojingak
Paljak
moim
complex
modern flat
eaves tradition single eaves
layer eaves
modern canopy
column tradition & modern prism
cylinder
curved column tradition min-hlim
bae-hlim
tradition & modern plain
cornerstone
outer wall pattern tradition sagosuk
jundol
natural stone
red clay
roof tile rubble
float stone
middle molding of a wall
outer wall pattern tradition & modern Brick
plain
windows and doors opening type tradition removable doors
windows and doors opening type tradition & modern hinged
sliding
Byeorakda-tyi
fixture
accordion
modern automatic
shepherd's plaid pattern tradition Ttisal
Mansal
bitsal
suitdaesal
Eogeum palmosal
ahjasal
Wanjasal
Beomsal
yongjasal
bulbalgi
soslsal
and so on
modern plain
window’s material tradition changhoji
modern glass
window’s layer tradition & modern single
double
floor’s type tradition daechong
nu
Parquet
toe
Deul
modern hall
floor’s material & pattern tradition
(wood)
wumul
jang
goal
modern
(various)
plain
wood
stone
and so on
stereobat-e’s shape tradition & modern single
double
stereobat-e’s pile method tradition natural stone Hutton
natural stone range work
Stone trim Hutton
Stone trim range work
modern concrete single-layer
concrete multi-layer
stereobat-e’s material tradition stone
jundol
clay
stone & jundol
modern concrete
flower step tradition being
modern nothing
fence’s shape tradition & modern independ-ence
subordina-tion
fence’s material tradition roof tile rubble
sagosuk
jundol
natural stone
red clay
modern brick
iron
concrete block
main gate’s shape tradition Pyeong
two posts and a roof
tall gate
modern subordina-tion
independ-ence
protrude
main gate’s material tradition wood
modern glass
iron
main gate’s method tradition wooden frame
modern system

4.2.지역별 용도 및 년도에 따른 디자인 요소 현장조사 종합

서울지역의 특화사항으로는 기능적으로 빗물받이의 사용, 들어걸개를 사용한 공간의 분할 및 확장, 미적으로 복합지붕과 한식 목창호 사용, 사고석과 전돌을 사용한 벽패턴이 나타났다. 전라도지역의 특화사항으로 구조적으로 시스템 구조 사용, 기능적으로 천장마감, 태양에너지 사용, 시스템 창호 사용이 나타났으며 미적으로 홑처마와 겹처마의 혼용과 외부는 원주, 내부는 방주 사용으로 나타났다. 경상도지역은 기능적으로 아트리움 활용과 붙박이 방식의 수납공간 사용이 특화사항으로 나타났다.

Table 4. 
characteristic of the region
The keynote of Seoul
structure - traditional beauty with exposed wooden structure
- using concrete in the grave
function - using a rainwater pipe
- mostly use wooden windows and doors frame
- convenience enlargement through the indoor sanitary arrangements
- use removable doors to extend & division of space
beauty - complex form of roof
- sagosuk & jundol on the wall
strong point - use the traditional material in windows and doors management of Precipitation using a rainwater pipe
weak point nonuse of renewable energy, low energy
scarcity of parking space
scarcity of facility for the handicapped
The keynote of Jeolla-do
structure - wooden structure for traditional beauty on the ground & using concrete in the grave
- shorten cost of construction & construction period through the system hanok
function -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by covering ceiling structure
- convenience enlargement through the indoor sanitary arrangements Energy scavenging by the sun
-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by using system windows and doors
beauty - mostly use the matbae & paljak roof
- the outside use cylinder, inside use prism
- the grade of building using eaves
strong point - shorten cost of construction & construction period through the system hanok method
- increasing environment friendly using new regeneration energy & system windows and doors
weak point nonuse of rainwater pipe
decreasing traditional beauty using glass
The keynote of Gyeongsang-do
structure - wooden structure for traditional beauty on the ground & using concrete in the grave
function - light’s flow in indoors use the built-in wardrobe
- mostly use wooden windows and doors frame
beauty - mostly use the matbae & paljak roof
- mostly use the single eaves
- mansal mainly appears at shepherd's plaid pattern
- mostly use flower steps
strong point - light’s flow in indoors using atrium
- enhancement of beauty & function efficiency using the built-in wardrobe
- traditional beauty in outdoors using flower steps
weak point scarcity of facility for the handicapped
nonuse of renewable energy
- low energy efficiency using wooden windows and doors frame


5.결론

본 논문에서는 신한옥형 공공건출물 활성화 기반구축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의 개념, 디자인 트렌드를 지역별로 분류하여 요소를 제시하였다.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의 구조적 특징으로는 목구조 기반의 복합구조의 사용이다. 기능적 요소로는 빗물받이의 사용으로 효율적 우수처리, 들어걸개를 사용한공간의 분할 및 확장, 한식 목창호와 시스템 창호의 혼용으로 전통미와 단열성능의 개선 등이 있다. 또한 태양에너지를 사용하여 친환경성능 높이고 아트리움을 통한 빛의 유입, 붙박이 방식의 가구사용을 들 수 있다. 미적 요소로는 전통재료를 사용하여 전통미를 나타내며, 처마와 기둥의 사용 방법과 스타일, 전통미를 느낄 수 있는 마당의 화계 등을 들 수 있으다. 또한 현대 건축요소에 전통건축 요소의 적절한 혼용을 통한 현대적 미, 전통건축 요소에 현대 건축요소의 혼용을 통한 복합 미를 들 수 있다.

한옥의 기능, 구조, 미를 기반으로 현대 생활환경에 적합하며, 전통 한옥의 개념을 재해석한 신한옥형 공공건축물로 한옥의 보급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전통한옥의 아름다움을 간직하면서 현대 주거성능에 적합한 건축물이어야 한다. 한옥 문화의 대중화와 보급화를 위해 새로운 관점의 한옥에 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디자인 요소를 바탕으로 한옥에 대한 인식전환과 효율적 보급을 위한 신한옥형 공공건축물 모델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의 개념에 해당하는 디자인 요소를 조사 하였으며 지역별 디자인 트렌드를 분석하였다. 사례의 제한의 요인으로 분석에 한계가 있으며, 향후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사례분석을 통하여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의 디자인트렌드 분석과 신기술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자 한다.


Acknowledgments

이 연구는 2013년 국토교통과학진흥원 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내용의 일부를 활용하였음. 과제번호:13AUDP-B070244-01


Notes

1)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의 구성요소와 분류기준에 과하 연구, 손지호, 정경윤, 박준영, 한국생태환경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4권 제 1호 (통권 26호) 2014

2) 메가트렌드의 형성요인과 디자인 트렌드 분석 : 패션 디자인의 관점과 20세기 후반 디자인 색채를 중심으로, 김현경,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2003

3) 디자인 트렌드 활용 체계, 김성열, 송은주, 박성주,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 85호 Vol.22 No.5, 한국 디자인 학회, 2009

4) 트렌드 워칭 : 미래를 읽는 9가지 기술, 김경훈, 리더스북, 2009


References
1. Son, Jo-Ho, Study on the Components and classification Criteria of New Hanok Style Publice Building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2014), 13(4).
2. Baek, Seung-Kwan, A Study on Legal System for Revitalization of 'Neo Han-ok' Public Buildi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2014), 13(4).
3. Yoon, Hyo-Jin, New Han-ok Appearance Design Elements and Application Characteristic Analysis, Inst. of. Ind. Journal Kyonggi Univ, (2011),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