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Vol. 20, No. 5


[ Research Article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 Vol. 20, No. 5, pp. 45-52
Abbreviation: J. Korea Inst. Ecol. Archit. And Environ.
ISSN: 2288-968X (Print) 2288-969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0
Received 13 Aug 2020 Revised 16 Sep 2020 Accepted 21 Sep 2020
DOI: https://doi.org/10.12813/kieae.2020.20.5.045

포항 법광사 석탑과 금당의 배치 분석
김찬영* ; 곽동엽**

Analysis of the Arrangement of Pagoda and Geumdang in Beopgwangsa Site in Pohang
Chan-Yeong Kim* ; Dong-Yeob Kwak**
*Lecturer; Instructor; Keijung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tage, South Korea (kcy3268@hanmail.net)
**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e, Daejin University, South Korea (dykwak@daejin.ac.kr)

ⓒ 2020. KIEAE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Purpose:

According to the excavation survey, the scope of the site extended to the current Geumdangji area in the 9th century and the pagoda was relocated. According to the excavation survey, the area of Geumdangji was extended to the current area of Geumdangji in the 9th century, and there was a change in the relocation of the pagoda. The pagoda was not identified in front of Geumdangji. As it is now, the pagoda is located in the west of Geumdang, and the layout of the pagoda's center appears to have been completed as it was relocated and rebuilt. These arrangements are also found in royal shrines and pagodas built outside the royal palace in the 7th and 8th centuries, including Goseon Temple Site, Changnim Temple Site, Hwangbok Temple Site, and Nawonla Temple Site. It appears to reflect a particular type of arrangement or complex religious inclinations at the time.

Method:

The pedestal of the first floor of the pagoda and its curved pedestal are inherited from the original royal pagoda of the 9th century. It can be seen as evidence that the unique style of decoration has been inherited by a group of experts or artisans in the construction of the pagoda.

Result:

During the reconstruction of the pagoda in 1747, there was a change in the construction of a shrine (Geumgang Stairway) and a chapel, Hyangrojeon, in front of the pagoda, imitating Tongdosa Temple, but it seems that the layout of the shrine in the east and the pagoda in the west remained the same.


Keywords: Excavation survey, Geumdangji, pagoda, Royal shrines
키워드: 발굴조사, 금당지, 석탑, 왕실 원당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포항 법광사지(法光寺址, 사적 제493호)는 영조 26년(1750)에 찬술한「법광사석가불사리석탑중수비」에 신라 진평왕(579년∼632년)의 원당으로 원효대사가 왕명으로 창건했고, 흥덕왕 3년(828) 7월에 건탑한 뒤 문성왕 8년(846) 9월에 석탑을 이건하면서 사리 22과를 봉안한 기록이 있다. 당시 법광사는 당우가 525칸으로 불국사와 함께 신라 대가람이었다. 그 뒤 흥망성쇠를 거듭한 뒤 조선 영조 22∼23년(1746∼1747)에는 석탑, 2층 금당, 5칸 대웅전만 남았다. 1747년에 석탑을 중수하고, 통도사를 모방하여 석탑 앞에 법당인 금강계단과 그 아래 예불소인 향로전을 건립해 전환기를 맞이하기도 했다. 철종 14년(1863)과 뒤이은 화재로 결국 폐사했다.

법광사에 관한 연구는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되었고, 1964년 석가불사리석탑연구, 1969년에 사지 실측조사, 1970년 석탑기 연구, 1992년 지표조사, 2010∼2017년에 사역확인을 위한 시굴과 발굴조사가 있었다. 조사결과, 금당지, 당간지주 영역에서 통일신라∼조선시대의 건물지 및 담장지, 석축 등이 수 차례 멸실·건축이 반복되었음이 확인되었다. 그 동안 법광사의 가람배치는 통일신라시대의 일반적인 1탑1금당과 달리 금당 서쪽의 높은 지대에 별도로 위치해 있어 후대의 변형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그간의 지표・발굴조사에서 석탑과 금당의 배치관계를 명확히 밝힌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발굴조사를 분석해 석탑과 금당의 위치로 본 배치관계와 동 시기 가람과 비교해 그 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했다.

1.2. 연구 방법 및 범위

그간 법광사에 관한 연구는 문헌 및 지표조사만 이루어져 통일신라시대 가람배치를 파악하기 어려웠다. 최근 발굴조사를 통해 통일신라시대 금당지와 건물지 그리고 석탑지의 위치 등이 밝혀져 추후 실증적인 분석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하지만 발굴조사 중간보고서 등에 당시 석탑과 금당의 배치를 명확히 분석한 것이 없으므로 본 연구방법은 선행연구와 함께 발굴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에 2장에서 현존 금당지와 석탑의 현황 및 특징, 3장에서는 발굴조사에 확인된 석탑과 금당의 배치관계를 동 시기 및 이와 유사한 배치의 가람과 비교해 어떤 특징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범위는 그간 발굴자료를 검토하되 금당지 영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그 외는 참고자료로 활용하였다.

1.3. 선행연구 고찰

법광사에 관한 문헌고찰은 박일훈1), 황수영2), 박남수3)의 연구가 있다. 이들은 회창(會昌) 6년(문성왕 8년, 846)4)에 작성된 것과 건륭(乾隆) 12년(영조 23년, 1747)5)에 작성된 「법광사석탑기」, 건륭 15년(영조 26년, 1750)에 찬술한「법광사석가불사리석탑중수비」6)를 분석 고찰했다[1-2].

흥덕왕 3년(828)에 건립된 석탑은 신라 하대 석탑 연구에 주요한 자료인 점, 성덕대왕(金鈞貞)이 사단월(寺檀越)이었다는 명문은 그의 가계에 속하던 왕실의 원찰이었다는 것과 그후 집권한 김균정의 직계인 신무·원성 등 제왕에 의하여 가호되었다는 점을 파악했다7). 또「법광사석탑기」를 통해 기존‘성덕대왕전(聖德大王典)’를 태부전(太傅典)처럼 성덕대왕과 헌강왕대왕을 추복하기 위한 관사8)로서 각각의 원당을 관리내지 제전(祭奠)를 관장하는 기능으로 파악했다[11]9). 즉, 회창 6년(846)에 석탑 이건은 동 사찰의 중창을 예비하는 사전조치로‘성덕대왕전’과 관련된 것이었다. 성덕대왕전의 향순은 법광사의 단월이었고, 법광사가 석탑을 이건할 무렵에 왕실 원찰로서 중창된 것으로 해석했다.


Fig. 1. 
Sukgabulsaritapjungsubi of Beopgwangsa Buddhist Temple Site


Fig. 2. 
Park Il Hun, Arrangement Plan


Fig. 3.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rrangement Plan

지표 및 실측조사는 박일훈의 「법광사의 석가불사리석탑비」, 동국대박물관의「신라법광사지 제1차 실측조사개요」, 국립경주박물관의 「법광사의 지표조사」가 있다[3]. 박일훈은 전 사역이 경지로 변한 곳에 대웅전지, 쌍귀부일좌, 당간지주, 석탑 1기, 석탑비, 석불좌상 2구, 예배석 1기를 확인했다. 특히 금당지를 대웅전지로 표기했고, 삼층석탑은 대웅전지의 남서쪽에 석가사리석탑비와 함께 위치한 것을 확인했다. 국립경주박물관은 사역 초입의 논 가운데 당간지주가 있고, 그 서북쪽의 밭 가운데 큰 불상대좌가 남아 있는 큰법당터를 확인했다. 큰법당터 동쪽 앞에는 남북 1열로 놓인 6개의 초석이, 서쪽에는 남북 1열의 초석을 확인했다. 큰법당터의 서북쪽 언덕 위에는 토담 속에 석탑과 비석이 위치하고, 그 동쪽에는 2열의 초석이 잔존하는데 이는 엄격한 가람배치가 흐트러진 뒤의 건물터로 보았다. 2010∼2017년에는 사역확인을 위한 시굴과 발굴조사가 있었다. 조사결과, 금당지, 당간지주 영역에서 통일신라∼조선시대의 건물지 및 담장지, 석축 등이 수 차례 멸실·건축이 반복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상, 선행연구는 문헌, 지표, 발굴조사가 있었으나 금당지・석탑과 동시기의 가람배치를 밝힌 연구 및 분석은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그간의 발굴조사 결과를 분석해 통일신라시대와 법광사지의 석탑과 금당의 배치관계를 비교해 그 특성을 밝힌 점이 특징이다.


2. 법광사 삼층석탑과 금당지 분석
2.1. 삼층석탑

「법광사석탑기」와「법광사석가불사리석탑중수비」를 통해 석탑은 조성(828)과 이건 및 사리봉안(846), 중수(1747) 등 일련의 시기적 변화가 있었다.

그간 연구에서 석탑은 흥덕왕 3년(828) 7월에 김정균 가계에 속했던 원찰에 건탑되었다. 839년에 신무왕이 왕위쟁탈전에 죽은 선친 김정균을 성덕대왕으로 추봉했고, 신무왕의 아들인 문성왕 8년(846) 9월에 석탑을 이건하면서 사리 22과를 봉안했다. 조선 영조 22∼23년(1746∼1747)에 석탑을 중수하고 사리 22과를 재봉안했고, 통도사를 모방해 석탑 앞에 법당(금강계단)과 예불소(향로전)을 건립했다. 즉 법광사는 신라 하대 왕위쟁탈전 시기에 진평왕 직계로 피살된 김정균 원당으로 건립된 뒤 신무·문성·헌안 등 이후 집권 제왕들의 명복을 비는 발원과 지원이 이루어진 왕실 원당이었다10).

이는 당시 왕실의 원당 건립 성격과 기복석탑(祈福石塔)11)의 유행이 경향각지(京鄕各地)에 이루어졌던 추세와도 무관하지 않다12).한편 왕족 원당 중에 건탑한 후 불상·사리 등을 석탑에 봉안한 예는 황복사지 삼층석탑13), 창림사지 삼층석탑14)[11] 도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국왕 및 왕족, 호족의 원당 및 건탑은 9세기대 석탑의 전국화 현상과 맞물려 다양한 계층으로 확산되던 시기에 이루어졌다[4]15).


Fig. 4. 
Three-story Stone Pagodas of Beopgwangsa Buddhist Temple Site


Fig. 5. 
a-Changrimsa, b-Donghwasa, c-Sangjusa, d-Dopiansa

법광사 삼층석탑16)의 조형적 특징은 이중기단의 초층 탑신받침에 별석받침과 굽형괴임대를 둔 것이다. 특히, 이중 굽형괴임대는 창림사 삼층석탑(8세기대)을 필두로 법광사 삼층석탑(828),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863년), 도피안사 삼층석탑(865년), 성주사 4기의 석탑(9세 후기)으로 계보를 잇는다. 이들 석탑은 국왕 및 왕족 또는 그들의 적극적인 비호하에 있던 지방호족 원당에 건립된 9세기대 석탑에 공통점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또 초층탑신 사리구(납석·청동재 사리호를 매납한 법광사・동화사 비로암・취서사 삼층석탑, 발원탑기의 창림사지 삼층석탑)를 갖춘 특징을 갖는다. 9세기대 석탑은 초층탑신에 사리안치와 초층탑신 및 상·하층기단에 장엄조식이 유행했다17). 창림사 삼층석탑을 제외한 법광사 삼층석탑,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도피안사 삼층석탑, 성주사 석탑에는 상층 기단면석에 장엄조식이 없는 점이 또 하나의 특징이다. 9세기대 다양한 계층으로 번진 건탑과 다양한 장엄장식이 유행하던 시기에 국왕 및 왕족의 원탑은 건립주체 및 성격만큼이나 봉안물, 조형양식에서 시기적 특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2.2. 금당지

금당지는 내·외진부를 벽체로 구분된 내외진 이중식18)의 回자형 감실형 평면이라고 하는데, 내진주사이에 벽체를 둘러 불상 봉안부를 폐쇄적인 감실로 조성했다19) .내진주 사이에 불전을 설치한 것은 내진주 전체를 감실로 만든 다음 감실 안에 오로지 불보상만을 봉안하고, 내진벽과 외진주 사이에는 요잡을 위한 공간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즉 요잡이라는 예불 행위를 함께 고려하여 내·외진 이중형식의 불전을 만든 것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내·외진에 출입문과 기단에 전·후면 또는 사면에 계단을 설치하기도 했다. 국립경주박물관 지표조사에서 기단 지대석 위에 전돌 쌓은 전축기단 일부를 확인했다. 무너진 뒤채움부에서 고려·조선시대 와편이 확인되어 전축기단인지, 가구식기단에서 전축기단으로 바뀐 것인지는 알 수 없다20). 금당지에서 녹유전이 수습되었다. 녹유전은 영묘사지, 황룡사지, 사천왕사지, 감은사지, 천룡사지, 부석사 등 당시 높은 사격의 사원에서만 사용된 예가 있다. 녹유를 분석한 결과, 부석사, 천룡사지의 납동원소비와 동일 그룹을 형성했다[5]. 통일신라시대의 녹유전돌의 녹유는 사용 원료 및 제조 방법은 동일하나 두 개 지역에서 납광석을 입수하여 제작한 것으로 밝혀졌다. 같은 성격의 녹유전이 여러 사찰에서 발견된 것으로 보아 녹유전돌 생산을 위한 제작소가 별도로 마련하고 공급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21).


Fig. 6. 
Plan of the Geumdang (a-Hwangryongsa, b-Geodonsa, c-Yeongamsa, d-Beopgwangsa, e-Hwaeomsa, f-Fig. 21. No. 9 Temple in Sanggyeong Fortress Balhae)

통일신라시대의 回자형 감실형 금당은 법광사지 금당(9세기)22), 영암사지 금당(9세기)23), 화엄사 각황전(삼국, 1702년 중건)24), 발해 상경성 제1절터(8∼9세기)25)처럼 내·외진에 모두 벽체로 구성했다26). 금당의 평면 규모는 동일한 예가 없고, 정·측면 규모는 황룡사 중금당(통일신라)27)과 거돈사지 금당(나말여초)28), 발해 상경성 제1절터보다는 작고, 영암사지 금당, 발해 상경성 제9절터(8∼9세기)29)보다는 큰 중간 규모이다. 정·측면의 평면비는 1:0.9로 영암사지 금당 1:0.94와 비슷하다30). 주칸 설정은 어칸〉협칸〉퇴칸 순으로 거돈사지 금당과 동일하다. 또 내진의 중앙에 사천주와 그 중앙에 독존 불대좌를 안치하고, 사천주 후면 기둥간에는 후불벽을 설치했다. 내진 중앙에 독존 불대좌는 거돈사지 금당, 영암사지 금당에 보이지만 내진에 사천주와 후불벽이 확인된 예는 없다. 한편 내진 고맥이석 상면 치수로 본 내진 벽체의 폭은 180mm로 거돈사지 금당 240mm, 영암사지 금당 260mm, 황룡사 중금당 300∼550mm에 비해 작고, 발해 상경성 제1·9절터 150mm보다는 크다31) .

건물 상부 가구구조는 주좌·주흔의 직경으로 비교검토한 결과, 내진이 외진보다 큰 경우로 황룡사 중금당, 거돈사지 금당과 동일한 양상이다. 이는 가구 및 구조적으로 내진고주를 사용한 대량식의 가구유형 중에 청당식(廳堂式) 구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9]32).


Fig. 7. 
Remains Arrangement Drawing of Excavation Survey Ⅵ


3. 석탑과 금당의 배치 분석
3.1. 입지 및 대지조성

법광사지는 경주시내에서 북쪽 30㎞지점에 위치한 신광면 비학산(762.3m) 정상에서 북동쪽의 주능선에서 뻗은 가지능선 말단부인 해발 179m∼206m에 위치한다. 비학산은 신라시대 소사(小祀) 중 하나인 비약산(非藥山, 退火郡)으로 비정하기도 한다. 또 신광면33)은 왕경에서 북쪽의 안강을 지나 북방 진출로인 왕경북로의 길목에 해당된다. 또 왕경을 침입한 왜병의 퇴각로상에 전투지이기도 했다. 따라서 법광사지가 위치한 신광면은 신라의 북방 주요 교통로였을 뿐만 아니라 군 요충지로 특별한 의미가 있었던 지역으로 추정된다.

법광사지의 대지조건은 산으로 둘러싸인 골 깊은 골짜기 끝에 사역 서쪽에서 동류하는 개천과 맞닿아 있고, 동남쪽으로 열린 계단식 곡간평야와 멀리는 동해까지 조망되는 좌향을 취한다. 사역은 비학산 동록의 산자락을 계단식 대지를 조성한 뒤 주요 전각을 서→동쪽으로 배치했던 것으로 보인다.

사역은 금당지 동쪽의 당간지주 구역은 담장으로 구획된 당간지주를 중심으로 남·동쪽으로 인접하여 교란 및 중복 건물지와 동쪽으로는 연지, 서·북쪽에서도 건물지가 각기 확인되었다. 특히 이곳의 건물지에서 고식 단판연화문수막새와 단각고배 등이 출토되어 문헌상에 진평왕 원당이란 창건설과 관련된 창건기 사역으로 추정된다. 창건기 추정 사역에서 약 100m지점의 서쪽에 현 금당지 영역이 위치하고, 금당지 남서쪽 30m 지점에 삼층석탑이 위치한다.


Fig. 8. 
Beopgwangsa Site


Fig. 9. 
GoseonSa Site


Fig. 10. 
Nawonrisa Site


Fig. 11. 
Changrimsa Site

현 금당지과 삼층석탑 주변영역은 창건기 이후의 통일신라시대 극성기에 조성된 산지가람의 사역으로 추정된다. 그간 발굴조사에서 창건기 사역에서 지금의 금당지쪽으로 사역을 옮겨 525칸 당우의 대가람을 이룬 극성기를 맞았다. 사역의 이동에 맞춰 석탑도 이건하고 사리를 봉안했다. 다만 금당지 주변 발굴조사에서 석탑지가 확인되지 않았다. 금당 서쪽 언덕 위에 있는 석탑구역의 발굴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단언하기는 이르다. 하여튼 금당지 전방에서 석탑지가 발견되지 않아 지금처럼 석탑이 금당과 별도의 영역에 위치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고려・조선시대에 사역의 확장・축소와 전각의 멸실・건축 등 흥망성쇠가 여러 차례 반복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금당지와 동시기유구로는 남서쪽 언덕에 삼층석탑, 동쪽(전방)에 凹자형 석축, 금당 서쪽(후방) 언덕(숭안전 터) 위에 ㄷ자형 대형건물지 등이다. 고려・조선시대에 凹자형 석축 앞과 북쪽으로 각기 사역을 확장하여 전각 및 시설이 배치되는 등 사역의 변화가 있었다[12-16].

3.2. 석탑과 금당의 배치관계

현재 석탑 구역은 미발굴지로 그간 발굴에서 금당지 전방에서 석탑지가 확인되지 않았다. 금당지 전방이 아닌 별도의 위치에 석탑34)이 존재하는 1탑1금당형식으로 추정된다35). 건탑(828)후 18년 뒤에 이건(846, 사리봉안)되면서 금당과의 배치내지 배치형식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즉 지금 석탑이 금당지보다 좀 더 높은 후방(서남쪽)에 떨어져 별도로 위치하고 있는 것이 856년 석탑 이건과 사리봉안 당시의 위치로 추론해 볼 수 있다. 금당지 영역의 발굴결과에서 금당지 관련 유구는 전방 20m지점에서 지형에 맞춰 잔존 길이 51m, 양단부 높이가 2m내외로 축조한 凹자형 석축이 있다. 금당지와 동일 축선으로 축조한 一자형 석축에 양단부가 대칭으로 돌출된 凹자형을 이룬다. 금당지에 남은 초석, 고맥이 등의 가공 수준과 달리 석축은 자연석을 다소 엉성하게 축조한 점이 사뭇 대비된다36) 凹자형 석축은 고려시대 이후로 사역 확장에 따라 성토매립하고 그 위에 후대 건물지 및 시설이 조선시대까지 반복해 들어섰다.


Fig. 12. 
Hwangboksa Site


Fig. 13. 
Excavation Survey of Hwangboksa Site

금당 전방의 凹자형 석축 예는 불국사와 영암사지가 있다. 2탑1금당식인 불국사는 대웅전영역의 동·서 회랑 각 남단에 돌출된 석축 겸 기단에 좌경루와 범영루를 두었다. 1탑1금당식인 영암사지의 창건기 가람에 석탑 전방의 동회랑 석축과 양단에 이런 돌출부가 남아 있다. 이들 석축은 산지가람에 중심영역의 위계성 및 대지와 공간 연출기법의 하나로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석축 양단의 돌출부의 기능에 대해서는 명확치 않다(Fig.14. 참조). 凹자형 석축의 축조재료 및 쌓기법은 불국사(8세기)가 가공석+자연석 조합에 쐐기돌37) 사용, 영암사지(9세기)는 가공석(장대석)+쇄기돌을 공통적으로 사용한 반면 법광사지는 자연석 허튼층쌓기로 왕경에 버금가는 건축 석부재가 사용된 것과 비교된다.


Fig. 14. 
Masonry Retaining Wall 凹-type of Beopgwangsa Site


Fig. 15. 
Masonry Retaining Wall 凹-type


Fig. 16. 
Stone Pagoda and Building Site

출입동선은 불국사가 석축 중앙의 청운·백운교 계단을 통한 정면진입 방식, 영암사지는 凹자형 석축의 북단과 남단의 회랑 2곳을 통한 정·측면진입 방식이다. 법광사지 凹자형 석축에서 출입시설이 확인되지 않아 영암사지와 유사한 출입동선으로 추정된다. 또 하나 법광사지에서 주목되는 것은 타 가람처럼 금당 주위에 회랑이 확인되지 않았다. 후대 멸실된 것인지는 명확치 않다. 이처럼 법광사지 금당지 영역에서 큰 특징은 석탑이 금당보다 지형상 높은 서쪽 지대에 별도로 위치한 점, 凹자형 석축, 회랑이 확인되지 않은 점, 금당 전방에 석탑지가 확인되지 않은 점 등이다. 1747년에 5칸 대웅전, 2층 금당, 석탑만 남은 상태에서 석탑을 중수하고, 통도사를 모방하여 석탑 앞에 법당(금강계단)과 예불소인 향로전을 건립했다. 이런 기록을 보면 18세기까지 석탑은 금당과는 별도의 영역을 이루었고, 전방에 법당, 향로전을 지을 만큼 공간이 존재했음을 암시한다.

석탑 전방 구역의 발굴조사에도 18세기에 지은 향로전으로 추정되는 건물지와 담장이 확인되어 이를 일부 뒷받침해 주고 있다. 따라서 법광사의 석탑과 금당의 배치는 창건기 이후로 9세기대 중심사역이 이동할 때 석탑을 이건하여 사리봉안과 함께 당시 왕실 원당처럼 석탑, 금당이 별도의 영역을 이룬 동당서탑배치형식의 탑원식 가람된 것으로 보인다.

통일신라시대의 가람배치는 1탑1금당이 주류로 금당 전방에 석탑이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당시 동당서탑 배치형식의 탑원식 가람배치는 특별한 예라 할 수 있다. 법광사 연혁으로 창건기-중창기-쇠퇴기라는 일련의 과정으로 볼 때, 중창기에 창건기 사역에서 지금의 금당지 위치로 사역과 석탑을 옮겼다. 석탑을 이건할 때 금당지 전방이 아니라 다른 위치로 옮겨 별도의 영역을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석탑 속에 사리를 봉안하게 된 목적과 의미(왕족의 명복이나 현세를 축원)는 금당과는 다른 차원의 숭앙과 영역이 필요했던 결과로 보여진다[5].

통일신라시대에 1탑1금당식이면서 금당지와 석탑이 병렬 또는 별도로 배치된 탑원식 가람배치의 예는 많지 않다[6]38). 고선사지(7세기)39), 황복사지(7세기 말), 나원리사지(8세기), 창림사지(8세기) 등이 있다[7]. 이중 창림사지, 황복사지의 건탑은 국왕 및 왕족이 주도한 원탑이다. 창림사 무구정탑원기」의 조성은 당시 분열되고 반목하였던 정치세력의 화해와 대민위무라는 국왕의 숨겨진 의도를 정토신앙이라는 불교사상으로 승화시킨 것이다[10]. 9세기대 1탑1금당으로 석탑과 불상이 동등한 존숭의 대상으로 유행할 때 동당서탑 배치형식의 탑원식 가람배치는 차별성이 뚜렷하다. 이는 국왕 및 왕족의 원당에 적용된 당시 하나의 배치유형일 가능성과 종교적 성향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결과일 수도 있다[7, 8]40). 1탑1금당식에 동당서탑의 가람 배치유형은 7∼8세기대에 주로 국왕 및 왕족의 원당에서 주로 확인된 점을 고려하면, 법광사도 왕실 원당임을 감안할 때 동당서탑 배치형식의 탑원식 가람배치였을 것으로 추론된다. 이런 가람배치의 변화는 창건기 이후 지금의 금당지 영역으로 사역 이전 및 석탑을 이건해 왕실 원당으로 중창기를 맞이한 9세기대에 계획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석탑영역의 미발굴로 추후 발굴결과가 이루어지면 보다 명확히 밝혀질 것으로 기대된다.


4. 결론

그간 법광사에 관한 문헌연구와 지표조사에서는 석탑과 금당의 배치관계는 일반적인 1탑1금당의 변형으로 알려져 왔다. 최근에 7차에 걸친 발굴조사와 발굴중간보고서가 발간됨에 따라 석탑과 금당의 배치관계를 밝혀 볼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발굴중간보고서에 석탑과 금당의 배치에 관한 연구분석이 제시되지 않아 본 연구는 그간 선행연구와 금당지 영역의 발굴조사 결과를 분석해 석탑과 금당의 배치관계를 밝혀 보고자 했다.

발굴조사결과, 금당 앞에 석탑을 둔 통일신라시대의 일반적인 1탑1금당의 배치형식이 아니라 지금과 같은 동당서탑 배치형식의 탑원식 가람배치로 추정된다. 현재 동당서탑 배치형식의 탑원식 가람배치는 고선사지, 창림사지, 황복사지, 나원리사지 등 7∼8세기 신라 왕경 외곽에 국왕 및 왕족의 원당으로 알려진 소수 예가 있다. 이들 배치형식에서 석탑은 금당보다 높은 지대에 위치한 점, 석탑에 사리 및 명복기원 사리호 등을 봉안해 금당과 동등한 장엄성을 갖춘 공통점을 갖고 있다. 또 법광사 석탑처럼 9세기대 국왕 및 왕족의 원탑에만 확인되는 초층 탑신받침과 굽형괴임대의 독특한 장식을 갖고 있다. 이는 원탑 조성에 전담 조직 내지 특수 장인집단에만 전승된 고유한 조형장식의 하나라고도 볼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법광사는 9세기대 치열한 왕권쟁탈전 이후에 신무왕・문성왕・헌안왕대로 이어진 왕실의 안녕과 선대의 명복을 빌기 위한 왕실 원당으로 이전시기에 국왕 및 왕족의 원당과 원탑의 장엄법식, 배치유형을 계승한 것이라 하겠다. 즉「창림사 무구정탑원기」의 조성처럼 분열되고 반목하였던 정치세력의 화해와 왕실의 번영을 정토신앙이라는 불교사상으로 승화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당시 가람의 보편적인 1탑1금당의 배치형식과는 다른 왕실 원당과 같이 특별한 가람에서만 적용된 독특한 배치 유형과 석탑의 장엄조식으로 차별화해 계승한 것이라 하겠다.

고려・조선시대에 들어 사역의 확장과 축소, 전각의 멸실과 건축이 반복되면서 가람배치에 변화도 많았다. 1747년에 금당과 대웅전만 남은 상태에 석탑을 중수하고, 통도사를 모방해 석탑 전방에 법당(금강계단)과 예배소인 향로전을 건립하는 변화가 있었다. 하지만 9세기대 동당서탑 배치형식의 탑원식 가람배치는 조선후기까지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본 연구가 발굴조사를 분석했고, 석탑 구역이 미발굴지로 금번 석탑과 금당의 배치관계의 추론에는 한계가 있었음을 미리 밝혀둔다. 추후 석탑 영역의 발굴조사와 추가 내용이 밝혀지면 그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수정 보완하고자 한다.


Notes
1) 박일훈, 법광사와 석가불사리석탑비, 미술사연구, 미술사학회, 1964
2) 황수영, 신라 법광사 석탑기, 백산학보 8, 백산학회, 1970
3) 박남수, 「법광사석탑기」와 어룡성의 원당 연구, 한국고대사연구, 한국고대사학회, 2013
4) 석탑지석 규격은 길이 10.8㎝, 폭 4.0㎝, 측폭 1.5㎝, 자경 0.5㎝이다. 내용은 측면 法廣寺石塔記, 전면 會昌六年丙寅九月移建兼脩治願代代 檀越生 淨土 今上復命長遠 측면 內舍利廿二枚 上座道興 후면 大和二年戊申七月香照師圓寂尼捨財建塔寺檀越聖德大王香純
5) 규격은 길이 6.2㎝, 폭 2.7㎝, 측폭 1.5㎝, 자경 1㎝이다. 기문은 측면 法光寺石塔記 乾隆二十年丁卯二月日重修 측면 主事明玉淡學 후면 康熙三十七年戊寅七月寺中重修 저면 刻大信
6) 1747년 중수시 법광사 가람의 규모를 적었다. 신라의 호화로운 525칸의 당우는 모두 퇴락하고 대웅전 5칸, 2층 금당, 5층 석탑만 남아 있다고 했다. 또 개석탑과 사리구의 발견 사실 및 그 내용물을 상세히 기록해 두었다. 특히 개석탑할 때 석탑에서 나온 22과의 사리는 대웅전에 옮겨 모셨다가 수선 후에 2층 속에 재봉안하였다는 내용이다.
7) 황수영 앞 글
8) 관사에는 승려와 속관이 배치되었다. 숭복사의 사례로 보아 속관은 기강을 확립하는 정리(淨吏), 승려는 불경을 수지하는 개토(開土)내지 선대왕의 명복을 비는 숙덕(宿德)에 상응하는 것으로 보았다.
9) 박남수, 앞글. 문성왕이 선왕 신문왕의 유지를 이어 법광사를 성덕대왕의 원찰로 삼고자 중창하면서 향순으로 하여금 석탑의 이건에 관여하게 되었고, 이에「법광사석탑기」에‘사단월성덕대왕전향순(寺檀越成德大王香純)’의 기사가 전하게 된 것이 아닐까 했다.
10) 신라 42대 흥덕왕(?∼836) 사후 종제 김균정과 5촌조카인 김제륭이 왕위를 놓고 대립했다. 이때 시중 김명과 아찬 이홍·배훤백 등은 제륭을 받들고, 아찬 김우징은 조카 김예징 및 김양과 함께 그의 아버지 김균정을 받들어 서로 싸웠다. 이 싸움에서 김균정이 전사(흥덕왕 11년, 836)하고, 김양은 김우징은 함께 도망쳤다. 김제륭이 왕위에 올랐는데 그가 신라 43대 희강왕(재위 836∼838)이다. 838년 김명과 이홍 등이 난을 일으켜 측근자를 죽이니 희강왕은 목을 매고 자결했다. 그 후 김명이 왕위에 오르니 그가 신라 44대 민애왕(즉위 838∼839)이다. 즉위한 해에 김우징이 청해진 대사 장보고(張保皐)의 지원을 받아 쳐들어오자 패하고 살해되었다. 김우징(재위 839)은 신라 45대 신무왕이 되어 839년 즉위 후 할아버지를 혜강대왕(惠康大王), 아버지를 성덕대왕(成德大王), 어머니를 헌목태후(憲穆太后)로 각각 추봉했다. 신무왕 아들이 신라 46대 문성왕(재위 839∼857)으로 즉위했고, 신라 47대 헌안왕은 신무왕의 이복동생이자 문성왕의 삼촌이었다. 그는 흥덕왕 때부터 선왕인 문성왕에 이르기까지 나타났던 왕실 친족 내부의 치열했던 권력 투쟁이 어느 정도 마무리된 후 왕위에 올랐다. 즉위하기 전부터 불교 신앙이 깊어서, 성주사(聖住寺) 시주인 낭혜화상(朗慧和尙) 무염(無染)의 제자를 자처했고, 즉위한 뒤에도 수시로 자문을 받고 불교를 통치의 기본 이념으로 삼고자 했다. 신라 48대 경문왕(즉위 861∼875)은 희강왕의 손자로 선대왕 헌안왕이 아들 없이 죽자 사위의 자격으로 왕위에 올랐다.
11) 9세기대 국왕 및 왕족, 호족의 원탑 예로는 문성왕 17년(855)에 경주 창림사 삼층석탑(문성왕), 경문왕 10년(870)의 보림사 삼층석탑(헌안왕), 경문왕 3년(863) 동화사비로암 삼층석탑(애장왕)은 국왕의 원탑, 경문왕 5년(865) 도피안사 삼층석탑, 경문왕 7년(867) 봉화 취서사삼층석탑 등은 중앙 및 지방호족의 원탑으로 알려져 있다.
12) 9세기대 초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는 팔공산 동화사는 김정균과 대적한 뒤 모두 최후를 맞은 민애왕의 공양석탑인 동화사 비로암삼층석탑 남아 있다. 1층 옥신에서 나온 납석제 사리호의 표면에 敏哀大王追崇福業造石塔記…… 時咸通四年 歲在癸未無射之 月十日記" 등의 명문이 있다. 경문왕 3년(863)에 신라 민애왕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건립된 석탑임을 알 수 있다
13) 황복사지 삼층석탑은 효소왕(재위 692∼702년)이 선왕인 문무왕의 장자인 신문왕(681∼692)의 명복기원을 위해 건립했다. 그 뒤 효소왕이 아들없이 죽자 화백회의에서 추대된 신문왕 차자인 성덕왕(재위: 702∼737)이 706년에 사리와 불상을 봉안하고 두 왕(효소·신문왕)의 명복을 기원했다.
14) 강재광, 文聖王代의 政局과「昌林寺 無垢淨塔願記」造成의 정치적 배경, 한국고대사탐구, 2011. 문성왕은 장보고가 암살된 841년 11월 이래 오랜 세월에 걸쳐 청해진세력을 최종 진압하였던 재위 8년(846)에 이르러 「法光寺石塔記」를 새겨 祖父 金均貞의 淨土往生을 기원하는 한편 均貞系의 왕위계승을 정당화하였다. 한편 청해진 잔존 세력을 碧骨郡으로 이주시켰던 재위 13년(851)에는 唐나라로부터 佛經과 佛牙를 들여와 불교를 진흥시키는 한편 민심을 위무하고 왕실의 위엄을 드높이려 하였다. 이후 재위 17년(855)에 이르러 昌林寺에 「無垢淨塔願記」를 조성하여 왕권의 신성함과 우월함을 대내외에 천명하였다. 아울러 4차례의 반역사건에 연루되어 희생된 자들과 대재해ㆍ기근을 당해 사망한 백성들의 死後淨土往生을 기원하였다. 「창림사 무구정석탑원기」의 조성은 분열되고 반목하였던 정치세력의 화해와 對民慰撫라는 국왕의 숨겨진 의도를 정토신앙이라는 불교사상으로 승화시킨 것이었다.
15) 박경식, 8·9세기 신라석탑의 비교 연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97
16) 삼층석탑은 이중기단과 3층 석탑신부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높이는 3.5m이다. 하층기단은 지대석, 저석, 면석, 갑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석에는 우주와 1주의 탱주가 있고, 갑석은 부연없이 상면에 2단 괴임만이 있다. 상층 기단면석은 우주와 1주의 탱주가 있고, 갑석에는 1단의 부연과 4단의 괴임이 있다. 1·2층 석탑신석은 우주가 있으 며, 1층 석탑신석에 비해 2층 석탑신석의 높이가 현저하게 낮 다. 1·2·3층 옥개석은 모두 5단의 옥개받침과 물끊기 홈을 갖추고 있다. 3층 석탑신석과 노반, 복발은 새로 조성 한 것이다. 석탑 내에 있던 석탑지석 2점과 사리호 2점은 도난당했었는데 1968년에 발견되었다. 석탑은 이후 2층만 잔존하던 것을 1952년에 법광사를 창건한 이벽허스님이 비문을 보고 5층으로 복원한 것을 재차 삼층으로 복원정비했다.
17) 박경식, 앞 글. 8세기 석탑에 조식된 장엄은 비천, 감실, 십이지, 인왕 4종으로 장항리 오층석탑, 원원사지 삼층석탑에서 볼 수 있다. 9세기 석탑에는 사천왕, 인왕, 팔부신중, 사방불, 보살, 십이지, 비천, 감실, 문비, 안상 등 10종류의 장엄조식은 사리의 수호내지 공양의 의미를 가진다.
18) 금당지는 약 20×20m 정도의 방형 토단 위에 건물지 중심에는 불상대좌가 있고, 대좌 주위로 4기의 사천주 초석이 있다. 외진부는 5×5칸 규모로 동향하고 있다. 정면은 어칸 3.6m, 협칸 2.8m, 퇴칸 2.2m이고, 측면은 어칸 5.1m, 협칸 2.7m, 퇴칸 2.2m이다. 남·북쪽면에 계단지가 있다고 하나 현재 지표상에서 보이지 않는다. 불상대좌는 사천주 중앙에 하대석과 중대석만 세워져 있고, 상대석은 옆에 뒤집혀 있다. 하대석은 2매로 구성되어 있고, 크기는 직경 242㎝, 높 이 73㎝이다. 하대석 하단에는 16매의 안상이 돌아가면 새겨져 있고, 그 위에 복련이 조각되어 있다. 상면에는 각호·각형의 3단 괴임이 있다. 한편 괴임부분 한쪽에는 광배를 세웠던 흔적으로 추정되는 너비 40㎝의 홈이 파여 있다. 중대석은 직경 120㎝, 높이 55㎝의 원통형이며 8주의 우주가 새겨져 있다. 상대석은 바닥에 떨어져 뒤집혀 있고, 파손이 심해 형태를 알 수 없다. 현재 크기는 160×120㎝, 두께 78㎝이다.
19) 우리나라 통일신라시대의 경주 황룡사 중금당지, 합천 영암사지 금당지, 원주 거돈사지 금당지와 발해 상경용천부 제1·8절터(8∼9세기), 구례 화엄사 각황전(통일신라∼조선), 남원 만복사 서금당(고려)·동금당(조선), 일본 천원사 중금당(7세기), 본약사사 금당(7세기), 약사사 금당(나라시대, 1971년 재건), 법륭사 금당(아스카시대, 1954년 재건), 중국 불광사 동대전(857년), 융흥사 마니전(1052년), 영락궁 삼청전(1262년), 북악묘 덕녕전(1270년) 등이 알려져 있다. 내외진 이중형식이지만 내·외진부가 벽체로 구분되지 않는 경우는 영축사지 금당지, 간월사지 금당지, 천관사지 금당지, 성주사지 금당지, 백제 왕궁리사지, 백제 능산리사지 등도 있다.
20) 기단 재료상 와적기단은 6세기 전반에서 7세기 후반 백제의 사비기 왕궁 및 여타 건물지에서 확인되었다. 삼국·통일신라시대에는 황룡사지 서금당지 기단, 사천왕사 서석탑지 등지에서 확인되었다. 사천왕사지는 지대석 위에 전축한 것이다.
21) 강형태·정영동·조재영·김호상, 통일신라시대 녹유전돌의 녹유 특성-부석사, 천룡사지 및 법광사지 녹유전돌-, 선사와 고대, 2005
22) 평면은 외진 5칸×5칸, 내진 3칸×3칸에 주칸은 어칸〉협칸〉퇴칸 순이다. 내·외진에 폭 250∼300㎜ 벽체로 마감했고, 내진 중앙에 사천주와 불상대좌가 있다. 내진 전·후면, 외진 양측에 출입문 흔적과 기단 양측에 계단가 잔존한다. 초석 주좌 크기는 내진〉외진〉사천주 순이다. 사천주 후면 기둥간에는 후불벽 흔적이 있다,
23) 창건 금당의 평면은 외진 3칸×3칸, 외진 1칸×1칸이고, 주칸은 어칸〉협칸 순이고, 외진 전·후면에 문지방석, 기단 사면에 계단이 잔존한다. 초석 주좌는 내·외진이 동일하나 외진 우주가 가장 크다. 초석 고막이석 상부 폭은 내·외진 모두 260㎜이다.
24) 일제강점기 중수공사 당시 해체된 바닥 도면에서 평면은 외진 7칸×5칸, 내진 5칸×3칸 규모에 내진 중앙에 불단과 후불벽이 있다. 주칸은 어·협칸〉차협칸〉퇴칸 순이고, 내·외진 모두에 벽체가 있었다. 내진 전면 어칸에 문이 있었다.
25) 평면은 외진 5칸×4칸, 내진 3칸×2칸이며, 주칸은 모두 동일하다. 내진에 불단이 있고, 외진에 두께 150㎜ 벽체가 남아 있고, 외진 남면은 벽없이 개방된 구조이다.
26) 법륭사 금당이나 중국 현존 건축에서 고막이석없이 벽체가 있는 경우도 있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27) 황룡사 중금당의 평면은 차양칸 11칸×6칸, 외진 9칸×4칸, 내진 7칸×2칸이다. 주칸 설정은 어칸과 협칸, 퇴칸이 동일하다. 기단 전·후면에 계단지가 있다. 내·외진 벽체는 차양칸벽과 외진벽은 없고 내진벽만 있다. 내진에는 19개의 불상대좌가 남아 있다. 초석 및 주좌 직경 크기는 내진〉외진〉차양칸 순이다.
28) 평면은 외진 5칸×3칸, 내진 3칸×1칸이며, 내진 어칸에 불상 대좌가 있다. 주칸 설정은 어칸〉협칸〉퇴칸 순이고, 기단 전·후면에 계단을 두었다. 초석 주좌 크기는 내진〉외진이고, 내진 폭 240㎜의 벽체로 둘러싼 3실 구조에 외진 어칸에 문을 내었다.
29) 평면은 차양칸 7칸×6칸, 외진 5칸×4칸, 내진 3칸×2칸 규모이며, 내진에 불단이 위치한다. 주칸은 어·협칸〉퇴칸 순이고, 내진에 폭 150㎜의 벽체가 남아 있고, 내진 전면 어칸에 문을 두었다. 내·외진 초석 주좌 크기는 차이가 없다.
30) 영암사지 금당 1:0.94, 거돈사지 금당 1:0.54, 화엄사 각황전 1: 0.68, 발해 상경성 제1절터 1:1, 발해 상경성 제9절터 1:0.75이다.
31) 발해 상경성 제9절터와 중국 불광사 동대전은 150㎜, 일본 약사사 금당 160∼270㎜, 천원사 중금당 300㎜로 나타났다.
32) 주좌 및 주흔 직경이 내·외진 동일한 경우가 가장 많았는데, 이는 대량식의 가구유형 중에 전당식 구조일 가능성이 크다
33) 신광의 지명유래는 신라 제26대 진평왕이 법광사에서 하룻밤을 묵게 되었는데 그날밤 비학산에서 밝은 빛 줄기가 찬란 하게 뻗어 나오는 것을 왕이 보고 “신령스러운 빛이 나오니 이 지역을 신광(神光)이라 부르는 것이 좋겠다”하여 그때부터 신광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경덕왕 16년(757)에 신광현(神光縣)으로 개명했다고 전한다.
34) 석탑은 금당지 중심에서 직선으로 남서쪽 42.5m지점에서 다시 북서쪽 22m지점의 후방으로 금당지보다 한 단 높은 지대에 금당지와 동일 축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현재 석탑 주위 사방으로는 토석담장을 쌓아 일곽을 구성하고 동남쪽으로 출구가 나 있다. 석탑 일곽 후방에는 1933년에 석탑 동북쪽 10m 지점에 묻힌 것을 발굴해 옮겨 놓은‘법광사 석가불사리석탑중수비’가 있다. 1934년에 석탑 주위로 담장을 쌓았고, 1969년에 중수비가 발굴된 위치에서 그 대석이 확인되었다.
35) 박경식, 앞 글, 8세기 2탑1금당은 불국사, 천군리사지, 간월사지, 갈항사지에서만 보인다. 9세기에 115개 석탑 중 쌍탑가람은 17개이고, 단석탑가람은 83개로 조사되었다. 단탑가람이 증가한 이유는 첫째, 산지가람에 쌍탑을 건립할 제반여건의 부족, 둘째, 9세기의 정치·사회적 혼란기에 현세이익적 신앙의 주류와 단기간에 가람을 조성해야하는 당시의 상황반영, 셋째, 쌍탑과 단탑의 신앙적 차별성을 두지 않은 점에서 단탑가람의 조성을 촉진시킨 것으로 보고 있다.
36) 석축은 자연석을 허튼층쌓기했는데, 전반적으로 금당지의 초석 및 고맥이와 당시의 가공석물과 비교해 매우 엉성하다. 따라서 이 석축이 금당지와 관련된 시기의 것인지 후대 보수한 것인지는 현재로서 명확치 않다. 정밀발굴조사 후에 검토와 판단이 필요해 보인다.
37) 동일 건물지에서 가공석과 자연석이 혼용된 예는 황복사지 특히 석축 및 기단에 쐐기돌 사용은 경주지역의 불굴사, 석굴암, 감은사, 월정교 등 7∼8세기의 건축물과 9세기대 영암사지에 사용된 특수한 석조 결구기법인 점에 주목된다.
38) 신용철, 통일신라 석탑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39) 박보경, 경주 고선사지 가람배치와 삼층석탑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고선사지는 금당과 강당의 금당원과 서쪽의 석탑원을 회랑으로 분리하고, 금당 서쪽 회랑을 통해 석탑원으로 출입하도록 했다.
40) 박보경, 앞 논문. 동쪽에 금당원, 서쪽에 탑원을 병렬배치한 것은 당대의 정토신앙을 사찰배치에 반영한 결과이며, 서쪽의 탑원은 아미타불의 서방극락세계를 조형적으로 상징한 영역이었다고 추정하기도 한다. 석탑을 부처의 극락에 대비시키고 탑원은 곧 극락세계, 극락정토에 대비시켜 금당원의 서쪽에 설치함으로써 서방 극락세계를 조형적으로 표출하였다고 볼 수 있다.

References
1. 박일훈, 법광사와 석가불사리석탑비, 제5권 제6호, 한국: 미술사학회, 1964, pp.27-33.
I.H. Park, Beopgwangsaji And Seckgabulsaritapbi, 5(6), Korea: Art History Association Of Korea, 1964, pp.27-33.
2. 황수영, 신라 법광사 석탑기, 한국: 백산학회, 1970. pp.115-142.
S.Y. Hwang, On The Silla Stone Pagoda Tablets Of Bepkwang-sa Ttmple, Korea: The Paek-San Society, 1970, pp.115-142.
3. 경주시, 법광사터 지표조사, 연보 제3호, 한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1993, pp.160-180.
Gyeongju-si, Earth Surface Investigation Of Beopgwangsaji, Korea: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993, pp.160-180.
4. 박경식, 8-9세기 신라석탑의 비교 연구, 동양학, 제27권 제1호, 1997, pp.137-154.
K.S. Park., The Comparative Study of Silla Stone Pagoda in the 8-9th Century, The Oriental Studies, 27(1), 1997, pp.137-154.
5. 박보경, 경주 고선사지 가람배치와 삼층석탑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B.K Park, A Study On The Layout And Three-Storied Stone Pagora Of Goseon-Sa Temple Site In Gyeongju, Master Thesis, Dongguk University, 2004.
6. 강형태 외 3인, 통일신라시대 녹유전돌의 녹유 특성-부석사, 천룡사지 및 법광사지 녹유전돌-, 제22호, 한국: 한국고대학회, 2005, pp.211-222.
H.T. Kang et al., Analysis of Glaze on Brick, Green-Glazed Earthenware in Unified Silla Period, 22, Korea: Association for Ancient Studies, 2005, pp.211-222.
7. 신용철, 경주 창림사지 삼층석탑의 고찰-석탑의 편년을 중심으로-, 제3호, 한국: 동악미술사학, 2002, pp.29-58.
Y.C. Shin, A Study of Three-story Stone Pagoda at Changlim-sa Temple Site on Mt. Namsan, Gyeongju-The Age of the Three-story Stone Pagoda, Vol 3, Korea: Dongak Art History, 2002, pp.29-58.
8. 신용철, 통일신라 석탑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Y.C. Shin, A Study On The Stone Syupa Of Unified Silla, Ph. D.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2007.
9.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주시, 고대 건물지 평면 및 구조시스템 조사연구, 한국: 황룡사연구총서, 3, 2009, pp. 79-95.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Gyeongju City, Korea: A Research Study For Layout And Structural System Of Ancient Buildings, 3, 2009, pp.79-95.
10. 강재광, 文聖王代의 政局과「昌林寺 無垢淨塔願記」造成의 정치적 배경, 한국: 한국고대사탐구, 2011, pp.97-138.
J.G. Kang,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King Munseong(文聖王)’s Rule and the Political Background of Creation of Changlimsa Mugujeongtapwonki, Korea: Society for the Study of Early Korean History, 2011, pp.97-138.
11. 박남수, 「법광사석탑기」와 어룡성의 원당 연구, 한국: 한국고대사학회, 2013, pp.217-258.
N.S. Park, The Management of Wondang by Eoryongseong with the Record on the stone stupa of Beopgwangsa in Silla, Korea: Society for Korea Ancient History, 2013, pp.217-258.
12.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포항 법광사지 발굴조사 중간보고Ⅰ』, 제199호, 한국: 경상북도, 2013.
Gyeongsangbuk-do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The Beopgwangsaji, Pohang, Vol 199, Korea: Gyeongsangbuk-do, 2013.
13.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포항 법광사지 발굴조사 중간보고Ⅱ』, 제214호, 한국: 경상북도, 2015.
Gyeongsangbuk-do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The Beopgwangsaji, Pohang, Vol. 214, Korea: Gyeongsangbuk-do, 2015.
14.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포항 법광사지 발굴조사 중간보고Ⅲ』, 제213호, 한국: 경상북도, 2016a.
Gyeongsangbuk-do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The Beopgwangsaji, Pohang, Vol 213, Korea: Gyeongsangbuk-do, 2016a.
15.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포항 법광사지 내 유적(사역)5차 추가 및 6차 발조사 약보고서』, Ⅴ·Ⅵ, 한국: 경상북도, 2016
Gyeongsangbuk-do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The Beopgwangsaji, Pohang, Ⅴ·Ⅵ, Korea: Gyeongsangbuk-do, 2016b
16.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포항 법광사지 발굴조사 중간보고Ⅳ.Ⅵ』, 제255호, 한국: 경상북도, 2019.
Gyeongsangbuk-do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The Beopgwangsaji, Pohang Ⅳ.Ⅵ, Vol 255, Korea, Gyeongsangbuk-do,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