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Vol. 20, No. 5


[ Research Article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 Vol. 20, No. 5, pp. 31-43
Abbreviation: J. Korea Inst. Ecol. Archit. And Environ.
ISSN: 2288-968X (Print) 2288-969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0
Received 01 Aug 2020 Revised 26 Aug 2020 Accepted 31 Aug 2020
DOI: https://doi.org/10.12813/kieae.2020.20.5.031

어메니티를 고려한 안양천의 수변공간 실태분석:안양교~충훈2교 중심으로
임현서* ; 정윤혜** ; 이유미***

A Status Analysis of Anyangcheon Waterfront Space Considering Amenity:With a Focus of Anyangcheon (Anyang ~Chunghun2 bridge)
Hyun Seo Lim* ; Yoon Hye Jung** ; You Mi Lee***
*Graduate Student,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Sangmyung Univ., South Korea (jocar3013@naver.com)
**Coauthor, Visiting Senior Researcher, Dept. of SH Urban Research Center, South Korea (jyh9097@i-sh.co.kr)
***Corresponding author, Professeor, School of Space and Environment Studies, Sangmyung Univ., South Korea (lym0627@smu.ac.kr)

ⓒ 2020. KIEAE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rganize evaluation criteria of Amenity from precedent researches and best practices, and to analyze the status of waterfront areas of Anyangcheon in terms of Convenience, Safety, Environment, Culture, Aesthetics.

Method:

Amenity evaluation items are derived through precedent researches. Then, Amenity evaluation contents are composed through precedent researches and and best practices. The research scope is limited to Access, River crossings, Bicycle pedestrian path, Activity space and actual condition is analyzed focusing on space and facility planning.

Result:

First, Convenience - It is necessary to plan additional access facilities in residential areas and Under bridge spaces that are easily accessible and likely to be utilized by users. Second, Safety -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plan accident safety facilities and crime safety facilities mainly on river crossings and Bicycle pedestrian paths, which are vulnerable to accidents due to crowded bicycle users and pedestrians. Third, Environment - Anyangcheon lacks comfort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fore, a sanitary facility is required to maintain a comfortable environment in the entry/exit space with an approach that is less likely to be left. Fourth, Culture - There was lack of facilities to support rest, leisure, and hobbies for users in all spaces excepting river crossings. Therefore, a space plan that considers children's experiential learning and the community among all users is required in the green space around the bridge. Fifth, Aesthetics - Aesthetic colors and shapes etc. were not planned in all the waterfront spaces in Anyangche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different atmosphere and fun to users by installing color plans and aesthetic public sculptures that match water nature in all waterfront spaces in Anyangcheon.


Keywords: Amenity, Waterfront Space, Status Analysis
키워드: 어메니티, 수변공간, 실태조사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국내의 수변공간은 도시의 건강성과 쾌적성을 상징하면서 시민에게 필수적인 삶의 터전으로 변화해 왔다. 최근 수변공간 개선과 관련한 연구가 국내외로 활발히 수행되면서 다양한 시설을 고려한 물리적 환경개선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개발, 주민참여행사 등과 같은 사회적 방안도 함께 고려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4대강 프로젝트, 한강 및 지천르네상스, 생태하천복원사업 등 수변공간에 대한 개선된 사례들이 증가하면서 더 이상 도시경계 또는 변두리가 아닌 도시 내 이용자들의 어메니티 중심공간으로 변화하였다[1]. 따라서 시대와 이용자들의 사회적 요구변화에 따라 수변공간과 어메니티와의 관계성을 고려한 공간 및 시설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변공간 및 어메니티 관련 선행연구와 국내 수변공간 우수사례 분석을 통해 어메니티 평가도구를 작성하고자 하며 어메니티의 다양한 요소 중 편리성, 안전성, 환경성, 문화성, 심미성 중심으로 평가내용을 구성하였다. 이후 최종적으로 도출된 어메니티 평가도구를 통해 안양천 수변 공간 중 접근로, 하천건널목, 자전거 및 보행자도로, 활동 공간을 중심으로 실태를 분석하고 수변공간 계획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본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변공간 및 어메니티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자별 연구내용, 연구방법, 연구범위를 분석하고, 수변공간의 어메니티 평가가 가능한 항목을 도출한다.

둘째, 앞서 도출된 어메니티 평가항목에 따라 안양천의 실태분석 틀을 작성한다. 체계적인 실태분석의 틀을 구성하고자 기존 선행연구 분석과 수변공간 우수사례 현장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실태분석의 틀은 수변공간별 어메니티 5가지 요소에 대한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작성하였고 수변공간 우수사례 현장조사 시기는 1차 2019.5.29.-5.30.(도림천)과 2차 2019.6.12.-6.13.(양재천)로 각 2회씩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셋째, 최종적으로 도출된 수변공간 내 어메니티 평가도구를 통해 안양천 수변공간의 실태를 분석한다. 실태분석은 연구의 공간적 범위인 접근로, 하천건널목, 자전거 및 보행자도로, 활동공간을 대상으로 어메니티 요소를 분석하였고 공간 및 시설(물) 계획을 중심으로 사진촬영과 주변관찰을 통한 실태를 분석하였다.

1.3. 연구의 대상 및 선정기준

본 연구의 대상지는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중 박달동과 석수동에 위치한 안양천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공간적 범위는 충훈2교와 안양교로 한정하여 조사·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대상지 선정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양천을 선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안양천은 한강으로 유입되는 국가하천인 4대지천1)에 포함되나 다른 지천들과 달리 대부분의 구간이 천변도로 및 교량으로 활용되고 있고, 획일적인 정비와 둔치를 주차장으로 활용하는 등[2] 여전히 이용자들의 편의 및 여가활동을 고려한 정비사업이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안양천처럼 주거지가 밀집되어 있고 생태하천복원 사업이 진행된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중랑천은 생태회복과 문화예술 및 음식테마 거리 조성, 굴포천은 역사문화자원과 연계한 공공공간 조성 등[3] 적극적으로 수변공간을 활용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안양천은 여전히 수변공간을 활용한 문화 및 예술적 인프라가 부족하였다.

둘째, 만안구 수변공간 중 충훈2교와 안양교까지의 수변공간을 선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대상과 맞닿는 안양천의 다른 수변공간들은 문화‧예술공간, 여가‧활동공간 등2)으로 개선되어 이용자들의 다양한 활동 등을 지원하고 있었다. 그러나 충훈2교-안양교까지의 수변공간은 녹지공간, 둔치공간 등 활용될 공간이 있고 하천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주거단지가 밀집되어 있어 안양천의 다양한 수변공간 중 사람들의 이용률이 높으나3), 어메니티 측면에서 여전히 이용자들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시설 및 공간적 계획이 다른 안양천의 수변공간에 비해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안양천의 다양한 수변공간 중 우선적으로 개선이 요구되는 충훈2교~안양교까지의 수변공간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1.4. 안양천의 개요 및 연구범위

안양천은 백운산 서쪽에서 한강으로 흐르는 하천이며 지방하천 중에서도 비교적 큰 축에 속한다. 또한 연구범위 내 하천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주거단지가 밀집되어 있고 천변을 따라 5개의 교량이 위치한다. 안양천의 본격적인 개선사업은 “안양천 살리기 10개년 종합계획[4]”의 수립을 통해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생태하천복원사업으로 진행되었고 이를 통해 하수처리장 건립, 수질 개선 및 다양한 조류가 서식하는 등 도심 속의 생태하천으로 변화하였다. 구체적인 안양천의 개요는 Table 1.과 같다.

Table 1. 
Anyangcheon Outlines
Plot plan
Outline Development Status 2001-2010
River Length 32km2
River Width 45m
Basin Area 286km2
Range 1.9km2(Chunghun2~Anyang Bridge)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수변공간과 근접한 안양천의 제방터 접근로 진입부분부터 하천까지로 한정하였고 그 중 공간의 경계가 명확한 접근로, 하천건널목, 자전거 및 보행자도로, 활동공간에 대하여 실태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공간은 Fig. 1.과 같다.


Fig. 1. 
Waterfront Space Range of This Study


2. 이론적 고찰
2.1. 수변공간에 관한 이론적 고찰

수변공간에 관한 선행연구는 DBPIA, AURIC, RISS 등을 통해 ‘수변공간’, ‘도시하천’으로 검색된 논문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도시재생과 맞물려 수변 공간 재생 차원에서 연구되어진 2008년 이후의 연구를 중심으로 검색하였고 그 결과, 약 84개의 관련 논문이 검색되었다. 이 중 국내‧외 사례분석에 관한 연구와 이용자 행태분석의 연구방법을 활용한 논문을 중심으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수변공간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은 Table 2.와 같으며, 전반적으로 연구자별 수변공간범위가 각각 다르며 주로 문헌고찰을 통한 사례분석이 진행되었다4).

Table 2. 
Reviews of Research Relevant to Waterfront Space
Author (year) Research content Research method Research range
Kim, Y.H. (2008) Suggestions considering domestic urban regeneration Case analysis (literature review) Commercial-residential-work spaces, green spaces, rivers, seas etc
Choi, J.H. et al. (2009) Analysis between waterfront value and urban development Case analysis (literature review) Some spaces in urban areas including rivers
Kim, M.J. et al. (2012) Presenting functions that waterfront spaces should possess Case analysis (literature review) Urban fountains, rivers, apartment landscaping spaces etc
Kim, H.J. (2012) Proposal of eco-friendly waterfront space management considering urban planning Case analysis (literature review, in-site survey.) Commercial-residential-transportation spaces, rivers, seas etc
Kang, S.J. (2014) Proposal to improve the problems of waterfront space and contribute to regional revitalization Case analysis (literature review, In-site survey.), Question investigation, Analysis of user behaviors Space for walking, rest, sports, cultural performances, convenience, hygiene, and bicycle roads excluding rivers

첫째, 기존 선행연구는 도시재생 측면에서 수변공간 계획 및 관리, 시사점 등을 제시하고 있으며 어메니티 측면에서 평가된 수변공간 연구는 부족하였다.

둘째, 기존연구에서 활용한 연구방법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문헌고찰을 통해서만 수변공간 사례를 분석하였고 우수사례에 대한 현장조사 분석은 미미하였다.

셋째, 연구범위 차원에서 기존연구들의 수변공간은 하천 외 바다 등을 포함한 도심 내 주거, 조경, 교통시설 등 반경 1km 이상 내 공간을 모두 포함하고 있었고 하천과 근접한 수변공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수변공간의 사회적 기능 변화를 반영한 어메니티 요소에 따라 공간을 분석하였고 우수사례 현장분석을 통한 실효성 높은 평가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수변공간의 접근성 차원에서 중요한 진입로부터 연구범위를 설정했다는 점에서 기존연구와의 차별성을 갖는다.

2.2. 어메니티에 관한 이론적 고찰

어메니티에 관한 선행연구는 앞서 서술한 수변공간 고찰과 동일한 연구방법으로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 총 83개의 관련 논문을 도출하였다. 이 중 연구자별 도시 및 공공 공간 중심의 어메이티 항목에 대한 정의와 내용 중심의 논문들을 최종적으로 활용하였다. 어메니티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은 Table 3.과 같으며, 전반적으로 이용자행태분석 및 설문조사를 통해 어메니티 및 도시개발 차원에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었다5).

Table 3. 
Reviews of Research Relevant to Amenity
Author (year) Research content Research method Research range
Lee, J.E. (2006) Jeju Island's regional image establishment and suggestion of policy development Evaluation items (literature review), Question investigation Jeju Island Areas
Ma, E.J. et al. (2008) Proposing the importance of the strategic approach in the overall master plan for efficient regional development as a cultural infrastructure Amenity concept and case analysis (literature review) Domestic and foreign regions
Jo, H.S. et al. (2013) Awareness of the Amenity Level and the Need to Develop Indicators Evaluation items (literature and expert interview), Question investigation Urban Regeneration (Incheon)
Kim, M.S. et al. (2014) Promoting urban amenity environment and seeking organic revitalization with urban residents Amenity concept and case analysis (literature review) Spaces under the bridge

첫째, 선행연구의 연구내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어메니티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토대로 지역개발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었고 최근 수변공간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관점에서의 어메니티 관련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어메니티 요소 중 수변공간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편리성, 안전성, 환경성, 문화성, 심미성 측면에서 구체적인 평가항목을 구성하고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어메니티 관련 선행연구는 대부분 도시차원에서 이용자 행태분석 및 설문조사가 수행되었고 수변이라는 특정 공간에 대한 어메니티 측면에서 실태를 분석한 연구는 미미하다. 이에 본 연구는 어메니티의 문헌고찰과 수변공간의 우수사례 현장조사를 통해 평가항목을 구성하고, 수변공간 전반을 분석하는 것이 아닌 경계가 명확한 공간을(‘접근로’, ‘하천건널목’, ‘자전거 및 보행자도로’, ‘활동공간’ 등) 대상으로 실태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선행연구의 연구범위는 도시 및 지역 대상의 광의적 연구범위를 설정하고 있어 도시개발차원에서 어메니티의 계획 방향을 제시하고 있었다. 하지만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어메니티 측면에서 수변공간을 분석하고 공간 계획방향을 제언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변공간 중 안양천을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 한정하고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한 어메니티 항목을 근거로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2.3. 본 연구의 수변공간 어메니티 항목도출

본 연구는 연구자별 어메니티 항목 및 체크리스트틀 바탕으로 어메니티의 주요항목을 분류하고 평가항목에 대하여 내용을 재정의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Table 4.와 같으며, 공통적으로 환경성, 편리성, 심미성, 문화성이 어메니티에서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Table 4. 
Amenity Factors by Researchers
Author (year) Amenity factors*
Lee, J.E. (2006)
Ma, E.J. et al.(2008)
Jo, H.S. et al.(2013)
Kim, M.S. et al.(2014)
Kang, M.N. et al.(2015)
* ① : Sanitation, ② : Environment, ③ : Convenience, ④ : Esthetic, ⑤ : Culture, ⑥ : Safety, ⑦ : Creativity, ⑧ : Access

본 연구에서 수변공간 어메니티 계획은 ‘수변공간을 이용하는 모든 사람에게 불편함이 없도록 편리성, 안전성, 환경성, 문화성, 심미성을 고려하여 궁극적인 인간생활의 질과 환경의 질을 높이는 공간계획’으로 정의하였다. 수변공간 어메니티를 구성하는 5가지 항목에 대한 정의와 선정이유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변공간에서의 편리성이란 ‘수변공간 이용자에게 접근이 용이하도록 적합한 위치, 유효폭 등 배치나 구조적 계획’을 의미한다. 편리성을 선정한 이유는 대부분 수변공간은 범람 등으로 도시가 수변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거나 주변으로 도로, 철도, 제방 등이 위치하고 있어 다른 공간보다 일상적인 접근이 어렵다[5]. 반면 최근 수변공간의 이용행태를 살펴보면 범람의 예방적 차원뿐만 아니라 수변공간의 활용성이 높아지고 있어 수변공간의 활용성과 사용자 이용행태를 반영한 편리한 접근계획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둘째, 수변공간에서의 안전성 계획이란 ‘수변공간 이용자의 사고-범죄-재해 등 종합적인 안전을 위한 물리적 시설, 시스템 설치 및 공간 계획’을 의미한다. 수변공간은 계절에 상관없이 익사사고, 하천변 자전거 및 보행자 도로에서의 자전거 충돌사고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6] 공간적 특성상 긴 노선과 순찰차 진입이 어려워 범죄에 대한 사고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즉, 수변공간에 대한 안전한 공간계획 및 설계가 부진하며 공간 활용성이 증가함에 따라 안전성 확보가 필요하다.

셋째, 수변공간에서의 환경성 계획이란 ‘자연 및 주변환경의 쾌적한 상태 유지와 이용자의 기본적인 위생제공을 위한 시설물 계획’을 의미한다. 국내 수변공간은 지역성을 반영하지 못한 채 계획되거나 개발되어 공간의 활용성이 떨어지거나 환경훼손, 공간의 노후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7]. 하지만 수변공간에 대한 이용자의 요구도 및 공간의 가치가 향상되면서 자연환경 보존 및 쾌적성 확보가 요구되어 진다. 이에 본 연구는 수변공간에 대한 환경성 차원에서 실태 분석이 필요하다.

넷째, 수변공간에서의 문화성 계획이란 ‘수변공간을 이용하는데 있어 불편함이 없고 다양한 여가, 편의, 취미, 문화 활동들을 지원할 수 있는 물리적 시설 및 공간계획’을 의미한다. 최근 국내‧외에서 수변공간의 다양한 개선사례들이 등장하고 변화된 공간 안에서 어메니티의 중요성과 다양한 활용을 지원하고 있다[8]. 즉, 수변공간의 기능과 가치가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측면에서 공간의 문화성 실태분석이 필요하다.

다섯째, 수변공간에서의 심미성 계획이란 ‘수변공간 내 아름답고 친근한 색채 및 형태 계획과 이용하기에 복잡함이 없는 단순한 공간계획’을 의미한다. 수변공간은 앞서 서술한 문화성과 같은 맥락에서 수변공간의 기능적 가치 이외도 다양한 문화 활동이 지원되면서 질적인 가치의 중요성이 높아지게 되었다[9]. 이러한 측면에서 수변 공간의 다양한 문화성 계획과 함께 오감을 만족하고 정서적 안정을 줄 수 있는 심미적인 계획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3. 수변공간 어메니티 평가내용 구성
3.1. 수변공간 어메니티 평가내용 도출방법

어메니티 측면에서 수변공간 평가내용 도출에 대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별 어메니티 평가항목 및 세부내용을 바탕으로 어메니티 특성에 따라 분류하였고 선행연구별 중복성이 있는 어메니티는 모든 내용을 포괄할 수 있는 항목으로 수렴하였다. 또한, 수변공간별(접근로, 하천건널목, 자전거 및 보행자도로, 활동공간) 세부 평가내용을 구축하였다.

둘째, 수변공간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만으로 체계적인 실태 평가항목을 구축하기에 한계가 있어 안양천과 같이 하천복원사업이 진행되고 공공에서 우수사례로 수상한 곳[10][11]을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수변공간 우수사례로는 도림천과 양재천이 있다[12][13]. 이후 수변 공간 우수사례 2곳(도림천, 양재천)의 현장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의 대상인 어메니티 항목(편리성, 안전성, 환경성, 문화성, 심미성), 현장분석내용, 수변공간별(접근로, 하천건널목, 자전거 및 보행자 도로, 활동공간 등), 세부 평가 내용 순으로 도출하였다.

셋째, 접근로, 자전거 폭, 보행로 폭 등과 같이 실측이 필요한 항목에 대해서는 제도적 근거6)를 발췌하여 정확한 정량적 치수를 제시하여 조사항목으로 구체화하였다.

3.2.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어메니티 평가내용 도출

어메니티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어메니티 평가내용은 Table 5.와 같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Table 5. 
Amenity Contents Through Review of Precedent Research
Precedent research Contents of waterfront space evaluation
Item Content Space* Detailed content
Convenience Effective width plan A Plan for effective width of at least 1.2m
B Plan for effective width of at least 1.2m
C Plan for bicycle road width of at least 1.5m
Plan for pedestrian road width of at least 1.5m
Structural plan A Plan to install the ramp
B Plan to bridge structure
Locational plan A Plan to stairs and ramps on both sides of the bridges
Plan to two or more access between bridges (about 500m)
B Plan to two or more river crossing between bridges (about 500m)
D Plan to a rest or exercise facility under bridge space
Plan to a rest or exercise facility in green space
Safety Systems for crime safety A Plan to systems for crime safety (ex. CCTV, emergency bell)
D Plan to systems for crime safety under bridge space (ex. CCTV, emergency bell)
Plan to systems for crime safety in green space (ex. CCTV, emergency bell)
Plan to systems for crime safety in exercise space (ex. CCTV, emergency bell)
Systems for disaster safety A Plan to access breaker
B Plan to disaster warning signs
Systems for accident safety B Plan to bollard around the entrance and exit of river crossing
C Plan to reflector
Plan to speed limiting detection system
D Plan to railings or bollards around exercise space
Environment Systems for sanitation A Plan to wastebaskets
B Plan to wastebaskets
C Plan to wastebaskets
Plan to public toilet
D Plan to wastebaskets under bridge space
Plan to wastebaskets in green space
Plan to drinking fountain around exercise space
Culture Cultural space plan D Plan to stage facility
Rest space plan A Plan to relaxation facility (bench, pergola)
B Plan to relaxation facility (bench, pergola)
C Plan to relaxation facility (bench, pergola)
Leisure space plan D Plan to activity facilities for children (ex. water play space , playground)
Exercise space plan D Plan to sports facilities for youth, young adults, and adults (ex. basketball court, football court)
Plan to sports facilities for the eldery (gate ball court)
Esthetic Color, Shape, Structure plan A Plan to aesthetic color or shape design
B Plan to aesthetic color or shape design
Street environment plan C Plan to aesthetic floor design
Public sculpture installation plan B Plan to public sculptures (ex. fountain)
D Plan to aesthetic public sculptures in green space (ex. statue, structure)
* A : Access, B: River crossing, C: Bicycle pedestrian path, D: Activity space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편리성 항목의 주요내용은 접근이 용이한 유효폭 계획, 구조적 계획, 위치적 계획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접근이 용이한 경사로 및 다리구조 설치 여부, 교량하부공간에 휴식 또는 운동시설 계획 여부 등을 평가내용으로 도출하였다. 접근로, 하천건널목, 자전거 및 보행자도로의 유효폭은 법제적 근거를 참고하여 도출하였다.

안전성 항목의 주요내용은 범죄예방시스템 설치, 자연재해 예방 시설설치, 안전사고 방지시설 설치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 범죄예방시스템은 CCTV와 비상벨, 자연재해예방 시설은 출입차단기, 재해주의표지판, 안전사고 방지시설은 반사경, 볼라드, 난간 등의 설치여부를 평가내용으로 도출하였다.

환경성 항목의 주요내용은 위생시설 설치 계획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위생시설 중 쓰레기통, 공중화장실, 음수대 등의 설치여부를 평가내용으로 도출하였다.

문화성 항목의 주요내용은 문화적 공간계획, 휴게시설 계획, 여가공간 계획, 운동공간 계획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무대시설, 휴식시설, 다양한 연령대를 위한 운동시설, 어린이를 위한 활동공간 등을 평가내용으로 도출하였다.

심미성 항목의 주요내용은 색채, 형태, 구조 계획, 가로환경 계획, 공공조형물설치 계획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미적인 색채 및 형태 계획, 미적인 공공조형물 설치 여부 등을 평가내용으로 도출하였다.

3.3. 수변공간 우수사례 분석을 통한 어메니티 평가내용 도출

수변공간 우수사례로는 도림천과 양재천이 있으며 도림천의 현장답사 범위는 관천로 22길-신림2교(2.1km2)이며, 양재천의 현장답사 범위는 영동1교-영동6교(3.7km2)이다.

수변공간 우수사례 현장조사를 통한 어메니티 평가내용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편리성 항목 측면에서 현장을 분석한 결과, 도림천과 양재천 공통적으로 자전거 이용자의 접근을 고려한 시설계획이 조사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전거 이용자의 접근을 고려하여 접근로와 하천건널목에 이동대 설치 등을 평가내용으로 도출하였다.

안전성 항목에서 현장을 분석한 결과, 두 사례 모두 재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시설 및 표시 계획이 조사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접근로 양측면에 난간손잡이 설치, 하천건널목 진출입 주변에 사고주의 표지판 설치, 횡단보도표시 계획, 자전거 도로 및 보행자도로를 구분할 수 있는 바닥 색상 차별화 계획, 재해안내스피커 설치 등을 평가내용으로 도출하였다.

문화성 항목 측면에서 현장을 분석한 결과, 두 사례 모두 자전거의 이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시설 및 표시 계획과 여가 및 자연체험활동을 위한 공간 계획이 조사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접근로 진출입 주변에 자전거 보관대 설치, 교량하부공간에 자전거 공기주입기 설치, 활동공간에 반려견 동반출입이 가능한 공간 계획 등을 평가항목으로 도출하였다.

심미성 항목 측면에서 현장을 분석한 결과, 두 사례 모두 방치된 공간에 미적인 디자인 적용 및 공공조형물을 설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교량하부공간에 아름다운 벽화 계획을 평가내용으로 도출하였다. 내용은 Table 6.과 같으며, 2개의 사례(도림천, 양재천)로 구분하고 어메니티 요소별 개선된 현장사례 분석 중심으로 평가내용을 구성하였다.

Table 6. 
Amenity Contents through On-site Analysis of Best Practices
Status Analysis Contents of waterfront space evaluation
Case* Item Content Space* Detailed content
Convenience Facility plan considering bicycle users A Plan to bicycle rack
A Plan to bicycle storage
B Plan to bicycle rack
Safety Facilities and sign plans considering disaster and accidents safety A Plan railings on both sides of the access in a row
B Plan to accident safety sign around the entrance and exit of river crossing
B Plan to crosswalk mark around the entrance and exit of river crossing
C Plan to floor color differentiation
D Plan to disaster safety speaker under bridge space
Culture Facilities and display plans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the bicycle user A Plan to bicycle rack
C Plan location information and movement direction on the floor
Plan to leisure and nature experience space D Plan to pet green park
D Plan to ecological experience space (orchard)
Esthetic Plan to aesthetic design and public sculptures D Plan to aesthetic mural under bridge space
* ❶: Do-Rim cheon, ❷: Yang-Jae cheon, A: Access, B: River crossing, C: Bicycle pedestrian path, D: Activity space

3.4. 어메니티를 고려한 수변공간 평가내용 최종 구성

에메니티를 고려한 최종적으로 도출된 수변공간 평가내용은 Table 7.과 같다. 본 연구의 안양천 실태분석에 있어 최종 도출된 평가항목에 대한 근거는 선행연구, 우수사례, 제도(법)로 구분하여 표기하였다.

Table 7. 
Evaluation Contents of Waterfront Space Amenities
Classification Evaluation contents P.R* Case*
Space Code*
Access
(A)
Aco1 Plan for effective width of at least 1.2m
Aco2 Plan to install the ramp
Aco3 Plan to stairs and ramps on both sides of the bridge
Aco4 Plan to two or more access between bridges (about 500m)
Aco5 Plan to bicycle rack
Asa1 Plan to systems for crime safety(ex. CCTV, Emergency bell)
Asa2 Plan to access breaker
Asa3 Plan railings on both sides of the access in a row
Aen1 Plan to wastebaskets
Acu1 Plan to relaxation facility (bench, pergola)
Acu2 Plan to bicycle storage
Aes1 Plan to aesthetic color or shape design
River
crossing
(B)
Bco1 Plan for effective width of at least 1.2m
Bco2 Plan to Bridge structure
Bco3 Plan to two or more river crossing between bridges (about 500m)
Bco4 Plan to bicycle rack
Bsa1 Plan to disaster warning signs
Bsa2 Plan to bollard around the entrance and exit of river crossing
Bsa3 Plan to accident safety sign around the entrance and exit of river crossing
Bsa4 Plan to crosswalk mark around the entrance and exit of river crossing
Ben1 Plan to wastebaskets
Bcu1 Plan to relaxation facility (bench, pergola)
Bes1 Plan to aesthetic color or shape design
Bes2 Plan to public sculptures (ex. fountain)
Bicycle
pedestrian
path
(C)
Cco1 Plan for bicycle road width of at least 1.5m
Cco2 Plan for pedestrian road width of at least 1.5m
Csa1 Plan to reflector
Csa2 Plan to speed limiting detection system
Csa3 Plan to floor color differentiation
Cen1 Plan to wastebaskets
Cen2 Plan to public toilet
Ccu1 Plan to relaxation facility (bench, pergola)
Ccu2 Plan location information and movement direction on the floor
Ces1 Plan to aesthetic floor design
Activity
space
(D)
Dco1 Plan to rest or exercise facility under bridge space
Dco2 Plan to a rest or exercise facility in green space
Dsa1 Plan to systems for crime safety under bridge space (ex. CCTV, emergency bell)
Dsa2 Plan to systems for crime safety in green space (ex. CCTV, emergency bell)
Dsa3 Plan to systems for crime safety in exerceise space (ex. CCTV, emergency bell)
Dsa4 Plan to railings or bollards around exercise space
Dsa5 Plan to disaster safety speaker under bridge space
Den1 Plan to wastebaskets under bridge space
Den2 Plan to wastebaskets in green space
Den3 Plan to drinking fountain around exercise space
Dcu1 Plan to sports facilities for youth, young adults, and adults (ex. basketball court, football court)
Dcu2 Plan to sports facilities for the eldery(gate ball court)
Dcu3 Plan to stage facility
Dcu4 Plan to pet green park
Dcu5 Plan to ecological experience space(orchard)
Dcu6 Plan to activity facilities for children(ex. water play space, playground)
Des1 Plan to activity facilities for children(ex. water play space, playground)
Des2 Plan to aesthetic mural under bridge space
* Code: co(Convenience), sa(Safety), en(Environment), cu(Culture), es(Esthetic) / P.R: Precedent Research / ❶: Do-Rim cheon, ❷: Yang-Jae cheon


4. 어메니티를 고려한 안양천 실태분석
4.1. 안양천 실태분석방법

안양천의 실태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어메니티 평가내용에 대응하여 실태점수를 부여하고 분석사진과 내용을 정리하였다. 실태점수의 범례는 다음과 같다. 각각의 평가항목에 대한 계획여부에 따라 ‘◎’는 80-100%, ‘○’는 50-80%, ‘△’는 10-50%, ‘×’는 0-10%로 평가하였다. 평가는 본 논문의 연구자 3인에 의해 2019.8.20.-8.23.까지로 4차례 현장을 방문하여 실태를 분석하였다.

4.2. 안양천의 공간별 실태분석

안양천의 실태분석 범위는 안양교~충훈2교 사이의 수변공간이며,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어메니티 항목인 편리성, 안전성, 환경성, 문화성, 심미성 측면에서 접근로, 하천건널목, 자전거 및 보행자도로, 활동공간 순으로 서술하였다.

1) 접근로

안양천의 접근로 수는 총 24개(계단 21개, 경사로 3개)이며 높이는 약 5m로 계획되어 있었다. 그 중 충훈2교 주변에 설치된 2개의 접근로는 특정 아파트의 거주자만 이용이 가능하다. 대부분 난간손잡이는 절반정도만 설치되어 있으며 CCTV 및 안전표지판은 대부분 설치되지 않았다. 실태 분석한 내용은 Table 8.과 같으며, 접근로는 어메니티 실태분석 요소 중 환경성, 문화성, 심미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메니티 항목별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Table 8. 
A Status Analysis of Access (A)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ontent Score
Aco1 Aco2 X Asa2 Asa3
The effective width of all stairs and ramps is at least 1.2 m Most of the access are installed in a staircase type, not a ramp Access breaker installed at entry and exit of all access Only about 60% of the access have railings on both sides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ontent Score
Aco3 Aco4 Aen1 x Acu1 X
Most of the bridges have access installed on both sides Two or more access are installed every 450m Wastebaskets are not installed at the entrance and exit of all access No rest facilities are installed excepting one of the access stairs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ontent Score
Aco5 Asa1 × Acu2 x Aes1 x
No bicycle racks are installed at the access excepting one place Only one CCTV is installed in entire access Bicycle storages are not installed at the entrance and exit of all access Aesthetic colors or forms are not applied to all access

편리성을 분석한 결과, 일부공간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접근로는 교량주변으로 배치되어 있고 모든 접근로의 유효폭을 1.2m이상 계획되어 있었다. 이는 각각의 교량마다 2개의 접근로를 계획하여 수변공간으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고 접근로의 최소폭을 적용하여 다수의 이용자가 접근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다만 교량 외에 수변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접근로가 부족하였다. 특히 접근로가 전혀 계획되지 않은 박석교-안양대교 사이의 공간도 나타났다. 또한 전체 접근로에서 자전거 이동대는 한 곳만 설치되어 있어, 보행자 외에 자전거 이용자가 수변공간으로 진출입하는데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안전성을 분석한 결과, 물이 범람하는 자연재해의 위험상황을 고려하여 모든 접근로에 접근차단시스템을 설치하고 있었다. 반면 사고안전을 위한 난간손잡이의 경우 60% 정도만 설치되어 있었고, 범죄예방을 위한 CCTV는 접근로 진입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1곳을 제외하고 설치되지 않았다. 장마철과 같은 특정기간에만 발생하는 재해사고 예방도 중요하지만 약 1m의 좁은 상부도로에서 직접연계된 접근로의 상황을 고려하여 사고 및 범죄에 관한 안전계획도 요구될 필요가 있다.

환경성을 분석한 결과, 접근로 진출입 주변에 쓰레기통과 같은 위생시설이 부족하여, 주변 조경이나 주차장에 쓰레기를 투기하는 등의 행태가 나타나 쾌적성이 결여되었다.

문화성과 심미성을 분석한 결과, 자전거 이용자를 고려한 자전거 보관함이 접근로 주변에 설치되지 않아 주변에 세워두거나 방치되고 있었다. 이는 미관상 좋지 않으며 이용자로 하여금 부정적 인식을 갖게 한다. 또한 모든 접근로는 무채색의 콘크리트나 석재로 계획되어 있어 이용자로 하여금 단조롭고 따분한 느낌을 부여할 수 있다.

2) 하천건널목

안양천의 하천건널목 수는 총 4개(교량형 1개, 징검다리형 3개)이며 이동거리는 최소 40m에서 최대 47m로 설치되어 있었다. 1곳을 제외하면 안전표지판이 설치되어 있지 않았으며 재해표지판은 모두 설치되었다. 어메니티 항목별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편리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하천건널목의 폭을 1.2m 이상 계획하여 다수의 이용자가 통행에 있어 접근성을 확보하고 있었다. 다만 일부 하천건널목을 제외하면 대부분 교량과 교량사이에 하천건널목이 1개만 설치되어 있거나 전혀 계획되지 않아 수변공간 내 이동의 접근성은 부족하였다. 또한 안양천의 하천건널목은 1곳을 제외하면 징검다리로 계획되어 있었다. 이는 징검다리를 이용하기에 불편함이 있는 이용자(노인7), 자전거 이용자, 휠체어 이용자)의 접근을 고려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안전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하천건널목 진출입부분에 홍수주의 표지판을 설치하고 있었다. 이는 하천범람시 이용자의 하천진입을 사전에 차단하고 있었다. 그러나 하천건널목 중 70% 정도만 진출입공간에 바닥횡단보도가 표시되었고 볼라드는 대부분 설치되지 않았다. 특히 접근로 및 자전거 및 보행자도로와 직접적으로 연계된 충훈1교 하천건널목은 안전성이 더욱 결여되었다.

환경성을 분석한 결과, 하천복원사업이 진행되어 생태자원은 풍부하였으나, 하천건널목 주변으로 쓰레기통과 같은 위생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쾌적성이 결여되었다.

문화성을 분석한 결과, 하천건널목 주변에 휴식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이용자가 바닥에 앉아서 쉬거나 담소를 나누고 있었다. 이는 안양천의 하천건널목은 단순히 이동경로로 계획되어 있어 하천건널목 주변에서 이용자의 편의 및 여가활동을 지원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된다.

심미성을 분석한 결과, 하천건널목 재료는 단조로운 석재로 계획되어 있고 하천 주변으로 이용자의 흥미를 돋울 만한 분수대 등과 같은 공공조형물이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이는 하천건널목 주변으로 아름다운 생태자연환경이 구비되어 있고 활용 가능성이 있는 하천건널목 주변공간을 미적인 측면에서 활용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3) 자전거 및 보행자도로

안양천의 자전거 및 보행자도로는 석수동 방면과 박달동 방면으로 구분했다. 석수동 방면의 전체거리는 1.9km이며 방지턱 3개 CCTV가 1개씩 설치되어 있었다. 박달동 방면의 전체거리는 2.0km이며 방지턱 7개, CCTV 4개가 설치 되었다. 도로의 폭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보행자 도로폭 2.1m, 자전거 도로폭 1.5m로 전체거리 중 1,540m가 적용되었다. 반면 전체거리 중 가장 적은 부분을 차지하는 도로의 폭은 보행자 도로폭 1.8m, 자전거 도로폭 2.0m로 거리 506m에 적용되었다. 실태 분석한 내용은 Table 9.와 같으며, 하천건널목은 어메니티 실태분석 요소 중 환경성, 문화성, 심미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태 분석한 내용은 Table 10.과 같으며, 자전거 및 보행자도로는 어메니티 실태분석 요소 중 안전성, 심미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메니티 항목별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Table 9. 
A Status Analysis of River Crossing (B)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ontent Score
Bco1 Bco2 Bsa3 Bsa4
The width of all river crossings is planned to be over 1.2m Only 1 out of 4 river crossings is a bridge type crossing Bicycle warning signs are installed in only 1 out of 4 river crossings Only about 70% of all river crossings are planned to crosswalk mark on the floor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ontent Score
Bco3 Bco4 × Ben1 x Bcu1 ×
Most river crossings between bridges and bridges are not planned Bicycle racks are not installed on all river crossings except the bridge Wastebaskets are not installed at the entrance and exit of all river crossings No resting facilities are planned around all river crossings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ontent Score
Bsa1 Bsa2 × Bes1 x Bes2 x
Disaster warning signs installed at all river crossings Bollards installed in only 1 out of 4 river crossings A colorless stone is used for all river crossings Beautiful fountains are not installed around all river crossings

Table 10. 
A Status Analysis of Bicycle Pedestrian Path (C)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co1 Cco2 Cen2 Ccu1
The width of all bicycle roads is at least 1.5 m The width of all pedestrians roads is at least 1.5 m Public toilets are installed every 1km Pergolas or benches are planned along the roads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sa1 Csa2 × Ccu2 Ces1 x
Only 30% of all bicycle and pedestrian roads have reflectors There is no speed limiting detection system around all roads, but a collision warning placard is installed Location information and direction of movement are displayed on the floor of all roads All roads don't be applied aesthetic colors and materials other than the color discrimination plan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sa3 Cen1 x
Approximately 40% of all roads are differentiated in floor colorization for border classification Wastebaskets are not installed at roads

편리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자전거 및 보행자 도로의 바닥폭은 1.5m 이상으로 계획되어 이용자가 접근하는데 큰 불편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안전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도로바닥에 사고주의 및 경계속도가 동시에 표시되어 있었다. 이는 보행자 및 자전거 이용자로 하여금 충돌사고를 주의하도록 경계하였다. 그러나 전체 자전거 및 보행자 도로와 접근로가 교차하는 지점 중 2곳만 반사경이 설치되어 있었다. 또한 도로에 속도감지시템을 설치하는 대신 충돌경고 현수막을 설치하였다.

전체적으로 안양천은 사고 안전을 위한 시스템 및 시설 계획이 부족하였다. 특히 안양천의 자전거 및 보행자도로는 과속하기 쉬운 병렬의 형태로 계획되었고 자전거 이용자와 보행자 간의 충돌사고가 나타나기 쉬운 벤치와 파고라가 계획된 주변(석수소방서, 석수초등학교와 인접한 공간)으로 높은 조경이 식재되어 안전사고에 더욱 취약하였다.

환경성을 분석한 결과, 1km마다 공중화장실이 설치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쾌적한 상태가 유지되었다. 다만 공중화장실 주변을 제외하고, 도로에 쓰레기통이 설치되어 있지않아 일부공간(교량기둥 뒷 공간 등)은 쾌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도로를 따라 파고라나 벤치와 같은 이동 중에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이 계획되어 있으며, 모든 도로 바닥면에 위치정보 및 이동방향이 표시되어 보행자 및 자전거 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었다.

심미성을 분석한 결과, 보행자와 자전가 이용자의 사고안전을 위해 색상차별화 계획은 되어 있으나 미적인 색상 및 재질은 적용되지 않았다.

4) 활동공간

안양천의 활동공간의 개요는 석수동 방면과 박달동 방면으로 구분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가타. 석수동 방면의 활동공간은 인라인스케이트장과 무대공간이 각각 1개씩 계획되어 있었으나 공원은 계획되지 않았다. 박달동 방면의 활동공간은 공원이 2개와 게이트볼 1개가 계획되어 있었으나 인라인스케이트장과 무대공간은 계획되지 않았다. 실태 분석한 내용은 Table 11.과 같으며, 활동공간은 어메니티 실태분석 요소 중 안전성, 환경성, 심미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메니티 항목별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Table 11. 
A Status Analysis of Activity Space (D)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ontent Score
Dco1 Dco2 Dcu1 Dcu2
Relaxation facilities are planned under bridge spaces, but it is not enough. Relaxation facilities are planned in the green space Basketball court, inline skating field, foot ball court are planned Gateball court is planned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ontent Score
Dsa1 x Dsa2 x Dcu3 Dcu4
CCTV and emergency bells are not installed under bridge space, but only signs of safety trails are installed A system for preventing crime is not installed in green spaces Only small stage space is planned Pet green park is planned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ontent Score
Dsa3 x Dsa4 Dcu5 x Dcu6 x
A system for preventing crime is not installed in exercise spaces Only about 40% of the exercise space is equipped with bollards or railings Ecological experience space isn’t planned The activity space for children isn’t planned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ontent Score Content Score
Dsa5 Den1 x Des1 x Des2 x
Disaster safety speakers are installed in all bridge subspaces Wastebaskets are not installed under bridge spaces There are no statues and beautiful public structures in green spaces The under bridge spaces are aged or scribbled
Content Score Content Score
Den2 x Den3 x
Wastebaskets are not installed in green spaces Drinking fountains are not installed in exercise spaces

편리성을 분석한 결과, 접근이 양호한 교량하부공간과 녹지공간에 휴식시설이 계획되어 있었다. 다만 접근로, 자전거 및 보행자도로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접근이 양호한 교량하부공간은 일부 벤치만 설치되어 있어 충분한 휴식시설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안전성을 분석한 결과, 운동공간, 교량하부공간, 녹지공간에 CCTV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다만 교량하부공간에 안심산책길 표지판만 일부 설치되어 있었는데, 이는 비교적 가시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교량특성상 범죄를 실질적으로 감시하기에 한계가 있을 것을 판단된다. 또한 운동공간 중 약 40%만 난간 및 볼라드를 설치하고 있었다. 안양천은 농구 및 족구 등 구기를 이용하는 운동공간이 자전거 및 보행자도로와 접하고 있다. 그 결과 운동공간은 보행자, 자전거 이용자 뿐만 아니라 운동하는 이용자에 있어 사고 안전성이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환경성을 분석한 결과, 교량하부공간, 녹지공간에 쓰레기통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에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문화성을 분석한 결과, 안양천은 농구장, 인라인스케이트장, 게이트볼 등 청소년, 청·장년, 노인 등의 계층을 위한 운동시설과 반려견 동반가능한 공원이 계획되었다. 다만 안양천 주변으로 유치원 및 어린이집 8곳 초등학교 2곳이 위치하나 수변공간 내 어린이를 위한 활동공간은 계획되지 않았다. 또한 지역행사를 위한 무대공간은 소규모로 1개만 계획되어 있었고 생태체험공간은 계획되지 않았다. 이는 하천복원사업으로 자연생태가 복원된 상황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양한 이용자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공간계획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충훈1교 주변 녹지공간(주변에 석수초등학교와 2곳의 유치원이 인접)은 많은 수변자원이 형성되어 있고 어린이가 밀집되어 있으나 활용되지 않고 방치되었다.

심미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심미성을 고려한 동상 및 구조물이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특히 교량하부공간 같은 경우에는 노후화되거나 기둥에 낙서되어 있었다. 이는 이용자로 하여금 단조로운 분위기를 느끼게 하며, 교량 특성상 구조물로 인해 주간에도 어두워 음침한 분위기가 연출되고 있었다.


5. 결론

최근 들어 급격한 도시화로 수변공간과 같은 자연친화적인 공간은 도시민에게 필요한 공간이 되었다. 이에 따라 안양천도 2010년부터 하천복원개선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처럼 적극적인 국내 수변공간의 개선 사례들이 들어서면서 수변공간은 더 이상 도시경계 또는 변두리가 아니라 도시 내 이용자들의 어메니티 중심공간으로 변화하였고, 이에 따라 시대적 상황과 이용자들의 사회적 요구변화에 따라 수변공간과 어메니티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공간 및 시설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변공간 및 어메니티의 선행연구와 국내 수변공간 우수사례 분석을 토대로, 어메니티 항목 중 편리성, 안전성, 환경성, 문화성, 심미성 측면에서 실태 평가내용을 구성하고자 한다. 이후 최종적으로 도출된 평가내용을 토대로 안양천 수변공간 중 접근로, 하천건널목, 자전거 및 보행자 도로, 활동공간 중심으로 실태를 분석하고 제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어메니티 요소별 안양천 실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편리성 측면에서 공간별 실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안양천의 모든 수변공간에서 접근이 용이하도록 최소한의 유효폭이 적용되었다. 다만 자전거 및 보행자도로를 제외한 공간들은 접근시설이 여전히 부족하며 자전거 이용자, 노인 등을 고려한 구조적 접근계획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이용자의 접근이 용이하고 활용될 가능성이 있는 주택밀집지역, 교량하부 공간에 추가적인 접근시설을 계획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이용자 계층을 고려하여 경사로 및 다리구조, 양쪽에 난간 설치 등 접근이 용이한 구조적 계획이 요구된다.

둘째, 안전성 측면에서 공간별 실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범죄 및 사고안전 측면을 고려한 시설물 계획은 부족하였다. 따라서 범죄 및 사고안전 측면을 고려한 시설물 계획이 요구되는데, 특히 자전거 이용자와 보행자가 주로 밀집되어 사고에 취약한 하천건널목과 자전거 및 보행자도로 중심으로 방지턱, 속도감지시스템과 같은 사고안전 시설물과 범죄안전 시설물을 추가로 계획될 필요가 있다.

셋째, 환경성 측면에서 공간별 실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모든 수변공간에서 쓰레기통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주변 환경에서 쾌적성이 결여되었다. 따라서 수변공간의 쾌적한 환경유지를 위한 위생시설이 요구된다. 특히 다른 공간보다 유동인구가 적어 방치되기 쉬운 공영주차장과 맞닿는 접근로 진출입 공간에 쓰레기통과 투기주의 표지판 등 기본적인 위생시설과 경고문을 우선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넷째, 문화성 측면에서 공간별 실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천건널목을 제외하고 모든 공간에서 이용자를 위한 휴식과 여가 및 취미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시설이 전반적으로 부족하였다. 그 중 활동공간은 다른 대상 공간보다 수변공간 이용자에게 다양한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공간적 가능성이 있으나, 연령대를 고려한 운동시설만 계획되어 이용자로 하여금 제한된 운동 활동만 지원하고 있었다. 따라서 수변공간을 이용하는 모든 계층을 고려하여 어린이의 체험학습과 모든 이용자 간의 커뮤니티를 고려한 공간계획이 요구된다. 공간적으로 여유가 있는 교량주변 녹지공간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심미성 측면에서 공간별 실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안양천의 모든 수변공간에서 미적인 색채 및 형태, 공공조형물, 벽화 등이 계획되지 않아 전체적으로 단조롭고 따분한 느낌을 부여하고 있었다. 따라서 안양천 모든 수변공간에 수자연과 어울리는 색채계획과 미적인 공공조형물 설치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색다른 분위기와 재미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각각의 수변공간마다 통합된 색상을 적용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지역소속감을 부여할 수 있는 방법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실태조사 시 이용자의 특성 및 행태를 반영되지 못한 점과 안양천의 전체 공간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맑은 수질의 확보, 지속적인 오염관리 등과 같은 실태평가에 있어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어려운 내용은 제외하였다. 다만 우선적으로 개선이 요구되는 안양천 수변공간 대상으로 실태를 분석하였고 향후 진행될 수변공간 개선에 있어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Notes
1) 한강으로 유입되는 4대지천은 중랑천, 안양천, 탄천, 홍제천 등이 있다. 4대지천의 수변공간은 주변지역과 연계하여 시민의 일상적 삶의 공간으로서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출처 : 박현찬, 한강지천의 르네상스: 물을 매개로 한 도시기능의 활성화 방안, 한국: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9, pp.1-20. // (H. C. Park, Renaissance of the Han River, Korea: Seoul Development Institute, 2001, pp.1-20.)
2) 삼성천은 김중업 박물관, APAP 작풍 등 문화예술적 시설이 위치하고 있으며, 학의천은 카페테리아, 전망데크, 스탠드형 무대공간 등 여가 및 휴식시설이 위치하고 있다. 출처 : 안양시청, 안양시 경관계획, http://www.anyang.go.kr, 2020.04.05. // (Anyang City Hall, Anyang City Landscape Plan, http://www.anyang.go.kr, 2020.04.05.)
3) 연구대상반경 500m 내에 43,284명이 거주하고 있었다. 이는 만안구 전체 인구 중 약 43%로, 안양천의 다양한 수변공간 중 사람들의 이용률이 높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출처 : 안양시청, 2020년 3월말 주민등록 인구현황. https://www.anyang.go.kr, 2020.04.01. // (Anyang City hall, Resident Registration Population Status at the end of March 2020, https://www.anyang.go.kr, 2020.04.01.)
4) 수변공간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다음과 같다. 김영환, 수변공간 문화재생의 계획적 특징에 관한 연구: 해외사례 고찰을 중심으로, 한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4권 제8호, 2008, pp.207-216. // (Y. H. Kim,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based Waterfront Regeneration, Kore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8), 2008, pp.207-216.), 최정희 외 2인, 도시 수변공간과 지속가능한 개발: GMV와 SEFC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5권 제1호, 2009, pp.225-234. // (J. H. Choi et al, A Study on the Urban Waterfront & Sustainable Development: Focus on the cases of GMV and SEFC, Kore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1), 2009, pp.225-234.), 김민지 외 1인, 친수 환경을 위한 도심 수변 공간의 지각 체험에 관한 연구, 한국: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7권 제4호, 2012, pp.49-58. // (J. H. Choi et al, A Study of Perception experience in Waterfront for Water-friendly Environment , Korea: Journal of The Korea Insitute of Spatial Design, 7(4), 2012, pp.49-58.), 김향집, 도시 수변공간의 활용 실태와 입지적 특성을 반영한 친환경적 수변 도시개발 방안, 한국: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제12권 제3호, 2012, pp.449-460. // (H. J. Kim, Current status and environment-friendly development policy of urban riverfront in Korea on the basis of it's locatioanal property,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3), 2012, pp.449-460.), 강석진, 지방도시 수변공간 이용자 행태 및 현황분석에 관한 연구: 남강, 태화강, 금호강을 중심으로, 한국: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제16권 제1호, 2014, pp.53-62. // (S. J. Kang, A study of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 and users’ behavior on waterfront in local city,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16(1), 2014, pp.449-460.) 등이 있다.
5) 어메니티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다음과 같다. 이지은, Amenity(어메니티)를 활용한 지역개발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 한국정책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06(26), 2006.4, pp.527-562. // J. E. Lee, A study on the analysis of regional development using amenity, Korea: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2006(26), 2006.4, pp.527-562.), 조희선 외 2인, 도시 어메니티 계획에 대한 인식과 어메니티 지표의 중요도 평가: 인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국토지리학회논문집, 제47권 제3호, 2013, pp.351-361. // (H. S. Cho et al, Awareness of urban amenity plan and assesment of the importance of amenity indicators, Korea: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7(3), 2013, pp.351-361.), 강미나 외 1인, 도시어메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공공간 디자인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공공공간 유형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기초조형학회논문집, 제16권, 제4호, 2015, pp.1-16. // (M. N. Kang et al,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ublic space design for urban amenity revitalization,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6(4), 2015, pp.1-16.), 마은주 외 1인,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어메니티를 활용한 지역개발 사례연구: 어메니티에 기반을 둔 국내∙외 지역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논문집, 제19권 제19호, 2008, pp.17-26. // (E. J. Ma, Case Study about regional development utilizing amenity for the sustainable developing, Korea: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19(19), 2008, pp.17-26.), 김미선 외 1인, 도시 어메니티를 위한 유휴공간 활용사례 연구: 고가도로 하부공간을 중심으로, 한국: 한국디자인문화학회논문집, 제20권 제1호, 2014, pp.131-143. // (M. S. Kim et al, A Study on the Unused Space by Utilization Case for City Amenity: Focused on the Lower Part Space of Flyover,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0(1), 2014, pp.131-143.) 등이 있다.
6) 접근로의 유효폭은 편의시설의 구조·재질등에 관한 세부기준(제2조 제1항, 2018.2.9.), 자전거 및 보행로의 유효폭은 도시ㆍ군계획 시설의 결정ㆍ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제9조 제1항, 2019.8.7.)을 근거로 하였다.
7) 2018년 기준, 안양시 만안구 전체 인구 중 노인 인구 비율은 14.5%이며 향후 노인 인구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됨. 안양시 인구통계정보는 안양시(anyang.go.kr)에서 수집함.

References
1. 한광야, 여혜진, 송지은, 수변환경과 도시구조간의 물리적 상관관계에 관한 고찰: 보스턴 찰스 강과 주변 도시공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한국도시설계학회논문집, 제11권 제5호, 2010, pp.37-52.
G.Y. Han, H.J. Yeo, J.E. Song, Urban Waterfront’s Physiographic Influence on Urban Form, Boston, USA, Korea: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1(5), 2010, pp.37-52.
2. 조용모, 안양천의 수질개선과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pp.1-147.
Y.M. Jo, Basic research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and create an ecological river in Anyangcheon, Korea: Seoul Development Institute, 2001, pp.1-147.
3. 이유경, 이승호, 조영태, 한국의 수변공간 도시재생사업 특성 연구, 한국: 한국도시설계학회논문집, 제19권 제6호, 2018, pp.111-130.
Y.K. Yoo, S.H. Lee, Y.T. Cho, A Study o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t Waterfront Areas in Korea: Focusing on the Revitalization Pla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during 2016 and 2017, Korea: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9(6), 2018, pp.111-130.
4. 안양시 생태이야기관, 안양천 살리기 종합계획, https://www.anyang.go.kr/river, 2020.04.02.
Anyang River Visitor Centers, A Comprehensive Plan to Save Anyangcheon, https://www.anyang.go.kr/river, 2020.04.02.
5. 국토교통부, 수변공간∙도시 디자인 전략 연구, http://www.molit.go.kr, 2020.04.03.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A Study on the Design Strategies of Waterfront and Urban Design, http://www.molit.go.kr, 2020.04.03.
6. 김기홍, 도시 하천공간의 이용과 안전관리 방안, 한국하천협회지, 제11권 제2호, 2015, pp.15-25.
K.H. Kim, Urban river space use and Safety Management Plan, Journal of the Korea River Association, 11(2), 2015, pp.15-25.
7. 권영상, 조민선, 수변공간 활성화를 위한 도시계획 및 설계방향,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제5권, 2010, pp.1-357.
Y.S. Kwon, M.S. Cho, A Study on the Urban Planning and Design Principles on Riverfront,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5, 2010, pp.1-357.
8. 김영환, 도시 수변공간의 활용 실태와 입지적 특성을 반영한 친환경적 수변 도시개발 방안, 한국: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제12권 제3호, 2012, pp.449-460.
Y.H. Kim, Current Status and Environment- Friendly Development Policy of Urban Riverfront in Korea on the Basis of It's Locatioanal Property,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3), 2012, pp.449-460.
9. 백승만, 노은이, 김윤미, 여가공간으로서의 수변공간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시 4대 지천을 중심으로, 한국: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6, pp.1-41.
S.M. Baek, E.Y. Noh, Y.M. Kim, Developing Waterfront for Leisure Space: Focusing on Han River's Watercourses in Seoul. Korea: Seoul Development Institute, 2006, pp.1-41.
10. 뉴시스, 서초 양재천 ‘2016 아시아도시경관상’수상, https://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1031_0014485335&cID=10201&pID=10200, 2020.04.08.
Newsis, Seocho Yang Jae-Cheon Received the 2016 Asian City Landscape Award, https://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1031_0014485335&cID=10201&pID=10200, 2020.04.08.
11. 문화일보, 관악구, 대한민국 범죄예방 대상 수상,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71018MW163844661983, 2020.04.08.
Mun-hwa news, Gwanak-gu won the Korea Crime Prevention Award,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71018MW163844661983, 2020.04.08.
12. 이주영, 도림천 생태적 현상에 기반한 시설물 제안, 한국: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5권 제2호, 2015, pp.166-167.
J.Y. Lee, Facility proposal based on the ecological phenomenon of Dorimcheon, Korea: Conferenc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5(2), 2015, pp.166-167.
13. 김혜진, 이경훈, 서울시 하천수변보행공간 이용만족도의 영향요인 분석: 성내천, 양재천, 청계천을 중심으로, 한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8권 제11호, 2012, pp.143-150.
H.J. Kim, K.H. Le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for using the pedestrain space of the rivers in Seoul, Kore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8(11), 2012, pp.143-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