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Vol. 13, No. 6


[ Article ]
- Vol. 13, No. 6, pp. 17-22
ISSN: 2288-968X (Print) 2288-969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Dec 2013
Received 07 Oct 2013 Revised 19 Dec 2013 Accepted 20 Dec 2013
DOI: https://doi.org/10.12813/kieae.2013.13.6.017

The activation study of a regional community using school land

학교용지를 활용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에 관한 기초 연구

Community has been defined as a group of interacting people living in a common location. The word is often used to refer to a group that is organized around common values and is attributed with social cohesion within a shared geographical location, generally in social units larger than a household. The word can also refer to the national community or global community. The word "community" is derived from the Old French communité which is derived from the Latin communitas (cum, "with/together" + munus, "gift"), a broad term for fellowship or organized society.

A sense of community refers to people's perception of interconnection and interdependence, shared responsibility, and common goals. Understanding a community entails having knowledge of community needs and resources, having respect for community members, and involving key community members in programs. But, on account of industrial development, At some point, we have individualism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will achieve local community activation using school land


Community, School land, community activity, 공동체, 학교용지, 공동체 활동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도시는 산업의 발전에 따라 인구의 밀집으로 무분별한 주택 공급이 이루어 졌다. 그로 인해 한정된 공간 안에 밀도 높은 주거 단지가 형성되고 나아가 건축기술의 발전으로 고층건물이 지어지게 된다. 그로인해, 생태계의 파괴와 공동체 내의 커뮤니티에 대한 고려나 공동체 구성원들의 문화적 삶에 대한 고려는 찾기 힘들다.

국내의 주택 건설 시 적용되는‘학교용지 확보에 관한 특례법 제 3조(학교용지의 조성·개발)’를 살펴보면 300가구(제5조제4항제3호에 해당하는 개발 사업은 그 개발 사업분을 뺀 가구 수를 대상으로 하고, 「도시 및 주거 환경 정비법」제2조제2호 다목의 주택재건축사업은 기존 가구를 뺀 가구 수를 대상으로 한다) 규모 이상의 개발 사업을 시행하는 자(이하 "개발 사업 시행자"라 한다)는 개발 사업을 시행하기 위하여 수립하는 계획에 학교용지의 조성·개발에 관한 사항을 포함시켜야 하는 조항이 있다. 또한 올해 4월 교육부는 시, 도교육청 별 전수조사 결과를 기초로 2013년 6월 교원 수급계획과 연계하여 학급당 학생 수 감축을 위한 세부시행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주택 건설시 학교 용지의 확보는 계속 적으로 요구 된다. 실제로 기존 아파트 단지에 법규에 맞춰 연속으로 학교가 지어지거나 저층의 주택들로 형성 되어있는 지역에는 주거 단지 중간에 설립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같이 많은 양의 학교가 지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의 학교는 학생들의 교육적인 목적 이외에 지역 주민을 위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심의 주거지구 내의 넓은 학교 용지를 활용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에 관한 향후 연구를 위하여 학교용지를 활용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 사례별 현황이나 실태 및 운영 등 기초적 조사 및 분석을 하고자 한다.

1.2. 연구범위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공동체에서의 학교의 위상과 역할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로 해외사례와 국내사례의 비교 및 분석을 통하여 학교용지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내용은 첫째, 공동체의 이론적 고찰로써 공동체의 개념과 역할을 조사함으로써 공동체를 위한 학교의 역할과 대응관계에 관해 알아보았다. 둘째, 공동체에서의 학교의 역할에 대하여 외국의 선례를 알아보았다. 셋째, 초, 중, 고 학교 중 수업시간이 가장 짧은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수도권 안에 4곳을 선정하여 이 학교들이 지역 공동체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넷째, 국내외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각각의 장점과 특징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학교 용지를 활용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활성화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2. 공동체 정의 및 공동체에서의 학교의 역할
2.1. 공동체(Community)의 개념 및 정의1)

‘공동체(Community)’에 관한 연구는 19세기 이후부터 한 사회의 바람직한 미래상을 제시하려는 맥락에서 사회학, 경제학, 인류학, 건축학, 도시·계획학 등의 분야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다. 공동체에 대하여 각 분야의 학자들은 다양한 해석을 내리고 있다.

특히, 산업혁명과 시민혁명을 겪으면서 전개된 현대사회에서는 도시화, 전문화 등이 제일 가치로 인식되면서 전통사회에서 볼 수 있었던 ‘공동체’를 매개로 하는 정서가 파괴되고 효율성과 경제성을 중시하는 근대적 사고방식이 일반화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에 대한 해결점을 찾고자 하는 움직임은 현대사회에서의 공동체 재현이라는 방향을 모색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공동체(Community)개념은 어떤 지리적 영역 안에서 거주하는 사람들 끼리 서로 돕고, 친밀감을 형성하는 사회적 유대관계를 기초로 한 집단이라 할 수 있다. 맥키버(Robert M. Maclver, 1917)가 말하는 공동체는 공동체로 이루어진 사회보다는 공동체 단위 개념에 초점을 두고 있어, 단순히 지역성에 있어서만 취급되는 것이 아니라 많은 문화 영역을 포괄하는 공동생활의 한 형태로서 취급 된다고 하였다. 국내의 연구에서 하성규 외 1인(1999)은 특정 지역을 함께 공유하는 구성원들이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에 대한 유대감과 소속감을 공유하면서 조화로운 공생을 통해 스스로의 존속의 꾀하는 사회집단이라 하였고, 박광재 외 2인(2001)은 일정 부분의 장소를 공유 하면서 사회적인 교류관계에 의해서 지속적인 접촉과 참여를 통해 형성되는 심리적 공동의식과 지역에 대한 애착심을 가진 지역적 사회집단이라 정의하였다.

위의 연구자들로부터 공동체에 대한 개념 정의를 살펴보자면, 공동체는 어떤 지역이나 장소를 함께 공유하는 물리적 환경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친밀감이나 소속감을 느끼며 행동이나 목적을 같이 하는 집단이라 볼 수 있다.

2.2. 공동체의 역할2)

Popplin(1979)은 공동체의 개념을 현대 대중사회의 특성과 비교하여 기술하였다. 그는“우리 사회의 가장 심각한 문제에 대한 해답은 공동적 유대를 회복하는 일이며, 공동체의 개념은 결코 단일 차원적인 것이 아니라, 대중사회 속에 소외되고 좌절되는 개인의 감각과 대립되는 개념으로 형성된다.”고 언급하였다 또 그는 공동체와 대중사회의 속성을 일체감-소외, 심성적 통일성-심성적 단절, 자발성-비참여, 전체성-분절화로 기술하였다.

Mead(1970)는 자신의 개체성, 주체성, 또는 자기 정체성(self-identity) 의 개발에 있어서도 인간은 타인과의 상징교환, 타인과의 협동, 타인과의 대화 체험을 통하여 이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공동체성, 사회성(communality), 공동체의식을 가능하게 하는 현장으로 공동생활체를 필요로 한다고 하였다.

2.3. 학교와 공동체3)

2011년 통계청의“맞벌이 가구현황”자료에 의하면 맞벌이 가구비율이 홑벌이 가구비율을 넘고 있다. 맞벌이로 인해 경제적인 풍요로움은 증가하였지만 반대로 학생들은 방과 후 학원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기 때문에 부모의 밑에서 보내는 시간은 줄어 들 수밖에 없다. 가정을 통한 자녀의 양육기능은 줄어들고 이러한 변화로 보육시설수요가 증가하게 되어 보육시설에 대해 다양한 관심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가정에서의 자녀교육 역할이 외부로 전환되면서 보육시설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게 된 것이다.

또한 주 5일 근무제 등을 통해 지역 주민들의 생활체육 활동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공동체 공간의 수요도 증가 하였다. 특히 공원의 조성도 필요하지만 학교시설이 학생들의 수업 이외 에도 지역 주민을 위한 개방, 이용 요구가 증가하였다.

Table 1. 
Share phase of School & community
Step 1 Share facility Generally, opening of School
facilities is opening athletic field
Step 2 Share edu-program Opening education facilities in
school, sharing school building &
education program for local
resident. sharing education
program with a local resident for
student.
Step 3 Share facility
& edu-program
Complexification of school
facilities : When the school
Facilities were being made,
Facilities and local resident can
share eduction program through
Complexification
building a complex community
center : Local resident and
school can share local community
in complex community center out
of school

초·중등 교육법 제 11조, 학교 시설 등의 이용에 따르면 모든 국민은 학교 교육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그 학교의 장의 결정에 따라 국립학교의 시설 등을 이용할 수 있고, 공립·사립학교의 시설 등은 시·도의 교육규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이용할 수 있고 시·도 조례 또는 교육 규칙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이용자에게 학교시설의 이용에 따르는 유지, 보수 및 관리에 필요한 경비를 부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3. 학교용지 활용 지역공동체 활성화 사례 조사4)
3.1. 해외사례 조사

1930년대 미국 미시간주(州)의 플랜트시에서 학교 시설이 1년 중 1/3은 방학과 공휴일로 유휴시설이 되어 사용되지 않고, 하루 중에는 8시간밖에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착안하여 지역사회운동을 시작하였다.

지역사회 학교는 도서관, 실험실 등을 개방, 이용하여 지역사회 발전의 중심지가 되고, 지역사회의 필요에 의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도시나 농어촌을 대상으로 한 현장학습과 노작교육, 지역사회 조사, 지역사회의 자원 활용, 지역사회의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 지역사회에 대한 각종 봉사 활동 제공 등을 특징으로 한다.

학교용지나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지역공동체 활성화 사례는 미국이나 일본 등에 다수 존재하는데 그 가운데 대표적인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뉴욕의 트루스(TRUCE)

시민에게 문화예술을 향유할 기회를 주는 것은‘사회적의무’라는 슬로건 아래 지역공동체의 중심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학교가 뉴욕 트루스이다.

버려진 폐교에서 연극 그림 영화 사진을 가르치는 뉴욕 할렘가 청소년 교육센터‘트루스’는 가난과 범죄로 찌든 아이들에게 어두운 과거를 잊고 자기 정체성을 찾는데 큰 역할을 하는 곳으로 12-19세 청소년에게 미술과 시, 연극, 그래픽디자인, 사진, 지역신문 제작, 영화, 다큐멘터리 촬영을 무료로 가르치고 있다. 현재 학생 185명이 문화예술교육 혜택을 받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1985년 뉴욕 공립학교 영어 교사인 로라부럴이 빈민가 학생들의 자퇴와 낙제를 막기 위해 시작해 24년 동안 계속되었다.

이 학교의 다양한 문화예술 교육프로그램으로 인해 얻은 성과는 방과 후 문화예술을 배우는 아이들은 범죄로부터 멀어졌으며 어두운 과거를 잊고 자기 정체성을 찾는데도 큰 도움을 받는다는 점이다. 문화예술 작품을 만들면서 성취감을 맛본 학생들은 학업에도 큰 흥미를 갖게 되었는데, 2009년 기준으로 이 학교 12학년 학생 41명 중 38명이 대학에 진학했고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이 복수전공으로 그래픽이나 디자인이나 연극, 영화, 문학 등을 선택하였다.

트루스 소속 학생들은 후배들의 탈선을 막고 학업을 격려하는 역할도 한다. 학생 대표가 20-30명 어린 학생의 멘토가 되어 학교 성적과 출석률, 가정생활 상담을 해 주고 있으며 문제가 생기면 복지 코디네이터에게 보고된다. 특정 과목의 성적이 떨어지면 과외선생을 연결해준다. 이런 노력 덕분에 트루스는 12학년 학생 15명은 뉴욕시 전체 평균 점수보다 33% 높은 성적으로 졸업시험을 통과한 것으로 보고된다. 아울러 이 센터는 최근 불거진 이민자 흑인과 미국계 흑인간의 갈등을 풀어주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이 학교는 도시 저소득층의 아이들을 가난과 범죄로부터 탈출시켜 예술가로 키우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내고 자신만의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용기를 주는데 교육의 목적이 있는 모두를 위한 학교를 실현한 지역공동체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다.

2) 일본 치바현 아끼즈 초등학교의 학사융합

아끼즈 초등학교는 치바현 최초의 커뮤니티 스쿨로서 ‘배움과 시설이라는 학교 기능을 지역에 열다’라는 슬로건 하에 학사 융합의 지역공동체 학교로서의 기능을 시작하였다.

학사 융합의 배경에는 평생교육이라는 새로운 사회적 가치가 자리하고 있다. 평생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저 출산/핵가족화에 따라 교육의 책임이 가족이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에 있다는 인식이 대두되고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퇴직 후 시간을 통해 사회나 장년 및 노인층에게 봉사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다는 데 있다. 평생교육의 필요성에 따라 어린이를 인연으로 사람과 사람, 학교와 지역을 연결한다는 개념이 학사 융합이다. 학사 융합은 협의의 학사융합(학과 수업 동안의 학사융합)과 광의의 학사융합(방과 후/휴일기간의 생애 학습으로서의 학사 융합)으로 구분된다.

치바현 아끼즈 초등학교의 학사융합의 예를 들어 본다면 협의의 학사 융합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인 <사람을 매우 좋아하는 교류활동>이 있다. 이 프로그램은 학교수업의 일환으로 연간 50-105시간 활동하며 학생과 지역주민 2만명이 참여하고 있다.

이 학교는 학교시설의 개방에 대해서도 적극적이다. 학교의 모든 시설을 주민에게 개방하며, 특히 학교 내에는 연간 1만 명이 이용하는‘지역 커뮤니티 룸’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곳의 열쇠는 주민이 자율적으로 관리한다. 그리고 교육의 개방으로서는 지역 내 음악계 서클과 합창이나 연주 등을 통해 수업내용을 보다 충실하게 수행하는 등의 내용을 들 수 있다.

이 학교가 추구하는 학사융합의 가치는 학교운영의 개혁만이 아니라 주민전체의 평생학습을 추진하고 다음 세대를 육성, 지역 만들기 까지를 포함하여 커뮤니티스쿨이 아니라 스쿨커뮤니티를 지향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등교하지 않는 아동이 없는 초등학교로 자리매김 하게 되고 지역민과 학교가 융합함으로써 범죄 없는 마을/ 지속가능한 마을 / 시민 자치에 의한 마을 가꾸기가 가능해 졌다.

3.2. 국내 초등학교 사례 현황 조사 분석
1) 대원 초등학교

대원초등학교와 주변은 2-3층의 주택들로 둘러싸여 있다. 주변은 공원이나 쉼터는 찾아 볼 수 없고 중간에 위치한 초등학교만이 유일한 공공 공간이 된다. 격자형의 골목은 좁기 때문에 시야 확보도 어렵고 보차분리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1. 위치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희망로 343번길 24

2. 설립일 : 1971년 09월 01일


Fig. 1. 
Dae-won elementary & satellite picture

3. 주변 주거 지역 : 제 3종 일반주거 지역

4. 운동장 지하 활용 : 주차장 운영

5. 주변 공동체 공간 현황(단위: 개, 300m 반경 이내) : 학원 (9, 도장 포함), 공원(1), 경로당(1), 어린이집 (4), 도서관(0), 체육시설(0), 놀이터(0)

6. 방과 후 학교 운영 계획 (전체 학생 수: 690명)

6-1 목적

가. 다양하고 창의적인 프로그램 운영으로 학교 교육 기능 보완

나. 다양한 학습 욕구 해소 및 보육과 교육을 통한 사교육비 절감

다. 계층 간, 지역 간 교육 격차의 완화를 통한 실질적인 교육복지 구현

라. 학생, 학부모, 지역 주민과 더불어 살아가는 창의적인 민주시민 육성

6-2. 특기적성 교육 운영

가. 기간: 13. 03. 05 - 14. 2. 28 (총 4기 실시)

나. 운영대상: 1-6학년 전 아동

다. 개설 프로그램 및 참여인원(중복참여 가능)

Table 2. 
Dae-won elementary school after school systems & participation



Fig. 2. 
Bul-jung elementary & satellite picture

2) 불정 초등학교

불정 초등학교의 서쪽은 6차선 도로가 위치하고 나머지는 아파트 단지가 에워싸고 있다. 단지와 도로의 중심에 위치한 학교는 주변과 바로 연결되지 않고 나무와 잔디, 공원을 통해 접근하게 되어 있어 주민과 학생의 안전한 접근을 돕는다.


Fig. 3. 
Bul-jung elementary & satellite picture

1. 위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돌마로 250

2 설립일 : 1994년 06월 01일

3. 주변 주거 지역 : 제 3종 일반주거 지역

4. 운동장 지하 활용 : 없음

5. 주변 공동체 공간 현황(단위: 개, 300m 반경 이내) : 학원 (8, 도장 포함), 공원(2), 경로당(2), 어린이집(6), 도서관(0), 체육시설(3), 놀이터(2)

6. 방과 후 학교 운영 계획 (전체 학생 수: 899명)

6-1. 목적 : 학생의 적성 계발 및 취미, 특기 신장 교육의 기회를 제공, 학교의 시설 및 지역사회의 인적, 물적 자원 활동을 극대화. 방과 후 과외활동의 교내 흡수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 맞벌이 가정 등 교육적 보살핌이 필요한 학생들이 안전하고 교육적인 방과 후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Table 3. 
Bul-jung elementary school after school systems & participation


6-2. 특기적성 교육 운영

가. 기간: 13. 03. 05 - 14. 2. 14 (총 4기 실시)

나. 운영대상: 1-6학년 전 아동

다. 개설 프로그램 및 참여인원(중복참여 가능)

라. 운영 시간

① 성악 : 주 1회 50분 운영

② 영어 북 토킹 : 주 2회, 주 3회, 각 50분씩 운영

③ 바이올린2, 클라리넷, 플롯, 단소, 음악, 주산, 줄넘기 : 주 2회 각 50분씩 운영

④ 그 외 부서 : 주 1회 100분 운영

3) 화창 초등학교

안양의 구도심 석수 2동의 끝에 위치한 화창 초등학교는 북동쪽에는 주거지역이 있고 동쪽의 주거 지역은 공동체 공간은 찾아 볼 수 없고 예전의 모습만 간직하고 있다.

1. 위치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2동 348-7

2 설립일 : 2005년 03월 01일

3. 주변 주거 지역 : 제 1종 일반주거 지역


Fig. 4. 
Hwa-chang elementary & satellite picture

4. 운동장 지하 활용 : 주차장 이용

5. 주변 공동체 공간 현황(단위: 개, 300m 반경 이내) : 학원 (4, 도장 포함), 공원(1), 경로당(1), 어린이집(3), 도서관(1), 체육시설(1), 놀이터(1)

6. 방과 후 학교 운영 계획 (전체 학생 수: 614명)

6-1. 목적 : 학생의 소질․적성 개발 및 취미, 특기 신장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학부모의 사교육비를 경감함은 물론 학교의 시설 및 인적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하려는데 있다.

6-2. 특기적성 교육 운영

가. 개설 프로그램 및 참여인원(중복참여 가능)

Table 4. 
Hwa-chang elementary school after school systems & participation


나. 기간: 13. 03. 04 - 14. 2. 28 (총 4기 실시)

다. 운영대상: 1-6학년 전 아동

라. 운영 시간 : 강좌 당 60-80분


Fig. 5. 
Hwa-chang elementary & environs picture

4) 창천 초등학교

신촌역 근방에 있는 학교는 북쪽으로 100m도 안 가서 번화가로 진입하게 된다. 이전 사례와는 달리 주변에 주택 수가 적어 교육부가 지정한 초등학교 학급당 학생 수의 기준 보다 10명 정도 적다.

1. 위치 : 서울특별시 마포구 백범로1길 56번지

2 설립일 : 1940년 01월 29일

3. 주변 주거 지역 : 제 2종 일반주거 지역


Fig. 6. 
Chang-cheon elementary & satellite picture

4. 운동장 지하 활용 : 주차장 이용

5. 주변 공동체 공간 현황(단위: 개, 300m 반경 이내) : 학원 (13, 도장 포함), 공원(1), 경로당(1), 어린이집(3), 도서관(0), 체육시설(0), 놀이터(0)


Fig. 7. 
Chang-cheon elementary & environs picture

6. 방과 후 학교 운영 계획 (전체 학생 수: 223명)

6-1. 목적 및 목표 : 사교육비 경감과 저소득층 학생 중 방과 후에 방임ㆍ방치되는 학생들의 보호기능과 함께 1인 1특기를 습득.

6-2. 개설 프로그램 및 참여인원(중복참여 가능)

Table 5. 
Chang-cheon elementary school after school systems & participation


6-3. 특기적성 교육 운영

가. 기간: 13. 03. 11 - 14. 2. 28 (총 4기 실시)

나. 운영 시간 : 한 강좌 당 주당 2시간으로 한다.

3.3. 국내외 사례 비교 분석

방과 후 지역 공동체를 위한 프로그램은 그리 다르지 않지만 주 대상자를 보면 외국은 주민과 학생인 반면 국내는 학생 위주인 것을 알 수 있다.

Table 6. 
Case comparison & analysis of internal and external
foreign
country
korea
purpose - discover identity
of student
- improve study
achievement
- support public
service activity
among the elderly
- fusion of resident &
student, school &
region
- develop aptitude
of student
- functional
complementation of
school
- reduce private
education expenses
- take care of student
for double-income
family
target resident & student student
program art, poem, graphic
design, movie, photo,
local newspaper
production, play, chorus
and so on
soccer, computer,
reading, discuss,
mathematics, violin
robot science, cookie,
play and so on
period of
education
consistently when in school
educator resident or superior teacher
Underground
of school
disuse parking lot

방과 후 활동의 목적을 보면 외국의 경우 노년층의 사회봉사 기회부여, 학생들의 정체성 발견 및 학업 성취도 발전, 학생과 주민, 학교와 지역의 융합인 반면 국내는 학교 교육의 기능 보완, 사교육비 절감, 맞벌이 가정을 위한 학교 돌봄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국내에선 학교를 아이의 교육과 보호를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는 반면, 외국의 경우 방과 후 활동을 주민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방법으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민이 방과 후 활동에 참여하면서 자연스럽게 지역 아동을 돌봐줄 수 있는 계기가 생기고 동시에 주민의 재능을 지역 아이들에게 전달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 아이가 자라 어른이 되면 다시 지역 아동을 돌봐줄 수 있는 지속적 지역 공동체가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4. 결론

연구를 통해 학교가 지역의 특성에 맞게 변화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내의 경우 맞벌이의 증가와 사교육비 부담으로 인해 학교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돌봄 교실을 마련함으로써 사회에 이바지 하고,외국의 경우 다양한 프로그램을 학교와 지역이 함께 교류함으로써 주민의 참여와 동시에 더욱 적극적인 학교 용지를 활용한 지속적 지역 공동체가 형성 되었다.

국내의 경우 아쉬웠던 점은 학교의 공동체 프로그램이 교내 학생에게만 집중되어 있어 성인이나 청소년이 이용할 수 없었고 그로 인해 학교를 졸업하면 다시 그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없는 환경이다. 또한 지역 주민과의 교류는 단시 시설의 이용 뿐 이여서 학생과 지역민과의 융화도 보이지 않았다.

Table 7. 
The activation plan of a regional community using school land
sociocultural - Effective use of school land
- opportunities for extending resident participation
- sustainable community for descendant
institutional - job opportunities for extending elderly citizens
- securement of various facilities space
- connection with peripheral community space

지역 공동체는 요즘 같은 개인주의 사회에서 청소년 문제, 이웃 간의 이기주의 현실 등을 줄여주고 개인의 정체성과 공공의 사회성을 기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학교 용지의 적극적인 활용과 노년층의 참여 기회의 확대, 주변 공동체 시설과의 연계를 통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 방안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Glossary

1) 이영애, 강순주, 아파트 단지 내 사이버 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Ⅰ,한국 주거학회 논문집 v.19 n.1, p.59, 2008

2) 이라영, 공동주택 단지의 공동체의식과 외부 공간 구성, 전남대 대학원 건축 공학과, p.16, 2009

3) 이영범, 모두를 위한 학교, 공동체 중심으로서의 학교, 한국교육시설학회지 제 18권 제 4호 통권 제 83호, p.40, 2011

4) 이영범, 모두를 위한 학교, 공동체 중심으로서의 학교, 한국교육시설학회지 제 18권 제 4호 통권 제 83호, p.40, 2011


References
1. 라영 이, 공동주택 단지의 공동체의식과 외부 공간 구성, 전남대 대학원 건축 공학과, (2009), p16.
Ra-Young Lee, Sense of Commun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Exterior Spatial Composition in Apartment Complex,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9).
2. 영범 이, 모두를 위한 학교, 공동체 중심으로서의 학교, 한국교육시설학회지 제 18권 제 4호 통권 제 83호, (2011), p40.
Young-Bum Reigh, Everybody’s School, School as Community Huds, Review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2011), 18(4).
3. 영애 이, 순주 강, 아파트 단지 내 사이버 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Ⅰ, 한국 주거학회 논문집, (2008), 19(1), p59.
Soon-Joo Kang, Review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Ⅰ, Review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2008), 19(1), p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