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AE Journal
[ Research Articles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 Vol. 18, No. 4, pp.95-102
ISSN: 2288-968X (Print) 2288-969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Aug 2018
Received 06 Aug 2018 Revised 22 Aug 2018 Accepted 22 Aug 2018
DOI: https://doi.org/10.12813/kieae.2018.18.4.095

경기북부지역 한 채 口자형 주거의 평면 특성 조사연구

백유정* ; 곽동엽**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n the One □-shaped Housing Plans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Peck, Yoo-Jung* ; Kwak, Dong-Yeob**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Daejin University, South Korea givu@naver.com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Daejin University, South Korea dykwak@daejin.ac.kr


ⓒ Copyright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Abstract

Purpose

□ shaped house’s each room are connected by a rectangle around yard. It was typical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upper classes housing. Even seem like the same □ house, the array format and size differences in the shape of space depending on the region and also different names respectively. This study identified a relevance of the northern Gyeonggi □housing and Coils housing, an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ir relationship with the principles that unclosed □ housing(included matgopae housing) floor plan configuration. It can be expected result that can be typed the structure formation process of □ housing in Gyeonggi area an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end house and unclosed □ housing.

Method

According to data gathered or analyzed through previous researches, most of the traditional dwellings in the Gyeonggi area were several unclosed □-shaped types, whereas only a few were found. However, they showed convergence around a certain area, and they observe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ㄱ-shaped housing planes and compared with the same type residential planes in other areas.

Result

One closed □-shaped housing were also identified as a distinguished residential type, showing typical characteristics of northern Gyeonggi traditional houses, although few are left in Gyeonggi Province. One unclosed □-shaped housing also show the practical and economical spatial arrangement extended from the houses in northern Gyeonggi, unlike One closed □-shaped housing, so they can not be overlooked in the study of dwellings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Keywords:

□-shaped Housing, closed(unclosed) □-shaped Housing, ㄱ-shaped Housing (Bend house)

키워드:

경기북부 □자형 주거, 닫힌/튼 □자 주거, 곱은자집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 전통주택 중 口자형 주거는 가운데 마당을 중심으로 그 주위에 방과 마루 등이 방형으로 둘러싸여 배치되는 형식으로 안마당과 외부공간의 직접적인 개폐 여부에 따라 튼口자형과 닫힌口자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튼口자형은 一자, ㄱ자, ㄷ자형 등 2채 이상의 다수 채 건물이 口자형을 지향하며 배치되는 것이 대부분이나 때에 따라서는 단일 채인데도 불구하고 튼口자형으로 결구되는 경우도 있다.

튼口자형을 한 채로 결구할 경우 평면의 일부가 정합(整合)되지 않고 열려있다는 점만 다를 뿐 몸채 전체가 하나로 연결되어 닫힌口자형과 가구와 구조 등이 유사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전체가 연결된 구조는 주요 부재간 구조적 긴밀성이 높아 간살을 잡거나 상부 가구 등을 구조(構造)할 때 확장과 변형 등이 자유로울 수 없고 유연성이 떨어져 외곽의 틀이 고정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한 채 口자형은 다수 채 구성의 튼口자형과는 달리 내부 평면 배열이 구조적 경직성을 띄어 일정한 유형으로 고착화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해당 거주인의 주생활 특성, 주거관, 사회적 풍습, 생활방식 등에 의해 확연하게 차이를 보이는 지역적 특성이 한 채 口자형 주거에서는 보다 더 뚜렷하게 묻어날 수밖에 없게 된다.

기 조사 연구 [1]를 통해 채집되거나 분석된 자료 등을 종합해 보면 경기지역 전통주거의 다수는 비 口자형 혹은 다수 채 튼 口자형인데 반해 한 채 口자형은 극소수만이 파악되어 수적으로 그리 주목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들은 일정한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되는 집중성을 보임과 동시에 비 口자형 평면과의 연관성이 엿보여 형성과 전개과정 등을 추적하고 건축적 지역성의 근원을 찾아 볼 수 있는 좋은 사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경기도의 북부지역을 한정하여 한 채 口자형 주거의 평면적 지역적 특성을 찾기 위해 집중적인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이와 함께 비口자형주거와의 관련성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경기지역 주거의 정체성을 정립하고 타 지역 주거와의 유형적 상관관계를 파악할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List of closed 口-shape housing in northern Gyeonggi-do

1.2. 연구 대상 및 범위

전수 조사를 통해 파악된 경기지역 口자형 주거는 총 636채(경기도건축문화유산 조사사업을 통해 수집된 전통 주거 총 1327채 중 경기남부 1045채, 경기북부 289채이며 이중 口자형 주거는 남부지역 465채와 북부지역 187채 임)로 이 중 한 채 口 자형은 모두 49채(7.8%)만 파악되어 경기 지역 대부분의 口자형은 다수 채 튼 口자 580채(92%)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채집된 한 채 口자형 49채를 남부와 북부지역으로 구분하여 보면 각 각 13채와 36채로 경기 북부에서 월등히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고 이를 다시 닫힌 口자형 :부천(1),평택(1)과 튼口자형 :김포(5), 안양(2), 여주(1), 화성(3)으로 나누어 보면 남부가 2개소 : 11개소인 반면 북부는 12개소 : 24개소로 파악되었다.

남부에 비해 북부지역에서 한 채 口자형의 비율이 높고 그 중에서도 닫힌 口자형 주거의 비율이 높아 주거의 폐쇄적 경향이 남부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보인다.

Fig. 1.

distribution of 口-shape housing in Gyeonggi Northern(closed □-shaped / Unclosed ■-shaped)

그러나 한 채 口자형 주거를 채집된 전체 전통주거의 수와 대비해 보면 남부가 1045 : 13으로 1.2%인 반면 북부는 289 : 36으로 12.5%로 더욱 그 차이가 벌어진다. 이처럼 경기 남부에 비해 북부에서 한 채 口자형 주거의 건축비율이 높다는 것은 예사롭지 않은 추세로 한 채 口자형 주거를 통해 지역성의 양식적 유형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견되는 지표이다.

Total distribution of 口-shape housing in Gyeonggi-do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북부 지역을 대상지역으로 한정하고 연구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최종적으로 한 채 닫힌 口자형 12채와 한 채 튼 口자형 24채 등 총 36채가 대상으로 채택되었는데 한 채 口자형만을 대상으로 삼은 것은 보다 뚜렷한 지역성의 추출을 기대하였기 때문이다. 남부에서 채집된 13채는 북부와의 비교 대상으로 삼고자 본문에 포함하여 분석하기로 하였다.

연구 대상 주거의 건립시기는 1850년대에서 1930년대 전후에 걸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닫힌 口자형이 1900년대 이전에 건립된 비율이 높은 반면 튼 口자형은 1900년대 이후의 비율이 높다. 이 중 닫힌 口자형은 고양의 이정균 가옥이 1876년(光緖二年)이 가장 오래 되었고 강근열 가옥이 1942년(昭和十七年)으로 가장 늦은 반면 튼 口자형은 양주 윤충섭 가옥이 1854년(咸豊四年)으로 가장 이르고 고양 강성윤 가옥이 1942년(昭和拾七年)으로 가장 늦다.

크기는 닫힌 口자형이 대체로 정면 5칸 측면 5칸 정도의 정방형이고 튼 口자형은 정면 5칸 측면 4칸의 장방형 형태를 한 것이 많다. 조사 가옥은 현장에서 실측 조사를 충실히 하여 도면화한 다음 평면을 분석하였고 주거인 및 주변 주민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변형되거나 추가 증축된 부분은 원형을 추적하여 자료화하였다.

List of unclosed 口-shape housing in northern Gyeonggi-do


2. □자형 주거 유형 및 특성

2.1. 口자형 주거 유형 및 분류

口자형 주거는 전통주거 중 많은 수를 차지하고 지역적 분포가 비교적 명확하여 전통건축 연구의 좋은 소재가 되어 왔다. 특히 최근 연구를 통해 경기지역 튼口자형 주거가 ㄱ자형 주거와 평면적으로 유사성이 있음이 확인되기도 하였다 [2].

튼口자형 주거 유형에 대한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신영훈은 튼口자형를 주로 ⊏자 주거 유형에 근거하여 형성된 주거로 설명하며 엄격한 의미에서 산곡간 집과 평야성 집이 절충된 형태에서 나타나는 것이라 정리하였다 [3]. 김홍식은 튼口자집을 대문간의 위치관계를 통해 7가지로 분류하여 이러한 구분의 기본 계열은 모두 ㄱ+ㄴ의 구성 [4]으로 각 유형들은 모두 경기도 중부지방의 ‘ㄱ’자 집에 근거한다고 정리하였다.

김화봉은 경북 북부지방 튼口자형 주거는 한 채 혹은 두 채 이상의 건물이 안마당을 중심으로 배치를 이루며 안채의 구성형태에 따라 다양한 패턴을 형성하고 이 때 안채의 평면은 일자형과 중부지방 ㄱ자형(마루와 부엌이 안방을 중심으로 ㄱ자로 꺾임)에 근거한다고 정리하였다 [5].

한편 북한학자 황철산은 주택을 외통집과 양통집으로 유형별로 나누고 구자집(똬리집)은 꺾음집과 함께 기본적으로 외통집의 유형에 속한다고 정리하였다.

강영환은 서민주거를 집중형주거, 절충형주거, 분산형 주거로 구분하여 평면형태로 유형화하는 방법이 아닌 공간의 배열방법(대문과 담장의 설치 및 부속채의 형태) 등 어려가지 요소들을 가지고 지역적 차이를 보인다고 정리하였는데 북부지방의 집중형 口자 주거 와 남부지방의 분산형 口자 주거 가 혼합 및 변형된 형태가 절충형 주거의 튼 口자 주거 라 설명하였다 [6].

Classification 口-shape housing

2.2. 지역별 口자형 주거의 평면 특성

1) 경기북부 맞고패집

경기북부지역의 한 채 口 자형 주거는 광주산맥 남서지역인 고양(9채)과 포천(9채)에 가장 많은 수가 분포하고 그 다음으로 양주 (7채)와 남양주(5채) 순으로 많다.

경기북부 전통주거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유형은 ㄱ+ㄴ자로 구성된 맞고패집으로 151채, 52.2%에 해당된다.

맞고패집은 경기북부 전역에 고르게 분포하되 광주산맥을 따라 형성된 분지 주변으로 길게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

Fig. 2.

Distribution of Dwelling type in the northern Gyeonggi

즉 포천-양주-의정부 도로망과 동두천-파주-고양, 그리고 비교적 북동부의 험준한 산지를 넘어 가평 일대의 노선으로 갈라지는 양상을 보이며 전체 농가의 절대 다수를 차지한다. 이들 농가 출입부의 패쇄적 공간구획과 내밀한 평면구성은 다분히 한 채 닫힌 口자형 주거를 지향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맞고패집의 공간 구성은 포천의 차재감 가옥과 이경순 가옥과 같이 채의 공간 기능이 분명히 구분되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유형으로 발전된 양상을 띤다.

특히 안채 실구성의 웃방 분리와 건넌방 확장, 그리고 바깥채 대문간 구성과 수장간의결합 등은 안공간의 내밀성과 바깥채효율성을 보다 극대화 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이것은 경제력과 직결되는 구조적 원리보다도 관습화 된 방형의 공간구성 원리와 관련 깊다고 할 수 있다.

즉 맞고패집이 갖는 경제적 유익과 공간 활용의 효율적 특징이 한 채 튼 口자형 주거에도 반영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Fig. 3.

Type of Matgopae-Jip

2) 뜰집

‘뜰집’은 주로 낙동강의 동안과 영동에 분포한 口자형 주거로 안동문화권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口자집을 이른다.

뜰집의 안채는 두 가지 형식을 보이는데, 일산 이중식 가옥처럼 정침의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안방과 건너방을 앉히고 좌우 익사를 따라 부엌 및 통래칸을 구성하여 부엌·안방이 대청과 직교하는 평면 유형과 울진 유한우 가옥과 같이 대청의 위치에 안방이 배치되고 부엌이 모서리 자리에 놓여 정지・큰방・대청・상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는 유형이다 [7].

뜰집에서 대청을 중심으로 정침을 구성한 주거는 대청과 대문이 마주하여 안방 및 부엌으로의 직접적 시선을 차단할 수 있고 대청 전면 폭이 안마당의 가로 폭과 같으므로 정면성이 강조된 전체적인 공간적 중심을 뜰 안에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8].

Fig. 4.

Type of Square-shaped Dduel-Jip

하지만 규모면에서 보면 안방을 중심으로 정침을 구성한 주거가 더욱 넓은 추세를 보이며 비례적으로 세장한 평면을 구성할 수 있기에 전체 규모가 일정한 한계성을 갖는다.

3) 井자집

井자집은 주로 경상북도 북부지역(청송,영양,예천,봉화 등)에 분포하며 전체적인 평면 구성이 여칸집의 구조와 공간 배열이 동일하다. 井자형 주거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대청을 중심으로 사랑영역과 안방영역이 서로 마주한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 청송군 청운리에 위치한 고수성씨 가옥의 평면을 살펴보면 [9] 전체 정면 4칸, 측면 3.5칸 규모로 대청을 중심으로 좌측의 사랑영역과 우측 안방영역으로 구성된다. 사랑방 영역은 전면으로부터 각 각 1칸 크기의 외양간과 반 칸 크기의 측면 출입간, 2칸 사랑방이 차례대로 배열된 반면 우측 부분은 각 각 칸 반 크기의 정지와 안방 그리고 반칸 도장방이 순서대로 연접하여 전형적인 여칸집 구성인 사랑방과 외양간, 대청과 봉당, 안방과 정지의 배열이 그대로 적용된다.

Fig. 5.

Type of 井-shaped house

사랑방과 안방 사이에는 비교적 규모가 큰 2칸 대청을 두었고 그 앞으로 대청 크기만큼의 안뜰을 형성한다.

정자집은 반드시 몸체 안에 외양간 또는 봉당을 두어 실내 작업공간을 확보한 여칸집의 평면적 특성을 보인다.

가구수법 역시 대청 좌우 온돌방 보꾹과 반자 사이의 더그매를 둔 여칸집 구조로 대청에서 양쪽 박공이 직접 보이는 형태로 밀실한 내부의 환기를 고려한 특징이 있다.

3) 똬리집

‘똬리집’은 ‘뙈새집’이라고도 하며 대문과 중문이 함께 있는 것이 특색으로 주로 개성인근을 비롯한 황해도와 경기서해안 지역에 분포하는 口자집을 말한다. 개성에 위치한 똬리집의 평면을 살펴보면 안채는 두 칸 큰방과 한 칸 대청 및 한 칸 딴방이 일렬로 배치되고 큰방과 딴방(관계가 없는 다른 의미로서 같지 아니한 다른, 따로 떨어져 있는 별도의 방으로 해석됨)에 연접해 난방을 위한 부엌을 따로 두었다.

광은 딴방부엌에 연달아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 바깥채는 툇마루가 있는 사랑방과 큰 대문간이 연이어져 있으며 안사랑 부엌으로 이용되는 대문간이 추가로 확인된다. 리종목은 똬리집의 특징으로 이중으로 문을 달아낸 대문간과 살림방들에 골방 또는 벽장이 필수적으로 있는 점을 언급하였으며 경제적 능력 정도에 따라 평면 구성의 차이를 보인다고 하였다 [10].

Fig. 6.

Type of TtwaRi-Jip

김광언은 똬리집은 보통 안뜰과 뒤뜰(뒤안)을 구성하고 안채 중심에 위치한 아랫방과 웃방은 겨울철에 장지로 사이를 막아 웃방은 수장공간으로 쓴다 [9] 하였다.

한편 경기만 이북지역에서 확인된 똬리집을 하나의 건물로 지어진 민가의 형식 중에서 가장 큰 규모로 보아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집에서 상류주택을 모방한 주거양식이라는 견해도 있다.


3. 한 채 □자형 주거 평면 특성

3.1. 진·출입부 구성 및 유형

경기북부지역에서 발견되는 口자형 주거는 대문 외에도 작은대문을 두거나 샛(대)문을 두는 등의 다양한 출입구가 확인되는경우가 많은데 특히 이면출입二面出入形(정면과 측면에 각각 큰대문간과 작은대문간을 따로 두었음) 주거가 4개소 조사되었으며 정면 퇴칸에 대문간을 구성하여 진입복도를 형성하는 퇴칸출입형(퇴칸에 출입구 두는 형식은 대부분 모서리를 선택하여 대문간을 두는 경향이 짙으며 내밀한 평면 특성을 보여 이면출입형과 함께 독특한 출입형식의 예로 경기북부 농가의 공간특성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임) 주거 또한 3개소로 확인되었다. 그 중 이면출입방식은 황해도의 똬리집 평면에서도 확인되는 출입유형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대문간을 중심으로 연접한 좌우 실이 1.헛청간으로 구성된 경우는 가변적 공간으로 사용되고 2. 고방이나 광 등 실공간과 구성되어 특정한 기능을 갖추면 독립적 공간의 성격을 띤다. 이 외 헛청간과 실이 함께 구성되면 복합적 공간이라 보았다.

이러한 분류에 따라 출입부 기능을 살펴보면 가변적 평면 구성에 가까울수록 농작업과 가사일의 다목적 이용 성향이 짙은 반면 독립적 평면 유형은 출입을 위한 통로로만 사용되는 경향이 높다 [11].

이를 경기북부 한 채 口자형 주거에 적용하면 한 채 튼 口자형 주거는 가변적 공간구성이 8개소로 절반 이상의 비율을 보이는 반면 한 채 닫힌 口자형 주거는 각 유형간의 비율차가 미미하다.

다만 경기남부는 튼口자 주거를 포함한 한 채 口자형 주거 모두를 보아도 폐쇄형구성이 4개소(36%) 혼합형 구성이 7개소(64%)로 가변적 평면 구성비가 높다.

Fig. 7.

access spatial types of Dwellings in a 口-shape in northern Gyeonggi-do

가변적 출입공간 구성은 실내 작업 공간을 확보하여 농업경제활동의 실리를 고려함이 크게 작용하였다고 보는데 안마당보다 대문간과 허청 공간은 농·가사 활동과 직결되며 주요 농가 소득 작물을 손질하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즉 주거 규모의 차이를 갖게 하는 가장 핵심적인 생산 공간이 대문간을 포함한 출입영역이라 여겨진다 [12].

또한 경기북부 한 채 口자형 주거의 대문간 위치를 살펴보면 정면에 대청을 향하는 경우는 단 한곳도 없으며 대부분 건넌방과 마주하여 배치함으로써 대청 및 안방으로의 직접적인 시선을 제한한다. 이와 같은 연유에서 측면진입(바깥마당에서 안마당으로의 시선처리는 매우 제한적이어서 대부분 건넌방을 정면에 두고 있거나 아예 측면진입을 하여 대문 전면에서 안마당이 보이지 않게 처리한 가옥이 3개소로 확인됨)과 퇴칸진입이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출입대문으로부터 시선의 차단은 경기남부 한 채口자형 주거에서도 다수에 해당된다.

Fig. 8.

Configure hide wall in a 口-shape south Gyeonggi-do

경기남부 한 채 닫힌 口자형 주거는 2개소와 한 채 튼口자형 주거 11개소 중 가벽이 있는 확인된 경우는 54%이다.

하지만 경기남부 口자형 주거에서는 대문간 전면에 차면벽을 두거나 중문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경기북부지역과 크게 다르다.

결과적으로 한 채 口 자형 주거는 경기북부 다수 채 튼口 자형 주거의 출입공간 특성을 그대로 반영하며 특히 맞고패집의 공간구성과는 직접적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3.2. 건넌방과 건너부엌의 구성 특성

조사대상 주거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안채의 건넌방 구성에 있다. 대상군의 건넌방은 평균 한 칸 반 정도의 크기로 대청과 비교하면 절반 이상의 비율을 보이며 닫힌 口자형 주거에서 퇴는 대청 전면 혹은 안방 전면으로 일부 구간에 형성된다.

일반적인 경기 전통주거에서 안채 건넌방 규모는 한 칸 정도이며 전・후퇴를 둔 경우에서 조차 그 크기가 두 칸을 넘지 않는다.

space configuration of dwellings in a 口-shape in northern Gyeonggi-do

특히 건넌방의 난방은 따로 부엌을 두지 않고 함실아궁이를 두거나 전퇴 마루를 높여 솥 하나를 둘뿐이다.

The size of opposite room & DaeChung in Closed 口-shape

또한 아무리 큰집이라 할지라도 취사를 할 수 있는 부엌간은 하나뿐이고 기타는 아궁지만으로 되었거나 부엌으로 되었다 할지라도 취사를 할 만큼 크게 되어 있지 않다 [13]. 경기북부지역 역시 이러한 건넌방 구성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며 대상 가옥에서와 같이 건너부엌을 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그러나 한 채 닫힌 口자형 주거 다수는 건넌방 크기가 대청과 비등하거나 절반 이상의 규모로 일반 농가와 차이를 보인다.

또한 대상가옥 모두 건넌방에 연이어 한 칸 내지 칸 반 규모의 아궁이를 둔 허청간을 두고 (Table 3. 한 채 닫힌 口자형 주거의 평면도식 참조) ‘건너부엌’이라 따로 부르는 경우도 조사되었다.

경기북부 한 채 닫힌 口자형 주거에서 건너부엌은 모퉁이에 위치(6개소)할 때 통행을 겸하기 위해 반 칸 이상의 헛간을 포함하기도 하는데 고양 전주영 가옥과 같이 문을 달아 폐쇄한 경우도 있는 반면 의정부 신윤식 가옥과 남양주 조진석 가옥처럼 헛간처럼 앞마당 쪽으로 열려진 경우가 더 많다.

한 채 닫힌 口자형에서 건너부엌이 모서리에 위치한 전체 면적에서 마당이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28%이며 사방이 막힌 방(실)로 구성된 면적 역시 평균 25%에 불과하다. 그리고 모서리의 건너부엌은 건너방의 난방을 하면서 안마당으로의 연기 유입을 줄이고 땔감을 따로 적재하는 헛간의 기능을 겸한다.

또는 안채와 사랑채가 채 단부에 위치한 평면 구성일 경우 모서리에 위치한 건넌방 전면으로 건너부엌을 내달아 건넌방과 사랑방 난방을 겸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 외부로 나가는 문을 내어 헛간처럼 이용된다 (Fig. 9.). 한편 한 채 튼 口자형 주거의 건넌방 규모 또한 칸 반 이상 크기로 구성된 주거가 10개소(42%)이며 이 중 6개소는 대청과 건넌방의 규모가 같다. 하지만 건너부엌이 확인된 사례는 오직 건넌방이 단부에 오지 않는 경우, 즉 건넌방이 다른 실들 사이에 위치한 일부 농가만이 해당된다.

Fig. 9.

Configure the opposite kitchen of Closed 口-shape

일례로 남양주 손병문 가옥처럼 건넌방이 실들의 중앙에 놓여 건너부엌은 모퉁이에 위치하고 몸채 단부에는 부엌 혹은 광이 위치한다. 이와 같이 한 채 튼 口자형 주거에서 확인된 건너부엌은 몸채 가운데 놓여 채를 구분하면서 연접 실의 난방을 겸하거나 뒤안 및 외부 통로로 활용된다. 공통적으로 한 채 口자 주거에서 나타나는 건너부엌은 안채와 사랑채가 맞닿는 경계공간에 위치하여 건넌방과 함께 난방을 겸하는 연계공간이거나 바깥채가 안채와 맞닿지 않도록 공간적 여유를 확보함으로써 공간 범위를 구획하는 기능을 한다. 즉 한 채 口자형 주거의 건너부엌은 단순히 안채가 확장되면서 나타난 서비스 영역이라기보다 평면 배열과 연관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건너부엌은 확장된 건넌방 공간적 위계변화를 나타내는 동시에 사랑방의 배치구조와 형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된다.

Fig. 10.

Configure the opposite kitchen of unclosed 口-shape housing

3.3. 사잇공간의 연계성 증가

한 채 튼 口자형 주거의 양 단부에 배치된 실들은 특정한 상관관계를 드러내는데 일반적으로 안채는 건넌방이나 부엌이 단부에 위치하고 바깥채의 사랑방 또는 광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런 경우 안채와 바깥채의 경계 공간에서 몸채가 나뉘어 맞닿는 사잇공간을 형성한다. 경기지역에 분포한 대부분의 전통주거에서 ㄱ자형 안채는 단부에 부엌과 건너방이 위치할 수밖에 없는 정형성을 갖는 반면 비교적 자유로운 공간 구성이 가능한 바깥채 역시 사랑방을 모서리보다 퇴칸에 배치하는 공통점을 보인다.

특히 남부의 한 채 튼 口자형 주거는 바깥채 단부에 광이나 헛간이 오는 비율(7개소,64%)이 높은 반면 북부는 사랑방이 자리하는 비율(18개소,75%)이 월등히 높은 것이 특징이다.

The position of the Sarangbang in 口-shape housing

특히 튼 口자형 주거에서 대문간으로의 출입을 기준으로 사랑방이 측면으로 돌아앉은 경우(15개소,63%)가 절반 이상이다.

이것은 대문간 좌우에 부속공간을 두고 각 실들 사이에 끼지 않도록 사랑방을 측면 퇴칸에 배치하는 맞고패집의 바깥채 평면구성과 매우 흡사하다. (Table 8. 단부 구성공간 도식 참조)

space of ends of unclosed 口-shape in Northern Gyeonggi

즉 튼 口자형 주거는 곱은자형 채 구성 형식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갖으며 맞고패집의 결합형으로도 해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북부의 닫힌 口자형 주거는 사랑방이 대문간과 전면에 배치된 경우가 비등(6:6)하다.

이들은 주로 모서리에 사랑방을 두었는데 위치관계상 대문간 이외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는 정면성을 확보하면서 독립적 공간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격식을 차린 형태로 해석된다.

3.4. 실 구성 연속성과 패턴화

한 채 닫힌 口자형 주거와 한 채 튼 口자형 주거는 모두 일정 실들이 정해진 순서와 위치를 갖는다. 이 때 특정 공간이나 배열에 의해 두 주거유형은 평면 구성상의 차이를 보인다.

무엇보다 일정 공간에 정해진 실들이 순서대로 연이어져 일련의 패턴으로 질서를 갖는 점에 주목된다. Table 9.의 예시 주거는 대표적 평면구성의 예들로 전형성을 띄는 안채에 비하여 바깥채의 사랑방이 1. 퇴칸에 있거나, 2. 어칸에 있거나, 3. 모서리에 위치하면서 구성의 틀을 크게 바꾼 듯이 보이지만 트여진 경계부의 위치와 연접한 공간이 자리하는 실 간의 순서는 건너방-대청-안방-부엌-광-헛간-대문간-사랑방-건너부엌-건너방의 규칙성(실공간의 순서는 대청을 기준으로 건너방의 좌 ·우 위치 여부에 따라 방향을 정하며 건너방에서 시작됨)을 보인다.

일부 주거에 따라 가감되는 공간은 모든 사례가 주로 허청간의 형태로(10개소,42%) 사랑방과 연이여 형성된다.

튼 口자형 주거 농가의 대부분은 13_현병수 가옥과 같이 건넌방과 사랑방이 채의 단부에 위치하여 마주하게 되는데 대체로 안채 규모가 커짐에 따라 면모를 갖추는 건너방과 달리 사랑방의 크기 및 형식은 축소된 경향을 띤다.

spatial flow sequence of dwellings in a opened 口-shape

이는 바깥주인의 거처가 안채로 전이되고 접객의 기능마저 약화되면서 사랑공간이 간소화된 것으로부터 원인을 짐작할 수 있다.

반면 사랑방에 따라 붙는 광과 헛간은 주로 연이어 배치되며 광은 대문간을 경계로 바깥채 영역에 두고 주로 모서리공간이나 퇴칸 단부에 위치시켜 외부와의 소통과 접근성을 고려한다.

튼 口자형 주거 농가에 비해 닫힌 口자형 주거 농가의 공간구성은 전체적으로 헛간이 형성되는 영역이 증가되는데 이것은 건너부엌의 구성과 관련 깊다. 튼 口자형 주거 농가에서 건너부엌은 건넌방이 실들 사이에 끼인 경우(6개소,25%)에서만 확인되었지만 닫힌 口자형 주거의 대부분은 건너부엌을 두고 사랑부엌을 생략하는 형태이다.

spatial flow sequence of dwellings in a Closed 口-shape

때문에 모퉁이에 건너부엌을 배치하고 연이어 사랑방을 건넌방과 마주하도록 구성함으로서 마주본 두 실의 난방을 겸한다.

그리고 대문간과 사랑방 사이에 헛간을 배치하여 각 영역간의 경계를 뚜렷하게 구분한다. 한편 사랑방이 측면으로 돌아 앉혀 바깥채 전면을 대문간과 가변적 공간으로 구성함으로서 정면성이 중요시된 전통적 사랑공간의 형태에서 벗어나 농·가사 공간의 효율성을 고려한 의도적인 배치구성도 확인된다.

닫힌 口자형 주거에서 기타공간★은 주로 헛간과 광으로 구성되지만 오히려 ‘작은 대문간’을 두거나 샛문을 둔 경우도 많다.

그로 인해 튼 口자형 주거에 비해 닫힌 口자형 주거가 전체적으로 확장된 평면을 보이는 듯 보이지만 안방과 대청 사랑방 및 광의 크기를 비교해보면 규모의 변화는 두드러지지 않는다.

이는 각 실에 대한 공간적 비율에 변화를 갖지 않고 口자형 주거 공간을 구성하는 것은 안채와 사랑채의 기본단위를 그대로 답습하는 관습에 의한 결과로 사료된다.


4. 결론

본 연구는 경기북부지역 한 채 口자형 주거 평면 및 공간 구성에서 나타난 지역성을 밝히기 위한 조사연구로서 이들을 한 채 닫힌 口자형 주거와 한 채 튼 口자형 주거를 구분하고 기타 주거 유형을 비롯한 타 지역 口자형 주거와 구별되는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닫힌 口자형 주거는 경기도에서도 소수만이 남아있는 평면형식으로 비록 적은 수에 불가하나 경기북부 주거의 전형적 특성을 보이며 하나의 구별된 주거 유형으로서 파악되었다.

또한 튼 口자형 주거는 닫힌 口자형 주거와 달리 맞고패집으로부터 확장된 실리적이고 경제적인 공간 배치 구성을 보여 닫힌 口자형 주거와 더불어 경기북부지역 주거사 연구에 있어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를 통해 경기북부 한 채 口자형 주거 공간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口자형 주거는 경기북부 맞고패집 주거의 전형성을 반영한다. 튼 口자형 주거 대부분은 맞고패집의 출입부 형식 및 실 구성과 직접적인 영향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닫힌 口자형 주거 역시 주요 공간의 배치 관계가 매우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각 채 들이 결합된 성향이 반영되었다.

둘째, 口자형 주거에서 건너부엌은 건넌방의 난방을 해결하면서 허청간의 의미와 상응되는 별도의 공간으로 닫힌 口자형 주거에선 사랑방의 배치구조에 영향을 준다. 또한 바깥채가 맞닿는 경계공간에 구성됨으로써 연접한 실의 난방을 겸하거나 부속공간이 안채 영역과 직접 맞닿지 않도록 완충역할을 한다.

따라서 건너부엌은 일반적인 경기북부 전통주거에서 확장된 건넌방의 공간적 위계변화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

셋째, 각 영역의 경계에 구성된 허청간은 각 영역의 성격을 보다 명확히 구분하고 바깥채에 집약되어 구성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내밀한 안채 영역을 보호한다. 口자형 주거에서 헛청간의 배치는 개방형 출입 구성과 대문간과 함께 다목적 작업 영역을 확보함으로써 바깥채 부속 기능을 강화시킨다.

넷째, 튼 口자형 주거와 닫힌 口자형 주거가 구분되고 있는 것은 평면을 구성하는 실들의 연속성 여부와 더불어 절점 공간에 할애된 실 공간의 용도와 그로 인해 관찰되는 공간적 특성에 있다.

口자형 주거의 규칙적 공간 배열은 일정한 순서를 따르며 영역의 절점에 광과 헛간을 두어 다목적 용도로 활용한 실용성이 두드러지는 특징을 보인다.

결과적으로 튼 口자형 주거는 닫힌 口자형의 평면에 기인하지만 이 역시 온전한 유형으로서 평면적 특성을 갖는다.

한편 이들의 구성단위가 되는 ㄱ자형 주거의 지리적 분포와 특징을 규명하는데 한계를 가졌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가 경기북부 전통주거의 지역적 범위를 확대한 후속 연구를 위해 활용되길 기대한다.

References

  •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 Gyeonggi Province Ⅰ~Ⅳ, Gyeonggi-do, (2003).
    경기문화재단, 경기도건축문화유산 Ⅰ~Ⅳ, 경기도, (2003), 「경기도건축문화유산」조사사업은 경기도 전역에 분포한 1945년 이전에 지어진 비지정 전통민가의 기록을 담고 있다. 이 후 [1]‘ 문화재청, 비지정건조물 조사 사업 - Ⅱ 경기도, 2008 //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rchitectural Heritage report of the not specified Ⅱ Gyeonggi-do. 2008년 비지정건조물일제조사를 통해 기 조사지역의 민가를 포함한 다수의 농가가 추가됨.
  • Peck, Yoo-Jung, A Study on the Two Main Access's Folk House in Gyeonggi-Do,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1(6), (2015), p131-132.
    백유정, 경기지역 二面出入形 주거의 조사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31(6), (2015), p131-132. [ https://doi.org/10.5659/JAIK_PD.2015.31.6.131 ] Peck, yoo-jung,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farms-housing in northern parts of Gyeonggi Province, Ph. D. Dissertation, Daejin University, (2017, Feb).
    백유정, 경기북부 근대농가의 건축공간특성 연구, 대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Feb).
  • Shin, Yong-Hoon, The House in Korea, Youlhwadang Publisher, (1983), p146-153.
    신영훈, 한국의 살림집, 열화당, (1983), p146-153.
  • Kim, Hong-Sik, Korean Traditional House, Hangil Publisher, (1992), p424-435.
    김홍식, 한국의 민가, 한길사, (1992), p424-435.
  • Kim, Hwa-Bong,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spatial construction of '□-typed House' and '=,ㄷ,Open-□-typed House' in North Kyung-buk Area,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7(1), (1996).
    김화봉, 경북 북부지방의 『뜰집』과 '二字.ㄷ字.튼ㅁ字型' 住居의 空間構成 比較 硏究,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7(1), (1996).
  • Kang, Young-Hwan, A Typological Review on The Rich Peasant's Dwelling of Pyongan Province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 Based on the Descriptions and Drawings by Immigrants,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1(4), (2015), p125-126.
    강영환, 일제시기 평안도 부농주거의 성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31(4), (2015), p125-126.
  • Kim, Hwa-Bong, A Study on the `Tteuljip` of Andong Culture Area in the Joseon Dynasty, architectural engineering,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thesis, (1999), p155.
    김화봉, 朝鮮時代 安東文化圈의 `뜰집`에 關한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논문, (1999), p155.
  • Kim, Mi-Na, A Study on the Planar Characteristics of the Square-shaped Dduel-Jip in Andong Cultural Areas,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8(2), (2012), p45-46.
    김미나, 안동문화권내 일체형 뜰집의 평면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28(2), (2012), p45-46.
  • Kwak, Dong-Yeob, A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the Vill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Folk Houses on Cheongunri in Cheong-Song, (2008), p111.
    곽동엽, 청송 청운리 마을구조와 민가특성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19(2), (2008), p111.
  • Lee, Jong-Mok, A Study on the Rural Housing in Korea, Pyongyang, Academy of Sciences publisher, (1961), Cultural heritage, (5), p192.
    리종목, 우리나라 농촌 주택에 관한 연구, 평양, 과학원출판사, (1961), 문화유산, (5), p192.
  • Kim, Gwang-Eon, Dwelling and Traditional culture in korea, Minumsa Co., Ltd, (1994), p213.
    김광언, 한국의 주거민속지, 민음사, (1994), p213.
  • Peck, Yoo-Jung,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Bakat-chae on Matgopae-jib in the Northern Region of Kyong-gi Province,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7), (2011), p115-116.
    백유정, 대문간 위치로 본 경기북부 맞고패집의 바깥채 공간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27(7), (2011), p115-116.
  • Hwang, Cheol-San, The nation past the type of housing an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Archaeology and Ethnography, (3), (1965).
    황철산, 우리나라 과거주택의 류형과 그 형성 발전, 고고민속, (3), (1965).

Fig. 1.

Fig. 1.
distribution of 口-shape housing in Gyeonggi Northern(closed □-shaped / Unclosed ■-shaped)

Fig. 2.

Fig. 2.
Distribution of Dwelling type in the northern Gyeonggi

Fig. 3.

Fig. 3.
Type of Matgopae-Jip

Fig. 4.

Fig. 4.
Type of Square-shaped Dduel-Jip

Fig. 5.

Fig. 5.
Type of 井-shaped house

Fig. 6.

Fig. 6.
Type of TtwaRi-Jip

Fig. 7.

Fig. 7.
access spatial types of Dwellings in a 口-shape in northern Gyeonggi-do

Fig. 8.

Fig. 8.
Configure hide wall in a 口-shape south Gyeonggi-do

Fig. 9.

Fig. 9.
Configure the opposite kitchen of Closed 口-shape

Fig. 10.

Fig. 10.
Configure the opposite kitchen of unclosed 口-shape housing

Table 1.

List of closed 口-shape housing in northern Gyeonggi-do

Region A closed ⼝-shape house
House owner Village / Site Aerophoto
in 2014‘
Plan
Building Year Scale (front×side) / structure
Goyang 01 Baek, man-gi Gamune village /
Hyeoncheon-dong
- 6 x 7 / flat 4 梁
02 Jun, ju-yung Mokan village /
Byeokje-dong 93
1900's 4 x 4.5 / flat 4 梁
03 Yeo, un-gyeong Dochon village /
Gusan-dong, 558
1930's 4 x 4.5 / flat 4 梁
04 Lee, jeong-gyun Daejagol village /
Daeja-dong 809
1876 5.5 x 5 / flat 4 梁
Namyangju 05 Choe, jin-seok Birugae village /
Yongam-ri,Byeollae-myeon
1937 5.5 x 4 / 3 梁
06 Jo, jin-seong Gayamgol village /
Jinbeol-ri, Jinjeop-eup
1884 5 x 4.5 / flat 4 梁
Yangju 07 Jung, ji-heong Sangdong village /
Go-eup-ri, Gyeonggi-do
1905 4.5 x 5 / 3 梁
08 An, seong-man Meruji village /
Mansong-ri,Gyeonggi-do
- 5.5 x 6 / flat 4 梁
09 Gang, geun-yeol Dungae village /
Deokgye-ri,Hoecheon-eup
1942 6 x 4 / 3 梁
10 Bak, chang-geun Meokgol village /
Gwangsa-dong 587 - 1
1930's 5 x 4 / 5 梁
Uijeongbu 11 Sin, yun-sik Gusung village /
Gosan-dong, 393 - 6
1900's 5 x 5.5 / flat 4 梁
Pocheon 12 Lee, gyeong-yun Hasung village /
Chogapal-2-ri,Sohol-eup
1850's 5 x 5.5 / 5 梁
■ - DaeChung K - Kitchen ■ - SaLang room ← Entrance

Table 2.

Total distribution of 口-shape housing in Gyeonggi-do

Region Gyeonggi Northern Gyeonggi Southern
Type
Sum
Total 12 24 2 11

Table 3.

List of unclosed 口-shape housing in northern Gyeonggi-do

A unclosed ⼝-shape house
Region House owner
Building Year
Structure (anchae
/bagatchae)
Roof
framing plan
Region House owner
Building Year
Structure (anchae
/bagatchae)
Roof
framing plan
Region House owner
Building Year
Structure (anchae
/bagatchae)
Roof
framing plan
Gapyeong 13 Hyun,byung-soo flat 4 梁 Namyangju 21 Lee, ju-taek 3 梁 Pocheon 29 yeon, jae-yang 5 梁
1940's 3 梁 1938 flat 4 梁 1921 flat 4 梁
14 Lee, seok-chan 3 梁 22 Yoo, jae-yeong 3 梁 30 Lee, sang-gil 3 梁
1930's 3 梁 1869 3 梁 1910's 3 梁
15 Lee, soon-ja 5 梁 23 Yoo, man-sik 3 梁 31 Yoon, yeo-chan 3 梁
1939 3 梁 1900's 3 梁 1940's 3 梁
16 Lee,kwang-hyun 3 梁 24 Lee, gab-seok 3 梁 32 Go, geon-tae 3 梁
Yangju
1930's 3 梁 1898 3 梁 1850's 3 梁
17 Min, eul-bong flat 4 梁 25 Won, hong-sik 3 梁 33 Go, dong-joon 3 梁
1930's 3 梁 1926 3 梁 1939 3 梁
Goyang 18 Gang, seong-yun 5 梁 26 Yoon,chung-seop 5 梁 34 Choe,byeong-hyeok 3 梁
1942 3 梁 1854 3 梁 1905 3 梁
19 Ham, jae-yun 5 梁 27 Gang, yeong-uk 3 梁 35 Kim,jae-hyeon 3 梁
Uijeongbu
- 3 梁 1913 3 梁 1920's 3 梁
20 Kim, dong-wook flat 4 梁 28 Sin, yeong-woo 5 梁 36 Cha, sang-yuk 5 梁
- 3 梁 1900's 3 梁 1926 flat 4 梁

Table 4.

Classification 口-shape housing

Region Kim Hongsik Shin Yeonghun Hwang Cheolsan
Lee Jongmok
Gyeonggi and middle Region east coast of the Nakdong River north region
Classification ① ㅡ shape housing ① Yeokan-Jip ① Double layer
② ㄱshape housing
② 口shape housing ② single layer
③ ㄱ+ㄴunclosed housing
- unclosed
口shape housing

⊏ + | shape
ㅡ single plane
- corner main entrance
= double plane
- edge main entrance
ㄱ shape
bend house
Dae- chung
有 -
northwesterner
無 - South
Central
- Sarang Maru-romm
- non gate house
- wings housing
⊏ shape
bend house
- sub gate house
- Daechung front of gate
- 尸 shape housing
口 shape TtwaRi-Jip
④ small 口 shape housing
⑤ big 口 shape H (Ttuljip)

Table 5.

space configuration of dwellings in a 口-shape in northern Gyeonggi-do

01_Baek’s 02-Jun’s 03_Yeo’s 04_Lee’s 05_Choe’s 06_Jo’s 07_Jung’s 08_An’s 09_Gans’s 10_Park’s 11_Sin’s 12_Lee’s
■sarang room ■daechung ← main entrance ▩kitchen ▲opposite room ◈opposite kitchen ●sang room
■garden ■opposite kitchen ■opposite kitchen ■storage ■anbang ■kitchen ■barn main / entrance ■sarang room ■servants’ room
13_Hyun’s 14_Lee’s 15_Lee’s 16_Lee’s 17_Min’s 18_Gang’s 19_Ham’s 20_Kim’s 21_Lee’s 22_Yoo’s 23_Yoo’s 24_Lee’s
25_Won’s 26_Yun’s 27_Gang’s 28_Sin’s 29_Yeon’s 30_Lee’s 31_Yoon’s 32_Go’s 33_Go’s 34_Choe’s 35_Kim’s 36_Cha’s

Table 6.

The size of opposite room & DaeChung in Closed 口-shape

No. 1 2 3 4 5 6 7 8 9 10 11 12
Opposite R 3 1 1 1 1 1.5 2 2 1 1.5 1 1.5
Dae-chung 3 2 2 2 2 3 2 3 2 2 2 3
front TOI o o o o x o x x x o o o
No.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Opposite R 1 1 1.5 1 1 2 1.5 1 1 2 2 1.5
Dae-chung 1.5 1 2 2 1 2 2 1.5 2 2 2 2
No.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Opposite R 1 2 1 1 1 2 1 1 1 2 2 1
Dae-chung 2 2 2 2 2 2 2 2 2 2 1 2

Table 7.

The position of the Sarangbang in 口-shape housing

Region Gyeonggi Northern Gyeonggi Southern
Type
Type
Middle 3 5 3 1
Ends 18 - 6 -
Corner 3 7 3 1

Table 8.

space of ends of unclosed 口-shape in Northern Gyeonggi

Drawing an example No. An-chae SaRang-chae northen
A opposite
room
SaRang room 16
B barn 2
C opposite
kitchen
SaRang room -
D barn -
19_Ham’s 27_Gang’s
E main room
kitchen
SaRang room 2
F barn 1
G barn SaRang room -
14_Lee’s 36_Cha’s H barn 3

Table 9.

spatial flow sequence of dwellings in a opened 口-shape

sequence 3″ →2 →3 →4 →3‴ →2‴ →1 →2′ →3′ →4″
title opposite room dae- chung anbag kitchen storage barn main entrance sarang room opposite kitchen AnChae barn
mark - - - ▲■●◆
13_Hyun’s 18_Gang’s 24_Lee’s 29_Yeon’s 34_Choe’s

Table 10.

spatial flow sequence of dwellings in a Closed 口-shape

sequence 2′ ← 1′ ⥀ ⥁ 1 → 2 → 3 → 3‴ → 2‴ → 1″ → 2″ → 3″
title storage barn main entrance sarang room opposite kitchen opposite room dae- chung anbag kitchen
mark - - -
1 - -
2
3 - ▤▥
4
5
6
7
8
9
10 - ▤▥
11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