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AE Journal
[ Research Article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 Vol. 18, No. 3, pp.5-12
ISSN: 2288-968X (Print) 2288-969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8
Received 28 Nov 2017 Revised 11 Dec 2017 Accepted 16 Dec 2017
DOI: https://doi.org/10.12813/kieae.2018.18.3.005

일본 셰어하우스의 공용공간 계획에서 나타나는 공간 가변성에 대한 연구

이재혁* ; 김영훈**
The Space Variability in the Public Space Planning of the Share House in Japan
Lee, Jae-Hyouck* ; Kim, Young-Hoon**
*Dept. of Architecture, Daejin Univ, South Korea imickey3434@naver.com
**Corresponding author, Dept. of Architecture, Daejin Univ, South Korea kymyh@daejin.ac.kr


ⓒ Copyright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Abstract

Purpose

In the modern international society, the change of life pattern and marriage have changed the value or ideology, and the number of one or two households is continuously increasing. As a result, public and private companies are carrying out 'shared housing' projects mainly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and this is developing as a new residential trend called 'Share House'. In this study, we try to analyze the common space of Japanese Shared House.

Method

Methods and main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will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 Sheer House and analyze the development of the Japan Sheer House through the review of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theoretical review. Second, we will review brief overview and overall characteristics of Shared House in Japan selected as an example, and analyze the composition of public space. Third, we want to analyze how the common space of the selected Shared House is linked and flexible.

Result

In this study, w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common space planning in Japan 's Shared House and analyzed the case of Shared House.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of the common space in Japan will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forming a chaperone house suitable for the domestic environment in the future.

Keywords:

Share House, Public Space, Space variability

키워드:

셰어하우스, 공용 공간, 공간 가변성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현대 국제사회는 생활패턴의 변화 및 결혼에 대한 가치관이나 이념이 바뀌면서 1~2인 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위와 같은 변화에 의해 1인가구는 새로운 형태의 소비 주체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이를 충족할 만한 경제성, 거주 공간 확보 등 많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각종 연구 결과나 통계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1), 위와 같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1인가구를 위한 소형주택 공급에 대한 정책인 ‘도시형생활주택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기업 및 민간기업 등에서 서울 및 대도시를 중심으로 ‘공유형 주택’ 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는 ‘셰어하우스’라는 새로운 주거 트랜드로 발전하고 있다.

우리나라와는 달리 일본은 일찍이 1∼2인 가구정책 사업으로 셰어하우스의 개념을 도입했다. 일본의 셰어하우스는 일본 여행객을 위한 게스트하우스 사업을 시작으로 보고 있으며 ‘집을 공유한다’라는 문화가 자리 잡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본래 게스트하우스는 단기간 거주와 여행객의 거주에 목적이 있었기 때문에 장기간 거주를 위한 대응 방안으로 셰어하우스의 개념으로 변화 했다. 즉 일본의 셰어하우스는 장기간 거주를 목적으로 하는 일본 여행객을 대상으로 전개가 되었으며 이들과 교류를 원하는 일본인 내국인들이 거주하기 시작하면서 현재 셰어하우스의 개념을 가지게 되었다.

위와 같이 일본의 셰어하우스는 ‘집을 공유한다’라는 개념 하에 일반 공동주택과는 다른 평면·공간 계획을 가진다. 특히 셰어하우스는 여러 사람이 함께 생활방식을 공유하기 때문에 개인적인 공간과 함께 거주자들이 함께 사용하는 공용공간의 비중이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일본의 셰어하우스의 공용공간은 다양한 목적과 성격의 공간으로 변이가 가능하며 면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셰어하우스의 공용공간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일본 셰어하우스의 공용공간은 유기적인 연결을 통해 공간의 변이가 자유롭게 나타나고 있으며 우리나라와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여건이 가장 유사하기 때문에 국내에서 활용하기 좋은 여러 유형의 셰어하우스가 개발되어 있다.

국내 셰어하우스는 역사가 짧고 셰어하우스의 개념이 확실하게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양적인 물량만 단기적으로 증가해 질적·경제적인 측면에서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일본 셰어하우스의 공간계획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도 양질의 셰어하우스를 보급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본 연구에서는 일본 셰어하우스의 공용공간의 특성분석과 공간의 가변성을 파악하기 위해 현재 일본에서 운영하고 있는 셰어하우스를 대상으로 한다. 각 사례들의 특징 및 분석결과는 3장에서 기술하고 있다.

연구의 방법 및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선행연구 검토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일본 셰어하우스에 대한 전체적 특징을 파악하고 일본 셰어하우스 발전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 둘째, 사례로 선정한 일본 셰어하우스의 간략한 개요 및 전반적인 특징을 알아보고 공용공간구성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여기서 셰어하우스에서 나타나는 공용공간에 대해 개념적인 정의를 내리고자 한다.
  • 셋째, 사례로 선정된 셰어하우스의 공용공간이 어떠한 방식으로 연계가 되고 유연하게 변화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가변성에 대해서는 물리적 가변성, 위계적 가변성, 기능적 가변성 3가지의 특징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이 같은 일본 셰어하우스 공용공간의 분석이 향후 국내 환경에 맞는 셰어하우스를 형성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1.3. 선행연구 검토

일본 셰어하우스의 연구는 주로 공간계획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우소현(2013)은 국내 셰어하우스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일본 셰어하우스를 공용공간의 구성과 종류 및 디자인 특성을 중점적으로 다뤘으며, 같은 해에 공간의 배치관계에 따른 유형별 특징 분석을 진행했다. 또한 손진하(2013)는 국내 도시형 생활주택의 정립을 위해 해외의 셰어하우스를 분석한 연구도 진행했다.

본 연구에서 진행하게 될 공용공간의 특성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는데 공용공간에 대한 용어가 조금씩 다르게 다양한 용어로 지칭이 된다.2) 따라서 셰어하우스에 적용되는 공용공간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개념의 공용공간의 정의가 필요하며 이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최임주 외 1인(2007)과 박세환(1996)의 연구에서 정의하는 공용공간은 주거공간을 제외하고 이웃 간의 친교를 위한 공간, 편의 공간, 여가 공간 등을 모두 포함하는 넓은 의미에서 정의하고 있다. 또한 공유공간에 대해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에서 정의를 내린 윤정혜(2000)의 연구를 비롯해 김성준(2008)과 제경민(2005), 서주환(2008), 황연숙 외3인(2010)은 공용공간을 커뮤니티공간으로 해석해 공동의 거주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웃과 친교에 주된 목적을 가지는 공간이라 정의한다.

또한 일본 셰어하우스의 공용공간의 특성을 한국전통주거공간의 무자성적 특성을 대입한 윤득근(2015)의 연구로 공용공간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2. 일본 셰어하우스의 특징 및 발전과정

2.1. 일본 셰어하우스의 특징

‘셰어하우스’는 ‘공유’라는 개념에서 시작되어 혈연관계로 이루어진 가족이 아닌 타인과 주거 공간을 공유하는 주택 형태로 정의된다. 개인적인 공간인 침실을 제외한 부엌·화장실·욕실·거실 등을 다른 사람과 함께 이용하는 생활방식으로 하나의 주택에 여러 사람이 거주하는 형태로 볼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셰어하우스는 1∼2인 가구 증가로 인한 여러 가지 주거문화와 경제적인 변화와 함께 새롭게 등장한 형태로 위와 같은 변화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셰어하우스는 단순히 경제적․공간적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이 아닌 새로운 공유문화와 커뮤니티 문화의 형성을 이끌어 내고 있다.

일본 셰어하우스는 운영방식과 형태에 따라 5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3) (Table 1.)

Type of share house divided into residence type and operation type

또한 2008년 일본 히츠치 부동산의 통계 결과에 따르면 일본 셰어하우스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 첫째, 일본 내 셰어하우스 거주자는 70%가 내국인이며 둘째, 거주자의 37%는 20대 후반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50%이상이 20대로 나타난다. 셋째, 거주자 남녀비율은 남성 30%, 여성 70%로 나타나며 넷째, 셰어하우스 거주의사 이유 중 가장 큰 목적은 거주비용의 절감이었으며 다섯째, 셰어하우스 거주자 62%이상이 처음 장기거주 계획이 없었지만 거주환경에 만족해 장기거주를 하고 있으며 다른 거주자와의 생활에서 오는 만족도가 장기거주선택에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4)

위와 같은 특징으로 보아 일본 셰어하우스는 거주자간의 커뮤니케이션과 커뮤니티 형성에 목적이 있음을 알 수 있고, 주거를 중심으로 물리적인 생활방식의 공유에서 지식, 라이프 스타일, 문화 등의 큰 범위로 확대됨을 알 수 있다.

Japan Share house features

2.2. 일본 셰어하우스의 발전양상5)

일본의 셰어하우스는 여행객을 대상으로 전개한 게스트하우스가 시초라고 보고 있다. 1990년대 일본 유학생들이 호주, 캐나다, 미국, 유럽 등에서 생활하면서 20∼30대 들이 중심이 되어 하나의 주택에서 생활하는 방식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러한 생활방식을 공유하는 형태를 경험한 일본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일본에서는 게스트하우스 문화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일부 주택의 공간을 공유하면서 타인이 같이 거주하는 형태의 문화는 서양권 국가의 여행객에게는 익숙한 문화였으며, 유학에서 돌아온 일본인 유학생들은 단기간 거주를 목적으로 하는 20∼30대 젊은세대를 대상으로 게스트하우스를 운영하였다. 1990년대부터 일본 내 외국인의 유입이 꾸준하게 증가하면서 자연스럽게 게스트하우스는 양적인 성장을 이루었으며 여기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의 수도 함께 성장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게스트하우스는 일반적으로 장기간 머물기 원하는 거주자를 대응하기에 한계가 많았으며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현재 ‘셰어하우스’의 개념이 도입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일본의 셰어하우스는 본래 게스트하우스에서 시작이 되었으며, 장기간 거주를 원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게스트하우스를 셰어하우스로 전환하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장기간 거주자에 대응하기 위한 셰어하우스는 언어적·문화적 교류를 원하는 일본인 내국인들이 거주하기 시작하면서 셰어하우스사업이 본격적으로 소개되기 시작했다.

더욱이 셰어하우스는 외국인과 교류 외에도 경제적·문화적 파급효과를 만들어 냈다. 특히 젊은 세대들은 다른 주거형태에 비해 저렴한 셰어하우스에서 경제적 혜택을 얻을 수 있었고, 그 안에서 같이 거주하는 거주자들과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일본사회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불렀다.


3. 일본 셰어하우스의 공용공간계획 특성 사례분석

3.1. 사례분석 대상 및 분석 방법

사례로 선정한 일본 셰어하우스는 기존의 주택이나 아파트를 리모델링하여 운영하는 DIY형 셰어하우스보다는 셰어하우스의 목적으로 설계되어 많은 수의 거주자를 수용할 수 있는 사업체 개재형 셰어하우스를 선정하였다. 이는 많은 거주자를 수용하는 셰어하우스는 공용공간 계획에 대한 중요도와 특징이 나타나며 비교적 일본 셰어하우스의 트랜드에 맞춰 계획되었기 때문이다.

선정된 사례는 간단한 건축개요를 시작으로 공용공간을 총 4개로 분류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각 공용공간은 생활공간, 커뮤니티 공간, 여가활동 공간, 작업활동 공간으로 분류했으며 그 특징은 다음 장에서 서술하였다. 각 사례마다 해당하는 공용공간의 세부 구성을 비롯해 그 구성되어있는 공간이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 분석을 진행하였다.

3.2. 셰어하우스에서 나타나는 공용공간의 분류

셰어하우스는 ‘공유’라는 개념이 적용되기 때문에 공용공간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거주자의 특성과 구성원의 규모에 따라 공용공간의 크기는 다르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특히 셰어하우스에서는 거주자간 정기적·비정기적 행사가 많아 공용공간의 활용도가 높게 나타나며 경제적 이점보다는 공간을 공유하면서 경험하는 다양한 활동에 만족감을 느끼는 거주자들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다양한 성격의 공용공간이 존재한다. 또한 타인과 함께 공간을 사용하기 때문에 거주자간 불편함과 문제점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구성원과 소통하면서 의견공유를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다른 주거에 비해 거주자간 소통을 자유롭게 이뤄질 수 있는 공용공간의 역할이 필요하다.

위와 같은 특징을 통해 셰어하우스에서 나타나는 공용공간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6) 선행연구에서 분석한 공용공간의 정의와 위의 셰어하우스에서 나타나는 공용공간의 특징을 종합하면 생활공간, 커뮤니티 공간, 여가활동 공간, 작업 및 교육의 공간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생활공간’은 기초적 생활을 위해 필요한 식당, 게스트룸, 홀/로비, 공용 화장실/샤워실을 지칭하며 ‘커뮤니티 공간’은 연회장, 회의실, 휴게실, 공원/녹지 등 거주자간 소통을 위한 공간으로 볼 수 있으며 ‘여가활동 공간’은 전시시설, 취미실, 실내운동장, 헬스클럽 등 거주자의 활동적인 취미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볼 수 있고 마지막으로 ‘작업활동 공간’은 개인적인 업무 및 작업을 위한 공간으로 비즈니스 룸, 작업장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Shared House Public Space Classification

3.3. 일본 셰어하우스 공용공간의 구성 개요

각 사례에서 나타나는 공용공간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The Share’에서 나타나는 공용공간의 특징을 보면 생활공간에 해당하는 로비공간은 거주자의 교류를 위한 공간으로 비즈니스를 위한 공간이나 방문객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이 된다. 커뮤니티 공간은 다목적 라운지가 계획되어 있어 거주자간 소통과 교류를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여가활동 공간은 씨어터룸과 라이브러리가 계획되어 있기 때문에 소모임이나 동아리 활동이 가능한 공간으로 계획되었으며 공통의 취미나 관심사 교류를 가능하게 한다. 작업 및 교육 공간은 2층에 위치하며 오피스 형식을 수용하여 하나의 독립적 공간을 제공하며 같은 층에는 미팅룸과 같은 비즈니스 공간이 계획되어 있다.

‘셰어라이프 치토세 카라스 야마’의 공용공간 구성을 살펴보면 생활공간은 선정사례 중 가장 다양하게 구성이 되어 있다. 특징적으로는 개인자전거 보관소와 주차장을 유료로 제공하고 있으며 카페형식의 오픈테라스를 제공하고 공용식당과 연계하는 복합 공간으로 계획되었다. 이러한 공간구성은 개방감을 주며 휴식공간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계획했다. 특히 이 사례에서 적용된 오픈테라스는 두 개로 나누어진 건물 중심에 위치해 외부공간임에도 주거와 연결되는 커뮤니티 공간의 중심역할을 한다. 또한 공용거실에는 거주자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수 있도록 공유 로드맵을 설치했다.

‘Share Place’에서 나타나는 공용공간은 다양한 기능으로 분류해 유동적인 활용이 가능하게 계획했다. 특히 DOTE, IKADA라는 이름의 공간을 만들고 대상 건물이 위치한 지역의 강과 제방을 모티브로 계획했다. 위와 같은 공간들은 휴식공간의 개념을 가지지만 서로 다른 컨셉으로 계획되어 공간의 다양성을 부여하고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단순히 자전거 보관소를 넘어 정비소까지 구현해 자전거 타기 좋은 지역적 특징을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1층에는 테라스를 계획해 실내와 연계를 가능하게 하며 옥상텃밭을 통해 거주자의 취미 활동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을 계회했다.

마지막으로 ‘세비야 에비스’에서 나타나는 공용공간을 살펴보면 식당, 부엌, 카페, PC룸, 시네마실을 열린 공간으로 구성했다. 또한 이러한 공간은 벽이 아닌 레벨 차이에 의해 구성되어 하나의 공간을 여러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주방과 카페공간을 복합적으로 계획해 거주자간 커뮤니티활동과 휴식공간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하며 가변적인 가구 배치를 통해 필요에 따른 공용공간의 변화를 보여 준다.

Comprehensive composition of Japanese Share House Public Space

3.4. 일본 셰어하우스 공용공간 사례분석 종합

앞서 분석한 일본 셰어하우스에 계획된 공용공간은 일반 공동주택의 공용공간과 다른 양상을 보인다. 1∼2인 가구로 이루어진 주택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생활을 지원하고 개인 사생활 보호등 보안을 담당하는 생활지원센터가 있고 각 개인 생활공간으로 진입하기 전 로비 등 공용공간을 두어 개인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공용공간은 외부 손님을 대응하는 응접실로 활용하는 다양성을 보이고 있다. 카페와 같은 휴게공간은 각 거주자의 교류를 증진시키고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는 공간이자 식당과 같은 기초적 생활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야외공간은 좁은 대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옥상정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좁은 세대공간을 완화해주고 자연을 접할 수 있는 공간으로 녹지를 구성하고 휴게공간을 부여한다.

위와 같은 특징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주로 한 층에 공용공간을 모으거나 각 층에 분산시켜 접근성을 용이하게 한다. 1층이나 저층부에는 로비를 비롯한 상업공간을 계획하며 옥상에는 녹지/야외정원을 통한 휴게공간 및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계획해 각 거주자들이 불편하지 않게 활용 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였다.

공용공간의 종류와 세부실을 보면 기초적인 생활공간과 커뮤니티 공간은 필수적으로 계획이 되어있다. 그 외 거주자의 필요에 따라서 또는 각 셰어하우스의 성격이나 컨셉에 맞게 여가활동 공간, 작업 및 교육공간이 계획되는 양상을 보인다. 특히 필수적으로 나타나는 공용공간은 로비, 생활지원센터가 있으며 커뮤니티공간으로는 주민공동시설을 비롯한 카페, 휴게공간, 야외공간이 계획된다.

또한 공용공간의 구성은 모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주택면적이 크지 않은 일본의 특성상 각 공간은 규모가 작게 연결되어 각자 다른 공용공간을 구성하기 보다는 목적에 따라 변용이 가능하도록 계획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다양한 공간을 하나의 공간으로 인식하여 다목적성을 보이고 있다.


4. 일본 셰어하우스의 공용공간에서 나타나는 공간 가변성

4.1. 공용공간에서 나타나는 공간 가변성의 개념7)

일본 셰어하우스의 공용공간의 특징을 보면 다양한 상황과 요구가 발생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 다양한 공간적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 거주환경의 변화가 큰 셰어하우스는 외부와 연계를 가능하게 해 다양한 활동이 이뤄지도록 해야 하며 외부인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개방적인 역할을 한다. 거주자간 소통을 위해서 셰어하우스의 공용공간은 접근성이 좋아야 하며 공용공간의 내부 구성도 거주자가 쉽게 접근이 가능하도록 유연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거주자의 요구를 수용할 수 있게 공용공간은 다양한 목적을 수행 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즉 거주자의 필요에 맞게 공용공간은 유연하게 변경이 가능하도록 계획이 되어있다.

이러한 공간의 가변성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단위 공간의 상보적 행위에 의해 공간의 성격이 부여되는 ‘상보성’, 각 공간의 성격은 완전히 정립된 것이 아닌 미완결 상태로 존재하는 ‘미완결성’, 절대적 공간의 속성이 아닌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상대성’, 각 공간은 주변의 환경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성’으로 특징을 정리할 수 있다.

위의 특성을 종합해 일본 셰어하우스에서 계획된 공용공간의 가변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8)

Fig 1.

Set analysis standard by synthesis of variability characteristics of space

‘물리적 가변성’은 공용공간의 상보성과 상대성 다기능적 특징을 보이며 공간이 거주자의 특성과 요구조건에 따라 물리적인 규모와 다양한 영역을 가지기 때문에 공용공간의 성격을 단정하기 어려운 애매모호함을 가진다. 각 공간들은 여러 가지 수단에 의해 공간이 확장되거나 축소되고 용도에 따라 변화하는 가변성을 가진다.

‘위계적 연결성’은 상보성과 상대성 미완결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각 공간의 위상을 정하지 않고 공간의 높낮이나 가구와 같은 소품의 배치, 인테리어를 통해 공간을 분리하고 역할을 부여한다. 이러한 성격은 자연스러운 시각적 흐름을 차단하지 않고 하나의 공간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가변성을 가진다.

‘기능적 가변성’은 공간간의 관계와 거주자의 목적에 따라 성격이 정해지는 다기능적 활용성이 나타난다. 어떤 특정 공간의 성격은 그 주변에 계획된 공간의 배치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기적인 변화를 가진다.

4.2. 일본 셰어하우스에서 나타나는 공용공간의 공간 가변성 특징

앞서 기술한 공용공간의 3가지 특징을 선정한 셰어하우스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able 5.)

Type according to individual space arrangement

‘The Share’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보면 거실 및 식당, 부엌의 영역이 가구의 배치와 용도에 따라 구분되는 모호함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거주자가 임의로 공간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벽체를 활용한 공간분리가 아닌 오브제나 가구 등의 배치로 심리적으로 공간을 분리했다. 마찬가지로 공간의 구분을 오브제 및 가구를 이용했기 때문에 상황에 맞는 다양한 기능과 목적을 수용할 수 있는 가변적 구조를 가진다.

‘셰어 라이프 치토세 카라스 야마’는 폴딩도어를 활용한 물리적 가변성을 보인다. 폴딩도어를 통해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공간의 자유로운 확장과 축소가 가능하며 사용 목적에 따라 필요한 공간을 확보 할 수 있다. 식당이나 PC룸의 바닥 마감재를 다르게 사용해 질감과 색에 의해 공간의 성격을 부여하며 전체적으로 열린 공간으로 계획하여 전체적 공간을 일관성 있게 연결 시켰다. 다양한 목적의 행사가 이루어지는 공용공간의 특성상 이동이 가능한 가구와 소품의 배치로 상황과 기능에 맞게 공간을 변형 시킬 수 있다.

‘Share Place’의 물리적 가변성을 살펴보면 외부 테라스와 실내공간을 폴딩도어로 계획해 공간의 확장성을 부여했으며 DOTE공간의 바닥 마감재를 외부까지 연장해 공간의 구분을 모호하게 계획했다. 위계적 연결성은 공간의 레벨차이를 이용해 심리적으로 공간을 분리했으며 역시 공간을 벽체로 분리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체 공간을 하나의 공간으로 인식하게 계획했다. 다목적 잉여공간이자 휴식공간인 DOTE를 계획해 다양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식당과 거실까지 오픈시켜 위와 같은 특징을 부각시켰다.

‘세비야 에비스’의 공용공간의 특성을 보면 식당부터 부엌 카페, 시네마까지 열린 공간으로 구성하며 공간의 높낮이에 따라 심리적 공간 분리를 계획했다. 역시 오픈된 공간으로 시각적인 일관성을 부여했다. 주방과 카페공간은 복합적으로 계획되어 식사를 위한 공간과 더불어 휴식이 가능하도록 계획했으며 가구와 소품의 배치에 따라 공간의 성격이 변화한다. (Table 6.)

Japan Sharehouse Flat Analysis None scale

4.3. 소결

셰어하우스에서 나타나는 공용공간의 공간가변성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위의 사례에서 나타나는 공용공간은 폴딩 도어를 활용하거나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외부의 공간과 내부 공간을 구분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활용해 공용공간의 물리적인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목적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계획을 했다.

둘째, 공간의 위계를 부여하는 경우 공간의 높낮이나 가구 및 마감재를 활용해 심리적으로 공간을 차단한다. 단순히 벽체나 물리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오브제나 레벨차를 활용해 공간을 차단하지 않고 하나의 공간으로 연결시킨다. 다소 협소한 셰어하우스를 보다 넓고 답답하지 않도록 시각적 차단을 최소화 하고 공용공간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계획했다.

셋째, 공간을 구성하는 오브제나 가구 및 소품이 이동이 불가능한 붙박이 형식이 아닌 위치변경이 원활하도록 구성했다. 셰어하우스의 공용공간 특성상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가구나 소품이 이동이 가능하도록 계획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요소를 통해 셰어하우스의 공용공간은 다양한 방향으로 변화가 가능하며 거주자의 목적에 맞게 활용이 가능하도록 계획되었다.

셰어하우스에서 중요하게 계획되는 공용공간은 공동의 생활이라는 성격에 의해 자유로운 평면과 성격을 가진다.


5. 결론

일본 셰어하우스의 공용공간 계획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본적인 일본 셰어하우스의 특징과 발전 양상을 분석하고, 셰어하우스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적합한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기준을 설정하고 기준에 맞춰 분석해 보았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 셰어하우스에서 나타나는 공용공간은 접근성이 용이하게 계획한다. 주로 저층부에 로비를 비롯한 상업공간을 계획하여 외부인으로부터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는 동시에 외부 손님을 대응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옥상에 녹지는 거주자들끼리 교류를 증진하고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 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위와 같은 공간은 각 거주자들이 불편하지 않도록 가변적인 구조로 공간을 상황에 맞게 활용할 수 있도록 유기적으로 계획하는 특징을 보인다.

둘째, 공용공간의 구성을 보면 기초적인 생활공간과 커뮤니티 공간이 필수적으로 계획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간은 공간의 가변성을 부여해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계획이 된다. 그 외의 공간은 거주자의 필요에 따라서 또는 각 셰어하우스의 성격에 맞춰 여가활동을 위한 공간이나 업무가 가능한 공간 등 자유롭게 구성이 된다. 여기서 위와 같은 공간은 기존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공간을 변경해 활용하기도 한다.

셋째, 셰어하우스의 특성상 공용공간의 성격은 확실하게 규정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벽에 의한 공간 분할이 아닌 마감재의 활용, 높낮이 차이, 공간을 구성하는 오브제 및 가구의 이용을 통해 언제든지 변화가 가능하도록 가변성을 부여 했다.

넷째, 다소 좁게 계획되는 셰어하우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벽에 의한 공간구성을 지양한다. 벽이나 물리적인 방법으로 공간을 구획 할 경우 셰어하우스의 공용공간의 활용성은 떨어지며 차단된 시야에 의해 답답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이동 가능한 가구나 소품을 활용한 공간 구획을 활용한다.

이상으로 위와 같이 일본 셰어하우스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공용공간특성과 공간의 가변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1인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에서도 셰어하우스의 수요 및 관심도 증가할 것이며 이에 따른 연구도 지속적으로 진행 될 것 이다. 또한 국내 셰어하우스의 질적인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국내 셰어하우스의 만족도 연구 외에도 심층적인 공간계획에 대한 연구가 진행 되어야 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This research rewrites and revises the contents Lee, Jae-Hyouck’s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 Planning in Domestic and Japanese Share House』 (Daejin Univ. Master Thesis, 2018)

Notes
1) 통계청의‘2010장래가구추계’의 자료를 보면 2010년 1인 가구는 23.9%에서 시작으로 2015년에는 27.1%로 증가하고 2035년에는 34.3%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 우소연, ‘일본 셰어하우스 사례조사를 통한 도시형 생활주택의 공용공간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공용공간의 개념에 관해서 유사한 의미를 가진 용어가 다양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공용공간으로 지칭한다.
3) 윤득근, “셰어하우스 공용 공간에 나타난 한국전통주거공간의 무자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 디자인전문대학원, 2015. 03.30, pp. 518
4) 히츠치부동산, ‘쉐어하우스 주거백서 2008’ 내용 참고
5) 박형수, 공유문화로서의 쉐어하우스,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13. 11, pp.27~29
6) 우소연의 ‘도시형 생활주택 계획을 위한 국외 소형 공동주택 연구’에 따르면 공용공간의 종류를 기초생활공간, 커뮤니티 공간, 여가활동 공간, 운동시설 공간, 작업활동 공간으로 분류했지만 본 연구에서는 서로 성격이 비슷하다고 판단되는 여가활동 공간과 운동시설 공간을 하나의 개념으로 설정했다.
7) 윤득근의 ‘셰어하우스 공용 공간에 나타난 한국전통주거공간의 무자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에서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본체, 또는 독립하고 있는 실체를 부정한다는 개념인 ‘무자성’의 성질에 따라 우리나라 전통 주거건축에 대입해 위와 같은 특징을 정의 하였다. 위와 같은 특징은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공간의 가변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다음과 같은 개념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 하였다.
8) 윤득근, 셰어하우스 공용 공간에 나타난 한국전통주거공간의 무자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 디자인전문대학원, 2015.03.30., pp.520
9) 본 연구의 사례분석의 기준과 분석방법은 윤득근(2015)의 연구에서 일부 차용했으며 본 연구에 목적에 맞게 재정리 했음을 밝힘

References

  • 이재혁, 국내 및 일본 셰어하우스의 공간구성과 공용공간 계획특성에 대한 연구, 대진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18, Feb).
    Lee, Jae-Hyouck,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 Planning in Domestic and Japanese Share House, Daejin U.
  • 이재혁, 국내 쉐어하우스 공간적 특성 분석, 대진대학교 건축공학과, (2016).
    Lee, Jae-Hyouck, Analysis of spatial charateristics of Share House in Korea, Daejin University, (2016).
  • 이재혁, 국내 쉐어하우스의 개별공간 배치에 따른 특성 분석, 대진대학교 건축공학과, (2017).
    Lee, Jae-Hyouck,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domestic Share Hoses according to Individual space Layout, Daejin University, (2017).
  • 우소연, 일본 셰어하우스 사례조사를 통한 도시형 생활주택의 공용공간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실내건축디자인학과, 한국디자인문화학회 논문, (2013, Apr, 22).
    Woo, So-Yeon,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Public Space of the Urban-life-housing by Japanese Share Housing Case Study, Hanyang University, (2013, Apr, 22).
  • 손진하, 여성 1인 가구를 위한 셰어하우스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디자인콘텐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Jul).
    Son, Jin-Ha, A Study on the Space Organization of Share House for Single Woman Household, Hongik University, (2015, Jul).
  • 정미정, 1-2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이 수용 가능한 셰어하우스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공간디자인학과, (2014, Jul, 15).
    Jeong, Mi-Jeoong, A Study on the Share House That Can Accommodate the Lifestyle of 1-2 person Household, Hongik University, (2014, Jul, 15).
  • 손진하, 일본 셰어하우스의 공간구성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공간디자인학과, (2013, Oct, 18).
    Son, Jin-Ha, A Study on the Space Organization and Features of Japanese Sharehouse, Hongik University, (2013, Oct, 18).
  • 박형수, 공유문화로서의 쉐어하우스,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13, Nov).
    Park, Hyoung-Soo, Share a House Share the Cultur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pecial issue, (2013, Nov).
  • 우소연, 도시형 생활주택 계획을 위한 국외 소형 공동주택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Feb).
    Woo, So-Yeon, A Study of Foreign Small-sized Apartmetns for Space Design of Urban Life Housing, Hanyang University, (2013, Feb).
  • 윤득근, 셰어하우스 공용 공간에 나타난 한국전통주겅공간의 무자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 디자인전문대학원, (2015, Mar, 30).
    Yoon, Deuk-Geun, Study on Non-Characteristic Space Concept of Korean Traditional Residential Sapce Shown in Public Space of Sharehouse, Kookmin University, (2015, Mar, 30).

Fig 1.

Fig 1.
Set analysis standard by synthesis of variability characteristics of space

Table 1.

Type of share house divided into residence type and operation type

Division Type Contents
Residence Type Share House Format to share single house
Plat Share Froms that share an apartment or apartment space
Room Share Two People share one room like one room
Operation type DIY Type When tenants borrow a building and rent it by themselves
Business Operation Type The type of business that brokers and collects rent, building management, problem response from tenants

Table 2.

Japan Share house features

Characteristic Contents
Community space formation Residents can choose to communicate between residents and create new communication spaces centering on residential areas
Activate city functions .Promoting the residence of the younger generation living in the province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provinces and the city
Activate real estate market Recreating the value of real estate due to the use of used real estate in general real estate and construction market

Table 3.

Shared House Public Space Classification

Division Space Type
Living Space Commercial facilities, hall / lobby, life support center, household warehouse, laundry room, guest room, communal dining room, shared toilet / shower room
Community Space Multipurpose banquet hall, resident meeting room, resident lounge, branch hall, daycare facility, park / green space, indoor garden, children playground
Leisure activity Space Exhibition room, hobby room, book / reading room, multimedia room, indoor playground, health club
Work activity Space Business room, small workshop, cultural center

Table 4.

Comprehensive composition of Japanese Share House Public Space

Division The Share Share Life
Chitose Karasuyama
Share Place Sevilla Ebisu
Summary Completion year November 2011 March 2012 February 2011 January 2013
Total floor area 3,822㎡ 1,693㎡ 2,162㎡ 1,087.15㎡
Household number 64 households 87 households 73 households 32 households
Classification Living Space Detail room Commercial facilities, hall / lobby, Warehouse, Laundry room, Restaurant, Cafe, Bicycle storage, Courier storage, Sanitary space Hall / Lobby, Life support center, Laundry room, Restaurant, Sanitary area, Bicycle storage Hall / Lobby, Life support center, Laundry room, Restaurant, Bicycle storage, Sanitary space Hall / Lobby, Commercial facilities, Life support center, Laundry Room, Restaurant, Sanitary space, Cafe
Characteristic ‒ There is a commercial facility on the first floor and a community space on the sixth floor. ‒ All public areas are on the first floor, and the outdoor terrace connects the two buildings. ‒ On the first floor, the kitchen is arranged in the form of a box in the center of the space, and various spaces are formed around it ‒ We plan to open spaces such as restaurants, kitchens, and cafes as open spaces.
Community Space Detail room Multipurpose banquet hall, resident meeting room, Rest room, Open space / Open green space Resident lounge, Open space / Open greenery Multipurpose banquet hall, Resident lounge, Open space / Open-air greenery Residents Lounge, Rooftop Greenery, Private Bar
Characteristic ‒ Organically linked with other spaces and used as a multipurpose, planning a rooftop garden ‒ The common room is made up of various sofas and tables and expanded to outdoor spaces. ‒ The space of DOTE and IKADA is composed of a left-handed garden and a rooftop garden is planned. ‒ Kitchen and café space are planned in a complex way.
Leisure activity Space Detail room Exhibition facilities, Books / Reading room Exhibition facilities, Books / Reading room Exhibition facilities, Books / Reading room Multipurpose room, Large balcony
Characteristic ‒ Easily change the physical size of the space by making the lounge and library close together ‒ Planning a café-style book space using surplus space on the copper line ‒ Consists of a separate left-hand space ‒ Visualize all spaces by leveling to show visual connectivity
Work activity Space Detail room Business Room, Workshop - Small workshop -
Characteristic ‒ The second floor looks like a co-business room with an office-type configuration. - ‒ Construct a linear study space by utilizing the excess space of the passage type.
Image

Table 5.

Type according to individual space arrangement

Division The Share Share Life
Chitose Karasuyama
Share Place Sevilla Ebisu
Physical variability - The boundaries of the living room, dining room, and kitchen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furniture and props, showing a vague boundary
- Expansion and use of space can be changed arbitraril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 Connecting external space with internal space using folding door
- The size of the spac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urpose according to the behavior in the public space
- Connect outer terrace and interior space with folding door
- DOTE floor flooring is connected to outer terrace to obscure the boundaries of space
- It connects public spaces such as restaurants, kitchens, cafes, and cinemas to one plane and distinguishes them by level difference
- Space boundaries are ambiguous and space is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Hierarchical connectivity - It is connected visually using small objects such as objects and furniture, but not psychological space division by partition of space by wall - Set the hierarchy using the floor finishes in the dining room and the PC room
- Open the whole plane and connect it to one space
- Plan the psychological space separation by using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hierarchical levels of space
- Space is not separated into walls, so all spaces are connected together
- Securing the division of space by using staircase differences
- Organizing the whole space by dividing the space by level difference
Functional variability - The space is separated by the small objects not separated by the wall, so that the furniture can be rearranged or chan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so that it can carry out various purposes
- Physical means such as furniture give space character
-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space used by various purposes define the character of the space by the furniture or accessories so that the occupants can easily change the space - Plan to actively utilize DOTE, a surplus space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 DOTE Space, dining room, and living room are connected in open form to plan space for various purposes and functions
- In addition to the space that serves meals using a combination of kitchen and café space, it can be utilized as a space for relaxation
- Plan for various purposes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small items or furniture

Table 6.

Japan Sharehouse Flat Analysis None scale

Plan The Share Share Place
Share Life Chitose Karasuyama Sevilla Ebisu
Physical variability : Hierarchical connectivity : Functional variability :